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사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술 사진은 작가의 주관적인 감정과 비전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진의 한 장르이다. 19세기 중반 다게레오타입을 전시하며 초기 순수 예술 사진이 등장했으며, 빅토리아 시대 사진작가들이 순수 미술 사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20세기 초 알프레드 스티글리츠는 사진을 순수 예술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예술 사진은 누드, 초상화, 풍경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패션 사진, 사진 저널리즘 등 다른 장르와 겹치기도 한다. 예술 사진의 정의는 모호하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사진의 조작이 쉬워지면서 진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 예술 장르 - 이슬람 미술
이슬람 미술은 7세기부터 현재까지 이슬람 문화권에서 발전해 온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종교적 관행과 관련된 예술적 표현뿐만 아니라 무슬림들이 제작한 모든 예술을 포괄하며 다양한 왕조와 지역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양식을 발전시켜 왔다. - 시각 예술 장르 - 장식 예술
장식 예술은 순수 미술과 구별되며, 르네상스 이후 서양 미술에서 구분이 시작되었고, 1970년대 이후 재평가되어 현대 미술의 한 흐름을 형성한다. - 장르별 사진 - 건축사진
건축사진은 건축물을 주요 대상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기법과 스타일로 발전해 온 사진 분야로, 촬영 목적, 장소, 시간대에 따라 예술, 상업, 조감, 주경 사진 등으로 나뉘며 수직 원근감 조정과 깊은 피사계 심도 활용이 중요하다. - 장르별 사진 - 항공 사진
항공 사진은 항공기나 기구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군사적 목적에서 시작하여 측량, 지도 제작, 상업적 용도로 활용되며, 기술 발전과 함께 드론 촬영이 가능해지고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예술사진 | |
---|---|
예술 사진 | |
![]() | |
다른 이름 | 예술적 사진 |
유형 | 사진 |
설명 | 사진가의 예술적 비전을 표현하기 위해 촬영된 사진 |
2. 역사
예술 사진의 역사는 사진 발명 초기부터 시작되었다. 사진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진은 단순한 기록 매체를 넘어 예술적인 표현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 존 제이비즈 에드윈 메이올은 주기도문을 묘사한 다게레오타입을 전시하여 '순수 예술' 사진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했다.[2] 빅토리아 시대의 사진 작가들은 순수 미술 사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에서는 F. 홀랜드 데이,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켄이 사진을 순수 예술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스티글리츠는 사진을 박물관 컬렉션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0년대까지 영국에서는 사진이 순수 예술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S. D. 조우하르 등이 사진 순수 예술 협회를 결성하며 예술 사진 운동을 주도했다. 1970년대 후반까지 앤설 애덤스와 같은 사진가들은 누드, 초상화, 자연 풍경 등을 주제로 예술 사진을 발전시켰다. 1970년대와 80년대에는 샐리 만, 로버트 메이플소프, 로버트 파버, 신디 셔먼 등이 새로운 시각으로 예술 사진의 지평을 넓혔다.
요제프 H. 노이만은 1970년대 중반에 케모그램이라는 독창적인 사진 기법을 개발했다.[3][4][5][6]
아퍼처 재단과 현대 미술관(MoMA)과 같은 미국의 단체들은 사진을 순수 예술의 선두에 유지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1940년 MoMA가 사진 부서를 설립하고 보몽 뉴홀을 초대 큐레이터로 임명한 것은 사진의 예술적 지위를 제도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자주 인용된다.[7]
일본의 예술 사진은 픽토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았지만, 일본화적 요소와 서정성을 중시하는 독자적인 특징을 보였다. 1921년 우에다 치쿠오는 '예술사진사'를 창립하고, 상업 잡지 『예술사진』을 간행했다. 같은 해 후쿠하라 신조는 '사진예술사'를 창립하고, 동인지 『사진예술』을 발행했다. 후쿠하라 신조, 후쿠하라 롯소, 노지마 코조, 후치카미 하쿠요, 타카야마 마사타카 등 많은 사진가들이 예술 사진을 실천했다.
관동 대지진 이후, 후치카미 하쿠요를 중심으로 한 '구성파' 사진가들은 소프트 포커스를 사용하면서도 추상적이고 구성적인 작품을 추구했다. 1930년대 이나 노부오는 신흥 사진 운동을 통해 보도 사진과 리얼 포토 등 기록성을 중시한 사진 표현을 사진 예술로 규정했다. 이는 모홀리-나기 라슬로 등의 독일 국제 이동 사진전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신흥 사진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예술 사진의 흐름은 전후까지 이어졌다.
2. 1. 서구의 예술 사진
19세기 중반, 존 제이비즈 에드윈 메이올과 같은 초기 사진가들은 사진을 통해 예술적인 표현을 시도했다.[2] 줄리아 마가렛 카메론,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 오스카 구스타브 레이란더와 같은 빅토리아 시대 사진작가들은 순수 미술 사진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미국에서는 F. 홀랜드 데이,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켄 등이 사진을 순수 예술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스티글리츠는 사진을 박물관 컬렉션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960년대까지 영국에서는 사진이 순수 예술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S. D. 조우하르 등이 사진 순수 예술 협회를 결성하며 예술 사진 운동을 주도했다. 1970년대 후반까지 앤설 애덤스와 같은 사진가들은 누드, 초상화, 자연 풍경 등을 주제로 예술 사진을 발전시켰다. 1970년대와 80년대에는 샐리 만, 로버트 메이플소프, 로버트 파버, 신디 셔먼 등이 새로운 시각으로 예술 사진의 지평을 넓혔다.

요제프 H. 노이만은 1970년대 중반에 케모그램이라는 독창적인 사진 기법을 개발했다.[3][4][5][6]
아퍼처 재단과 현대 미술관(MoMA)과 같은 미국의 단체들은 사진을 순수 예술의 선두에 유지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1940년 MoMA가 사진 부서를 설립하고 보몽 뉴홀을 초대 큐레이터로 임명한 것은 사진의 예술적 지위를 제도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자주 인용된다.[7]

현대에는 그레고리 크루드슨, 제프 월 등과 같이 연출 사진을 통해 예술적 표현을 극대화하는 사진가들이 등장했다. 또한, 디지털 사진 기술의 발전은 전체 스펙트럼 사진과 같이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열었다.

1980년경부터 인쇄 기술이 향상되면서, 사진 작가의 정교하게 인쇄된 한정판 도서에 재현된 아트 프린트가 현재 수집가들에게 강력한 관심을 받는 분야가 되었다. '아트 마켓 트렌드 2004'에 따르면 2004년 경매장에서 7,000장의 사진이 판매되었으며, 사진 가격은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연평균 7.6% 상승했다.[8]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예술 사진 작가가 엄격하게 제한된 판수로 고품질의 아카이브 인쇄물을 제작하는 번성하는 수집가 시장이 있다. 온라인 아트 소매업체가 일반 대중에게 회화 인쇄물과 함께 훌륭한 사진을 판매하려는 시도는 혼합된 결과를 보였으며, 앤설 애덤스와 같은 전통적인 주요 사진 작가에게서만 강력한 판매가 이루어졌다.
2. 2. 한국의 예술 사진
일본의 예술 사진은 픽토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았지만, 일본화적 요소와 서정성을 중시하는 독자적인 특징을 보였다. 1921년, 우에다 치쿠오는 '예술사진사'를 창립하고, 상업 잡지 『예술사진』을 간행했다. 같은 해 후쿠하라 신조는 '사진예술사'를 창립하고, 동인지 『사진예술』을 발행했다. 후쿠하라 신조, 후쿠하라 롯소, 노지마 코조, 후치카미 하쿠요, 타카야마 마사타카 등 많은 사진가들이 예술 사진을 실천했다.
관동 대지진 이후, 후치카미 하쿠요를 중심으로 한 '구성파' 사진가들은 소프트 포커스를 사용하면서도 추상적이고 구성적인 작품을 추구했다. 1930년대 이나 노부오는 신흥 사진 운동을 통해 보도 사진과 리얼 포토 등 기록성을 중시한 사진 표현을 사진 예술로 규정했다. 이는 모홀리-나기 라슬로 등의 독일 국제 이동 사진전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신흥 사진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예술 사진의 흐름은 전후까지 이어졌다.
전후에는 우에다 쇼지, 도몬 겐, 아키야마 쇼타로, 호소에 에이코 등이 순수 예술적인 작가로 활동했다. 누드 사진은 파인 아트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헬무트 뉴턴, 조크 스터지스, 데이비드 해밀턴 등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1990년대 일본에서는 헤어 누드가 규제 해제의 상징이 되었으며, 아라키 노부요시, 시노야마 기신, 가노 노리아키 등이 활동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걸리 포토라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으며, HIROMIX, 니나가와 미카, 나가시마 유리에 등이 대표적인 사진가이다.
3. 특징
예술 사진은 작가의 주관적인 감정과 비전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적으로는 원근법과 공기원근법을 의식하고, 때로는 합성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기도 한다.[2] 스트레이트 사진과는 반대로, 보이는 방식보다는 표현하고자 하는 모티프나 감정을 강조한다.
1970년대 후반까지는 누드, 초상 사진, 자연 풍경 (예: 앤설 애덤스)과 같은 여러 장르가 주를 이루었다.[3][4][5][6] 샐리 만, 로버트 메이플소프 같은 1970년대와 80년대의 획기적인 예술가들은 이러한 장르에 크게 의존했지만,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예술 사진은 특정 대의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앤설 애덤스의 요세미티와 옐로스톤에서의 작업이 그 예시이다. 애덤스는 자연 보호를 열렬히 옹호했으며, 그의 작품은 시에라 네바다의 아름다움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그 보호를 위한 정치적 지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예술 사진은 사진 저널리즘, 패션 사진 등 다른 장르와 겹치기도 한다. 특히 패션 사진과의 경계는 최근 모호해졌다는 언급이 1996년도에 있었다.[9]
4. 예술 사진과 다른 장르
예술 사진은 패션 사진, 사진 저널리즘 등 다른 장르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1990년대 이후 패션 사진과 예술 사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1996년에는 상업적 삽화 사진과 순수 예술 사진 사이의 경계가 특히 패션 분야에서 모호해졌다는 언급이 있었다.[9] 순수 예술 사진과 패션 사진의 중복은 강연,[10] 전시,[11][12][13] 아트 바젤 마이애미 비치와 같은 무역 박람회,[14] 그리고 서적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9][15]
사진 저널리즘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에 예술 사진 및 회화와 관계를 맺으며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시작했다.[16] 1974년에는 국제 사진 센터가 개관하여 "인도주의적 사진 저널리즘"과 "예술 사진"을 모두 강조했다.[16] 1987년에는 "잡지나 신문을 위해 과제로 찍은 사진들이 이제 정기적으로 액자에 담겨 박물관과 갤러리 벽에 다시 나타나[고] 있었다."[17]
5. 사진 잡지
아사히 카메라, 카메라 (잡지), 예술사진연구, 포토 타임스, 일본 카메라 등은 예술 사진의 발전에 기여한 사진 잡지이다.[4] provoke (잡지)와 같은 잡지는 전위적인 사진 운동을 주도하며 예술 사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4] 아사히 그래프, NIPPON (그래프지) 등의 그래프 잡지는 사진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4]
6. 프레임 및 인쇄 크기
1950년대 중반까지 갤러리 전시회에서 사진을 액자에 넣는 것은 저속하고 가식적인 것으로 널리 여겨졌다. 인쇄물은 보통 블록보드나 합판에 붙이거나, 암실에서 흰색 테두리를 만들어 디스플레이 보드에 고정했다. 따라서 인쇄물은 유리의 반사 없이 전시되었다. 에드워드 스타이켄의 유명한 ''인간 가족'' 전시회는 액자 없이 그림이 패널에 붙여졌다. 1966년 빌 브란트의 MoMA 전시회도 액자 없이 얇은 합판에 인화 사진이 붙어 있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2000년경까지 대부분의 갤러리 전시회에는 유리 뒤에 인쇄물이 있었다. 2000년경부터는 유리 없이 현대 갤러리 판화를 다시 보여주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인쇄물의 크기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참조
[1]
서적
Road to Seeing
https://books.google[...]
New Riders
2014
[2]
서적
Creative photography: aesthetic trends 1839–1960
Dover
1991
[3]
간행물
Bemerkungen zu den Chemogrammen von Josef Neumann. Ausstellung in der Fotografik Studio Galerie von Prof. Pan Walther
1976
[4]
간행물
Joseph H. Neumann. Chemogramme
1976
[5]
서적
Filme kreativ nutzen
Photographie Verlag
1987
[6]
Youtube
Die Hochglanzwelt des Josef H. Neumann
[7]
학술지
The Judgment Seat of Photography
1982-09-00
[8]
웹사이트
Art Market Trends 2004
https://web.archive.[...]
2010-11-16
[9]
리뷰
Review of Fashion: Photography in the Nineties
1997-02-15
[10]
뉴스
The fine art of fashion photography
https://web.archive.[...]
The Independent
2001-06-12
[11]
웹사이트
Fashioning fiction in photography since 1990
http://www.moma.org/[...]
[12]
잡지
Striking poses: is fashion photography art?
http://www.slate.com[...]
2004-04-23
[13]
웹사이트
Click chic: the fine art of fashion photography
http://www.sva.edu/s[...]
2007-09-06 to 2007-10-06
[14]
뉴스
Work with me, baby
https://www.nytimes.[...]
2007-12-06
[15]
서적
The idealizing vision: the art of fashion photography
Aperture Foundation
1991
[16]
잡지
Picture this - magazine photography, in just a few decades, has changed the way life itself is regarded
1999-04-15
[17]
뉴스
Art; photojournalism lays claim to the realm of esthetics
https://query.nytime[...]
1987-04-12
[18]
웹사이트
While I Watch My Father Die: Photography Exhibition on Snapchat Explores Memory, Emotional Vanishing
http://stevegiovinco[...]
2015-10-28
[19]
서적
The photography encyclopedia
Schirmer
1999
[20]
서적
Fine art photography: creating beautiful images for sale and display
RotoVision
2003
[21]
서적
Illustrated dictionary of photography: the professional's guide to terms and techniques
Amherst Media
2008
[22]
서적
Sell & re-sell your photos
Writer's Digest Books
2003
[23]
서적
Cassell's cyclopaedia of photography
Arno
1973
[24]
학술지
The Work of Dr. Jouhar
https://archive.rps.[...]
1964-10-00
[25]
간행물
Making Art With Machines: Photography's Institutional Inadequacies
1974-04-00
[26]
간행물
From Folk Art To Fine Art: A Transformation in the Meaning of Photographic Work
1974-07-00
[27]
웹사이트
Camera clubs and fine art photography: the social construction of an elite code
http://sjmc.cla.umn.[...]
1986-07-00
[28]
웹사이트
Authority headings search
http://authorities.l[...]
[29]
웹사이트
Art photography
http://www.getty.edu[...]
[30]
웹사이트
What Is Fine Art Photography?
http://www.sgbphotog[...]
[31]
웹사이트
Bytesmiths Editions Newsletter December 2000
http://www.bytesmith[...]
[32]
웹사이트
What is an artwork? – Art Photo Limited – Photography – Artwork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