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령시는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마한 시대에는 만로국, 백제 시대에는 신천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 보령현으로 개칭된 후 현재까지 그 이름을 사용하고 있으며, 1995년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보령시가 되었다. 서해안의 리아스식 해안을 따라 대천해수욕장, 무창포해수욕장 등 관광지가 발달했으며, 보령머드축제가 매년 개최된다. 주요 산업으로는 머드 화장품, 농업, 어업 등이 있으며, 장항선과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의 요충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령시의 행정 구역 - 오천면
오천면은 조선 시대 충청수군절도사영이 있던 곳으로, 현재는 대한민국 보령시에 속하며 육지와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 보령시의 행정 구역 - 대천동 (보령시)
대천동은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하며 대천해수욕장과 인접하고 주거 환경이 양호한 지역으로, 시 승격과 보령군 통합을 거쳐 현재 보령시의 일부가 되었고, 행정동 명칭 변경 논의와 도시재생 사업을 통한 주거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보령시 - 한국중부발전
한국중부발전은 전력자원 개발, 발전 및 관련 사업을 수행하며, 1898년 한성전기회사로 시작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고, 보령발전본부 등을 운영한다. - 보령시 - 보령도서관
보령도서관은 1973년 보령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운영되며, 300석의 열람 좌석과 98,361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종합자료실과 열람실을 운영한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보령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보령시 |
한글 | 보령시 |
한자 | 保寧市 |
로마자 표기 | Boryeong-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Poryŏng-si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남도 |
지역 | 호서 |
방언 | 충청 |
시장 | 김동일 (국민의힘) |
면적 | 569.01km² |
인구 (2024년 9월) | 94,191명 |
인구 밀도 | 160.50명/km² |
행정 구역 | 1 읍, 10 면, 5 동 |
![]() | |
![]() | |
역사 | |
역사 | http://boryeong.chungnam.kr/english/history.htm |
역사 | https://www.brcn.go.kr/eng/sub01_02.do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동백꽃 |
시조 | 갈매기 |
기타 | |
웹사이트 | http://www.brcn.go.kr/ |
2. 역사
삼국사기에는 백제의 신촌(新村)·사포(寺浦)를 신라 경덕왕이 신읍(新邑)·남포(藍浦)로 개칭했다는 기록이 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해 보령군, 남포군, 오천군이 보령군으로 통폐합되었다.[63] 1963년 1월 1일 대천면이 대천읍으로 승격되었고,[65] 1986년 1월 1일 대천읍이 대천시로 승격되어 보령군과 분리되었다.[70] 1995년 1월 1일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보령시가 설치되었다.[74]
연도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14년 4월 1일 | 보령군, 남포군, 오천군을 보령군으로 통폐합.[63] (10면) |
1917년 10월 1일 | 주포면 신성리를 보령리로 개칭.[64] |
1963년 1월 1일 | 대천면을 대천읍으로 승격.[65] (1읍 9면) |
1970년 7월 27일 | 미산면 성주출장소 설치.[66] |
1971년 2월 1일 | 주포면 주교출장소 설치.[67] |
1983년 2월 15일 | 오천면 삽시도리 중 내파수도·외파수도·외도가 서산군 안면읍으로 편입,[68] 오천면 갈현리 일부가 주포면 연지리로 신설.[69] |
1986년 1월 1일 | 대천읍이 대천시로 승격.[70] (9면) |
1986년 3월 27일 | 미산면 성주출장소가 성주면으로 승격.[71] (10면) |
1989년 4월 1일 | 주포면 주교출장소가 주교면으로 승격.[72] (11면) |
1994년 2월 4일 | 보령군 원산도출장소 설치.[73] |
1994년 10월 1일 | 대천시 청사를 명천동 269-4(성주산로 77)번지로 이전. |
1995년 1월 1일 |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보령시 설치.[74] (11면 6행정동) |
1995년 3월 2일 | 웅천면이 웅천읍으로 승격.[75] (1읍 10면 6행정동) |
1998년 10월 28일 | 왕대동을 현포동으로 합동.[76] (1읍 10면 5행정동) |
1999년 7월 20일 | 원동을 대천1동, 대관동을 대천2동, 대신동을 대천3동, 흥덕동을 대천4동, 현포동을 대천5동으로 개칭.[77] |
2020년 6월 30일 | 오천면 원산도출장소를 보령시청 직할 원산도출장소로 전환 |
2022년 12월 31일 | 오천면 원산도출장소가 원산출장소로 개칭. |
2. 1. 삼국시대 이전
마한 시대에는 만로국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에서는 신천현, 신라 경덕왕 때에는 선성현이 되었다.[1]2. 2. 삼국시대 ~ 조선시대
백제에서는 신천현, 신라 경덕왕 때에는 선성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보령현으로 개칭되었고, 현재까지 그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보령(保寧)·남포(藍浦)의 기록이 있다. 백제의 신촌(新村)·사포(寺浦)를 경덕왕이 신읍(新邑)·남포(藍浦)로 개칭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보령현, 남포현, 오천현이 설치되었다.[82]2. 3.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보령군, 남포군, 오천군이 보령군으로 통합되었다.[63] 이때 주포면, 청소면, 대천면, 청라면, 남포면, 웅천면, 주산면, 미산면, 오천면, 천북면의 10개 면이 설치되었다.1917년 10월 1일 주포면 신성리가 보령리로 개칭되었다.[64]
2. 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63년 1월 1일 대천면이 대천읍으로 승격되었다.[65] 1970년 7월 27일 미산면에 성주출장소가 설치되었고,[66] 1971년 2월 1일 주포면에 주교출장소가 설치되었다.[67]1983년 2월 15일 오천면 삽시도리 중 내파수도·외파수도·외도가 서산군 안면읍으로 편입되었고,[68] 오천면 갈현리 일부가 주포면 연지리로 신설되었다.[69]
1986년 1월 1일 대천읍 일원을 관할로 대천시가 설치되었다.[70] 당시 행정동은 원동, 대관동, 대신동, 흥덕동, 현포동, 왕대동으로 6개였다. 같은 해 3월 27일 미산면 성주출장소가 성주면으로 승격하였다.[71] 1989년 4월 1일 주포면 주교출장소가 주교면으로 승격하였다.[72] 1994년 2월 4일 보령군에 원산도출장소가 설치되었다.[73]
1995년 1월 1일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보령시가 설치되었다.[74] 같은 해 3월 2일 웅천면이 웅천읍으로 승격하였다.[75] 1998년 10월 28일 왕대동이 현포동으로 통합되었다.[76] 1999년 7월 20일 원동은 대천1동, 대관동은 대천2동, 대신동은 대천3동, 흥덕동은 대천4동, 현포동은 대천5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7]
2020년 6월 30일 오천면 원산도출장소가 보령시청 직할 원산도출장소로 전환되었고, 2022년 12월 31일 원산출장소로 개칭되었다.
3. 지리
보령시는 충청남도 서해안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청양군, 북쪽으로는 홍성군, 남쪽으로는 서천군, 부여군에 접하고 있으며, 서쪽에는 114.9km의 해안선이 있다.[78] 시가지를 중심으로 남·북으로는 장항선 철도와 국도 제21호선이, 동·서로는 국도 제36호선과 국도 제40호선이 각각 통과하여 서해안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대천해수욕장과 1.5km 바닷길이 열리는 무창포해수욕장이 유명하다.[78]
3. 1. 지형
보령은 황해 연안에 위치하며, 발달된 리아스식 해안을 지니고 있어 간척 사업으로 조성된 농경지가 바닷가를 따라 펼쳐져 있다.[8] 대천해수욕장과 무창포 해수욕장 등 천혜의 관광 휴양지가 있다.보령시에는 성주산, 오서산, 아미산, 옥마산 등 여러 산들이 있다.[8] 주요 섬으로는 원산도, 외연열도(외연도, 석도), 녹도 등이 있다.[7][8][9]
3. 2. 섬
보령시 영역에는 광활한 해역과 수많은 섬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가장 큰 섬은 원산도이다.[7] 다른 섬들로는 삽시도, 녹도, 외연도, 장고도, 고대도, 호도[8] 등과 여러 작은 섬들이 있다.[9]3. 3. 기후
보령시는 바다에 접해 있어 충청남도 내에서는 비교적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79] 1972년 관측 이래 최고 기온 극값은 1994년 7월 25일 37.8°C, 최저 기온 극값은 1990년 1월 26일 -17.6°C이다.[80][81][11][12][13]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 | 4.2°C | 6.2°C | 10.8°C | 16.7°C | 21.9°C | 25.7°C | 28.4°C | 29.8°C | 26.2°C | 20.7°C | 13.7°C | 6.7°C | 17.6°C |
평균 기온 (℃) | -0.2°C | 1.2°C | 5.5°C | 11.1°C | 16.5°C | 21.1°C | 24.8°C | 25.7°C | 21.2°C | 15.1°C | 8.6°C | 2.1°C | 12.7°C |
평균 최저 기온 (℃) | -4.4°C | -3.3°C | 0.4°C | 5.7°C | 11.7°C | 17.1°C | 21.9°C | 22.3°C | 16.9°C | 10.1°C | 4.1°C | -2°C | 8.4°C |
최고 기온 기록 (℃) | 17.8°C | 20°C | 22.6°C | 29.1°C | 31.6°C | 32.6°C | 37.8°C | 36.4°C | 33.6°C | 30.8°C | 25.6°C | 18.5°C | 37.8°C |
최저 기온 기록 (℃) | -17.6°C | -16.4°C | -9.6°C | -5.2°C | 2.2°C | 6.6°C | 13.8°C | 12.1°C | 4.8°C | -1.3°C | -8.1°C | -16°C | -17.6°C |
강수량 (mm) | 22.6mm | 30.2mm | 42mm | 72.7mm | 87.5mm | 134mm | 248.1mm | 270.3mm | 135.4mm | 59.9mm | 53.7mm | 35mm | 1191.4mm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8.1 | 6.4 | 7.0 | 7.5 | 8.1 | 8.6 | 13.8 | 12.1 | 7.8 | 6.0 | 8.7 | 10.8 | - |
평균 상대 습도 (%) | 69.0 | 67.3 | 67.4 | 67.4 | 72.0 | 77.4 | 83.8 | 80.8 | 76.3 | 71.6 | 69.5 | 69.2 | 72.6 |
평균 일조시간 | 160.8 | 175.8 | 217.1 | 225.9 | 237.8 | 203.7 | 162.3 | 193.8 | 203.1 | 211.5 | 165.7 | 153.5 | 2311.0 |
4. 행정 구역
보령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며, 보령시 직할로 원산출장소를 두고 있다. 보령시의 면적은 569.01 km2이며, 인구는 2012년 말을 기준으로 45,275 세대, 106,421 명이다. 인구의 대부분이 도심인 대천에 거주하고 있다.[82]
읍면동 | 한자 | 면적(km2) | 세대 | 인구(명) |
---|---|---|---|---|
웅천읍 | 熊川邑 | 62.5 | 3,469 | 7,466 |
주포면 | 周浦面 | 13.34 | 859 | 1,762 |
주교면 | 舟橋面 | 36.32 | 2,388 | 5,750 |
오천면 | 鰲川面 | 50.42 | 2,644 | 5,684 |
천북면 | 川北面 | 55.17 | 1,861 | 4,180 |
청소면 | 靑所面 | 38.45 | 1,491 | 3,194 |
청라면 | 靑蘿面 | 69.82 | 2,048 | 4,471 |
남포면 | 藍浦面 | 49.44 | 2,592 | 5,734 |
주산면 | 珠山面 | 40.93 | 1,463 | 2,989 |
미산면 | 嵋山面 | 65.53 | 1,016 | 2,096 |
성주면 | 聖住面 | 39.79 | 1,295 | 2,838 |
대천1동 | 大川洞 | 5.22 | 6,388 | 16,978 |
대천2동 | 大川洞 | 4.06 | 3,057 | 7,566 |
대천3동 | 大川洞 | 8.45 | 5,427 | 13,539 |
대천4동 | 大川洞 | 7.53 | 5,779 | 15,135 |
대천5동 | 大川洞 | 22.04 | 3,466 | 7,412 |
원산출장소 | 元山出張所 | - | 586 | 1,121 |
보령시 | 569.01 | 45,243 | 106,794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대천1동 | 대천동, 죽정동 |
대천2동 | 대천동 |
대천3동 | 화산동, 동저동 |
대천4동 | 궁촌동, 명천동 |
대천5동 | 람곡동, 여암동, 내항동, 신흑동 |
웅천읍 | 평리, 수부리, 성동리, 대창리, 대천리, 두룡리, 구룡리, 관당리, 독산리, 소황리, 황교리, 죽청리, 노천리 |
주포면 | 관산리, 마강리, 보녕리, 봉당리, 연지리 |
주교면 | 고정리, 관창리, 송학리, 신저리, 은포리, 주교리 |
청소면 | 성연리, 신송리, 야현리, 장곡리, 재정리, 정답리, 죽림리, 진죽리 |
청라면 | 라원리, 내현리, 소양리, 신산리, 옥계리, 엄현리, 의평리, 장산리, 장현리, 향천리, 황룡리 |
남포면 | 달산리, 봉덕리, 삼현리, 소송리, 신흥리, 양기리, 양항리, 옥동리, 옥서리, 월전리, 읍내리, 제석리, 창동리 |
주산면 | 금암리, 동오리, 삼곡리, 신구리, 야룡리, 유곡리, 주야리, 증산리, 창암리, 화평리, 황률리 |
미산면 | 평로리, 도화담리, 풍계리, 용수리, 늑전리, 도흥리, 봉성리, 옥현리, 은현리, 내평리, 삼계리, 대농리, 풍산리, 남심리 |
성주면 | 성주리, 개화리 |
오천면 | 소성리, 영보리, 교성리, 갈현리, 오포리, 효자도리, 원산도리, 삽시도리, 녹도리, 외연도리 |
천북면 | 궁포리, 낙동리, 사호리, 신덕리, 신죽리, 장은리, 하만리, 학성리 |
5. 교통
장항선과 서해안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장항선에는 대천역, 웅천역이 있고, 서해안고속도로에는 무창포 나들목, 대천 나들목, 광천 나들목이 있다. 대천항에서는 주변 섬과 항구를 연결하는 고속선과 카페리가 운행된다. 2021년에는 보령해저터널이 개통되었다.
성주산은 보령의 동쪽, 차령산맥에 위치한 성주산국유림(성주산 휴양림)에 있다.[19] 시내와는 버스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성주산 입구까지 운전하여 갈 수 있다. 성주산의 높이는 677m이다. 방문객 주차장에서 정상과 주변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5. 1. 철도
장항선이 남북으로 관통하며, 주요 역으로는 대천역과 웅천역이 있다. 장항선은 경부선을 통해 서울과 연결된다. 대천역은 2007년 12월 21일에 개통되어 보령 시내에 있던 기존 역을 대체했다.[10] 장항선의 주요 역은 용산(서울), 천안, 익산이다. 매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 노선을 이용하여 대천으로 이동한다. 과거에는 서천화력선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보령시를 지나는 장항선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5. 2. 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남북으로 관통하며, 무창포 나들목, 대천 나들목, 광천 나들목이 있다.[10]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지난다. 2021년 보령해저터널이 개통되었다.5. 3. 해상 교통
대천항의 대천여객터미널에서 주변 섬들과 주변 항구로 가는 고속선과 카페리가 운행되고 있다.[10] 무창포항, 오천항, 외연도항 등이 주요 항구이다.[14]5. 4. 버스
보령시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보령시외버스터미널,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10]6. 산업
1980년대까지 석탄 산업이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대 이후 광산들이 폐광되면서 경제가 침체되었다. 이후 갯벌을 활용한 관광 산업을 육성하여 보령머드축제가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보령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6조 3846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2.2%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837억원으로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조 4528억원으로 22.8%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4조 5482억원으로 71.2%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화력발전소가 입지해 있어 특히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33.3%)과 건설업(5.7%), 공공행정(5.5%)과 운수업(4.8%)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85]
2014년 보령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33,597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4.1%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32명으로 1%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144명으로 15.3%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8,121명으로 83.7%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6.2%), 도소매업(15.5%),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 건설업(7.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86]
한국중부발전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한국중부발전보령발전본부가 오천면에 위치해 있다. 보령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이 계획되어 있으며, 한국중부발전이 소유주이고 한화건설이 개발업체이다. 계획된 비용은 2000억원이며, 예상 발전량은 1.0 GW, 5년간의 예상 경제적 효과는 1조원, 7,5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이 계획되어 있다.
2023년 9월 기준, 어업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는 이유로 지역 어민들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국방부 또한 군사용 전파, 미사일 사격 훈련, 해상 감시 레이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러한 반대로 인해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다.[41]
2024년 기준, 한국 서해안에는 다른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도 계획되어 있다. 태안(1.96 GW, 14.9조원), 보령 1.0 GW(6조원), 보령 녹도 320 MW(2조원), 인천 2.5 GW, 전북 2.5 GW. 이러한 계획된 풍력발전단지들은 총 발전량 8.28 GW에 달하며, 총 비용은 50조원이 넘는다.[41]
6. 1. 농업
남포 지역의 포도는 달콤한 맛으로 유명하다. 미산(보령 남동쪽 약 20km}) 주변에서는 양념한 갯쑥부쟁이(`Doellingeria scabra`)를 포함한 여러 가지 식용 채소가 생산된다. 성주산의 숲에서 자라는 단풍나무(Acer pictum subsp. mono)는 수액을 제공한다. 주산의 숭동리는 딸기로, 충소는 밤나무로, 주포는 햇볕에 말린 소금으로 유명하다.[39] 성주산 국립자연휴양림 근처 폐광에서는 버섯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37]6. 2. 어업
빠른 서구화에도 불구하고 보령의 공설시장에서는 여전히 해산물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다. 생산품 판매상인 대부분은 노년층이다. 결과적으로 보령에서는 옛것과 새로운 것이 충돌하여, 21세기 한국을 묘사하는 정부의 표현인 "역동적인 한국"의 한 예가 되었다.[1] 신선한 농산물과 해산물 판매상 대부분은 가게를 갖고 있지 않고 다른 사업체 앞 보도에 노점을 설치한다.[1] 목요일은 공설시장이 열리는 날이다.[1]7. 교육 기관
구분 | 학교 |
---|---|
사립전문대학 | 아주자동차대학교 |
구분 | 학교 |
고등학교 | 대천고등학교, 대천여자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웅천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
구분 | 학교 |
중학교 | 남포중학교, 대명중학교, 대천서중학교, 대천여자중학교, 대천중학교, 미산중학교, 보령중학교, 웅천중학교, 원의중학교, 주산중학교, 천북중학교, 청라중학교, 한내여자중학교 |
구분 | 학교 |
특수학교 | 보령정심학교 |
보령의 공립학교는 충청남도교육청에서 운영한다.
8. 문화·관광
- 대천해수욕장: 백사장의 길이가 3.5km, 폭 100m에 달하는 대형 해수욕장이며, 백사장 남쪽에 기암괴석이 잘 발달되어 있다.
- 무창포해수욕장
- 삽시도: 대천항에서 13km쯤 떨어진 섬으로, 충청남도에서 안면도, 원산도 다음으로 크다. 섬의 면적은 3.78km2, 해안선 길이는 11km이다. 섬 이름은 화살을 꽂아놓은 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졌다. 밤섬해수욕장은 삽시도에서 가장 큰 백사장을 갖고 있으며, 해송 숲과 양쪽 끝 암석지대, 앞에 솟아 있는 불모도가 어우러져 있다. 2008년 "휴양하기 좋은 섬 Best 30"에 선정되었다.[83][84]
8. 1. 관광지
대천해수욕장은 백사장의 길이가 3.5km, 폭 100m에 달하는 대형 해수욕장이며, 백사장 남쪽에 기암괴석이 잘 발달되어 있다. 수도권과 비교적 가까워 여름철에 많은 인파를 끌어들이며, 1998년부터 매년 7월 중순에 보령머드축제가 열린다.[8] 대천해수욕장은 보령에서 약 3km 떨어져 있으며(출발점이나 목적지에 따라 최대 12km까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시내버스 노선으로 보령과 연결되어 있다.
무창포해수욕장
삽시도는 충청남도에서 안면도, 원산도 다음으로 큰 섬이다. 삽시도는 섬이 화살을 꽂아놓은 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천항에서 13km쯤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3.78km2, 해안선의 길이는 11km밖에 되지 않는다. 밤섬해수욕장은 삽시도에서 가장 큰 백사장을 갖고 있으며, 해송 숲과 양쪽 끝에 있는 암석지대, 바로 앞에 솟아 있는 불모도가 어우러져 있다. 2008년에 행정안전부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으로 선정한 "2008 휴양하기 좋은 섬 Best 30"에 선정되었다.[83][84]
이 지역에는 서동사(Seodoksa), 무량사(Muryangsa), 고란사(Goransa) 등의 한국 사찰이 있다. 고란사는 백제 왕조의 중심지로 유명한 지역의 한강 근처 가파른 언덕 아래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곳이다. 고란사는 부여군 시에서 자동차나 버스로 갈 수 있다. 무량사 또한 자동차나 버스로 갈 수 있다. 서동사는 자동차, 버스 또는 기차로 갈 수 있다.[8]
다른 주목할 만한 곳으로는 보령 성주사지, 오천 충청수영성, 보령성과 성문, 남포 관아문, 외연도 상록수림, 무궁화 수목원, 보령박물관, 청소역, 갈마못 성당이 있다.[8]
문화재 |
---|
보령 충청수영성 |
보령 충청수영 진휼청 |
보령 충청수영 장교청 |
보령 성주사지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보령 최고운 유적 |
보령 김좌진 장군 묘 |
보령 이지함 선생 묘 |
보령 신경섭 가옥 |
보령 편무성가옥 |
보령 백운사 부도 |
보령 영식필 산신도 백운사본 |
보령 죽청리 고인돌 |
보령 화암서원 |
보령 용암명당 |
보령 집성당 |
보령 광성대원군 사우 |
보령 수현사 |
보령 남포읍성 |
보령 남포향교 |
보령 보령향교 |
보령 성곽 |
보령 관아문 |
보령 경찰서 망루 |
보령 단원사 |
보령 수비리 귀부 및 이수 |
보령 맨삽지 |
보령 정려각 |
8. 2. 축제
보령머드축제는 1998년 7월부터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보령머드의 우수성을 알리고 대천해수욕장을 포함한 지역 관광명소를 홍보하기 위해 개최하는 축제이다.[83][84] 대천해수욕장은 여름철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보령시에서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보령머드축제 외에도 여러 축제가 열린다.
- '''천북 굴 축제''': 12월 중순 천북면 장은리(보령에서 북쪽으로 약 26km)에서 개최된다.[22][23]
- '''무창포 신비의 바닷길 축제''': 8월 중순 보름달이 뜨는 날과 말일에 무창포해수욕장과 석대도 사이 약 1.5km의 바닷길이 열리는 무창포 해수욕장(광당리[24] 소재, 대천항에서 남쪽으로 12km)[25]에서 개최된다.
- '''무창포 대하, 전어 축제''': 9월 중순~10월 초 무창포항(무창포 해수욕장 바로 북쪽)에서 열리며, 밴댕이(''Konosirus punctatus'')가 가장 살이 찌고 맛있는 시기에 개최된다.[26]
- '''쭈꾸미, 도다리축제''': 3월 중순~4월 초 무창포항에서 열리며, 주꾸미를 중심으로 개최된다.[27]
- '''성주산 단풍 축제''': 성주면 먹방계곡길(먹방계곡 일방통행로[28])에서 열리며, 그림 그리기 대회, 품바 공연, 청소년 트로트 축제, 경품 추첨 및 불꽃놀이가 포함된다.[29]
- '''주산벗꽃축제''': 4월 주산면 주산벚꽃길("로"는 2~7차선 도로를 의미)[30] (보령에서 남쪽으로 약 20km)[31]에서 열린다.
- '''대천항 수산물 축제'''
- '''보령 김 축제'''
- '''대천겨울바다사랑축제''': 12월 대천해수욕장에서 열리며, 야간에는 조명과 한국 전통 등불, 불꽃놀이 등이 포함된다.[32]
9. 행정 기관
10. 자매 도시
11. 출신 인물
- 이지함: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토정비결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 이문구: 소설가. "우리 동네 김씨" 등 농촌 현실을 그린 작품으로 유명하다.[1]
- 윤복희: 가수 겸 뮤지컬 배우.[2]
- 김성동: 작가.[3]
- 최시한: 작가, 한국문학 연구자, 교육자.[4]
- 오덕교: 한국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인.[5]
- 이선희: 가수 겸 작곡가.[6]
- 남기원: 패럴림픽 탁구 선수이자 메달리스트.[7]
- 박장순: 자유형 레슬링 선수, 세계 챔피언이자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8]
- 남희석: 코미디언 및 사회자. 더불어민주당 당원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발언도 활발히 하고 있다.[9]
- 김태호: 텔레비전 감독. 무한도전을 연출하여 국민 예능 PD로 불린다.[10]
- 이대형: 야구 선수.[11]
- 전태수: 배우.[12]
- 박솔희: 작가.[13]
- 이소니: 가수. 독특한 음색과 창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이다형: 프로야구 선수 (KT 위즈 소속). 꾸준한 활약으로 팀의 중심 타자로 자리매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Mud madness: Getting dirty in South Korea
http://investvine.co[...]
2013-07-26
[3]
웹사이트
History
http://boryeong.chun[...]
Boryeong City government website
2006-01-08
[4]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brcn.go.[...]
Boryeong government website
2024-10-03
[5]
지도
Boryeong to Seoul, itinenary
https://www.openstre[...]
[6]
웹사이트
Boryeong, administrative district
https://www.brcn.go.[...]
2024-10-03
[7]
지도
Boryeong territory
https://www.openstre[...]
[8]
웹사이트
Site map
https://www.brcn.go.[...]
2024-10-03
[9]
지도
Islands near Boryeong
https://www.google.c[...]
[10]
지도
Boryeong to Mokpo, itinenary
https://www.openstre[...]
[1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14]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Navy 3rd Fleet, Daecheun Port
https://www.brcn.go.[...]
2024-10-03
[15]
웹사이트
Wonsando Island
https://www.brcn.go.[...]
2024-10-03
[16]
웹사이트
''Macrophthalmus laevis'' A. Milne-Edwards, 1867
https://www.gbif.org[...]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24-10-03
[17]
지도
Daecheon port to Hodo Island itinerary
https://www.openstre[...]
[18]
웹사이트
Hodo Island
https://www.brcn.go.[...]
2024-10-03
[19]
웹사이트
Seongjusan Recreational Forest
https://www.brcn.go.[...]
2024-10-03
[20]
웹사이트
Haksongri Dinosaur Track site
https://www.brcn.go.[...]
2024-10-03
[21]
지도
Daecheon Port to Hakseong-ri itinerary
https://www.openstre[...]
[22]
웹사이트
Cheonbuk Oyster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23]
지도
Daecheon Port to Jangeun-ri itinenery
https://www.openstre[...]
[24]
웹사이트
Muchangpo Mystic Sea Road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25]
지도
Daecheon port to Muchangpo Beach itinerary
https://www.openstre[...]
[26]
웹사이트
Muchangpo Shrimp & Gizzard Shad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27]
웹사이트
Muchangpo Jukkumi and Dodari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28]
웹사이트
Korean address – General format and how to write one" > ""Road" in Korean
https://www.90daykor[...]
2024-10-03
[29]
웹사이트
Seongjusan Autumn Leaves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30]
웹사이트
Jusan Spring Flower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31]
지도
Jusan-myeon (2407539758)
https://www.openstre[...]
[32]
웹사이트
Daecheon Winter Sea Love Festival
https://www.brcn.go.[...]
2024-10-03
[33]
논문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molite Asbestos Occurred in Boryeong area, Chungnam, South Korea
https://ui.adsabs.ha[...]
2024-10-03
[34]
웹사이트
[Mission] Discover the Vibrant Charms of Korean Summer: Boryeong Mud Festival (보령머드축제)
https://honoraryrepo[...]
2024-10-03
[35]
웹사이트
Coal mining museum
https://www.brcn.go.[...]
2024-10-03
[36]
웹사이트
From Abandoned Mines to Aquatic Adventures: Boryeong's Unique Water Park
http://koreabizwire.[...]
Korea Bizwire
2024-10-03
[37]
웹사이트
Boryeong Spring Cool Tunnel & Rest Area (보령 냉풍욕장)
https://www.ktriptip[...]
2024-10-03
[38]
business directory
Nonmetallic Mineral Mining and Quarrying Companies in Boryeong, Chungnam, Korea (South)
https://www.dnb.com/[...]
Dun & Bradstreet
2024-10-03
[39]
웹사이트
Agricultural Product
https://www.brcn.go.[...]
2024-10-03
[40]
웹사이트
Boryeong wind farm
https://www.gem.wiki[...]
Global energy monitor wiki
2024-10-03
[41]
웹사이트
Boryeong Offshore wind farm
https://www.4coffsho[...]
2024-10-03
[42]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brcn.go.[...]
Boryeong government site
2021-05-08
[4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44]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보령(23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4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보령(23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46]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 남양주시 등 33개 도농복합형태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994-08-03
[47]
조례
시조례 제138호
[48]
조례
시조례 제322호
[49]
조례
시조례 제368호
[5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1]
법령
도고시 제43호
1917-09-20
[52]
법률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53]
조례
군조례 제198호
[54]
조례
군조례 제212호
[55]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설치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1983-01-10
[56]
조례
군조례 제805호
[57]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 등 11개시 설치와 군관할구역의 조정 및 금성시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85-12-28
[58]
법령
대통령령 제11874호
[59]
조례
군조례 제1134호
[60]
조례
군조례 제1350호
[61]
웹인용
2024년 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2]
웹페이지
寧의 발음
[6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4]
법령
도고시 제43호
1917-09-20
[65]
법률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66]
조례
군조례 제198호
[67]
조례
군조례 제212호
[68]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설치 등에 관한 규정 제4조
1983-01-10
[69]
조례
군조례 제805호
[70]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 등 11개시 설치와 군관할구역의 조정 및 금성시 명칭 변경에 관한 법률
1985-12-28
[71]
법령
대통령령 제11874호
[72]
법령
군조례 제1134호
[73]
법령
군조례 제1350호
[74]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75]
법령
시조례 제138호
[76]
법령
시조례 제322호
[77]
법령
시조례 제368호
[78]
간행물
보령시 통계연보 2010
2011-08-25
[79]
기타
[8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보령(23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8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보령(23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82]
웹사이트
보령군의 월별 인구 현황
http://www.boryeong.[...]
2011-08-25
[83]
뉴스
<이번 여름 가볼만한 섬>테마② 바다체험-보령 삽시도, 완도 소안도, 신안 가거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08-07-12
[84]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85]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86]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87]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