영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휘는 당나라 고종이 사용한 연호이다. 650년 2월 7일에 개원하여 656년 2월 7일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선우도호부 설치, 영휘율 반포, 오경정의 완성, 무측천의 황후 책봉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연호 - 천보 (당)
천보는 742년부터 756년까지 당 현종 치세 후반기에 사용된 연호로, 안사의 난 이전 당의 번영을 상징했으나 이후 지덕으로 변경되었으며, 안록산 임명, 양귀비 책봉, 돌궐 쇠퇴, 고선지 정복, 탈라스 전투 패배 등 당 왕조의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한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화의 시대적 배경이다. - 당나라의 연호 - 정관 (당)
정관은 당나라 태종 이세민의 치세에 사용된 연호로, 사회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이루고 돌궐과의 전쟁에서 승리했던 시대를 나타내며, 동아시아 여러 국가의 연호와 병행 사용되어 당시 정치적, 문화적 교류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고, 통치 원리는 『정관정요』에 기록되어 있다.
영휘 | |
---|---|
기본 정보 | |
![]() | |
지속 기간 | 650년 ~ 655년 |
종류 | 연호 |
사용 국가 | 당나라 |
서력 기원 | |
시작 연도 | 650년 |
종료 연도 | 655년 |
간지 | |
시작 간지 | 경술년(庚戌年) |
종료 간지 | 을묘년(乙卯年) |
다른 연호와의 관계 | |
이전 연호 | 영미(永徽) |
다음 연호 | 현경(顯慶) |
2. 연대기
2. 1. 개원
정관 24년 1월 1일[1](650년 2월 7일)에 연호를 '''영휘'''로 개원하였다.[2][3][4][5] 영휘 7년 1월 7일[6](656년 2월 7일)에 연호를 현경으로 개원하였다.[2][3][7][5]2. 2. 주요 사건
선우도호부를 설치하고 돌궐을 감독하게 했다. 『영휘율』을 반포했다. 『오경정의』가 완성되었다. 무조 (후의 무측천)가 황후가 되었다.3. 연대 대조표
wikitable
4. 동시대 다른 지역 연호
하쿠치 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