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덕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덕교는 대한민국의 신학자이자 목사이다. 총신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총신대학교 강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몽골 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 총장을 지냈다. 몽골 정부로부터 최우수 교육자 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부터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성 오씨 - 오제세
오제세는 서울대학교 행정학과와 환경대학원을 졸업하고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 활동 후 국민의힘에 입당, 현재 대한장애인농구협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나 여러 논란에 휩싸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보성 오씨 - 오하영 (가수)
오하영은 걸그룹 에이핑크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및 배우로 활동하며, 게임 관련 프로그램 MC 및 광고 모델, '오정박합' 유닛 활동, 유튜버 콜라보레이션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최크리에이티브랩으로 이적하여 에이핑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박영선 (목사)
박영선은 남서울교회 부목사, 남포교회 개척 및 30년간 목회,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를 역임하고 칼뱅주의에 입각한 설교와 신학 서적 출간을 통해 한국 교회에 영향을 미친 대한민국의 목사이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총신대학교 교수 - 인명진
인명진은 대한민국의 목사, 시민운동가, 정치인으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새누리당 및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총신대학교 교수 - 윤항기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목사이자 음악학자인 윤항기는 가수 윤복희의 오빠이며, 연세대학교와 미드웨스트 신학대학교, 트리니티 신학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 후 예음종합예술원 명예원장 겸 명예학장, 예음교회 담임목사 등으로 활동했다.
오덕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덕교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 |
직업 | 대학 총장,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 |
분야 | 역사신학 |
종교 | 개신교 |
학력 | |
학위 | 신학석사 (Th.M.), 철학박사 (Ph.D.) |
모교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
경력 | |
활동 기간 | 1975년 ~ |
업적 | |
알려진 업적 | 교회사, 종교개혁, 청교도 연구 |
2. 생애
그의 본관은 보성이다. 1952년 12월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에서 태어났다. 대천중학교 시절 그는 유독 역사 과목을 좋아했다. 역사 과목 선생님은 “오덕교 군은 앞으로 역사 박사가 될 거예요”라고 칭찬하곤 했는데, 실제로 후에 교회 역사의 박사가 되었다. 중학교를 졸업한 후 맏형의 인도로 동네 교회의 부흥회에 참여했다가 은혜를 체험했다. 이를 계기로 법관이 되려는 꿈을 포기하고 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후 총신대학교를 소개받았다.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신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기에 스스로 생활비를 조달하며 공부를 했다. 1971년 총신대학교에 진학하여 철학(BA), 신학대학원, 그리고 대학원(Th. M.)을 마쳤다. 총신대 4개년 및 신대원 3개년 수석 졸업을 했다. 1978년 2월 20일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 충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1978년 3월 공군 군종장교로 입대하여 5월 중위로 임관하였고, 1981년 6월 대위로 전역하였다. 1981년 총신대학교에서 강사로 근세교회사와 장로교회사를 가르쳤고, 1982년 3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전임강사로 임명받아 교수 사역을 시작하였다.
1982년 9월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철학 박사과정(Ph. D.)에 유학하여 Reformation and Post Reformation Studies를 연구하였다. 1986년 박사 학위 논문 작성을 마친 후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으로 가서 1987년까지 Research Fellow로 일하며 뉴잉글랜드 청교도에 대해 연구하였고, 1987년 5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뉴잉글랜드 청교도에 대한 연구인 <교회의 부활: 존 코튼의 교회개혁에 대한 종말론적 역사 이해>(Churches' Resurrection: John Cotton's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cclesiastical Reformation)라는 논문으로 한국인 최초로 철학박사(Ph. D.)를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과 함께 귀국한 후 1987년 9월부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교수 사역을 시작한 후 부교수, 정교수로 27년간 역사신학을 가르쳤고,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제7대 총장으로 일하였다. 그는 교수 사역을 하면서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Visiting professor, 1992~1993), South Africa의 Stellenbosch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2000) 등을 섬겼다. 2010년 3월부터 2014년 4월까지 한국장로교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신학교인준위원장으로 연합 활동을 하고 있다. 2014년 2월부터 2017년까지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에 있는 Ulaanbaatar University(현 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 총장으로 일하면서 한몽 교육 교류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몽골 교육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아 2017년 몽골 정부가 주는 최우수 교육자 상을 받았다. 2018년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의 visiting scholar로 있으면서 '교회사를 빛낸 설교자와 그들의 설교'에 대해 연구하였고, 2019년 3월부터는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총장 자문(Advisor to the President), 그리고 2019년 6월에는 Adjunct Professor로 임명을 받아 일하고 있다.
3. 학력
4. 경력
- 총신대학교 신학과 졸업 (B.A.영어)
- 총신대학교 신학연구원 졸업 (M.Div.영어)
- 총신대학교 대학원 졸업 (Th.M.영어)
- 1978년: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동) 충남노회에서 목사 안수[5]
- 1978년 3월 - 1981년 6월: 공군 군종장교 (중위 임관, 대위 전역)
- 1981년: 총신대학교 강사
- 1982년 3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전임강사
- 1982년 9월: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철학 박사과정(Ph. D.영어) 유학
- 1986년: 예일 대학교 신학대학원(Divinity School영어)에서 연구원(Research Fellow영어)으로 뉴잉글랜드 청교도 연구 (~1987년)
- 1987년 5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회의 부활: 존 코튼의 교회개혁에 대한 종말론적 역사 이해>(Churches' Resurrection: John Cotton's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cclesiastical Reformation영어) 논문으로 한국인 최초 철학박사(Ph. D.영어) 학위 취득[5]
- 1987년 9월 - 2014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 1992년 - 1993년: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객원 교수(Visiting professor영어)
- 200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텔렌보쉬 대학교 객원 교수(Visiting Professor영어)
- 2005년 - 2009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제7대 총장
- 2010년 3월 - 2014년 4월: 한국장로교신학회 회장[5]
- 2013년: 한국장로교총연합회 신학교인준위원장
- 2014년 2월 - 2017년: 몽골 울란바토르 국제대학교(International University of Ulaanbaatar영어) (구 울란바토르 대학교(Ulaanbaatar University영어)) 총장
- 2015년 - 2016년: 제16기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6]
- 2017년 - 2018년: 제17기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6]
- 2017년: 몽골 정부 최우수교육상 수상[5]
- 2018년: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방문 학자(visiting scholar영어)
- 2019년 3월: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총장 자문(Advisor to the President영어)[6]
- 2019년 6월: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겸임 교수(Adjunct Professor영어)[6]
- 2023년 8월 17일: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 한국개혁주의연구소 소장
- 한국기독교학술원 정회원
- 종교개혁500주년기념사업회 상임회장
- 설교아카데미 원장(2022년 9월-)
- 요한 칼빈 탄생 500주년 기념사업회 올해의 신학자(2014년 11월 22일)
- ''Unio Cum Christo, An International Reformed Journal on Faith and Life영어'' 편집위원
5. 사상 및 신학적 입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작성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6. 저서
- The Church's Resurrection: John Cotton's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hurch Reform영어.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Ph.D. 1987)
- 《청교도와 교회개혁》 (합신대학원출판부)
- 《장로교회사》 (합신대학원출판부)
- 《빈야드 운동 무엇이 문제인가》 (교회와 신앙)
- 《종교개혁사》 (합신대학원출판부)
- 《청교도 이야기》 (이레서원)
- 《언덕 위의 도시: 청교도의 사회 개혁 이상》 (합신대학원출판부)
- 《개혁신학과 한국교회》 (합신대학원출판부)
- 《교회 역사를 빛낸 위대한 설교자들》 (유나이티드 역사문화연구원)
7. 기념 논문집
- 칼빈의 신학과 한국교회의 과제: 신복윤 명예총장 은퇴기념 논문집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02)
- 주는 영이시라: 성산 박형용 박사 은퇴 기념 논총 (수원: 합신대학원 출판부, 2009)
- 김영재 교수 기념 논문집 (수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8. 참고문헌
참조
[1]
뉴스
오덕교박사 합동신학대학원 총장 취임
http://www.pckworld.[...]
한국기독공보
2005-03-15
[2]
웹사이트
ОУУБИС 135 оюутанд 52,381,750 төгрөгний тэтгэлэг олголоо
http://www.ulaanbaat[...]
[3]
뉴스
조선대, 국제울란바타르대와 업무협약
http://www.newsprime[...]
newsprime
2017-05-16
[4]
뉴스
동의대, 몽골 울란바토르국제대와 교류협정 체결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6-10-14
[5]
뉴스
오덕교 총장, ‘올해의 신학자상’ 수상
http://www.christian[...]
christiantoday
2014-11-22
[6]
웹사이트
UNIO CUM CHRISTO EDITORS
http://uniocc.com/ab[...]
[7]
뉴스
한국장로회신학회장 오덕교 교수 재선임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2-04-08
[8]
뉴스
오덕교 총장, ‘올해의 신학자상’ 수상
http://www.christian[...]
크리스챤투데이
2014-11-22
[9]
웹사이트
주 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민주평통 제18기 자문위원 위촉장 전수식 거행
http://www.okja.org/[...]
[10]
웹사이트
UNIO CUM CHRISTO EDITORS
http://uniocc.com/a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