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는 미크로비오테리움목을 제외한 모든 유대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여기에는 캥거루목, 주머니두더지목, 주머니고양이목, 반디쿠트목 등이 속하며, 코알라, 웜뱃, 캥거루, 주머니고양이, 반디쿠트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이들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진화했으며, 계통 분류는 May-Collado, Kilpatrick & Agnarsson 2015의 연구와 Black 외 2012의 멸종된 분기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류 - 아메리카유대류
    아메리카유대류는 현생 유대류 중 가장 원시적인 그룹으로, 남아메리카에 주로 분포하며, 북아메리카에서 출현하여 남아메리카에서 다양하게 번성했다.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Australidelphia
권위자Szalay, 1982
화석 범위팔레오세 전기부터 현재 (6160만 년 전 ~ 0년 전)
오그로왈라비
분류
상위 분류군유대류
하위 분류군 (목)미크로비오테리움목
†폴리돌로피모르피아목?
에오마르수피알리아

캥거루목
아그레오돈티아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두더지목
반디쿠트목

2. 계통 분류

다음은 유대류의 계통 분류이다.[13][14]

2015년 May-Collado, Kilpatrick & Agnarsson의 연구에 기반한 살아있는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의 계통 발생과,[5] 2012년 Black 외의 연구에 기반한 멸종된 분기는 다음과 같다.[6]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의 하위 분류는 #하위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하위 분류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는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5][6][11][12]

과에 속하는 동물
칠레주머니쥐목 (Microbiotheria)칠레주머니쥐과 (Microbiotheriidae)모니또 델 몬토
캥거루목 (Diprotodontia)코알라과 (Phascolarctidae)코알라
웜뱃과 (Vombatidae)웜뱃
쿠스쿠스과 (Phalangeridae)쿠스쿠스
꼬마주머니쥐과 (Burramyidae)꼬마주머니쥐
꿀주머니쥐과 (Tarsipedidae)꿀주머니쥐
주머니하늘다람쥐과 (Petauridae)주머니하늘다람쥐
반지꼬리주머니쥐과 (Pseudocheiridae)반지꼬리주머니쥐
쥐캥거루과 (Potoridae)쥐캥거루
깃털꼬리주머니쥐과 (Acrobatidae)깃털꼬리주머니쥐
사향쥐캥거루과 (Hypsiprymnodontidae)사향쥐캥거루
주머니두더지목 (Notoryctemorphia)주머니두더지과 (Notoryctidae)주머니두더지
주머니고양이목 (Dasyuromorphia)† 주머니늑대과 (Thylacinidae)태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
주머니고양이과 (Dasyuridae)태즈메이니아 데빌 등
주머니개미핥기과 (Myrmecobiidae)주머니개미핥기
반디쿠트목 (Peramelemorphia)긴귀반디쿠트과 (Thylacomyidae)빌비
돼지발밴디쿠트목 (Chaeropodidae)돼지발반디쿠트
반디쿠트과 (Peramelidae)반디쿠트
캥거루목 (Diprotodontia)캥거루과 (Macropodidae)캥거루, 왈라비


3. 각 목의 특징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는 다음과 같은 목으로 분류된다.

3. 1. 미생물유대목 (Microbiotheria)

미생물유대목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유대류의 일종으로, 칠레주머니쥐과 모니또 델 몬토 1종만을 포함하고 있다.[5]

3. 2. 캥거루목 (Diprotodontia)

캥거루목은 11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5][6]

과에 속하는 동물
코알라과 (Phascolarctidae)코알라
웜뱃과 (Vombatidae)웜뱃
쿠스쿠스과 (Phalangeridae)쿠스쿠스
꼬마주머니쥐과 (Burramyidae)
꿀주머니쥐과 (Tarsipedidae)
주머니하늘다람쥐과 (Petauridae)
반지꼬리주머니쥐과 (Pseudocheiridae)
쥐캥거루과 (Potoridae)
깃털꼬리주머니쥐과 (Acrobatidae)
사향쥐캥거루과 (Hypsiprymnodontidae)
캥거루과 (Macropodidae)


3. 3. 주머니두더지목 (Notoryctemorphia)

주머니두더지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유일한 목이다. 주머니두더지 2종이 이 목에 속한다.[5][6]

3. 4. 주머니고양이목 (Dasyuromorphia)

주머니고양이목은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에 속하는 목(目)으로, 7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머니고양이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6][11][12]

3. 5. 반디쿠트목 (Peramelemorphia)

반디쿠트목은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에 속하는 목으로, 21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디쿠트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5][6]

4. 진화 역사

살아있는 오스트레일리아유대류의 계통 발생은 May-Collado, Kilpatrick & Agnarsson (2015)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5], 멸종된 분기는 Black 외 (2012)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6]

해당 분기는 2014년 이후 다른 저자들에 의해 Agreodontia라고 불리기도 한다. May-Collado, Kilpatrick & Agnarsson (2015)[11]에 Black et al. (2012)[12]에 의한 멸종 분류군을 더한 분기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BDB https://paleobiodb.o[...] 2021-07-13
[2] 논문 The Osteology and Systematics of the Enigmatic Australian Oligo-Miocene Metatherian Yalkaparidon (Yalkaparidontidae; Yalkaparidontia; ?Australidelphia; Marsupialia) https://usir.salford[...] 2014
[3] 뉴스 Australia's marsupials originated in what is now South America, study says http://www.latimes.c[...] 2010-07-28
[4] 논문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2010-07-27
[5] 논문 Mammals from 'down under': a multi-gene species-level phylogeny of marsupial mammals (Mammalia, Metatheria).
[6] 서적 Earth and Life Springer Netherlands
[7] 문서 "遠藤秀紀「第1章 有袋類の多様性」『有袋類学』東京大学出版会、2018年、1-25頁。"
[8] 문서 "冨田幸光『新版 絶멸哺乳類図鑑』伊藤丙雄・岡本泰子イラスト、丸善出版、2011年、15, 53, 60-61頁。"
[9] 뉴스 Australia's marsupials originated in what is now South America, study says http://www.latimes.c[...] 2010-07-28
[10] 논문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2010-07-27
[11] 논문 Mammals from 'down under': a multi-gene species-level phylogeny of marsupial mammals (Mammalia, Metatheria).
[12] 서적 Earth and Life Springer Netherlands
[13] 웹인용 Australia's marsupials originated in what is now South America, study says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0-07-28
[14] 간행물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Public Library of Science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