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디쿠트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디쿠트목은 유대류에 속하는 포유류 분류군으로, 긴귀반디쿠트과, 돼지발반디쿠트과, 반디쿠트과 등을 포함하며, 현존하는 종과 멸종된 종이 있다. 반디쿠트목은 발의 형태와 치아 구조 면에서 다른 유대류와 차이를 보이며, 계통 분류상 주머니고양이목과 가까운 관계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땅딸막한 몸집과 긴 주둥이, 작은 이빨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곤충, 과실, 종자 등을 먹고 산다. 임신 기간이 짧고, 육아낭에서 새끼를 키운다. 서식지 파괴와 포식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으며, 플라이스토세와 홀로세 화석에서 다양한 종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반디쿠트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Peramelemorphia |
명명자 | Ameghino, 1889 |
화석 범위 | 후기 올리고세 - 현세 |
하위 분류군 | 과 |
특징 | |
![]() | |
생물학적 분류 | |
상목 | 유대상목 |
대목 | 오스트레일리아유대대목 |
하위 과 (Family) | |
현존 과 | Thylacomyidae (빌비) Peramelidae (반디쿠트) |
멸종 과 | †Chaeropodidae (돼지발반디쿠트) †Yaralidae |
2. 하위 분류
다음 분류 및 영명은 Groves(2005)를 따르며[25], 한국명은 반디쿠트목에 관한 내용 중 하위 분류에 관한 일본어 위키 내용에 따른다.[26]
- †돼지발반디쿠트과(Chaeropodidae)
- * †돼지발반디쿠트속(''Chaeropus'')
- ** †돼지발반디쿠트(`Chaeropus ecaudatus`) Pig-footed bandicoot
- 반디쿠트과(Peramelidae)
- * 가시반디쿠트아과(Echymiperinae)
- ** 가시반디쿠트속(''Echymipera'')
클라라가시반디쿠트(`Echymipera clara`) Clara's echymipera
데이비드가시반디쿠트(`Echymipera davidi`) David's echymipera
위빔가시반디쿠트(`Echymipera echinista`) Menzies' echymipera
가시반디쿠트(`Echymipera kalubu`) Common echymipera
붉은가시반디쿠트(`Echymipera rufescens`) Long-nosed echymipera
- ** 쥐반디쿠트속(''Microperoryctes'')
줄무늬반디쿠트(`Microperoryctes longicauda`) Striped bandicoot
쥐반디쿠트(`Microperoryctes murina`) Mouse bandicoot
파푸아반디쿠트(`Microperoryctes papuensis`) Papuan bandicoot
- ** 세람반디쿠트속(''Rhynchomeles'')
세람반디쿠트(`Rhynchomeles prattorum`) Seram bandicoot
- * 반디쿠트아과(Peramelinae)
- ** 짧은코반디쿠트속(''Isoodon'')
황금짧은코반디쿠트(`Isoodon auratus`) Golden bandicoot
북부짧은코반디쿠트(`Isoodon macrourus`) Northern brown bandicoot
갈색짧은코반디쿠트(`Isoodon obesulus`) Southern brown bandicoot
- ** 반디쿠트속(''Perameles'')
서부줄무늬반디쿠트(`Perameles bougainville`) Western barred bandicoot
†사막반디쿠트(`Perameles eremiana`) Desert bandicoot (멸종)
동부줄무늬반디쿠트(`Perameles gunnii`) Eastern barred bandicoot[30]
긴코반디쿠트(`Perameles nasuta`) Long-nosed bandicoot
- * 뉴기니긴코반디쿠트아과(Peroryctinae)
- ** 라프레이반디쿠트속(''Peroryctes'')
자이언트반디쿠트(`Peroryctes broadbenti`) Giant bandicoot
라프레이반디쿠트(`Peroryctes raffrayana`) Raffray's bandicoot
- 긴귀반디쿠트과(Thylacomyidae)
- * 토끼귀반디쿠트속(''Macrotis'')
- ** 토끼귀반디쿠트(`Macrotis lagotis`) Greater bilby
- ** †작은토끼귀반디쿠트(`Macrotis leucura`) Lesser bilby (멸종)
3. 계통 분류
다음은 유대류의 계통 분류이다.[32][33]
반디쿠트목은 유대류 내에서 그 위치가 오랫동안 불분명했고 논란의 대상이었다. 다른 유대류 그룹과의 진화적 관계를 보여주는 두 가지 형태학적 특징인 발의 유형과 치아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두 가지 특징은 서로 상반된 방향을 가리킨다.[2]
반디쿠트목은 모두 아랫니가 여러 쌍인 다치전치아(반디쿠트목의 경우 3쌍)이며, 이는 주머니고양이목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이 융합된 합지증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캥거루, 웜뱃, 쿠스쿠스 등 많은 유대류 초식동물이 속한 큰앞니목의 특징이다.[3]
최근 분자 수준의 연구는 반디쿠트목이 다른 유대류 목과 먼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아직 정확한 계통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4]
3. 1. 유대류 내 위치
반디쿠트목은 유대류 내에서 오랫동안 그 위치가 불분명했고 논란의 대상이었다. 반디쿠트목은 다른 유대류 그룹과의 진화적 관계를 보여주는 두 가지 형태학적 특징인 발의 유형과 치아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두 가지 특징은 서로 상반된 방향을 가리킨다.[2]반디쿠트목의 모든 구성원은 아랫니가 여러 쌍(반디쿠트목의 경우 3쌍)인 다치전치아로, 주머니고양이목 (유대류 육식동물)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이 융합된 합지증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캥거루, 웜뱃, 쿠스쿠스 등 많은 유대류 초식동물이 속한 큰앞니목의 특징이다.[3]
이러한 특징 때문에 과거에는 유대류를 앞니가 두 개인 쌍문치아목(Diprotodonta)과 앞니가 많은 다문치아목(Polyptorodonta)으로 나누었을 때, 반디쿠트목은 다문치아목에 포함되었지만 쌍문치아목의 특징인 유합지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27][28]
최근 분자 수준의 연구는 반디쿠트목이 다른 유대류 목과 먼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아직 정확한 계통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4] 2008년에 발표된 유대류의 핵 DNA 분석에서는 반디쿠트목이 단일 계통군이라는 것이 강하게 지지되었다.[29]
Meredith et al.,(2008)의 핵 DNA 5개 유전자좌 분석에 따르면, 반디쿠트목은 주머니두더지목과 함께 주머니고양이목의 자매군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AG1 유전자만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반디쿠트목과 주머니두더지목이 코알라와 웜뱃과의 자매군으로 쌍전치목에 포함된다는 결과가 나왔다.[29]
다음은 Meredith et al.,(2008)에서 핵 DNA의 5개 유전자좌를 이용해 베이즈법으로 추정한 계통도이다.[29]
{| class="wikitable"
|-
! 호주유대류
|-
|
{| class="wikitable"
|-
! 미크로비테리움목
|-
| 치로에오포섬
|-
! 쌍전치목
|-
|
|-
! 주머니고양이목
|-
|
플라니갈레속 |
안테키누스속, 꼬리반점주머니고양이 |
파푸아주머니고양이, 등줄주머니생쥐 |
|-
! 주머니두더지목, '''반디쿠트목'''
|-
|
|}
|}
다음은 Meredith et al.,(2008)에서 핵 DNA의 RAG1 유전자만을 가지고 베이즈법으로 추정한 돼지발반디쿠트를 포함하는 계통도이다.[29]
{| class="wikitable"
|-
! 호주유대류
|-
|
{| class="wikitable"
|-
! 미크로비테리움목
|-
| 치로에오포섬
|-
! 주머니고양이목
|-
|
플라니갈레속 |
안테키누스속, 꼬리반점주머니고양이 |
파푸아주머니고양이, 등줄주머니생쥐 |
|-
! 쌍전치목
|-
|
|-
! 쌍전치목
|-
|
{| class="wikitable"
|-
| 코알라, 웜뱃
|-
! 주머니두더지목, '''반디쿠트목'''
|-
|
|}
|}
|}
3. 2. 반디쿠트목 내 관계
다음은 유대류의 계통 분류이다.[32][33]최근의 분자 분석 결과는 밴디쿠트목 구성원들의 계통발생을 매우 강력하게 뒷받침하는 재구성을 가져왔다. 가장 기저 분기는 긴귀반디쿠트과(''Macrotis'')를 다른 모든 밴디쿠트와 분리한다. 아마도 다음으로 분화된 것은 최근 멸종된 돼지발반디쿠트과( ''Chaeropus'')였을 것이다. 나머지 분류군은 반디쿠트과로 구성되며, 반디쿠트아과 (''Isoodon'' 및 ''Perameles'') 아과와 뉴기니가시반디쿠트아과(''Echymipera'' 및 ''Microperoryctes'')가 뉴기니긴코반디쿠트아과(''Peroryctes'')의 자매군을 형성하는 분류군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유대류를 유대목으로 묶어, 앞니가 두 개인 쌍문치아목(Diprotodonta)과 앞니가 많은 다문치아목(Polyptorodonta)의 2아목으로 나누는 설이 있었지만, 본 목은 치열로 미루어 다문치아목에 포함되었으나, 쌍문치아목의 특징인 유합지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27][28] 긴귀반디쿠트과를 반디쿠트과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30]
2008년에 발표된 유대류의 핵 DNA ApoB·BRCA1·IRBP·RAG1·vWF의 5개의 유전자좌의 분자계통 분석에서는, 본 목이 단일 계통군이라는 것이 강하게 지지되었다.[29] 본 목과 주머니두더지목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단, 최대 절약법·최우법·베이즈법과 비교하여 부트스트랩 값은 낮음)이 주머니고양이목의 자매군이라는 분석 결과도 얻었지만, 한편 돼지발반디쿠트를 포함한 RAG1 유전자만의 분석에서는 본 목과 주머니두더지목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은 코알라와 웜뱃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의 자매군으로 쌍전치목에 포함된다는 분석 결과가 얻어졌다.[29]
- Meredith et al.,(2008)에서 핵 DNA의 5개 유전자좌에서 베이즈법에 의해 추정된 계통도[29]
- 호주유대류
- 미크로비테리움목
- 치로에오포섬
- 쌍전치목
- 코알라
- 웜뱃
- 주머니날다람쥐
- 꼬리꼬리과
- 붉은쥐캥거루
- 캥거루과
- 작은주머니쥐
- 비늘꼬리쿠스쿠스
- 주머니고양이목
- 플라니갈레속
- 안테키누스속
- 꼬리반점주머니고양이
- 파푸아주머니고양이
- 등줄주머니생쥐
- 주머니두더지목
- 주머니두더지
- '''반디쿠트목'''
- 큰귀반디쿠트
- 점박이반디쿠트
- 반디쿠트속
- 라프레이반디쿠트
- 털반디쿠트
- 긴꼬리반디쿠트
- Meredith et al.,(2008)에서 핵 DNA의 RAG1 유전자만을 가지고 베이즈법으로 추정된 돼지발반디쿠트를 포함하는 계통도[29]
- 호주유대류
- 미크로비테리움목
- 치로에오포섬
- 주머니고양이목
- 플라니갈레속
- 안테키누스속
- 꼬리반점주머니고양이
- 파푸아주머니고양이
- 등줄주머니생쥐
- 쌍전치목
- 작은주머니쥐
- 비늘꼬리쿠스쿠스
- 붉은쥐캥거루
- 캥거루과
- 주머니날다람쥐
- 꼬리꼬리과
- 쌍전치목
- 코알라
- 웜뱃
- 주머니두더지목
- 주머니두더지
- '''반디쿠트목'''
- 큰귀반디쿠트
- 돼지발반디쿠트
- 점박이반디쿠트
- 반디쿠트속
- 라프레이반디쿠트
- 털반디쿠트
- 긴꼬리반디쿠트
4. 형태
몸집은 땅딸막하며, 목은 짧다.[27] 주둥이는 가늘고 길다.[27] 많은 종은 귓바퀴가 짧다.[27] 이빨은 작고 비교적 균일하며, 씹는 면이 뾰족하다.[27] 치열은 많은 종에서 앞니가 위턱 10개, 아래턱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씩,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6개씩, 큰 어금니가 위아래 8개씩 총 48개의 이빨을 가진다.[27] 앞발의 세 손가락에는 튼튼한 평평한 발톱이 있다.[27] 뒷발의 제2, 제3 발가락은 유합한다.[28][29] 염색체 수는 주로 2n = 14이다.[28] 육아낭은 뒤쪽으로 열린다.[27] 육아낭 내 유두 수는 4쌍이다.[27][28] 장막뇨막에 의한 태반이 형성된다.[27][28]
5. 생태
열대 우림이나 수림을 포함한 삼림,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27][28]
곤충, 무척추동물, 과실, 종자, 버섯 등을 먹는다.[27] 앞다리로 땅을 파고, 코끝을 땅에 넣어 채식을 한다.[27][30]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임신 기간은 흰발반디쿠트나 긴코반디쿠트에서 12일로, 포유강에서는 가장 짧은 것으로 생각된다.[27][30] 한 번에 1~7마리(주로 2~4마리)의 어린 새끼를 낳는다.[27] 수유 기간은 약 10일이다.[27]
6. 인간과의 관계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인위적으로 유입된 동물에 의한 포식 및 경쟁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27][30]
7. 화석 기록
발견 연도 | 학명 | 발견 장소 | 지질 시대 | 비고 |
---|---|---|---|---|
1955년 | Ischnodon australis |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티라리 사막 | 플리오세 | 최초로 기술된 반디쿠트목 화석. 부분적인 아래턱뼈. [10] |
1976년 | Perameles allinghamensis |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퀸즐랜드 블러프 다운스 화석 유적지(Allingham Formation) | 플리오세 | 단일 상악 어금니. [11] |
1995년 | Yarala burchfieldi | 리버슬리 | 미오세 | 현존 반디쿠트보다 작고 원시적인 치열. [12] |
2000년 | Yarala burchfieldi | 두개골 화석 발견(최초). Yaraloidea 상과 Yaralidae 과로 분류. [13] | ||
1997년 | Perameles bowensis | Bow, 웰링턴 동굴 | 플리오세 | [14] |
2000년 | Perameles bowensis | 퀸즐랜드주 친칠라 | 플리오세 | [15] |
2002년 | Perameles sobbei | 다울링 다운스 | 플라이스토세 | [16] |
2005년 | Perameles sobbei | 다울링 다운스 | 플라이스토세 | 위 어금니 포함 추가 자료. [17] |
2006년 | Yarala kida |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Kangaroo Well | 올리고세 후기 | Yarala burchfieldi보다 원시적. [18] |
2006년~2013년 | Galadi 속(Galadi speciosus, Galadi grandis, Galadi amplus, Galadi adversus) | 미오세 리버슬리 유적지 | 미오세 | 짧은 주둥이, 육식성 추정. [19][20] |
2013년 | Bulungu palara | 리버슬리,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Kutjamarpu | 쥐 크기. [21] | |
2013년 | Bulungu muirheadae, Bulungu campbelli | 오스트레일리아 Etadunna Formation | Bulungu muirheadae는 가장 오래된 화석 반디쿠트(약 2,400만 년 전). [22] | |
2014년 | Crash bandicoot (페라멜리드), Liyamayi dayi (빌비) | 리버슬리 세계 유산 지역 | 중기 미오세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반디쿠트와 빌비. [23] |
2014년 | Madju variae, Madju encorensis | 리버슬리 | 성적 이형성 첫 기록. Madju variae는 현대 반디쿠트보다 느리고 빌비와 유사하게 발달. [24] |
참조
[1]
논문
A review of Peroryctes broadbenti, the giant bandicoot of Papua New Guinea
http://digitallibrar[...]
2010
[2]
서적
Peramelidae, In: Walton, D.W. (Ed.), Fauna of Australi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Canberra
1989
[3]
서적
Mammals of Australia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1995
[4]
논문
A timescale and phylogeny for "Bandicoots" (Peramelemorphia: Marsupialia) based on the sequences for five nuclear genes
[5]
논문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6]
논문
DR_on4phylosCompared_linear_richCol_justScale_ownColors_withTips_80in
https://github.com/n[...]
[7]
논문
A species-level timeline of mammal evolution integrating phylogenomic data
https://www.nature.c[...]
[8]
논문
4705sp_colours_mammal-time.tree
https://figshare.com[...]
[9]
서적
Australian Mesozoic and Tertiary terrestrial mammal localities, Appendix 1.
Pioneer Design Studio and Monash University Publications Committee, Melbourne
1991
[10]
간행물
Late Tertiary marsupials from South Australia
1955
[11]
간행물
Results of the Ray E. Lemley expeditions, part 1: The Allingham Formation and a new Pliocene vertebrate fauna from northern Queensland
1976
[12]
논문
Yarala burchfieldi, a plesiomorphic bandicoot (Marsupialia, Peramelemorphia) from Oligo-Miocene deposits of Riversleigh, northwestern Queensland
1995
[13]
논문
Yaraloidea (Marsupialia, Peramelemorphia), a new superfamily of marsupial and a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ranium of the Miocene Yarala burchfieldi
2000
[14]
논문
Perameles bowensis, a new species of Perameles (Peramelomorphia, Marsupialia) from Pliocene faunas of Bow and Wellington caves, New South Wales
1997
[15]
간행물
First fossil bandicoot from the Pliocene Chinchilla Local Fauna
2000
[16]
간행물
Perameles sobbei, sp. nov. (Marsupialia, Peramelidae), a Pleistocene bandicoot from the Darling Downs, south-eastern Queensland
2002
[17]
논문
Fossil bandicoots (Marsupialia, Peramelidae) and environmental change during the Pleistocene on the Darling Downs, southeastern Queensland, Australia
2005
[18]
간행물
A new species of bandicoot from the Oligocene of northern Australia and implications of bandicoots for correlating Australian Tertiary mammal faunas
2006
[19]
논문
An exceptionally well-preserved short-snouted bandicoot (Marsupialia; Peramelemorphia) from Riversleigh's Oligo-Miocene deposits, northwestern Queensland, Australia
2010
[20]
논문
The genus Galadi: three new bandicoots (Marsupialia, Peramelemorphia) from Riversleigh’s Miocene deposits, northwestern Queensland, Australia
2013
[21]
간행물
Biogeographical implications of a new mouse-sized fossil bandicoot (Marsupialia: Peramelemorphia) occupying a dasyurid-like ecological niche across Australia
2013
[22]
논문
The oldest fossil record of bandicoots (Marsupialia; Peramelemorphia) from the late Oligocene of Australia
http://palaeo-electr[...]
[23]
논문
Earliest modern bandicoot and bilby (Marsupialia, Peramelidae and Thylacomyidae) from the Miocene of the Riversleigh World Heritage Area, northwestern Queensland, Australia
2014
[24]
논문
Sexually dimorphic bandicoots (Marsupialia: Peramelemorphia) from the Oligo-Miocene of Australia, first cranial ontogeny for fossil bandicoots and new species descriptions
2014
[25]
서적
Order Peramelemorphi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6]
문서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2018
[27]
서적
バンディクート, ミミナガバンディクート
平凡社
1986
[28]
간행물
三つの型に適応放散 バンディクート類
朝日新聞社
1992
[29]
논문
A timescale and phylogeny for "Bandicoots" (Peramelemorphia: Marsupialia) based on the sequences for five nuclear genes
https://doi.org/10.1[...]
2008
[30]
서적
キンコミミバンディクート」「ミミナガバンディクート」「ニシシマバンディクート」「ヒガシシマバンディクート
講談社
2000
[31]
MSW3 Groves
[32]
웹인용
Australia's marsupials originated in what is now South America, study says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0-08-01
[33]
저널 인용
Tracking Marsupial Evolution Using Archaic Genomic Retroposon Insertions
Public Library of Science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