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온산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산읍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는 읍이다. 1879년 온양면에서 분리되어 온산면으로 시작하여, 1996년 2월 1일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13개의 법정리와 37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산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다. 온산초등학교, 덕신초등학교, 삼평초등학교, 온산중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온산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있으며, 국도 제31호선과 온산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주군 - 언양군
    언양군은 신라시대 거지화현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 현양으로 개칭, 조선시대 언양현을 거쳐 언양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울산군에 통합되며 소멸된 경상남도의 옛 군이다.
  • 울주군 - 언양읍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지이며, 울산과학기술원, 언양읍성 등 교육 및 관광 시설을 갖추고 있다.
온산읍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온산읍
한자 표기溫山邑
영문 표기Onsan-eup
광역시도울산광역시
시군구울주군
면적39.7
세대10,813
세대 조사2014.11.30.
인구20403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화산리, 삼평리, 강양리, 우봉리, 당월리, 처용리, 산암리, 대정리, 방도리, 이진리, 원산리, 덕신리, 학남리
행정리37
141
읍사무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덕신로 303
홈페이지온산읍 행정복지센터

2. 역사

1879년 온양면과 분리되어 '''온산면'''(溫山面)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청량면 사방, 목도, 처용, 신기, 달포, 산하동과 온북면 기산동, 산성동을 편입하고 11개 리로 개편하였다.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온산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1961년 9월 1일 온산면의회가 해산되었다.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온산면이 되었다. 1974년 4월 1일 국가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5년 10월 1일 온양면 덕신리와 청량면 용암리, 학남리를 온산면에 편입하였다. 1985년 10월 15일 공단조성지역 거주민의 이주대책 사업으로 16개 마을 2,600여 세대가 덕신리로 이주하였다. 1987년 1월 1일 용암리를 청량면으로 환원하였다. 1987년 6월 4일 면사무소를 대정리에서 덕신리로 이전하였다.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온산면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온산면이 되었다. 1996년 2월 1일 온산면을 '''온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이 되었다. 2013년 8월 1일 울산 신일반산업단지 조성으로 학남리와 처용리, 청량면 용암리 간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 1879년 온양면과 분리되어 '''온산면'''(溫山面)이 되었다.
  • 1914년 4월 1일 청량면 사방, 목도, 처용, 신기, 달포, 산하동과 온북면 기산동, 산성동을 편입하고 11개 리로 개편하였다.

개편 전개편 후
당포동(唐浦洞), 월천동(月川洞), 월상동(月上洞)당월리(唐月里)
우방동(牛方洞)우봉리(牛峰里)
강회동(江回洞), 하회동(下回洞)강양리(江陽里)
상회동(上回洞), 내회동(內回洞), 종동(種洞)삼평리(三平里)
신원동(新元洞), 산남동(山南洞), 야동동(野東洞), 원봉동(元峰洞)원산리(元山里)
이진동(梨津洞)이진리(梨津里)
송정동(松亭洞), 대안동(大安洞), 본내동(本內洞)대정리(大亭里)
석당동(石唐洞), 내동(內洞), 온북면 기산동(基山洞), 산성동(山城洞)화산리(華山里)
장기동(長基洞), 청량면 사방동(四方洞), 목도동(目島洞)방도리(方島里)
청량면 달포동(達浦洞), 산하동(山下洞)산암리(山岩里)
청량면 처용동(處容洞), 신기동(新基洞)처용리(處容里)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온산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 1961년 9월 1일 온산면의회가 해산되었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온산면이 되었다.
  • 1974년 4월 1일 국가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온양면 덕신리와 청량면 용암리, 학남리를 온산면에 편입하였다.
  • 1985년 10월 15일 공단조성지역 거주민의 이주대책 사업으로 16개 마을 2,600여 세대가 덕신리로 이주하였다.
  • 1987년 1월 1일 용암리를 청량면으로 환원하였다.
  • 1987년 6월 4일 면사무소를 대정리에서 덕신리로 이전하였다.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온산면이 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온산면이 되었다.
  • 1996년 2월 1일 온산면을 '''온산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이 되었다.
  • 2013년 8월 1일 울산 신일반산업단지 조성으로 학남리와 처용리, 청량면 용암리 간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2. 2. 지방 의회

3. 행정 구역

온산읍은 13개 법정리와 37개 행정리, 141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1월 1일 기준으로 인구는 10,746세대 24,884명(외국인 제외)이며, 이 중 94%가 덕신리에 거주하고 있다. 온산공단이 조성되어 주민이 거의 없는 법정리가 많다. 읍소재지는 덕신리이다.[1]

법정리한자세대인구(명)
화산리華山里70132
삼평리三平里216474
강양리江陽里290627
우봉리牛峰里11
당월리唐月里69
처용리處容里1012
방도리方島里23
이진리梨津里22
원산리元山里710
덕신리德新里10,03823,412
대정리大亭里00
학남리學南里104202
산암리山巖里00
온산읍溫山邑10,74624,884




4. 교육

5. 교통

온산읍은 도로와 철도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국도 제31호선온산공단을 지나며 서생면, 청량면과 연결된다. 이 도로는 과거 지방도 제1019호선이었다가 국도로 승격되었다.

온산선이 읍의 남부를 지나 온산역이 있지만, 화물 열차만 운행한다. 여객 열차를 이용하려면 온양읍 남창리에 있는 남창역이 가장 가깝다.

5. 1. 도로

국도 제31호선온산공단을 지나며 서생면, 청량면과 연결된다. 이 구간은 과거 지방도 제1019호선이었다가 지방도 지정이 해제된 후 국도가 된 구간이다.

5. 2. 철도

온산선이 읍의 남부를 지나며 대정리에 온산역이 있지만, 온산선은 화물 열차만 운행한다. 온산읍에서 가장 가까운 여객 취급역은 온양읍 남창리에 소재한 남창역이다.

참조

[1] 간행물 오염원 및 기상 조건에 따른 울산지역의 고농도 대기오염 분포 특성 2006-08
[2] 간행물 오염원 및 기상 조건에 따른 울산지역의 고농도 대기오염 분포 특성 20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