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석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석기는 고려 충혜왕의 서자이며, 은천옹주 임씨의 아들이다. 이복형 충정왕의 명으로 승려가 되어 원나라에서 거주하다가 공민왕 즉위년에 만덕사에 유폐되었다. 왕위 추대 역모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유배되었으며, 이후 처형당하고 아들 또한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75년 사망 - 조반니 보카치오
조반니 보카치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선구자 중 한 명인 작가이자 시인이며, 흑사병을 피해 피신한 남녀의 이야기를 담은 대표작 《데카메론》은 당시 사회상과 인간 본성을 묘사하여 르네상스 초기 인문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1375년 사망 - 전록생
고려 후기 문신 전록생은 충혜왕 때 등과하여 공민왕 때 기거사인, 전라도안렴사 등을 지냈고 홍건적의 난 당시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우왕 즉위 후 이인임 세력에 의해 유배 도중 사망한 인물이다. - 고려 공민왕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 고려의 승려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 고려의 승려 - 신돈
신돈은 고려 공민왕 시기 개혁을 추진했던 승려로, 신진사류 등용과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처형되었고, 현대에는 개혁 정책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왕석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왕석기 |
원래 이름 | 왕석기 (王釋器) |
작위 | 고려 왕족 종실 (高麗 王族 宗室) |
출생일 | 1341년 전후 |
출생지 | 고려 개경 |
사망일 | 1375년 |
사망지 | 고려 교주강릉도 안협에서 사형 집행됨. |
종교 | 불교 |
가계 | |
왕조 | 개성 왕씨 |
아버지 | 고려 충혜왕 |
어머니 | 은천옹주 임씨 |
친인척 | 고려 충숙왕(조부), 고려 공민왕(숙부) |
배우자 | 미상 |
자녀 | 슬하 1남 |
2. 생애
왕석기는 충혜왕의 서자로, 어머니는 은천옹주 임씨이다. 이복형 충정왕의 명으로 승려가 되어 원나라에서 거주하였다. 1351년(공민왕 즉위년) 음력 12월 공민왕에 의해 부산광역시 만덕사에 유폐되었다가[6][7] 원나라에서 석기를 데려갈까봐 다시 불려왔다.[8] 1356년(공민왕 5년) 석기를 왕위에 올린다는 역모가 고해져 관련 인물들이 참형을 당하고,[9] 석기는 제주도로 유배되었다.[8] 석기는 수정사에 숨었다가 제주도를 탈출하여 백언린의 집에 숨어들어 민간 여성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10]
1373년(공민왕 22년) 음력 12월 평양윤 전녹생이 석기를 사칭한 자의 목을 베어 개경으로 보냈다.[11] 1375년(우왕 원년) 음력 5월 석기는 처형되었고,[10] 1382년(우왕 8년) 음력 4월 석기의 아들도 살해되었다.[12]
2. 1. 출생과 승려 생활
충혜왕의 서자로, 어머니는 은천옹주 임씨이다. 이복형 충정왕의 명으로 승려로 출가하여 원나라에서 거주하였다.[6]2. 2. 역모 연루와 유배
충혜왕의 서자였던 왕석기는 어머니 은천옹주 임씨와 함께 이복형 충정왕의 명으로 승려가 되어 원나라에서 거주하였다. 1351년(공민왕 즉위년) 음력 12월, 공민왕은 왕석기를 현재의 부산광역시 만덕사에 유폐시켰다.[6][7] 공민왕은 원나라에서 왕석기를 데려갈 것을 우려하여 다시 데려왔다.[8]1356년(공민왕 5년), 왕석기를 왕으로 추대하려는 역모가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참형을 당하고, 왕석기는 제주도로 유배되었다.[9][8] 왕석기는 제주도로 유배되기 전 수정사라는 절에 숨었던 적이 있었으며, 제주도를 탈출하여 백언린의 집에 숨어들어 민간 여성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다.[10]
2. 3. 최후
1373년(공민왕 22년) 음력 12월, 평양윤 전녹생이 왕석기를 사칭한 자의 목을 베어 그 머리를 개경으로 보냈다.[11]1375년(우왕 원년) 음력 5월 왕석기는 처형되었고,[10] 1382년(우왕 8년) 음력 4월에는 왕석기의 아들도 살해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8-01
[2]
웹사이트
석기가 만덕사에 출가했다가 공민왕에게 소환되다
http://db.history.go[...]
2021-09-12
[3]
웹사이트
석기가 임중보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제주로 유배되다가 도망치다
http://db.history.go[...]
2021-09-12
[4]
서적
읽기 쉬운 고려왕 이야기
https://books.google[...]
Taeoreum
2009
[5]
웹사이트
석기를 안협현에서 체포하여 진위를 확인하다
http://db.history.go[...]
2021-09-12
[6]
뉴스
"<화제> 부산 萬德寺址 복원 목소리 높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4-11-25
[7]
웹인용
《고려사절요》권26 - 충정왕
http://db.itkc.or.kr[...]
2018-10-31
[8]
문서
디지털제주문화대전 〈석기〉항목
http://jeju.grandcul[...]
[9]
웹인용
《고려사절요》권26 - 공민왕1
http://db.itkc.or.kr[...]
2018-10-31
[10]
문서
《동국통감》권50 고려기 1375년
https://terms.naver.[...]
[11]
웹인용
《고려사절요》권29 - 공민왕4
http://db.itkc.or.kr[...]
2018-10-31
[12]
문서
《동국통감》권51 고려기 1382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