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1846년 조수 하인리히 루이 다레스트와 함께 해왕성을 발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베를린 천문대에서 근무하며 토성의 어두운 고리와 세 개의 혜성을 발견했으며, 브레슬라우 천문대 대장과 브레슬라우 대학교 천문학 교수를 역임했다. 갈레는 혜성 연구, 오로라와 유성 궤적 계산, 지구 자기장 및 기후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달, 화성, 소행성, 해왕성 고리 등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왕성 - 위르뱅 르베리에
    프랑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위르뱅 르베리에는 수학적 계산으로 해왕성의 존재를 예측하고 천체역학에 기여했으며, 혜성 연구, 행성 운동표 작성, 수성의 근일점 이동 문제 연구, 기상학 분야 폭풍 예측 시스템 구축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연구를 펼쳐 그의 업적이 천체 이름에 기념되고 있다.
  • 해왕성 - 해왕성의 발견
    1846년 위르뱅 르베리에의 계산에 따라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가 베를린 천문대에서 해왕성을 발견한 사건은 천왕성 궤도 불규칙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예측된 과학적 발견의 중요한 사례이며, 존 쿠치 애덤스 또한 독립적으로 위치를 계산했지만 관측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발견 이후 공로를 둘러싼 영국과 프랑스 간의 논쟁이 있었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이름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로마자 표기Johann Gottfried Galle
출생일1812년 6월 9일
출생지라디스, 프로이센 왕국
사망일1910년 7월 10일
사망지포츠담, 독일 제국
국적프로이센 → 독일 제국
서명
학문
분야천문학
소속 기관베를린 천문대
브로츠와프 대학교
모교훔볼트 대학교
주요 업적해왕성 발견
소행성 시차를 이용한 태양계 거리 결정 가능성 제시
수상랄랑드상 (1839년)
영향요아힘 헤르만 (천문학자)

2. 생애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는 1812년 6월 9일 독일 그뢰펜하이니헨 인근 라디스에서 서쪽으로 2km 떨어진 파프트슈타우스(Papsthaus, 파프스트 숲 속의 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타르 가마 운영자였고, 어머니는 마리 앙리에트 팡니에이다.[2] 그는 비텐베르크의 김나지움(Gymnasium)에서 공부했고, 이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845년, 갈레는 올레 뢰머가 1706년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 수행한 항성과 행성의 자오선 통과 관측을 분석하고 비평하는 내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했다.

1835년, 그는 베를린 천문대에서 요한 프란츠 엥케의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다. 1838년에는 토성의 안쪽 어두운 고리를 발견했고, 1839년 12월 2일부터 1840년 3월 6일까지는 세 개의 새로운 혜성을 발견했다.

1846년 9월 23일, 갈레는 위르뱅 르베리에의 요청으로 천왕성 궤도 섭동을 통해 계산된 위치에서 새로운 행성을 찾기 위한 관측을 수행했다. 그는 조수 하인리히 루이 다레스트와 함께 계산된 위치에서 불과 1° 떨어진 곳에서 해왕성을 발견했다.[3]

1851년, 갈레는 브레슬라우(현재의 브로츠와프)로 이주하여 천문대장이 되었고, 1856년에는 브레슬라우 대학교의 천문학 교수가 되었다.[4] 그는 45년 이상 브레슬라우에서 근무했으며, 1875/76 학년도에는 총장으로 선출되었다.[4]

갈레는 1897년 포츠담으로 돌아왔고, 1910년 9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아내와 두 아들을 남겼다.[5][6]

의 갈레 크레이터, 화성의 크레이터, 소행성 2097 갈레, 해왕성의 고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6]

2. 1. 초기 생애

갈레는 그뢰펜하이니헨 인근 라디스에서 서쪽으로 2km 떨어진 파프트슈타우스(Papsthaus, 파프스트 숲 속의 집)에서 마리 앙리에트 팡니에(Marie Henriette née Pannier, 1790–1839)와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Johann Gottfried Galle, 1790–1853, 타르 가마 운영자)[2] 사이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비텐베르크의 김나지움(Gymnasium)에 다녔고,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Friedrich-Wilhelms-Universität)에서 공부했다.

1845년 갈레는 올레 뢰머가 1706년 10월 20일부터 10월 23일까지 수행한 항성과 행성의 자오선 통과 관측에 대한 분석과 비평을 담은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했다.

2. 2. 베를린 천문대

그는 1835년 새로운 베를린 천문대가 완공된 직후 요한 프란츠 엥케의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다. 갈레는 16년 동안 그곳에서 일하면서 특히 지름 약 22.5cm의 프라운호퍼 굴절 망원경(refractor)을 사용했다. 1838년 그는 토성의 안쪽 어두운 고리를 발견했다. 1839년 12월 2일부터 1840년 3월 6일까지 그는 세 개의 새로운 혜성을 발견했다.

2. 3. 해왕성의 발견

위르뱅 르베리에천왕성의 궤도 섭동을 조사하여 아직 발견되지 않은 행성의 위치를 계산했고, 1846년 9월 23일 갈레에게 자신의 계산 위치에서 해당 하늘 영역을 조사해 줄 것을 요청했다. 갈레는 조수 하인리히 루이 다레스트와 함께 그날 밤, 겉보기 등급 8등급의 별을 ''베를린 아카데미 별자리표''에서 찾았으며, 계산된 위치에서 불과 1° 떨어진 곳에서 발견했다.[3] 다음 이틀 밤 동안, 이 천체의 고유 운동이 4각초로 측정되었고, 이는 이 천체가 행성임을 확실히 증명했다. 르베리에는 이 행성에 해왕성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갈레는 해왕성 발견자로 인정되는 것을 거부했고, 발견의 공을 르베리에에게 돌렸다.[3] 이후 르베리에와 누가 해왕성의 발견자인지를 놓고 논쟁이 있었지만, 현재는 두 사람의 공동 발견으로 인정되고 있다.

갈레가 해왕성을 발견하는 데 사용한 9인치 굴절 망원경

2. 4. 브레슬라우 천문대

1851년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는 브레슬라우(현재의 브로츠와프)로 이주하여 그곳 천문대장이 되었고, 1856년 브레슬라우 대학교(슐레지엔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의 천문학 교수가 되었다.[4] 그는 45년 이상 브레슬라우에서 근무했으며, 1875/76 학년도에는 총장으로 선출되었다.[4] 브레슬라우에서 그는 행성 궤도의 정확한 결정에 관여했고, 오로라의 고도와 유성의 궤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아들의 도움을 받아 1894년까지 발견된 414개의 모든 혜성에 대한 데이터를 하나의 저술로 정리했다. 그 외에도 지구 자기장과 기후학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총 200편 이상의 저서를 출판했다.

2. 5. 말년

갈레는 1897년 포츠담으로 돌아와 1910년에 9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아내와 두 아들, 안드레아스 갈레와 게오르크 갈레(1860~1946)를 남겼다.[5][6]

1977년 그의 출생지 근처에 있는 그래펜하이니헨 마을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5][6]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는 의 갈레 크레이터, 화성의 "행복한 얼굴" 크레이터를 포함한 두 개의 충돌구, 소행성 2097 갈레, 해왕성의 고리 중 하나가 있다.[5][6]

브레슬라우(현재 브로츠와프)에는 그의 성을 딴 갈레슈트라세(Gallestrasse)라는 이름의 거리가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어로 "석회암"을 의미하는 바피엔나(Wapienna) 거리로 변경되었다.[5][6]

3. 업적 및 평가

갈레는 해왕성 발견 외에도 다양한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다. 에 있는 갈레 크레이터와 화성에 있는 "행복한 얼굴" 크레이터, 소행성 2097 갈레, 해왕성의 고리 중 하나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6]

1977년에는 그의 출생지 근처 그래펜하이니헨 마을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브레슬라우(현재 브로츠와프)에는 그의 성을 딴 갈레슈트라세(Gallestrasse)라는 이름의 거리가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어로 "석회암"을 의미하는 바피엔나(Wapienna) 거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6]

4. 기타

구글은 갈레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구글 두들을 선보였다.[7]

참조

[1] 웹사이트 Urbain-Jean-Joseph Le Verrier https://www.britanni[...] 2021-06-27
[2]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Publishing 2009-08-22
[3] 문서 Nach Bessels Tod – Eine Sammlung von Dokumenten Veröffentlichungen der Archenhold-Sternwarte Berlin-Treptow 1976
[4] 웹사이트 Rektoratsreden (HKM) http://www.historisc[...]
[5] 웹사이트 Glinianki, Huby i okolice. Historia naszych ulic https://docplayer.pl[...] 2021-09-23
[6] 웹사이트 Niemiecko-polski słownik nazw ulic http://www.wratislav[...] 2021-09-23
[7] 웹사이트 Johann Gottfried Galle's 200th Birthday https://doodles.goog[...]
[8] 서적 カラー天文百科 平凡社 1976-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