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체육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체육회는 국민체육진흥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스포츠 단체이다. 1920년 조선체육회로 시작하여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통합하고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한체육회는 전국체육대회 등 국내 대회를 개최하고, 가맹 경기 단체를 육성하며 국제 종합 경기에 관한 사업을 수행한다. 또한, 역대 회장 및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 정보를 제공하며, 대한체육회 스포츠 영웅을 선정하여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문화단체총연맹 -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가동맹은 1945년 좌익 문학 단체 통합으로 결성되어 일본 제국주의 잔재 청산 등을 강령으로 내세웠으나, 미군정의 탄압으로 활동이 위축되고 주요 인물들의 월북 이후 와해되었다. - 조선문화단체총연맹 - 백남운
백남운은 일제강점기 경제학자이자 역사학자이며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에 입각해 한국사를 연구하고 광복 후 좌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 월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에 참여한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특수법인 - 국기원
국기원은 태권도의 발전과 세계화를 목표로 설립된 대한민국 특수법인으로, 기술 개발 및 연구, 교육 사업, 지도자 양성, 시범단 운영, 국제 교류, 행사 개최, 태권도인 복지 향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하며 태권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특수법인 - 국민생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는 대한민국 생활 체육 장려 단체로서, 지역 생활체육회와 종목별 연합회 관리 및 지원, 생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세계한민족축전 개최를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과 민족 화합에 기여한다. - 1920년 설립된 단체 - 국제연맹
제1차 세계 대전 후 세계 평화 유지를 위해 설립된 국제연맹은 주요 강대국의 불참과 분쟁 대응 실패로 해체되었지만, 국제법 발전과 국제 협력 증진에 기여하며 국제연합으로 계승되었다. - 1920년 설립된 단체 - 국민협회
국민협회는 1920년 민원식 주도로 설립되어 신일본주의를 내세우며 조선인의 일본 제국 내 참정권과 자치권을 요구했으나, 조선총독부의 지원 의혹, 민원식 암살 사건, 내부 분열, 자금난 등으로 친일 행적 논란 속에 조선 사회의 정치적 상황과 민족 운동 이해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한체육회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코드 | KOR |
설립 | 1920년, 조선체육회 |
인정 | 1947년 |
협회 | AOC |
본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
회장 | 이기흥 |
사무총장 | 전충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 명칭 | |
한자 | 大韓體育會 |
한글 | 대한체육회 |
일본어 (히라가나) | だいかんたいいくかい |
일본어 (가타카나) | テハンチェユクフェ |
로마자 표기 | Daehan cheyukhoe |
영어 표기 |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KSOC) |
상세 정보 | |
약칭 | KSOC, KOC |
설립일 | 1920년 7월 13일 |
유형 | 스포츠 행정 기구, 국가 올림픽 위원회 |
형태 | 특수법인, 기타공공기관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사용 언어 | 한국어 |
회장 직함 | 회장 |
회장 | 이기흥(직무 정지) |
상급 단체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주요 스포츠 행사 | |
1988년 하계 올림픽 | 유치 과정 ( 유치 세부 정보 ) 개발 ( 경기장, 성화 봉송 ) 마케팅 ( 마스코트 ) 방송사 개막식 ( 선수단 입장 ) 연대기 요약 메달 집계 ( 메달리스트 ) 세계 기록 논란 폐막식 ( 선수단 입장 ) 패럴림픽 |
2018년 동계 올림픽 | 유치 과정 ( 유치 세부 정보 ) 경기장 성화 봉송 마케팅 ( 마스코트 ) 방송사 개막식 ( 선수단 입장 ) 연대기 요약 일정 메달 집계 ( 메달리스트 ) 세계 및 올림픽 기록 논란 ( 러시아 도핑 스캔들 ) 폐막식 ( 선수단 입장 ) 패럴림픽 |
관련 기관 | IOC KOC SLOOC POCOG |
2. 설립 근거
국민체육진흥법[27]
1920년 7월 13일 조선체육회가 창립되어 전조선풋볼대회를 포함한 각종 종목의 전국 규모 한국 대회를 개최했다.[1] 이러한 대회들은 1934년 전조선체육대회(현재의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로 통합되었고, 매년 가을에 개최되었다.[1] 그러나 조선체육회는 1938년 7월 4일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고,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 한국의 체육 활동은 제한되었다.[1]
3. 연혁
한국 독립 후인 1945년에 체육회가 부활되었고, 1947년 6월 20일 IOC에 가입했다.[1] 또한 같은 해 올림픽 경기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설립했다.[1] 체육회는 1954년 대한체육회(KASA)로,[1] 1994년에는 대한체육회(KSC)로 개칭되었다.[2] 대한체육회는 1988년 하계 올림픽을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대한올림픽위원회는 2009년 6월 24일 대한체육회에 통합되었지만, KOC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 2016년 3월에는 대한체육회와 통합되었고,[1] 2016년 11월 현재의 "대한체육회"로 명칭을 변경했으나, 이전과 같은 상징을 사용하고 있다.
2018년 11월 2일, 남북한 관계자들은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통합팀으로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4] 또한 남북한 관계자들은 2032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 입찰과 관련하여 IOC에 보낼 서한에 공동 개최 입찰을 포함하여, 입찰이 수락될 경우 양국에서 올림픽 행사가 개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4][5]
3. 1. 대한올림픽위원회 (KOC)
1920년 7월 13일 조선체육회 창설 후[28], 1938년 7월 4일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1] 1945년 11월 26일 조선체육회가 부활되었고, 1946년 7월 15일 조선체육회는 IOC 가입을 위해 런던올림픽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국가 올림픽 위원회 창설을 논의했다.[1] 1947년 5월 16일 한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인 조선올림픽위원회가 창설되었고, 1947년 6월 20일 제40차 IOC 총회에서 단서 조항이 붙은 예비 인준(provisional recognition)을 받았다. 당시 국가명 영문 명칭은 ROK(Republic of Korea)가 아닌 KOR(Korea)이었다.[1]
1948년 1월 30일 장크트모리츠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했고, 1948년 7월 런던 올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했다.[1] 1964년 대한체육회에서 분리 독립된 사단법인으로 재출발했으나, 1968년 대한체육회 산하 기구로 다시 편입되었다. 2009년 6월 29일 대한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KOC)는 완전히 통합되어 대한체육회(KOC)가 되었다.[1]
1988년 하계 올림픽이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1] 2018년 11월 2일, 남북한 관계자들은 도쿄에서 열리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통합팀으로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4] 또한, 2032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 공동 유치 의사를 IOC에 전달했다.[3][4][5]
3. 2. 대한체육회 (KSC)
1920년 조선체육회가 창립되어 전조선풋볼대회를 포함한 각종 종목의 전국 규모 대회를 개최했다.[1] 1934년 전조선체육대회(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로 통합되었으나,[1] 1938년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1]
광복 직후인 1945년 부활, 1947년 6월 20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가입했다.[1] 같은 해 올림픽 경기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설립했다.[1] 1954년 사단법인 대한체육회(Korea Sports Council, KSC)가 되었다.[1] 1983년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특수법인이 되었다. 1994년에는 대한체육회(KSC)로 개칭되었다.[2]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했다.
2009년 6월 24일 대한올림픽위원회가 대한체육회에 통합되었지만, KOC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 2016년 3월 대한체육회와 통합되었고,[1] 11월 현재의 "대한체육회"로 명칭을 변경했으나, 이전과 같은 상징을 사용하고 있다.
2018년 11월 2일, 남북한 관계자들은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통합팀으로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4] 또한 2032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 입찰과 관련하여 IOC에 보낼 서한에 공동 개최 입찰을 포함, 입찰이 수락될 경우 양국에서 올림픽 행사가 개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4][5]
4. 주요 사업
대한체육회는 국민체육진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가맹경기단체와 지부를 육성하고 지도, 감독하며, 국제 종합경기에 관한 사업을 진행한다. 전국체육대회와 전국소년체육대회 등 국내 대회를 개최한다. 감사 분야는 재능기부로 운영하고 있다.
5. 역대 회장 및 IOC 위원
wikitext
회장 | 역임 기간 |
---|---|
류운형 | 1947년 |
정환범 | 1948년 |
신익희 | 1948년–1949년 |
신흥우 | 1949년–1951년 |
조옥병 | 1951년–1952년 |
이기붕 | 1952년–1960년 |
김동하 | 1961년–1962년 |
이주일 | 1962년 |
이효 | 1962년–1964년 |
이상백 | 1964년–1966년 |
장기영 | 1966년–1968년 |
민관식 | 1968년–1970년 |
김용우 | 1971년 |
김택수 | 1974년–1976년 |
박종규 | 1979년–1980년 |
조상호 | 1980년–1982년 |
정주영 | 1982년–1984년 |
노태우 | 1984년–1985년 |
김종하 | 1985년–1989년 |
김종열 | 1989년–1993년 |
김운용 | 1993년–2002년 |
이윤택 | 2002년–2005년 |
김정길 | 2005년–2008년 |
이윤택 | 2008년–2009년 |
박용성 | 2009년–2013년 |
김정행 | 2013년–2016년 |
이기흥 | 2016년–현재 |
위원 | 활동 기간 |
---|---|
이기붕 | 1955–1960 |
이상백 | 1964–1960 |
장기영 | 1967–1977 |
김택수 | 1977–1983 |
박종규 | 1984–1985 |
김운용 | 1986–2005 |
이건희 | 1996–2017 |
박용성 | 2002–2007 |
문대성 | 2008–2016 |
유승민 | 2016–현재 |
이기흥 | 2019–현재 |
5. 1. 역대 회장
회장 | 역임 기간 |
---|---|
류운형 | 1947년 |
정환범 | 1948년 |
신익희 | 1948년–1949년 |
신흥우 | 1949년–1951년 |
조옥병 | 1951년–1952년 |
이기붕 | 1952년–1960년 |
김동하 | 1961년–1962년 |
이주일 | 1962년 |
이효 | 1962년–1964년 |
이상백 | 1964년–1966년 |
장기영 | 1966년–1968년 |
민관식 | 1968년–1970년 |
김용우 | 1971년 |
김택수 | 1974년–1976년 |
박종규 | 1979년–1980년 |
조상호 | 1980년–1982년 |
정주영 | 1982년–1984년 |
노태우 | 1984년–1985년 |
김종하 | 1985년–1989년 |
김종열 | 1989년–1993년 |
김운용 | 1993년–2002년 |
이윤택 | 2002년–2005년 |
김정길 | 2005년–2008년 |
이윤택 | 2008년–2009년 |
박용성 | 2009년–2013년 |
김정행 | 2013년–2016년 |
이기흥 | 2016년–현재 |
5. 2. IOC 위원
위원 | 활동 기간 |
---|---|
이기붕 | 1955–1960 |
이상백 | 1964–1960 |
장기영 | 1967–1977 |
김택수 | 1977–1983 |
박종규 | 1984–1985 |
김운용 | 1986–2005 |
이건희 | 1996–2017 |
박용성 | 2002–2007 |
문대성 | 2008–2016 |
유승민 | 2016–현재 |
이기흥 | 2019–현재 |
6. 조직
6. 1. 대한체육회
감사실은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의 소관이다. 홍보실과 클린스포츠센터는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의 소관이다.6. 1. 1. 사무총장
홍보실과 클린스포츠센터는 대한체육회 사무총장의 소관이다.6. 1. 2. 선수촌장
주어진 `summary`가 비어있고, `source`에는 "선수촌장"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습니다. `source`는 대한체육회 훈련본부의 하위 부서 목록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선수촌장"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7. 회원 종목
리듬 체조
소프트볼
아이스하키
수구
다이빙
아티스틱스위밍
오픈워터스위밍
하이다이빙
웨이크보딩
스켈레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