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응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응린은 남송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9세에 육경에 통달했으며, 진사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그는 서안현 주부, 양주 교수, 기거사인, 비서감권중서사인 등을 역임했으며, 가사도의 영향으로 좌천되거나 관직을 사임하기도 했다. 가사도 실각 후 급사중좌승상까지 올랐으나,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관직을 물러나 학문에 전념했다. 저서로는 700권에 달하는 저술이 있으며, 『옥해』, 『곤학기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96년 사망 - 교황 첼레스티노 5세
교황 첼레스티노 5세는 은수자 출신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5개월 만에 자진 퇴위하여 교황 역사상 드물게 퇴위한 교황으로 기록되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고 교황 사임의 선례로 재조명되고 있다. - 1296년 사망 - 제1대 랭커스터 백작 에드먼드
제1대 랭커스터 백작 에드먼드는 잉글랜드 왕 헨리 3세의 아들이자 에드워드 1세의 동생으로, 랭커스터 가문을 창시하고 웨일스 침공, 십자군 원정, 가스코뉴 원정에 참여했으며 프랑스와의 갈등 속에서 사망했다. - 1223년 출생 - 바이바르스
바이바르스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으로서 몽골군을 격파하고 십자군을 물리치는 등 이슬람 세계의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와 기마 전령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켰다. - 1223년 출생 - 이치조 사네쓰네
구조 미치이에의 아들인 이치조 사네쓰네는 가마쿠라 시대 간바쿠와 섭정을 역임하고 고후카쿠사 천황의 토구후를 겸했으나 미야 소동에 연루되어 물러났다가 복권되기도 한 공경이다. - 남송의 정치인 - 문천상
남송 말기 문신 문천상은 몽골 침략에 맞서 의용군을 조직하여 항전하다 체포되어 순절했으며, 그의 충절과 정기가는 동아시아 독립운동에 영향을 주었고 민족 저항 정신의 상징으로 추앙받으나 동북공정 관점에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남송의 정치인 - 한탁주
한탁주는 남송의 관료이자 정치가로, 효종의 신임을 바탕으로 영종 옹립에 기여하여 13년간 권력을 누렸으나, 측근 중용, 성리학 탄압, 개희북벌 실패 등으로 남송 쇠퇴의 원인이 된 인물이다.
왕응린 | |
---|---|
기본 정보 | |
![]() | |
자 | 백후(伯厚) |
시호 | 문정(文定) |
출생 | 1223년 |
사망 | 1296년 |
국적 | 남송 |
직업 | 학자, 역사가, 관료 |
활동 시기 | 남송 말기 |
관직 경력 | |
봉상지부(寶章閣直學士) | 역임 |
예부상서(禮部尚書) | 역임 |
한림원 학사 | 역임 |
저서 |
2. 생애
왕응린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9세에 육경에 통달했다. 순우 원년(1241년)에 진사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나, 가사도와의 갈등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학문에 정진했다. 가사도 사후 복직하여 고위 관직을 역임했지만,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관직을 내려놓고 20년간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2. 1. 관직 생활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9세에 육경에 통달했다.순우 원년(1241년)에 진사과에 급제하여 서안현의 주부에 임명되었다. 서안현 사람들은 주부가 젊다고 경시했지만 법을 엄정하게 집행하는 왕응린에게 공순했다. 그 후 절서제거상평차염주관장사에 승진했고, 아버지 왕휘의 상을 치르기 위해 한 번 관직을 사임했지만, 상을 마치자 양주 교수로 임명되었다.
당시 관리가 승진을 우선시하여 학문을 경시하는 풍조에 분개하여 보우 4년(1256년)에 스스로 박학굉사과의 시험에 급제했다. 동생 왕응봉도 개경 원년(1259년)에 같은 과에 급제하여 형제가 황제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그 후 기거사인, 권중서사인으로 승진했지만, 당시 조정에서 권세를 자랑하던 가사도에게 소외되어 휘주 지주로 좌천되었다. 그 후 다시 중앙으로 소환되어 비서감권중서사인에 임명되었고, 국사편수·실록검토와 시강·기거랑과 이부시랑을 역임했다. 그 후 다시 가사도의 압력이 가해져 어머니의 상을 계기로 관직을 사임했다. 가사도의 실각 후, 복직하여 급사중좌승상에까지 누진했지만,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을 이유로 관직을 물러났고, 그 후 20년은 학문에 전념했다.
2. 2. 은퇴와 학문 연구
순우 원년(1241년)에 진사과에 급제하여 서안현의 주부에 임명되었다. 서안현 사람들은 주부가 젊다고 경시했지만 법을 엄정하게 집행하는 왕응린에게 공순했다. 그 후 절서제거상평차염주관장사에 승진했고, 아버지 왕휘의 상을 치르기 위해 관직을 사임했지만, 상을 마치자 양주 교수로 임명되었다.당시 관리가 승진을 우선시하여 학문을 경시하는 풍조에 분개하여 보우 4년(1256년)에 스스로 박학굉사과의 시험에 급제했다. 개경 원년(1259년)에 동생 왕응봉도 같은 과에 급제하여 형제가 황제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그 후 기거사인, 권중서사인으로 승진했지만, 당시 조정에서 권세를 자랑하던 가사도에게 소외되어 휘주 지주로 좌천되었다. 다시 중앙으로 소환되어 비서감권중서사인에 임명되었고, 국사편수·실록검토와 시강·기거랑과 이부시랑을 역임했다. 이후 가사도의 압력이 가해져 어머니의 상을 계기로 관직을 사임했다.
가사도의 실각 후 복직하여 급사중좌승상에까지 누진했지만,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을 이유로 관직을 물러났고, 그 후 20년은 학문에 전념했다.
3. 저서
왕응린의 저서는 총 700권에 달하며, 옥해, 곤학기문 등은 후세 역사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심녕집』
- 『옥당류고』
- 『액원류고』
- 『시고』
- 『시지리고』
- 『한예문지고증』
- 『통감지리고』
- 『통감지리통석』
- 『통감답문』
- 『몽훈』
- 『필해』
- 『한제고』
- 『소학감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