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천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천상은 남송 말기의 문신으로, 1236년 길주에서 태어나 1283년 원나라에 항거하다 처형당했다. 1255년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했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수도를 옮기려는 것에 반대하여 면직되기도 했다. 1275년에는 의용군을 조직하여 원나라에 대항했으며, 포로로 잡혀 북송되던 중 탈출하여 남송 부흥을 위해 싸웠다. 오파령 전투에서 패배하여 체포된 후, 원나라의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충절은 '정기가'를 통해 나타났으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중국, 홍콩, 대만 등지에서 기념되고 있으며, 문씨 가문의 후손은 홍콩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의 재상 - 사미원
사미원은 남송 효종 때 우승상 사호의 아들로, 과거 급제 후 한탁주의 북벌을 반대하고 숙청을 주도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25년간 재상으로 재임하며 남송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 남송의 재상 - 육수부
육수부는 남송 말기의 충신이자 정치가로, 원나라의 침공에 맞서 남송의 마지막 저항을 이끌었으며, 어린 황제를 옹립하여 국정을 운영하다 야먼 해전에서 패배 후 순절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 1236년 출생 - 충렬왕
충렬왕은 원종과 순경태후 사이에서 태어나 쿠빌라이 칸의 딸과 혼인하여 몽골 제국의 부마가 되었으며, 원나라와의 외교를 통해 영토를 회복하고 자치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몽골의 일본 원정 강제 동원, 외부 침입, 방탕한 생활 등으로 비판받은 고려의 제25대 국왕이다. - 1236년 출생 - 육수부
육수부는 남송 말기의 충신이자 정치가로, 원나라의 침공에 맞서 남송의 마지막 저항을 이끌었으며, 어린 황제를 옹립하여 국정을 운영하다 야먼 해전에서 패배 후 순절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 1283년 사망 - 알렉산더 스튜어트
알렉산더 스튜어트는 스코틀랜드의 궁내관으로, 제7차 십자군 원정에 참여하고 알렉산더 3세의 섭정으로 활동했으며, 라르그스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군대를 지휘하여 노르웨이의 침략을 막아 스튜어트 왕조의 기반을 마련하고 스코틀랜드 독립 수호에 기여했다. - 1283년 사망 - 왕준 (고려 왕족)
왕준은 고려 후기 왕족으로 몽골에 가짜 왕자로 보내져 몽골 귀족 사회에 편입되어 친원적인 행적을 보였으나 홍차구의 무고로 쿠빌라이 칸의 분노를 사 칩거하며 후대에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문천상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신국공 |
이름 | 문천상 |
본명 | 문운손 |
출생일 | 1236년 6월 6일 |
출생지 | 루링, 강서 서부 회로, 송나라 중국 (현재 지안, 장시 성) |
사망일 | 1283년 1월 9일 |
사망지 | 다두, 원나라 중국 (현재 베이징) |
관직 | |
관직 | 남송의 승상 |
재임 시작 | 1275년 |
공동 승상 | 천의중 (1275년–1276년) |
이전 승상 | 가사도 |
다음 승상 | 육수부 |
재임 종료 | 1278년 |
군주 | 공제 단종 조병 |
기타 | |
한자 표기 | 간체: 文天祥 정체: 文天祥 |
로마자 표기 | 중국어 병음: Wén Tiānxiáng 하카어: Vùn Thiên-siông |
별칭 | 대송삼충왕 |
관련 정보 | 문천상의 이야기: 충성과 용기 |
2. 생애
1236년 남송에서 태어난 문천상은 1255년 진사시에 수석으로 합격하며 관직에 진출했다. 1259년 몽골군의 침입으로 수도를 옮기려는 조정에 반대하다 면직되었으나, 1275년 의용군을 조직해 원나라에 맞섰다. 1276년 원나라와 강화를 맺기 위해 바얀의 진중으로 갔다가 갇혔고, 그 사이 남송은 멸망했다.
포로로 잡혀 북송되던 중 탈출한 문천상은 도종의 장자 익왕을 받들고 잔병을 모아 싸웠으나, 1278년 오파령 전투에서 패해 장홍범(張弘範)에게 체포되었다. 원나라에서 회유를 받았지만, 문천상은 끝까지 거절하며 절개를 지켰다. 대도로 이송되어 약 3년간 갇혀 있는 동안 옥중에서 정기가를 지었다.
1283년 "충신은 두 주군을 섬기지 않는다"는 말을 남기고 사형당했으며, 향년 46세였다. 쿠빌라이 칸은 문천상의 사형을 만류했으나 이미 늦은 후였다고 《송사》는 전한다. 문천상은 충신의 귀감으로 후세에 추앙받았으며, '정기의 노래'는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다. 일본 에도 시대 아사미 케이사이(浅見絅斎)는 정헌유언(靖獻遺言)에 평전을 실었고, 막말 지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후지타 도코(藤田東湖),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일러전쟁(日露戦争) 당시 히로세 타케오(広瀬武夫) 등은 각자 자신만의 ‘정기의 노래’를 지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236년 남송 길주(吉州) 여릉(廬陵, 현재의 장시성 지안 뤄링)에서 태어났다.[4] 1255년 20세에 과거(科挙) 진사시에 장원(状元)(수석)으로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10] 과거 시험에서 제출한 "법천식마(法天息まず)"라는 제목의 답안은 시험관 왕응린(王應麟)과 황제 리종(理宗)에게 극찬을 받았다.[10] 이후 형부랑관(刑部郎官), 간주(贛州) 태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4]2. 2. 몽골 침입과 저항
1259년, 남송이 몽골군의 침입을 받으면서 수도를 옮기려는 조정의 결정에 반대하여 문천상은 면직되었다.[4] 이후 복직하였으나 당시 재상이었던 가사도(賈似道)와의 불화로 사직하였다.文天祥|문천상중국어은 몽골의 침략에 맞선 전쟁을 지지했기에 부패한 관리 가사도(賈似道)와 주화파(主和派)와 빈번하게 갈등을 빚었다.[4] 수도 린안(臨安)에서 도망칠 것을 제안한 내시를 처형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좌천되어 37세에 조기 은퇴를 강요당했다.
하지만 몽골의 공격이 거세지자 복직하여 원과의 전투에 참전하였고, 1276년 우승상(丞相) 겸 추밀사(枢密使)가 되었다. 그리고 원과의 강화 협상 사절이 되었으나, 원 측의 바얀(伯顔)과의 협상 후에 체포되었다.[4]
문천상이 체포되어 있는 동안 수도 림안(臨安)이 함락되었고, 장세걸(張世傑), 육수부(陸秀夫) 등은 어린 황제를 옹립하고 저항을 계속하였다. 문천상 또한 원의 군중에서 탈출하여 각지에서 게릴라 활동을 하며 2년 이상 저항하였으나, 1278년에 결국 체포되어 대도(大都)(현재 베이징)로 압송되었다.[5]
2. 3. 체포와 최후
1278년, 오파령 전투에서 패배하여 원나라 장수 장홍범(張弘範)에게 체포되었다.[1][5] 장홍범은 문천상을 잘 대우하며 항복하면 원나라에서 높은 벼슬을 주겠다고 회유했지만, 문천상은 이를 거절했다.[1][6] 야문 전투(崖門之戰) (1279년)에서 송나라의 저항 세력이 완전히 무너지자, 장홍범은 다시 같은 제안을 하며 이미 멸망한 송나라에 더 이상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천상은 "나는 송나라의 신하였으나 나라를 구하지 못했다. 나는 죄인으로 처벌받아 마땅하며, 어찌 목숨을 구걸해야 하는가?"라며 단호하게 거절했다.[1][6]결국 문천상은 칸발릭(大都)으로 압송되어[1][6] 약 3년간 군사 감옥에 갇혔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정기가"와 "령정해(嶺丁海)를 건너며"라는 시를 지었는데, 특히 '과영정양'에는 몽골 지배에 저항하는 의지가 담겨 있었다.[7]
원나라 조정은 여전히 문천상을 설득하려 했다. 몽골군이 린안(臨安)에 접근했을 때 도망쳤던 전 송나라 승상 류몽양(劉夢炎)을 보내 설득하려 했으나, 분노한 문천상은 류몽양에게 심한 질책을 퍼부었다.[1][8] 송 공제(宋恭帝)를 보내 설득하려 했을 때는 "폐하께서는 궁궐로 돌아가십시오!"라고만 대답했다. 그의 형 웬피(文壁)가 같은 임무를 가지고 왔을 때는 "우리는 같은 부모를 두었지만 같은 하늘 아래서 일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투옥 중 딸로부터 온 편지를 받고는 "편지를 받았다. 내 마음이 너무 아프다. 모든 사람에게 친척과 가족이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는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다른 방법은 없다."라고 답장했다.[1]
1283년, 쿠빌라이 칸(忽必烈) 앞에 불려간 문천상은 잠시 머리를 숙여 원나라 황제에게 인사했지만, 원나라 신하로서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는 거부했다. 쿠빌라이 칸은 다시 벼슬을 제안했지만, 문천상은 "나는 송나라의 재상이다. 다른 왕조를 섬길 수 없다! 죽음만이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저승에서 순국한 영웅들을 볼 면목이 없다. [...] 나는 오직 죽음만을 원하며, 할 말이 없다."라고 거듭 거절했다. 그때 반란이 일어나 문천상을 구출하겠다는 선포가 있자, 쿠빌라이 칸은 어쩔 수 없이 문천상을 처형했다.[1]
문천상은 체포된 직후부터 죽음을 원했으며, 1283년 1월,[10] 남쪽(남송의 방향)을 향해 절을 올리고 사형당했다. 향년 47세였다. 쿠빌라이 칸은 문천상을 두고 "참으로 남자다운 사람이다"라고 평했다고 한다.
문천상의 죽음 후, 사람들은 그의 사형시(死刑詩)가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고 전한다.[9]
문천상은 남송에 대한 충절을 지킨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시 '정기가(正氣歌)'는 절개와 애국심을 노래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9] 일본 에도 시대 아사미 케이사이(浅見絅斎)는 정헌유언(靖獻遺言)에 문천상의 평전을 썼으며, 막말의 지사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후지타 도코(藤田東湖),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일러전쟁(日露戦争) 당시의 히로세 타케오(広瀬武夫) 등은 각자 자신만의 '정기의 노래'를 지었다.
3. 평가
현대 중국의 동북공정 관점에서는 문천상과 같은 민족 영웅을 중국 통일을 방해한 역적으로 폄하하기도 한다. 이는 악비(岳飛)에 대한 평가와도 유사한 논란을 낳고 있다.
3.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문천상의 '정기가(正氣歌)'는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에게도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였다. 안중근 의사는 뤼순 감옥에서 '정기가'를 탐독하며 민족정신을 고취하였다.[7] 윤봉길 의사의 유품 중에는 문천상의 시를 적은 부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4. 유적
문천상과 관련된 유적은 중국, 홍콩, 대만 등지에 널리 분포해 있다.
4. 1. 중국
장시성(江西省) 지안시(吉安市)에는 문천상의 능묘와 문씨 가문의 사당이 있다. 복천 문씨 조상 사당(Wen Family Ancestral Temple in Futian)에는 문천상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 서예, 군복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문천상 능묘는 우호산(Wohushan)에 위치해 있다.[1]
베이징 동성구(東城區)에는 문천상을 기리는 기념관이 있다. 이 기념관은 명나라 홍무제(洪武帝) 때인 1376년에 건립되었으며, 문천상이 처형된 장소로 추정되는 곳 근처인 북신교(北新橋) 부근 남복서 골목 입구 북쪽에 위치한다. 기념관 본당 기둥에는 "송나라의 으뜸 학자이자 총리, 서강(西江)의 효자이자 충신"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1]
광둥성(廣東省) 산터우시(汕頭市) 차오양구(潮陽區)에는 송나라 말기 원나라에 저항한 영웅들을 기리는 "금장군묘(金將軍墓)"가 있다. 차오양구 구라오진(古饒鎮) 지역에는 문천상에 대한 많은 전설이 전해 오는데, 남송 말기 문천상이 차오양에서 원나라 침략군에 저항하는 군대를 일으켰으나, 전투 중 해풍현(海豐縣)에서 포로로 잡혔다고 한다. 구라오와 인근 마을에는 송나라 무덤 9기가 있으며, 후대에는 문천상과 그의 후손들을 기리는 축제인 구라오 축제(古饒節)가 열린다.[1]

4. 2. 홍콩
홍콩 신계(New Territories) 산틴(San Tin) 지역에는 문(Wen)씨의 광둥어 발음인 "만(Man)"씨 성을 가진 많은 마을 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송나라의 유명한 장군이자 문천상의 사촌인 만천수이(Man Tin-Sui)를 통해 문천상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산틴에 있는 문천상 기념공원과 "만"씨 종가 및 저택(대부태 저택(Tai Fu Tai Mansion))은 홍콩의 역사적 명소이다.
4. 3. 대만
타로코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천상(天祥, Tianxiang)'은 원래 'Tapido'라고 불렸으나,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중앙횡단고속도로 건설 당시 문천상을 기리기 위해 개명되었다.[1] 천상은 현재 타이완 동부의 유명한 휴양지이다.[1]타이베이 중산구 민권서로 MRT 역 근처, 가오슝 삼민구, 화롄현 쉬린에는 문천상의 이름을 딴 "천상로(Tianxiang Road)"가 있다.[1]
5. 가계
문천상은 아들들이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동생의 세 아들을 입양하였다.[1]
문천상의 후손들은 장시 성, 후난 성, 하이난 성, 광둥 성, 푸젠 성, 홍콩 등지에 퍼져 살고 있다. 지역 방언으로는 "Man"(광둥어), "Vun"(객가어), "Boon"(복건어), "Bhung"(차오저우어)로 발음된다.[1] "Man" 씨족은 신계의 오대 명문 중 하나로 여겨지며 홍콩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명나라의 저명한 화가이자 서예가인 문징명 또한 문씨 가문 출신이다. 마오쩌둥의 어머니인 문치메이 또한 문씨 가문의 후손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Story of Wen Tianxiang: Loyalty and Courage
http://en.minghui.or[...]
2023-12-17
[2]
서적
当代海外华人社团研究
https://books.google[...]
厦门大学出版社
1995
[3]
서적
Chen Jiongming and the Federalist Movement: Regional Leadership and Nation Building in Early Republican China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1999
[4]
서적
Five-thousand years of Chinese history, Vol 3. (Vietnamese translation)
https://www.dtv-eboo[...]
Culture and Information Publishing House
2001
[5]
서적
Five-thousand years of Chinese history, Vol 3. (Vietnamese translation)
https://www.dtv-eboo[...]
Culture and Information Publishing House
2001
[6]
서적
Five-thousand years of Chinese history, Vol 3. (Vietnamese translation)
https://www.dtv-eboo[...]
Culture and Information Publishing House
2001
[7]
서적
The Poet-Historian Qian Qianyi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09
[8]
웹사이트
Lưu thủ đan tâm chiếu hãn thanh
http://vietnamese.cr[...]
[9]
서적
Women and National Trauma in Late Imperial Chinese Literature
https://www.hup.harv[...]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