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랑 아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랑 아살은 말레이어로 "원주민" 또는 "원래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말레이시아의 원주민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오랑 아살을 부미푸트라로 간주하여 특권을 부여하지만,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2등 부미푸트라"로 여겨지며, 토지 문제, 불법 벌목, 이민 문제, 종교적 동화 압력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오랑 아살은 반도 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슬리와 동말레이시아의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며, 각기 다른 언어, 종교, 관습,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민족 - 말레이시아인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인구와 이민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말레이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이슬람교를 국교로 한다.
  • 말레이시아의 민족 - 오랑 아슬리
    오랑 아슬리는 말레이시아 반도의 원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세망, 세노이, 원말레이 세 그룹으로 나뉘지만, 빈곤과 차별, 토지 소유권 문제 등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랑 아살

2. 어원

"오랑 아살"은 말레이어로 "원주민"[1] 또는 "원래의 사람들"을 의미한다.[11] 이 용어는 원래 말라야 비상사태(1948-1960) 당시 공산주의 반군이 원주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사용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12]

3. 현황과 문제점

정부는 대부분의 오랑 아살을 부미푸트라로 간주하고 특정 특권을 부여한다. 그러나 그들의 사회는 여전히 소외되어 있으며, 말레이인과는 대조적으로 "2등 부미푸트라"로 낙인 찍혀 있다.[3][13] 현재 진행 중인 문제는 토지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종 개발 목적으로 사용된다.[1][14] 이로 인해 소송 사건,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분열을 포함한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5] 또한, 오랑 아살의 전통적인 토지로 간주되는 곳에서 종종 불법 벌목이 발생한다.[4][15] 이민과 관련해서도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민자들에게 오랑 아살보다 먼저 신분증이 발급되는 경우가 많다.[3][16] 또한, 많은 사람들이 주류 문화에 동화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다.[5][16] 오랑 아살은 개발에 따라 종종 이주되는데, 사라왁의 미완성된 바쿤 댐은 11,000명을 이주하도록 강요했다.[6][17]

3. 1. 법적 지위와 사회적 차별

오랑 아살은 말레이시아 헌법에 따라 부미푸트라로 인정되어 특정한 특권을 부여받는다.[3][13] 그러나 현실에서는 말레이인과는 달리 "2등 부미푸트라"로 여겨지는 등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3][13]

토지 문제는 오랑 아살이 직면한 주요 문제 중 하나로, 이들의 전통적인 토지가 개발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14] 이는 소송,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5] 오랑 아살의 전통적인 토지에서 불법 벌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4][15] 이민자들에게 오랑 아살보다 먼저 신분증이 발급되는 경우도 있어 이민 문제도 제기된다.[3][16]

많은 오랑 아살 사람들이 주류 문화에 동화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으며,[5][16] 개발로 인해 강제 이주되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사라왁의 미완성된 바쿤 댐 건설로 인해 11,000명의 오랑 아살이 이주해야 했다.[6][17]

3. 2. 토지 소유권 분쟁

오랑 아살의 전통적인 토지는 종종 개발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 이로 인해 소송 사건,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분열 등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5] 오랑 아살의 토지에서 불법 벌목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4]

정부는 대부분의 오랑 아살을 부미푸트라로 간주하고 특정 특권을 부여하지만, 그들의 사회는 여전히 소외되어 말레이인과는 대조적으로 "2등 부미푸트라"로 낙인 찍혀 있다.[3] 이민과 관련해서도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민자들에게 오랑 아살보다 먼저 신분증이 발급되는 경우가 많다.[3] 또한, 많은 사람들이 주류 문화에 동화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다.[5] 개발에 따라 오랑 아살은 종종 이주되는데, 사라왁의 미완성된 바쿤 댐은 11,000명을 이주하도록 강요했다.[6]

3. 3. 강제 이주와 문화적 동화 압력

오랑 아살은 말레이시아 헌법에 명시된 부미푸트라로 간주되어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이들의 사회는 여전히 소외되어 있으며, 말레이인과는 대조적으로 "2등 부미푸트라"로 낙인 찍혀 있다.[3][13]

이들의 토지는 종종 개발 목적으로 사용되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14] 이는 소송 사건,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분열로 이어졌으며, 오랑 아살의 전통적인 토지에서 불법 벌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4][5][15] 바쿤 댐 건설로 11,000명이 강제 이주되기도 했다.[6][17]

이민과 관련해서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민자들에게 오랑 아살보다 먼저 신분증이 발급되는 경우가 많다.[3][16] 또한, 많은 사람들이 주류 문화에 동화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다.[5][16]

4. 하위 집단

이반 롱하우스는 현대적인 재료로 건설됨


오랑 아살은 말레이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인구의 11%[7], 약 210만 명을 차지한다. 오랑 아살은 반도 말레이시아와 동말레이시아 양쪽의 모든 원주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1]

반도 말레이시아의 원주민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오랑 아슬리라고 불린다. 그 수는 약 14만 9500명[20]으로, 말레이시아 전체 인구의 0.7%에 불과하다. 정식으로는, 네그리토, 세노이, 프로토말레이 중 하나로 분류되는 19개의 민족적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9]

다소 수치에 변동이 있지만, 동말레이시아에는 사바주에 약 39개, 사라왁주에 약 25개, 총 64개 정도의 원주민 그룹이 있다.[3] 오랑 아살은 사바주 인구의 60%, 사라왁주 인구의 50%를 차지한다. 사바주의 원주민은 매우 다양하며, 50개 이상의 언어와 80개 이상의 방언을 사용한다.[9] 사라왁주에서 가장 큰 그룹은 이반족이다.[8]

4. 1. 오랑 아슬리 (반도 말레이시아)

반도 말레이시아에 거주하는 오랑 아살은 오랑 아슬리로 불린다.[1][19] 오랑 아슬리는 약 149,500명으로,[1][20] 말레이시아 전체 인구의 0.7%를 차지한다.[1] 이들은 네그리토, 세노이, 프로토말레이 등 19개의 하위 민족 집단으로 분류된다.[9][21]

4. 2. 동말레이시아의 원주민

동말레이시아(보르네오 섬)에는 총 64개 정도의 원주민 집단이 있으며, 그 중 약 39개는 사바에, 25개는 사라왁에 있다.[3] 오랑 아살은 사바 주 인구의 60%, 사라왁 주 인구의 50%를 차지한다.[9][22] 사바 주에는 50개 이상의 언어와 80개 이상의 방언이 사용될 정도로 다양한 원주민 집단이 존재한다.[9][23] 사라왁 주에서 가장 큰 원주민 집단은 이반족이다.[8][24]

5. 문화

불을 지피는 오랑 아슬리


오랑 아살은 고유한 종교와 관습뿐만 아니라 독특한 언어를 가지고 있다.[1][25] 사용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 말레이 반도의 언어는 네그리토어, 세노이어, 말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시 약 18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그러나 부족의 아이들이 말레이어영어를 배우면서 이러한 언어들은 모두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1][26] 동말레이시아의 주요 언어는 카다잔-두순어와 이반어이며, 이 두 언어는 많은 원주민 집단에서 사용된다. 말레이 반도의 토착 언어와 달리, 이 언어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된다.[8][26]

말레이 반도에서는 각 하위 그룹이 문화적으로 서로 다르며, 생활 방식은 어부에서 농부, 수렵 채집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현대 생활의 침투로 인해 정착했지만, 일부는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한다.[9][27]

사바의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자급자족 농부였지만, 요즘에는 지방 정부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9][28] 사라왁의 많은 오랑 아살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사냥으로 식사를 보충한다. 일부는 또한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한다.[9][28] 동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살은 나무 가면과 같은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10][29]

5. 1. 언어

오랑 아살은 고유한 종교와 관습뿐만 아니라 독특한 언어를 가지고 있다.[1][25] 사용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 말레이 반도의 언어는 네그리토어, 세노이어, 말레이어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다시 약 18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1] 그러나 부족의 아이들이 학교에서 말레이어영어를 배우면서 이러한 언어들은 모두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1][26] 동말레이시아의 주요 언어는 카다잔-두순어와 이반어이며, 이 두 언어는 많은 원주민 집단에서 사용된다. 말레이 반도의 토착 언어와 달리, 이 언어들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된다.[8][26]

5. 2. 종교와 관습

오랑 아살은 각 집단마다 고유한 종교와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전통 신앙은 정령 숭배, 조상 숭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25] 그러나 외부와의 접촉, 특히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전통 신앙이 쇠퇴하고 개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말레이 반도에서는 각 하위 그룹이 문화적으로 서로 다르며, 생활 방식은 어부에서 농부, 수렵 채집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9][27] 비록 많은 사람들이 현대 생활에 적응하여 정착했지만, 일부는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유지하고 있다.[9][27]

사바의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자급자족 농부였지만, 요즘에는 지방 정부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다.[9][28] 사라왁의 많은 오랑 아살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사냥으로 식사를 보충한다.[9][28] 일부는 또한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한다.[9][28] 동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살은 나무 가면과 같은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10][29]

5. 3. 생활 방식



말레이 반도에서 오랑 아살 하위 그룹은 문화적으로 서로 다르며, 어업, 농업, 수렵 채집 등 다양한 생활 방식을 보인다.[9][27] 현대 문명의 영향으로 많은 이들이 정착 생활을 하지만, 일부는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유지한다.[9][27]

사바 주의 오랑 아살은 전통적으로 자급자족 농업에 종사해왔으나, 최근에는 지방 정부에 참여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9][28] 사라왁 주의 오랑 아살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사냥을 통해 식량을 보충한다.[9][28] 일부는 여전히 반유목 생활을 한다.[9][28] 동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살은 나무 가면과 같은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10][29]

5. 4. 예술

동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살은 나무 가면과 같은 예술 작품으로 유명하다.[10][29]

참조

[1]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2] 서적 Tribal communities in the Malay world: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3] 웹사이트 Malaysia: Land, autonomy and empowerment for the Orang Asal http://www.indigenou[...] Indigenousportal.com 2010-09-24
[4] 웹사이트 Lawyers want S'wak to remove entry ban on Suhakam official http://thestar.com.m[...] Thestar.com.my 2010-11-04
[5] 서적 The Indigenous World 2009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 Work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09-04
[6] 서적 Malaysia, Singapore and Brunei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7] 웹사이트 Malaysia https://www.cia.gov/[...] Cia.gov 2010-11-23
[8] 웹사이트 National Identity and Minority Languages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0-11-29
[9]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Malaysia http://www.iwgia.org[...]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10-11-30
[10]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and Brunei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1]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12] 서적 Tribal communities in the Malay world: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13] 웹사이트 Malaysia: Land, autonomy and empowerment for the Orang Asal http://www.indigenou[...] Indigenousportal.com 2010-09-24
[14]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15] 웹사이트 Lawyers want S'wak to remove entry ban on Suhakam official http://thestar.com.m[...] Thestar.com.my 2010-11-04
[16] 서적 The Indigenous World 2009 https://books.google[...] The International Work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09-04
[17] 서적 Malaysia, Singapore and Brunei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18] 웹사이트 Malaysia https://www.cia.gov/[...] Cia.gov 2010-11-23
[19]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20]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21]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Malaysia http://www.iwgia.org[...]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10-11-30
[22] 웹사이트 Malaysia: Land, autonomy and empowerment for the Orang Asal http://www.indigenou[...] Indigenousportal.com 2010-09-24
[23]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Malaysia http://www.iwgia.org[...]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10-11-30
[24] 웹사이트 National Identity and Minority Languages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0-11-29
[25] 웹사이트 Crafting Culture: The Orang Asal of Malaysia http://www.wildasia.[...] Wild Asia 2006-03-13
[26] 웹사이트 National Identity and Minority Languages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0-11-29
[27]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Malaysia http://www.iwgia.org[...]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10-11-30
[28]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Malaysia http://www.iwgia.org[...] International Work Group for Indigenous Affairs 2010-11-30
[29]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and Brunei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