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컵은 1906년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제정되어, 매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올림픽 운동 발전에 공헌한 기관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초기에는 유럽의 스포츠 단체들이 주로 수상하였으나, 점차 전 세계로 확대되어 다양한 국가와 단체들이 수상했다. 1989년 서울특별시, 1995년 대한체육회가 수상하며 대한민국 스포츠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올림픽 컵은 올림픽 정신을 확산시키고 스포츠를 통한 국제 이해 증진에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되며, 올림픽 가치를 실현하고 스포츠를 통해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문화 - 선수촌
선수촌은 올림픽 및 국제 스포츠 대회의 선수, 코치, 관계자들의 숙소와 편의 시설을 제공하며,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등장하여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정식으로 건립되었다. - 올림픽 문화 - 프라이드 하우스
프라이드 하우스는 올림픽 등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 성소수자 운동선수와 지지자들을 위한 공간으로, 스포츠계 내 혐오 문화 개선과 사회적 인식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은 IOC를 이끄는 수장으로, 초대 위원장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 이후 토마스 바흐까지 총 9명이 선출되었으며 8년 임기에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올림픽 방송 서비스
올림픽 방송 서비스(OBS)는 올림픽 및 패럴림픽 경기의 국제 신호를 제작, 전송하여 미디어 권리 보유 방송사에게 배포하고 방송 인프라 및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주최 방송사이다. - 스포츠상 - 최우수 선수
최우수 선수(MVP)는 여러 스포츠 리그와 대회에서 시즌이나 경기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1911년 야구에서 처음 시작되어 다양한 종목에서 시상되며 투표 방식으로 선정되지만, 투표 주체와 절차는 종목 및 리그에 따라 다르다. - 스포츠상 - 웨브 엘리스 컵
웨브 엘리스 컵은 럭비 월드컵의 우승 트로피로, 럭비 발명가 윌리엄 웨브 엘리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뉴질랜드,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글랜드만이 들어올린 경험이 있고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최다 우승국이다.
올림픽 컵 | |
---|---|
올림픽 컵 | |
![]() | |
정보 | |
수여 기관 |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 |
수여 대상 | 올림픽 운동에 탁월한 공헌을 한 기관 또는 단체 |
수여 시작 | 1906년 |
기타 | 비경쟁적 부문 |
2. 제정 배경 및 역사
1906년,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이 올림픽 컵을 제정하였다. 올림픽 컵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매년 올림픽 운동을 발전시키거나 스포츠 정신을 구현한 단체 또는 개인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
초기에는 주로 유럽과 북미 지역의 스포츠 단체나 협회에 수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수상자에게 수여되고 있다. 1995년에는 대한체육회가 수상하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1905년 ~ 1945년)
연도 | 수상 단체/개인 | 비고 |
---|---|---|
1906년 | 클루브 드 프랑스 투어링 | |
1907년 | 헨리 로열 레가타 | |
1908년 | 스웨덴 스포츠 진흥 중앙 협회 | |
1909년 | 독일 체조 | |
1910년 | 소콜 운동 | |
1911년 | 투어링 클럽 이탈리아노 | |
1912년 | 프랑스 체조 협회 연합 | |
1913년 | 헝가리 체육 클럽 | |
1914년 | 미국 아마추어 체육 연맹 | |
1915년 | 럭비 학교 | |
1916년 | 콩프리 생 미셸 드 간드(Confrérie Saint-Michel de Gand) | |
1917년 | 네덜란드 축구 협회 | |
1918년 | 연합군 전선의 스포츠 팀 | |
1919년 | 로잔 올림픽 연구소 | |
1920년 | Y.M.C.A. 국제 대학, 스프링필드 | |
1921년 | 덴마크 스포츠 연맹 | |
1922년 | 캐나다 아마추어 체육 연맹 | |
1923년 | 카탈로니아 스포츠 협회 | |
1924년 | 핀란드 체육 및 체조 연맹 | |
1925년 | 우루과이 국립체육위원회 | |
1926년 | 노르웨이 스키 연맹 | |
1927년 | 로버트 M. 톰슨 대령 | |
1928년 | 멕시카나 국가정권 | |
1929년 | YMCA 세계위원회 | |
1930년 | 스위스 축구 및 체육 협회 | |
1931년 | 영국 국립 경기장 협회 | |
1932년 | 독일 체육 대학 | |
1933년 | 스위스 연방 체조 학회 | |
1934년 | 오페라 나치오날레 도폴라보로 | |
1935년 | 국립 휴양 및 공원 협회 | |
1936년 | 그리스 아마추어 체육 협회 | |
1937년 | 오스트리아 빙상 연맹 | |
1938년 | 헝가리 왕립 체육 아카데미 | |
1939년 | 기쁨을 통한 힘 | |
1940년 | 스웨덴 체조 | |
1941년 | 핀란드 올림픽 위원회 | |
1942년 | 윌리엄 메이 갈랜드 | |
1943년 |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 |
1944년 | 로잔시 | |
1945년 | 노르웨이 육상 협회 |
2. 2. 발전기 (1946년 ~ 1990년)
연도 | 수상자 |
---|---|
1946년 | 콜롬비아 올림픽 위원회 |
1947년 | J.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 (국제 올림픽 위원회 회장) |
1948년 | 신체 레크리에이션 중앙 협의회 |
1949년 | 플루미넨세 축구 클럽 |
1950년 | 벨기에 올림픽 위원회 |
뉴질랜드 올림픽 및 대영 제국 게임 협회 | |
1951년 | 파리 스포츠 아카데미 |
1952년 | 오슬로 시 |
1953년 | 헬싱키 시 |
1954년 | 스위스 연방 체조 및 스포츠 학교 |
1955년 | 1954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 조직위원회 |
1955년 팬아메리칸 게임 조직위원회 | |
1956년 | 수상 없음 |
1957년 | 이탈리아 사일런트 스포츠 연맹 |
1958년 | 수상 없음 |
1959년 | 파나슬론 이탈리아노(제노바) |
1960년 | 이탈리아 대학 스포츠 센터 |
1961년 | 로스앤젤레스 헬름스 체육 재단 |
1962년 | 1961년 볼리바리안 게임 조직위원회 |
1963년 | 오스트레일리아 대영 제국 및 영연방 게임 협회 |
1964년 | 로스앤젤레스 남부 캘리포니아 올림픽 위원회 |
1965년 | 도쿄 시 |
1966년 | 침묵 스포츠 국제위원회 |
1967년 | 볼리바리안 게임 |
1968년 | 멕시코시티 사람들 |
1969년 | 폴란드 올림픽 위원회 |
1970년 | 1966년 및 1970년 아시안 게임 조직위원회 |
1971년 | 1971년 팬아메리칸 게임 조직위원회 |
1972년 | 튀르키예 올림픽 위원회 |
삿포로 시 | |
1973년 | 뮌헨 사람들 |
1974년 |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
1975년 | 이탈리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
1976년 | 체코슬로바키아 체육 및 스포츠 연맹 |
1977년 | 코트디부아르 올림픽 위원회 |
1978년 | 그리스 올림픽 위원회 |
1979년 | 1978년 뉴질랜드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조직위원회 |
1980년 | 히나시오 클루브(Ginásio Clube) 포르투갈어 |
1981년 | 스위스 연맹, 국제 올림픽 아카데미 |
1982년 | 라싱 클럽 드 프랑스 |
1983년 | 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위원회 |
1984년 |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조직 위원회 |
1985년 | 중국 올림픽 위원회 |
1986년 | 슈투트가르트 시 |
1988년 | 레퀴프 |
오스트레일리아 사람들 | |
1989년 | 서울특별시 |
라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 | |
1990년 | 아테네의 파넬리니오스 체육 클럽 |
2. 3. 현대 (1991년 ~ 현재)
1991년부터 현재까지 올림픽 컵은 스포츠 정신과 올림픽 운동 발전에 기여한 다양한 개인, 단체, 지역 사회에 수여되었다.연도 | 수상자 | 비고 |
---|---|---|
1991 | 일본 올림픽 위원회 | |
1992 | 사부아주 | |
바르셀로나 시 | ||
1993 | 모나코 올림픽 위원회 | |
1994 | 프랑스 국가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 |
노르웨이 | ||
1995 | 대한체육회 | |
1996 | 바덴바덴 시 | |
1997 | 수상 없음 | |
1998 | 나가노 | |
1999 | 국제 연합 | |
2000 | 시드니 시 | |
2001 | 킵 케이노 학교 (엘도렛) | |
2002 | 솔트레이크시티 | |
2003 | 알링기 팀 | |
2004 | 아테네[2] | |
2005 | 레이크 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박물관[3] | |
2007년과 중복 | ||
2006 | 토리노 | |
2007 | 레이크 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박물관[4] | |
2008 | 베이징[5] | |
2009 | 수상 없음 | |
2010 | 싱가포르[6] | |
2011 | 남아프리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와 더반 | |
2012 | 런던[7] | |
2016 | 리우데자네이루 | |
2018 | 부에노스아이레스[8] | |
2022 | 중화인민공화국 |
[1]
웹인용
Olympic Cup
https://web.archive.[...]
2007-10-09
3. 역대 수상자
연도 수상자 비고 1906년 클루브 드 프랑스 투어링 1907년 헨리 로열 레가타 1908년 스웨덴 스포츠 진흥 중앙 협회 1909년 독일 체조 1910년 소콜 운동 1911년 투어링 클럽 이탈리아노 1912년 프랑스 체조 협회 연합 1913년 헝가리 체육 클럽 1914년 미국 아마추어 체육 연맹 1915년 럭비 학교 1916년 콩프리 생 미셸 드 간드(Confrérie Saint-Michel de Gand) 1917년 네덜란드 축구 협회 1918년 연합군 전선의 스포츠 팀 1919년 로잔 올림픽 연구소 1920년 Y.M.C.A. 국제 대학, 스프링필드 1921년 덴마크 스포츠 연맹 1922년 캐나다 아마추어 체육 연맹 1923년 카탈로니아 스포츠 협회 1924년 핀란드 체육 및 체조 연맹 1925년 우루과이 국립체육위원회 1926년 노르웨이 스키 연맹 1927년 로버트 M. 톰슨 대령 1928년 멕시카나 국가정권 1929년 YMCA 세계위원회 1930년 스위스 축구 및 체육 협회 1931년 영국 국립 경기장 협회 1932년 독일 체육 대학 1933년 스위스 연방 체조 학회 1934년 오페라 나치오날레 도폴라보로 1935년 국립 휴양 및 공원 협회 1936년 그리스 아마추어 체육 협회 1937년 오스트리아 빙상 연맹 1938년 헝가리 왕립 체육 아카데미 1939년 기쁨을 통한 힘 1940년 스웨덴 체조 1941년 핀란드 올림픽 위원회 1942년 윌리엄 메이 갈랜드 1943년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1944년 로잔시 1945년 노르웨이 육상 협회 1946년 콜롬비아 올림픽 위원회 1947년 J.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J. Sigfrid Edström) IOC 회장 1948년 신체 레크리에이션 중앙 협의회 1949년 플루미넨세 축구 클럽 1950년 벨기에 올림픽 위원회 뉴질랜드 올림픽 및 대영 제국 게임 협회 1951년 파리 스포츠 아카데미 1952년 오슬로 시 1953년 헬싱키 시 1954년 스위스 연방 체조 및 스포츠 학교 1955년 1954년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게임 조직위원회 1955년 팬아메리칸 게임 조직위원회 1956년 수상 없음 1957년 이탈리아 사일런트 스포츠 연맹 1958년 수상 없음 1959년 파나슬론 이탈리아노(제노바) 1960년 이탈리아 대학 스포츠 센터 1961년 로스앤젤레스 헬름스 체육 재단 1962년 1961년 볼리바리안 게임 조직위원회 1963년 호주 대영 제국 및 영연방 게임 협회 1964년 로스앤젤레스 남부 캘리포니아 올림픽 위원회 1965년 도쿄시 1966년 침묵 스포츠 국제위원회 1967년 볼리바리안 게임 1968년 멕시코시티 사람들 1969년 폴란드 올림픽 위원회 1970년 1966년 및 1970년 아시안 게임 조직위원회 1971년 1971년 팬아메리칸 게임 조직위원회 1972년 터키 올림픽 위원회 삿포로시 1973년 뮌헨 사람들 1974년 불가리아 올림픽 위원회 1975년 이탈리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1976년 체코슬로바키아 체육 및 스포츠 연맹 1977년 코트디부아르 올림픽 위원회 1978년 그리스 올림픽 위원회 1979년 1978년 뉴질랜드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조직위원회 1980년 히나시오 클루브(Ginásio Clube) 포르투갈어 1981년 스위스 연맹, 국제 올림픽 아카데미 1982년 라싱 클뢰브 드 프랑스 1983년 푸에르토리코 올림픽 위원회 1984년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조직 위원회 1985년 중국 올림픽 위원회 1986년 슈투트가르트 시 1988년 레퀴프 호주 사람들 1989년 서울특별시 라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 1990년 아테네의 파넬리니오스 체육 클럽 1991년 일본 올림픽 위원회 1992년 사부아주 바르셀로나 시 1993년 모나코 올림픽 위원회 1994년 프랑스 국가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 노르웨이 사람들 1995년 대한체육회 1996년 바덴바덴시 1997년 수상 없음 1998년 나가노 사람들 1999년 유엔기구 2000년 시드니 시 2001년 엘도렛(Eldoret) 킵 케이노 학교(Kip Keino School)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주민들 2003년 알링기 팀 2004년 아테네 사람들[2] 2005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박물관[3] 2006년 토리노 사람들 2007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박물관[4] 2008년 베이징 시민들[5] 2009년 수상 없음 2010년 싱가포르 사람들[6] 2011년 남아프리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와 더반 주민들 2012년 런던 시민들[7]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시민들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민들[8] 2022년 중화인민공화국 시민들
참조
[2]
뉴스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 News
http://www.olympic.o[...]
[3]
웹사이트
LP OLYMPIC MUSEUM RECEIVES HONOR
https://web.archive.[...]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Olympic Movement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5
[5]
웹인용
BOCOG officials receive IOC's highest honor
https://web.archiv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eijing 2008 Olympic Games
2008-08-25
[6]
웹인용
Singaporeans Receive Formal Tributes From IOC
https://archive.toda[...]
The Official Website of the Singapore 2010 Youth Olympic Games
2010-08-26
[7]
웹인용
Thank you, London!
http://www.olympic.o[...]
The Official Website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2-08-14
[8]
웹인용
PORTEÑOS RECOGNISED WITH OLYMPIC CUP
https://www.olympic.[...]
The Official Website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8-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