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하였다. 한국 천주교회사와 관련된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며,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한국천주교회사 전시관, 김인순 누갈다 전시관 등이 있으며, 다양한 특별전과 유물 대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설립된 박물관 - 그레이스랜드
그레이스랜드는 엘비스 프레슬리가 거주했던 테네시주 멤피스 소재의 저택으로, 현재는 그의 유품 전시와 묘소가 있는 박물관이자 관광 명소로서 미국 대중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 1982년 설립된 박물관 -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박물관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박물관은 퇴역 항공모함 인트레피드를 활용하여 1982년 뉴욕에 개관했으며, 항공기, 우주선, 잠수함 등 다양한 해양 및 항공 관련 전시물을 보유하고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 기독교 박물관 - 바티칸 박물관
바티칸 박물관은 16세기 초 율리우스 2세의 고대 조각 컬렉션에서 시작되어 회화관, 조각 미술관, 그레고리오 에트루스코 미술관, 그레고리오 이집트 미술관 등 다양한 미술관과 라파엘로의 방, 시스티나 예배당 등 교황 궁전 내 갤러리 및 예배당을 포함하는 교황청 소장 예술품과 역사 유물 박물관 단지로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광야의 성 제롬',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와 '최후의 심판' 등 세계적인 명작을 소장하고 매년 수백만 명이 방문한다. - 기독교 박물관 - 평강 성서 유물박물관
평강 성서 유물박물관은 1998년에 설립되어 성경 관련 유물을 전시하며, '아브라함 박 케네스 바인 컬렉션'에서 시작하여 고대 사본, 지도, 고고학 유물 등 다양한 유물을 통해 성경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천주교 부산교구 - 대양고등학교
부산에 위치한 대양고등학교는 1946년 개교하여 교명 변경을 거쳐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전기전자과, IT네트워크과, E스포츠과를 운영하고 강기윤, 강민국, 김두관 등 다수의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 천주교 부산교구 -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는 부산광역시 부곡동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963년 메리놀수녀병원 부속간호학교에서 시작하여 1999년 부산가톨릭대학과 통합되었으며,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대학구조개혁평가 A등급을 획득하는 등 대학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
| 유형 | 공립 박물관 |
| 소장 유물 | 교회 유물 500여 점, 민속품 1,200여 점, 보조 자료(성화, 지본, 사진류 등) |
| 국가 | 대한민국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대로 106-1 |
| 개관일 | 1982년 9월 25일 |
| 홈페이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
| 언어 정보 | |
| 영어 | Oryundae Korean Martyrs Museum |
2. 연혁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내용 |
|---|---|
| 1985년 | 103위 한국순교성인 시성 기념물, 안중근 도마, 일본에서 순교한 한국 순교자 전시 코너 개설 |
| 1988년 | 88올림픽 기념 국립박물관 특별전에 민속품 16점 출품, 성체성년 기념 제구 및 제의 등 전례 코너 개설 |
| 1989년 | 농기구장 전시실, 옛날 항아리와 장독대, 김인순(누갈다) 기증 민속품 전시실, 신정희 도자기 전시 코너 개설 |
| 1992년 | 미국 뉴욕 IBM 갤러리 전시를 위해 민속품 10점 국립중앙박물관에 대여 |
| 1994년 | 다산정 건축 |
| 1996년 |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50주년 및 최양업 신부 탄생 175주년 기념비, 최양업 신부 동상 건립 |
| 1997년 | 개관 15주년 행사, 제주교구 100주년 행사에 성 김대건·최양업 신부 일대기 순교화 및 형구 전시회 개최 |
| 2000년 | 대희년 기념비 제막, 현대 순교자 김선영 신부·조선족 유물 전시 코너, 성 김대건·최양업 신부 특별전시실 개설 |
| 2001년 | 미국 뉴저지에서 순교자 현양 전시회 개최 |
| 2003년 | 이문근 신부 관련 자료 전시, 동정부부 순교자 이 누갈다·유 요한 성화전 개최 |
| 2004년 | "초대 교회의 증거자와 순교자" 성화전 개최 |
| 2005년 | 성 김대건 신부 일대기 성화전 개최 |
| 2006년 |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60주년 기념 한국 순교자들의 성화전 개최 |
| 2007년 | 박해기 조선 교우 서한 10점, 1791~1801년 순교자 성화전(24점), 부산교구 시복시성 신청자 3명 성화전 개최 |
| 2008년 | 시성시복을 기다리는 순교자들, 박해기 조선 교우 서한 전시 |
| 2009년 | 경상남도 박물관 미술관 연합전시 및 한국 순교자 시성 25주년 기념 성화전 개최, 기획재정부 복권기금 지원사업 연합전 참여 |
| 2010년 | 성모성월 특별전, 안중근 토마스 순국 100주년 기념 특별전, 초대 작가전 등 다양한 전시회 개최, 경운박물관에 궁중 유물 3점 대여 |
| 2011년 | 국립민속박물관에 관모 5점을 대여하고, 성모성월 특별전과 최양업 신부 선종 150주년 기념 특별전을 개최, 중요무형문화재 제22호 매듭장 김희진 선생으로부터 가마 장식 매듭 일습 기증 |
| 2012년 | 박물관 개관 30주년을 기념하여 초대 작가전과 기증 유물 특별전을 개최 |
| 2013년 | 울산대곡박물관과 국립고궁박물관에 유물을 대여하고, 의왕 원유관 국가문화재 지정 기념 특별전에 참여 |
2. 1. 설립 초기 (1946년 ~ 1982년)
한국 순교 복자수녀회는 한국 첫 가톨릭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순교(1846년)한 지 100주년이 되던 해(1946년)에 '복음 선포와 순교자 현양'을 목적으로 창립된 수도회이다.[1]교회 문화 유산을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마펠 윤병현(안드레아) 수녀와 쁘로마뗄 홍은순(라우렌시오) 수녀가 한국순교자기념관 건립을 계획했다.[1] 이들은 서울 절두산순교기념관이 건립되자, 지방 교우들을 위해 제2의 도시 부산에 기념관 건립 계획을 세웠다.[1] 당시 가톨릭 부산교구 교구장이었던 최재선(요한) 주교의 협조로 1969년 6월 13일 오륜대 수도원을 설립했고,[1] 1982년 9월 25일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을 개관했다.[1] 2009년 3월 2일에는 한국순교자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1]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설립 초기와 관련된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내용 |
|---|---|
| 1969년 6월 13일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 (부산 순교자 100주년 기념), 오륜대 분원 ‘겨자당’ 축성식 |
| 1973년 3월 12일 | ‘대건당’ 건축 기공식 |
| 1974년 3월 13일 | 공동창립자 마뗄 윤병현 · 쁘로마뗄 홍은순 수녀 오륜대 분원에 정주 |
| 1975년 8월 2일 | 순교자 성당 제대 뒷벽에 한국 순교성인 유해 26위 안치 |
| 1976년 9월 30일 |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 기공식 |
| 1977년 7월 20일 | 순교자 성당 축성식 |
| 1977년 9월 19일 | 명장동에 있던 부산 순교자 묘소 이장 (1868년 6월 수영장대 8위 순교자 : 이정식 요한, 이삼근 베드로, 이관복 프란치스코, 박조이 마리아, 양재현 마르티노, 차장득 프란치스코, 이월주 프란치스코, 옥소사 바르바라) |
| 1977년 9월 1일 ~ 30일 | 골조만 세워진 기둥에 성 김대건 신부 일대기 성화 사진 전시 |
| 1981년 2월 14일 |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 완공 |
| 1981년 10월 5일 |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 축성식. 척화비 복제, 라파엘호 모형 제작, 십자가의 길, 묵주기도의 길, 성모동굴 조성 |
| 1982년 9월 25일 |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 개관식(1·2층 한국천주교회사 전시실, 3층 민속품 전시실) |
2. 2. 발전 및 확장 (1983년 ~ 2009년)
1983년부터 2009년까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여러 발전과 확장을 거듭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85년: 103위 한국순교성인 시성 기념물, 안중근 도마, 일본에서 순교한 한국 순교자 전시 코너 개설.[1]
- 1988년: 88올림픽 기념 국립박물관 특별전에 민속품 16점 출품, 성체성년 기념 제구 및 제의 등 전례 코너 개설.[1]
- 1989년: 농기구장 전시실, 옛날 항아리와 장독대, 김인순(누갈다) 기증 민속품 전시실, 신정희 도자기 전시 코너 개설.[1]
- 1992년: 미국 뉴욕 IBM 갤러리 전시를 위해 민속품 10점 국립중앙박물관에 대여.[1]
- 1994년: 다산정 건축.[1]
- 1996년: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50주년 및 최양업 신부 탄생 175주년 기념비, 최양업 신부 동상 건립.[1]
- 1997년: 개관 15주년 행사, 제주교구 100주년 행사에 성 김대건·최양업 신부 일대기 순교화 및 형구 전시회 개최.[1]
- 2000년: 대희년 기념비 제막, 현대 순교자 김선영 신부·조선족 유물 전시 코너, 성 김대건·최양업 신부 특별전시실 개설.[1]
- 2001년: 미국 뉴저지에서 순교자 현양 전시회 개최.[1]
- 2003년: 이문근 신부 관련 자료 전시, 동정부부 순교자 이 누갈다·유 요한 성화전 개최.[1]
- 2004년: "초대 교회의 증거자와 순교자" 성화전 개최.[1]
- 2005년: 성 김대건 신부 일대기 성화전 개최.[1]
- 2006년: 성 김대건 신부 순교 160주년 기념 한국 순교자들의 성화전 개최.[1]
- 2007년: 박해기 조선 교우 서한 10점, 1791~1801년 순교자 성화전(24점), 부산교구 시복시성 신청자 3명 성화전 개최.[1]
- 2008년: 시성시복을 기다리는 순교자들, 박해기 조선 교우 서한 전시.[1]
- 2009년: 부산시에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으로 박물관 등록, 경상남도 박물관 미술관 연합전시 및 한국 순교자 시성 25주년 기념 성화전 개최, 기획재정부 복권기금 지원사업 연합전 참여.[1]
2. 3. 박물관 등록 이후 (2009년 ~ 현재)
2009년 3월 2일, 부산광역시에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1] 이후, 경상남도 박물관 및 미술관 연합 전시회에 참여하고, 한국 순교자 시성 25주년 기념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1]2010년에는 성모성월 특별전, 안중근 토마스 순국 100주년 기념 특별전, 초대 작가전 등 다양한 전시회를 개최하였다.[1] 또한, 경운박물관에 궁중 유물 3점을 대여하기도 하였다.[1]
2011년에는 국립민속박물관에 관모 5점을 대여하고, 성모성월 특별전과 최양업 신부 선종 150주년 기념 특별전을 개최하였다.[1] 중요무형문화재 제22호 매듭장 김희진 선생으로부터 가마 장식 매듭 일습을 기증받기도 하였다.[1]
2012년에는 박물관 개관 30주년을 기념하여 초대 작가전과 기증 유물 특별전을 개최하였다.[1]
2013년에는 울산대곡박물관과 국립고궁박물관에 유물을 대여하고, '의왕 원유관' 국가문화재 지정 기념 특별전에 참여하였다.[1]
3. 주요 시설
| 층수 | 주요 시설 |
|---|---|
| 3층 | 김인순 누갈다 전시관, 도예작품 전시관, 대희년 특별 전시실 |
| 2층 | 한국교회사 전시관, 궁중유물전시관, 오륜당, 성모성년특별전시실, 기념자료전시관 |
| 1층 | 한국천주교회사 전시관, 형구 전시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조선 말기 한국 순교자들의 교회 유물 500여 점, 민속품 1,200여 점과 성화, 지본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수녀들에 의해 수집, 전시 보존되고 있다.[1]
박물관 경내에는 한국순교성인들의 유해를 모신 순교자성당과 1868년 수영 장대에서 순교한 부산 동래 출신의 순교자들의 묘소가 있어 오륜대 성지라 불리기도 한다.[1]
4. 교통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장전역이나 금정구청 정류소에서 하차하여 접근할 수 있다. 장전역에서는 마을버스(5번)로 환승하거나, 금정구청 정류소에서는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다.
4. 1. 대중교통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장전역에서 하차하여 마을버스(5번)로 환승한다(4번 출구).
- 19, 29-1, 49-1, 51-1, 77, 80-1, 100, 121, 130-1, 178, 301, 1002(심야)번 버스 - 장전역 정류소에서 하차 후 마을버스(5번)로 환승한다(4번 출구).
- 36, 50, 148, 178, 1002번 버스 - 금정구청 정류소에서 하차하여 도보 15분 거리이다.
5. 관람 안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