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가리트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가리트 문자는 기원전 1300년에서 1190년 사이에 사용된, 30개의 자음 문자와 3개의 음절 문자, 그리고 단어 구분 기호 1개로 구성된 알파벳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하며, 우가리트 지역 외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 북부 셈어와 남부 셈어 순서 두 가지 알파벳 순서가 존재하며, 초기 셈어 알파벳의 영향을 받아 성문 파열음과 모음을 표시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우가리트 문자는 설형 문자의 표기 방식과 셈어 자모 체계를 결합한 형태로, 유니코드 4.0에 추가되어 U+10380–U+1039F 블록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가리트 문자 | |
---|---|
개요 | |
유형 | 아브자드 (다만 음절 문자 3자 포함) |
표기 언어 | 우가리트어, 후르리어 |
시기 | 기원전 1500년경 |
계통 | 원시 시나이 문자 + 쐐기 문자 |
유니코드 | U+10380–U+1039F |
ISO 15924 | Ugar |
![]() | |
문자 | |
ʾa | 𐎀 |
b | 𐎁 |
g | 𐎂 |
x | 𐎃 |
d | 𐎄 |
h | 𐎅 |
w | 𐎆 |
z | 𐎇 |
ħ | 𐎈 |
tˤ | 𐎉 |
j | 𐎊 |
k | 𐎋 |
ʃ | 𐎌 |
l | 𐎍 |
m | 𐎎 |
δ | 𐎏 |
n | 𐎐 |
θˤ | 𐎑 |
s | 𐎒 |
ʿ | 𐎓 |
p | 𐎔 |
ts | 𐎕 |
q | 𐎖 |
r | 𐎗 |
θ | 𐎘 |
γ | 𐎙 |
t | 𐎚 |
ʾi | 𐎛 |
ʾu | 𐎜 |
s | 𐎝 |
s | 𐎟 |
2. 글자
음절 문자 3자와 음소 문자(자음만을 나타낸다) 27자, 구두점 1글자의 총 31 문자로 구성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한다.[14]
기호 | 로마자 표기 | IPA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남부 | 히브리 문자 |
---|---|---|---|---|---|
𐎀 | ʾa | 𐤀 | 𐩱 | אַ | |
𐎁 | b | 𐤁 | 𐩨 | ב | |
𐎂 | g | 𐤂 | 𐩴 | ג | |
𐎃 | ḫ | — | 𐩭 | — | |
𐎄 | d | 𐤃 | 𐩵 | ד | |
𐎅 | h | 𐤄 | 𐩠 | ה | |
𐎆 | w | 𐤅 | 𐩥 | ו | |
𐎇 | z | 𐤆 | 𐩸 | ז | |
𐎈 | ḥ | 𐤇 | 𐩢 | ח | |
𐎉 | ṭ | 𐤈 | 𐩷 | ט | |
𐎊 | y | 𐤉 | 𐩺 | י | |
𐎋 | k | 𐤊 | 𐩫 | כ | |
𐎌 | š | — | 𐩦 | — | |
𐎍 | l | 𐤋 | 𐩡 | ל | |
𐎎 | m | 𐤌 | 𐩣 | מ | |
𐎏 | ḏ | — | 𐩹 | — | |
𐎐 | n | 𐤍 | 𐩬 | נ | |
𐎑 | ẓ | — | 𐩼 | — | |
𐎒 | s | — | 𐩪 | — | |
𐎓 | ʿ | 𐤏 | 𐩲 | ע | |
𐎔 | p | 𐤐 | 𐩰 | פ | |
𐎕 | ṣ | 𐤑 | 𐩮 | צ | |
𐎖 | q | 𐤒 | 𐩤 | ק | |
𐎗 | r | 𐤓 | 𐩧 | ר | |
𐎘 | ṯ | 𐩦 | 𐩻 | ש | |
𐎙 | ġ | — | 𐩶 | — | |
𐎚 | t | 𐤕 | 𐩩 | ת | |
𐎛 | ʾi | — | — | — | |
𐎜 | ʾu | — | — | — | |
𐎝 | s2 | su | 𐤎 | 𐩯 | ס |
𐎟 | 단어 구분 기호 | 𐤟 | — |
우가리트 문자의 두 가지 단축형이 존재했는데, 발견 장소는 주로 우가리트 지역이 아니었다. 발견 장소로는 텔 베이트 셰메쉬, 사렙타, 티린스 등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표준 우가리트 문자의 점토판과 달리 새겨진 물체에서 발견되며, 표준 버전과 달리 보통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인다.[15] 한 변형은 27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다른 변형은 22개의 문자를 포함했다. 다양한 우가리트 문자의 상대적 연대기가 어떠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6][17][18]
2. 1. 문자 목록
음절 문자 3자와 음소 문자(자음만을 나타낸다) 27자, 구두점 1글자의 총 31 문자로 구성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한다.우가리트 문자의 목록, 알파벳 순서는 두 가지로 발견되었다. "북부 셈어 순서"는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에서 발견되는 순서와 더 유사하며, 이전의 소위 ''ʾ아브자디'' 순서이며, 더 멀리로는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와도 유사하다. "남부 셈어 순서"는 남아라비아 문자 및 게에즈 문자에서 발견되는 순서와 더 유사하다. 우가리트 문자('''U''')는 설형 문자와 음역으로 표시된다.
'''북부 셈어'''
문자 | 𐎀 | 𐎁 | 𐎂 | 𐎃 | 𐎄 | 𐎅 | 𐎆 | 𐎇 | 𐎈 | 𐎉 | 𐎊 | 𐎋 | 𐎌 | 𐎍 | 𐎎 | 𐎏 | 𐎐 | 𐎑 | 𐎒 | 𐎓 | 𐎔 | 𐎕 | 𐎖 | 𐎗 | 𐎘 | 𐎙 | 𐎚 | 𐎛 | 𐎜 | 𐎝 |
---|---|---|---|---|---|---|---|---|---|---|---|---|---|---|---|---|---|---|---|---|---|---|---|---|---|---|---|---|---|---|
음역 | ʾa | b | g | ḫ | d | h | w | z | ḥ | ṭ | y | k | š | l | m | ḏ | n | ẓ | s | ʿ | p | ṣ | q | r | ṯ | ġ | t | ʾi | ʾu | s2 |
'''남부 셈어'''
문자 | 𐎅 | 𐎍 | 𐎈 | 𐎎 | 𐎖 | 𐎆 | 𐎌 | 𐎗 | 𐎚 | 𐎒 | 𐎋 | 𐎐 | 𐎃 | 𐎁 | 𐎔 | 𐎀 | 𐎓 | 𐎑 | 𐎂 | 𐎄 | 𐎙 | 𐎉 | 𐎇 | 𐎏 | 𐎊 | 𐎘 | 𐎕 | [ | 𐎛 | 𐎜 | 𐎝 | ] | ||
---|---|---|---|---|---|---|---|---|---|---|---|---|---|---|---|---|---|---|---|---|---|---|---|---|---|---|---|---|---|---|---|---|---|---|
음역 | h | l | ḥ | m | q | w | š | r | t | s | k | n | ḫ | b | ś | p | ʾa | ʿ | ẓ | g | d | ġ | ṭ | z | ḏ | y | ṯ | ṣ | [ | ʾi | ʾu | s2 | ] |
2. 1. 1. 북부 셈어 순서
우가리트 문자의 알파벳 순서는 두 가지가 발견되었다. "북부 셈어 순서"는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에서 발견되는 순서와 더 유사하며, 이전의 소위 ''ʾ아브자디'' 순서이고, 더 멀리로는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와도 유사하다.문자: | 𐎀 | 𐎁 | 𐎂 | 𐎃 | 𐎄 | 𐎅 | 𐎆 | 𐎇 | 𐎈 | 𐎉 | 𐎊 | 𐎋 | 𐎌 | 𐎍 | 𐎎 | 𐎏 | 𐎐 | 𐎑 | 𐎒 | 𐎓 | 𐎔 | 𐎕 | 𐎖 | 𐎗 | 𐎘 | 𐎙 | 𐎚 | 𐎛 | 𐎜 | 𐎝 |
음역: | ʾa | b | g | ḫ | d | h | w | z | ḥ | ṭ | y | k | š | l | m | ḏ | n | ẓ | s | ʿ | p | ṣ | q | r | ṯ | ġ | t | ʾi | ʾu | s2 |
2. 1. 2. 남부 셈어 순서
문자: | 𐎅 | 𐎍 | 𐎈 | 𐎎 | 𐎖 | 𐎆 | 𐎌 | 𐎗 | 𐎚 | 𐎒 | 𐎋 | 𐎐 | 𐎃 | 𐎁 | 𐎔 | 𐎀 | 𐎓 | 𐎑 | 𐎂 | 𐎄 | 𐎙 | 𐎉 | 𐎇 | 𐎏 | 𐎊 | 𐎘 | 𐎕 | [ | 𐎛 | 𐎜 | 𐎝 | ] | ||
음역: | h | l | ḥ | m | q | w | š | r | t | s | k | n | ḫ | b | ś | p | ʾa | ʿ | ẓ | g | d | ġ | ṭ | z | ḏ | y | ṯ | ṣ | [ | ʾi | ʾu | s2 | ] |
2. 2. 문자 형태
우가리트 문자는 음절 문자 3자와 음소 문자(자음만을 나타낸다) 27자, 구두점 1글자의 총 31 문자로 구성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한다.[14]기호 | 로마자 표기 | IPA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남부 | 히브리 문자 |
---|---|---|---|---|---|
𐎀 | ʾa | 𐤀 | 𐩱 | אַ | |
𐎁 | b | 𐤁 | 𐩨 | ב | |
𐎂 | g | 𐤂 | 𐩴 | ג | |
𐎃 | ḫ | — | 𐩭 | — | |
𐎄 | d | 𐤃 | 𐩵 | ד | |
𐎅 | h | 𐤄 | 𐩠 | ה | |
𐎆 | w | 𐤅 | 𐩥 | ו | |
𐎇 | z | 𐤆 | 𐩸 | ז | |
𐎈 | ḥ | 𐤇 | 𐩢 | ח | |
𐎉 | ṭ | 𐤈 | 𐩷 | ט | |
𐎊 | y | 𐤉 | 𐩺 | י | |
𐎋 | k | 𐤊 | 𐩫 | כ | |
𐎌 | š | — | 𐩦 | — | |
𐎍 | l | 𐤋 | 𐩡 | ל | |
𐎎 | m | 𐤌 | 𐩣 | מ | |
𐎏 | ḏ | — | 𐩹 | — | |
𐎐 | n | 𐤍 | 𐩬 | נ | |
𐎑 | ẓ | — | 𐩼 | — | |
𐎒 | s | — | 𐩪 | — | |
𐎓 | ʿ | 𐤏 | 𐩲 | ע | |
𐎔 | p | 𐤐 | 𐩰 | פ | |
𐎕 | ṣ | 𐤑 | 𐩮 | צ | |
𐎖 | q | 𐤒 | 𐩤 | ק | |
𐎗 | r | 𐤓 | 𐩧 | ר | |
𐎘 | ṯ | 𐩦 | 𐩻 | ש | |
𐎙 | ġ | — | 𐩶 | — | |
𐎚 | t | 𐤕 | 𐩩 | ת | |
𐎛 | ʾi | — | — | — | |
𐎜 | ʾu | — | — | — | |
𐎝 | s2 | su | 𐤎 | 𐩯 | ס |
𐎟 | 단어 구분 기호 | 𐤟 | — |
우가리트 문자는 확장된 압자드였다. 대부분의 음절에서는 이중 모음의 /w///w/sem와 /j///j/sem를 포함하여 자음만 표기되었다. 우가리트 문자는 초기 압자드 중에서 성문 파열음 뒤에 오는 모음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특이했다. /ʔa///ʔa/sem 음절을 나타내는 문자는 원래 다른 셈어 압자드의 알레프와 마찬가지로 자음 /ʔ///ʔ/sem를 나타냈으며, 나중에 알파벳의 끝에 /ʔi///ʔi/sem와 /ʔu///ʔu/sem가 추가되면서 /ʔa///ʔa/sem로 제한되었다고 생각된다.[5][6]
우가리트 문자는 2003년 4월 유니코드 4.0 버전 릴리스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우가리트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블록은 U+10380–U+1039F이다.
[1]
서적
A Primer on Ugaritic
https://books.google[...]
우가리트 문자에는 두 가지 단축형이 존재했는데, 발견 장소는 주로 우가리트 지역이 아니었다. 텔 베이트 셰메쉬, 사렙타, 티린스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표준 우가리트 문자의 점토판과 달리 새겨진 물체에서 발견된다. 표준 버전과 달리 보통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인다.[15] 한 변형은 27개의 문자를, 다른 변형은 22개의 문자를 포함했다. 다양한 우가리트 문자의 상대적 연대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16][17][18]
3. 기능
알파벳의 마지막 자음 문자, ''s2''는 "추가된" 성문 파열음과 함께 논란의 여지가 있는 기원을 가지고 있지만, "우가리트 기호가 음역된 [s2]와 후기 북서 셈어 문자의 s-문자 사이의 '형태'의 명백한 유사성은 공통적인 기원을 가질 가능성이 높지만, 이 기호를 우가리트 알파벳에 추가한 이유는 불분명하다."[7] ''s2''가 나타나는 단어는 주로 차용어이며, 따라서 종종 네이티브 /s/로 근사할 수 있는 외국어 소리를 나타내는 알파벳에 늦게 추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Huehnergard와 Pardee는 이를 파찰음 /ts/로 만든다.[8] Segert는 대신 음절 /su/였을 수 있다고 이론화하며, 이러한 이유로 다른 음절 기호 /ʔi/ 및 /ʔu/와 함께 묶였다.[9]
아마도 알파벳의 마지막 세 글자는 원래 우가리트어가 아닌 언어를 기록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아카드어와 후리어로 된 텍스트가 우가리트 알파벳으로 쓰여진 것이 발견되었다) 이후 우가리트어를 쓰는 데 적용되었다.[4] 성문 파열음과 모음 조합을 나타내는 세 글자는 다른 언어를 쓸 때 단순한 모음 문자로 사용되었다.
구두점은 단어 구분 기호뿐이다.
4. 기원
우가리트 문자가 사용되던 시기 (기원전 1300년~1190년경),[10] 우가리트는 이집트, 아나톨리아, 키프로스, 크레타, 메소포타미아 사이에 위치하여 문자가 사용되는 세계의 지리적 중심지에 있었다. 우가리트 문자는 셈어 자모 체계를 설형 문자 표기 방식(점토에 스타일러스를 눌러 새기는 방식)과 결합했다. 학자들은 메소포타미아 설형 문자에서 우가리트 문자의 그래픽 원형을 찾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최근에는 우가리트 문자가 원시 시나이 문자의 한 형태를 나타낸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는데,[11] 이는 점토에 스타일러스로 글을 쓰는 방식에 맞춰 글자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지지 않은 비블로스 음절 문자의 영향도 있었을 수 있다.[12]
이와 관련하여, 설형 문자의 두 가지 기본 형태인 직선 쐐기와 모서리 쐐기는 선형 셈어 알파벳의 선과 원에 해당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원이 있는 세 개의 셈어 문자인 그리스 문자의 Θ, O, 라틴 문자의 Q는 모두 우가리트 문자에서 모서리 쐐기로 만들어졌다. 다른 문자들도 유사하다. 재레드 다이아몬드[13]는 획수가 가장 적은 문자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증거로 제시하며, 이 알파벳이 의식적으로 디자인되었다고 믿는다.
5. 유니코드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0380 𐎀 𐎁 𐎂 𐎃 𐎄 𐎅 𐎆 𐎇 𐎈 𐎉 𐎊 𐎋 𐎌 𐎍 𐎎 𐎏 10390 𐎐 𐎑 𐎒 𐎓 𐎔 𐎕 𐎖 𐎗 𐎘 𐎙 𐎚 𐎛 𐎜 𐎝 𐎟
참조
[2]
서적
Ugaritic, in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https://books.google[...]
[3]
간행물
Studies in the Ethiopic Syllabary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07
[4]
서적
Reading the Past: Ancient Writing from Cuneiform to the Alphabe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The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Wiley
1991
[6]
서적
A primer on Ugarit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7]
서적
Ugaritic, in The Ancient 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https://books.google[...]
[8]
문서
An Introduction to Ugaritic
2012
[9]
간행물
The Last Sign of the Ugaritic Alphabet
1983
[10]
서적
Ugaritic, in The Ancient-Languages of Syria-Palestine and Arabia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Cuneiform alphabet and picto-proto-alphabet
http://sites.google.[...]
[12]
서적
A Basic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With Selected Texts and Glossary
https://books.google[...]
1985
[13]
뉴스
Writing Right | Senses | DISCOVER Magazine
http://discovermagaz[...]
[14]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5]
간행물
Archaeo-Material Study of the Cuneiform Tablet from Tel Beth-Shemesh
https://www.tandfonl[...]
2024
[16]
간행물
A ‘top-down’ re-invention of an old form: Cuneiform alphabets in context
https://library.oape[...]
2020
[17]
간행물
Cunéiformes alphabétiques non canoniques
1981
[18]
서적
Die Keilalphabete. Die phönizisch kanaanäischen und altarabischen Alphabete in Ugarit
Münster
1988
[19]
웹사이트
L2/17-076R2: Revised proposal for the encoding of an Egyptological YOD and Ugaritic characters
https://www.unicode.[...]
2017-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