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제프 폰 하머푸르크시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제프 폰 하머푸르크시탈은 오스트리아의 외교관이자 동양학자로,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아랍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다작의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하페즈의 디반을 서양 언어로 완역했으며, 1847년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959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 동양학회는 그의 업적을 기려 'Österreichische Orient-Gesellschaft Hammer-Purgstall'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오스만 제국사》가 있다.

2. 생애

슈티리아 공국(현재 오스트리아 슈티리아) 그라츠에서 '''요제프 하머'''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주로 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796년 외교부에 들어가 1799년에는 이스탄불 주재 오스트리아 대사관에 임명되었다. 이 시기 영국 해군 제독 시드니 스미스와 영국 육군 장군 존 헬리-허친슨 휘하에서 프랑스에 대항하는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1807년 동방에서 오스트리아로 돌아온 후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1824년 기사 작위(리터)를 받아 이후 스스로를 ''리터 요제프 폰 하머''라고 칭했다.

하머푸르크시탈은 50년 동안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문헌을 번역하고 텍스트를 출판하는 등 매우 다양한 주제에 걸쳐 방대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특히 하페즈의 시집인 디반을 서양 언어로는 처음으로 완역하여 출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11] 그러나 그의 연구 범위가 매우 넓었기 때문에 당대 전문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과 같은 학자와 천일야화의 기원에 대해 논쟁하기도 했다.

요제프 폰 하머푸르크시탈의 메달(1847)


그는 에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설립을 지원했으며,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1847–1849)을 역임했다. 1847년에는 친구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프랭클의 의뢰로 제작된 기념 메달을 받았다.[3][12] 그의 업적을 기려 1959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 동양학회는 공식 명칭에 그의 이름을 포함하고 있다.

1856년 11월 23일 에서 사망했다.[4][1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라츠, 슈티리아 공국(현재 오스트리아 슈티리아)에서 '''요제프 하머'''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주로 에서 어린 시절 교육을 받았다. 1796년 외교부에 들어가 1799년에는 이스탄불 주재 오스트리아 대사관에 임명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영국 해군의 윌리엄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영국 육군의 존 헬리-허친슨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에 대항하는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1807년 동방에서 오스트리아로 돌아온 후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1824년에는 기사 작위를 받아 이후 스스로를 ''리터 요제프 폰 하머''라고 칭했다.

2. 2. 외교관 경력

슈티리아 공국(현재 슈티리아,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요제프 하머'''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주로 에서 교육을 받았다. 1796년 외교부에 입문하여 1799년 이스탄불 주재 오스트리아 대사관에 임명되었다. 이 자격으로 시드니 스미스 제독과 존 헬리-허친슨 장군 휘하의 원정에 참여하여 프랑스에 대항했다. 1807년 동방에서 귀국한 후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

1824년 기사 작위(리터)를 받아 이후 스스로를 ''리터 요제프 폰 하머''라고 칭했다.

2. 3. 학문 연구 및 저술 활동

50년 동안 하머푸르크시탈은 매우 폭넓은 주제에 걸쳐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작가들의 수많은 텍스트를 편집하고 번역하여 출판했다. 그는 서양 언어로는 최초로 하페즈의 시집인 디반을 완역하여 출판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2]

그러나 그의 연구 범위가 워낙 방대했기 때문에, 당대 전문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폰 디에츠(Heinrich Friedrich von Diez, 1751–1817)는 1815년에 출판한 저서 Unfug und Betrug in der morgenländischen Litteratur, nebst vielen hundert Proben von der groben Unwissenheit des H. v. Hammer zu Wien in Sprachen und Wissenschaften|동양 문학의 난센스와 사기, 빈의 하머 씨가 언어와 학문에서 보인 심각한 무지에 대한 수백 가지 증거와 함께de에서 거의 600페이지에 걸쳐 하머푸르크시탈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한 그는 동시대의 젊은 영국 학자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천일야화의 기원에 대해 우호적인 학문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하머푸르크시탈은 에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1847–1849)을 역임했다. 근동 지역과의 문화적 관계 증진을 목표로 1959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 동양학회(Österreichische Orient-Gesellschaft)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공식 명칭에 '하머푸르크시탈'을 넣어 'Österreichische Orient-Gesellschaft Hammer-Purgstall'로 사용하고 있다.

1847년, 그는 친구인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프랭클(Ludwig August von Frankl)이 의뢰하여 제작된 기념 메달을 받았다. 메달 뒷면에는 그의 여러 저작들을 상징하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3]

하머푸르크시탈의 주요 저작은 10권으로 이루어진 오스만 제국사 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de (1827–1835)이다. 그의 다른 주요 저술 및 번역 활동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고대 알파벳과 상형 문자 해설; 이집트 사제, 그들의 계급, 입문 및 희생에 대한 설명1806아흐마드 이븐 알리 이븐 와흐쉬야 저, 하머 편집 및 번역. [https://archive.org/details/ancientalphabets01ibnw/ 원문 링크]
Des osmanischen Reichs Staatsverfassung und Staatsverwaltung, dargestellt aus den Quellen seiner Grundgesetze|오스만 제국의 국가 헌법과 행정부, 그 기본 법률의 출처를 통해 묘사de1815[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786978 1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786979 2권]
Geschichte der schönen Redekünste Persiens mit einer Blüthenlese aus zweyhundert persischen Dichtern|페르시아의 아름다운 수사학의 역사, 200명의 페르시아 시인들의 선집과 함께de1818
Die Geschichte der Assassinen aus morgenländischen Quellen|동방 자료에서 얻은 암살자들의 역사de1818영어 번역: The History of the Assassins (1835)
Umblick auf einer Reise von Constantinopel nach Brussa und dem Olympos, und von da zurück über Nicäa und Nicomedien|콘스탄티노플에서 브루사로, 올림포스로의 여행과 니케아와 니코메디아를 거쳐 돌아오는 여행에 대한 개요de1818[https://books.google.com/books?id=cZZbAAAAQAAJ 원문 링크]
Morgenländisches Kleeblatt|동방의 클로버de1819
Constantinopolis und der Bosporos, örtlich und geschichtlich beschrieben|콘스탄티노플과 보스포러스 해협, 지역적 및 역사적으로 묘사de1822[https://archive.org/details/bub_gb_xpFMAAAAcAAJ 원문 링크]
Sur les origines russes|러시아 기원에 관하여프랑스어1825
오스만 제국사 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de1827–183510권. 개정판 4권 (1834–1836), 재판 (1840). 하머푸르크시탈의 대표작.
Narrative of Travels in Europe, Asia, and Africa in the Seventeenth Century by Evliya Efendi (Evliya Çelebi)1834–1850에블리야 첼레비의 Seyahatname|세야하트나메ota 1, 2권 영어 번역. [https://archive.org/details/narrativeoftrave01evli 1권.1], 1권.2, [https://archive.org/details/narrativeoftrave02evli 2권]
Geschichte der osmanischen Dichtkunst|오스만 시의 역사de1836
Geschichte der Goldenen Horde in Kiptschak, das ist der Mongolen in Russland|킵차크의 황금 호르드, 즉 러시아의 몽골족의 역사de1840
Geschichte der Ilchane, das ist der Mongolen in Persien|일 칸국의 역사, 즉 페르시아의 몽골족의 역사de1842[https://archive.org/details/geschichtederilc01hamm 1권], [https://archive.org/details/geschichtederilc02hamm 2권]
Khlesl's, des Cardinals, Directors des geheimen Cabinetes Kaiser Mathias, Leben|카르디날 크레스르, 황제 마티아스의 비밀 내각 국장의 생애de1847–1851멜키오르 크레스르의 4권짜리 전기. [https://opacplus.bsb-muenchen.de/title/BV025731231 원문 링크]
Literaturgeschichte der Araber. Von ihrem Beginne bis zu Ende des zwölften Jahrhunderts der Hidschret|아랍 문학사. 그 시작부터 이슬람력 12세기 말까지de1850–18567권. 미완성. [https://www.digitale-sammlungen.de/de/view/bsb10218841 1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2 2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3 3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4 4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5 5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6 6권],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218847 7권]
Geschichte der Chane der Krim unter osmanischer Herrschaft|오스만 통치하의 크림 칸의 역사de1856
Erinnerungen aus meinem Leben, 1774–1852|내 생애의 회고, 1774–1852de1940라인하르트 바호펜 폰 에흐트 편집. 사후 출판된 회고록.


2. 4. 학문적 비판

하머푸르크시탈은 50년 동안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문헌 번역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한 주제에 걸쳐 방대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하페즈의 시집(디반)을 서양 언어로 완역하여 출판한 최초의 인물이기도 하다.[2]

그러나 그의 연구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다는 점 때문에 당대 전문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폰 디에츠는 1815년에 출간한 자신의 저서 Unfug und Betrug in der morgenländischen Litteratur, nebst vielen hundert Proben von der groben Unwissenheit des H. v. Hammer zu Wien in Sprachen und Wissenschaften|동양 문헌의 허튼소리와 사기, 그리고 빈의 하머 씨가 언어와 학문 분야에서 보여준 심각한 무지에 대한 수백 가지 사례deu에서 약 600쪽에 걸쳐 하머푸르크시탈의 학문적 오류와 무지를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동시대 영국의 젊은 학자였던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과는 천일야화의 기원에 대해 우호적인 학문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2. 5.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설립

하머-푸르크슈탈은 에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설립을 지원했으며, 1847년부터 1849년까지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847년에는 친구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프랭클의 의뢰로 제작된 기념 메달을 받았다. 이 메달의 뒷면에는 그의 저작 일부가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3]

근동과의 문화 관계 증진을 목표로 1959년에 설립된 오스트리아 동양학회는 요제프 폰 하머-푸르크슈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공식 명칭에 '하머-푸르크슈탈'(Österreichische Orient-Gesellschaft Hammer-Purgstalldeu)을 포함하고 있다.

2. 6. 말년

1824년 기사 작위를 받아 이후 스스로를 ''리터 요제프 폰 하머''라고 칭했다.

50년 동안 하머-푸르크슈탈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많은 글을 썼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작가의 수많은 텍스트와 번역본을 출판했다. 그는 하페즈의 디반을 서양 언어로 완역하여 출판한 최초의 인물이었다.[2][11] 그러나 연구 분야가 너무 광범위하여 전문가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폰 디에츠는 그의 저서에서 하머-푸르크슈탈의 학문적 오류를 지적하는 데 많은 분량을 할애했다. 또한 동시대의 영국인 학자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천일야화의 기원에 대해 학문적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하머-푸르크슈탈은 에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설립을 지원했으며,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1847–1849)을 역임했다. 1847년에는 친구 루트비히 아우구스트 폰 프랭클이 의뢰한 기념 메달을 받았다. 메달 뒷면에는 그의 작품 중 일부가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3][12]

그는 1856년 11월 23일 에서 사망했다.[4][13]

3. 사상

하머는 당시 그리스인들이 언어적, 정치적 근거에서 동방 문화권에 속한다고 여겼으며,[5] 고전적 유산을 그리스인과 동일시하는 친헬레니즘적 경향을 따르지 않았다.[6] 이러한 점에서 그는 18세기 후반의 지적 전통을 충실히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7]

4. 가족

하머는 1816년 오스트리아 유대인 금융가 요제프 폰 헤니크슈타인의 딸인 캐롤라인 폰 헤니크슈타인(1797–1844)과 결혼했다. 1835년에는 친구 고트프리트 벤젤 폰 푸르크슈탈의 미망인인 푸르크슈탈 백작부인(옛 성씨는 제인 앤 크랜스턴)의 재산을 상속받아 '자유 남작' 작위를 얻었고, 성을 하머-푸르크슈탈로 변경했다.[9]

5. 주요 저서

하머-푸르크슈탈의 가장 중요한 저서는 오스만 제국사(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ger)로,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헝가리 페스트에서 1827년부터 1835년까지 출판되었다. 이후 1834년부터 1836년까지 4권짜리 개정판이 나왔고, 1840년에 재판되었다.

그의 다른 주요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 1806년: 아흐마드 이븐 알리 이븐 와흐쉬야 저, ''고대 알파벳과 상형 문자 해설; 이집트 사제, 그들의 계급, 입문 및 희생에 대한 설명''(Ancient Alphabets and Hieroglyphic Characters Explained; with an Account of the Egyptian Priests, their Classes, Initiation, and Sacrificeseng), J. 하머 편집 및 번역 (런던)
  • 1815년: ''오스만 제국의 국가 헌법과 행정부, 그 기본 법률의 출처를 통해 묘사''(Des osmanischen Reichs Staatsverfassung und Staatsverwaltung, dargestellt aus den Quellen seiner Grundgesetzeger) (1권, 2권, )
  • 1818년: ''페르시아의 아름다운 수사학의 역사, 200명의 페르시아 시인들의 선집과 함께''(Geschichte der schönen Redekünste Persiens mit einer Blüthenlese aus zweyhundert persischen Dichternger) ()
  • 1818년: ''콘스탄티노플에서 브루사로, 올림포스로의 여행과 니케아와 니코메디아를 거쳐 돌아오는 여행에 대한 개요''(Umblick auf einer Reise von Constantinopel nach Brussa und dem Olympos, und von da zurück über Nicäa und Nicomedienger) (페스트)
  • 1818년: ''동방 자료에서 얻은 암살자들의 역사''(Die Geschichte der Assassinen aus morgenländischen Quellenger) (슈투트가르트튀빙겐). 이 책은 1835년 O. C. 우드에 의해 ''암살자들의 역사''(The History of the Assassinseng)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 1819년: ''동방의 클로버''(Morgenländisches Kleeblattger) ()
  • 1822년: ''콘스탄티노플과 보스포러스 해협, 지역적 및 역사적으로 묘사''(Constantinopolis und der Bosporos, örtlich und geschichtlich beschriebenger) (페스트)
  • 1825년: ''러시아 기원에 관하여''(Sur les origines russesfra) (상트페테르부르크)
  • 1834년–1850년: 에블리야 첼레비 저, ''17세기의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여행 이야기''(Narrative of Travels in Europe, Asia, and Africa in the Seventeenth Century by Evliya Efendi (Evliya Çelebi)eng), J. 폰 하머 번역 (2권). 이는 오스만 터키어 Seyahatname|세야하트나메ota의 첫 두 권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1권, 2권)
  • 1836년: ''오스만 시의 역사''(Geschichte der osmanischen Dichtkunstger)
  • 1840년: ''킵차크의 황금 호르드, 즉 러시아의 몽골족의 역사''(Geschichte der Goldenen Horde in Kiptschak, das ist der Mongolen in Russlandger) (페스트)
  • 1842년: ''일 칸국의 역사, 즉 페르시아의 몽골족의 역사''(Geschichte der Ilchane, das ist der Mongolen in Persienger) (2권, 다름슈타트)
  • 1847년–1851년: ''카르디날 크레스르, 황제 마티아스의 비밀 내각 국장의 생애''(Khlesl's, des Cardinals, Directors des geheimen Cabinetes Kaiser Mathias, Lebenger) (4권, ). 멜키오르 크레스르 추기경에 대한 4권짜리 전기이다.
  • 1850년–1856년: ''아랍 문학사. 그 시작부터 이슬람력 12세기 말까지''(Literaturgeschichte der Araber. Von ihrem Beginne bis zu Ende des zwölften Jahrhunderts der Hidschretger) (7권, 미완성). (1권, 2권, 3권, 4권, 5권, 6권, 7권)
  • 1856년: ''오스만 통치하의 크림 칸의 역사''(Geschichte der Chane der Krim unter osmanischer Herrschaftger) ()
  • 1940년: ''내 생애의 회고, 1774–1852''(Erinnerungen aus meinem Leben, 1774–1852ger), 라인하르트 바호펜 폰 에흐트 편집 (). 사후 출판된 회고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oseph, Baron von Hammer-Purgstall https://www.newadven[...] 2024-08-21
[2] encyclopedia HAMMER-PURGSTALL, JOSEPH FREIHERR von http://www.iranicaon[...] 2012-03-06
[3] 문서 S. Krmnicek und M. Gaidys, Gelehrtenbilder. Altertumswissenschaftler auf Medaillen des 19. Jahrhunderts. Begleitband zur online-Ausstellung im Digitalen Münzkabinett des Instituts für Klassische Archäologie der Universität Tübingen, in: S. Krmnicek (Hrsg.), Von Krösus bis zu König Wilhelm. Neue Serie Bd. 3 (Tübingen 2020), 38f. http://hdl.handle.ne[...]
[4]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6-09-07
[5] 간행물 Constantinopolis und der Bosporos, örtlich und geschichtlich beschrieben Hartleben
[6] 간행물 Black Athena: The Afroasiatic Roots of Classical Civiliza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Unfabling the East: The Enlightenment's Encounter with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논문 Joseph von Hammer-Purgstall's English Translation of the First Books of Evliya Çelebi's Seyahatnâme (Book of Travels)
[9] 웹사이트 Joseph von Hammer-Purgstall http://lithes.uni-gr[...] 2013-07-21
[10] 논문 Jane Anne Cranstoun, Countess Purgstall: a Possible Inspiration for Le Fanu's 'Carmilla' https://www.academia[...]
[11] encyclopedia HAMMER-PURGSTALL, JOSEPH FREIHERR von http://www.iranicaon[...] 2012-03-06
[12] 문서 S. Krmnicek und M. Gaidys, Gelehrtenbilder. Altertumswissenschaftler auf Medaillen des 19. Jahrhunderts. Begleitband zur online-Ausstellung im Digitalen Münzkabinett des Instituts für Klassische Archäologie der Universität Tübingen, in: S. Krmnicek (Hrsg.), Von Krösus bis zu König Wilhelm. Neue Serie Bd. 3 (Tübingen 2020), 38f. https://hdl.handle.n[...]
[13]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