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브리 문자는 기원전 1000년경 페니키아 문자를 기원으로 하는 22개의 자음 문자로 구성된 문자 체계이다. 고대 히브리어 알파벳은 기원전 800년경에 등장하여 고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서 사용되었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에는 아람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 현대 히브리어는 22개의 자음과 5개의 최종형 문자를 사용하며, 이스라엘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히브리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발음을 가지며, 현대 이스라엘 표준 히브리어 발음이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비롯되어 아람 문자와 현대 히브리 문자의 기원이 되었으며,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서 널리 쓰이다 바빌론 유수 이후 아람 문자로 대체되었으나 사마리아 문자로 계승되어 고풍스러운 형태로 존속하기도 했다. - 히브리 문자 - 게마트리아
게마트리아는 히브리어 알파벳에 숫자 값을 부여하여 단어나 구절의 수치적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기원하여 유대교 카발라, 기독교 텍스트, 랍비 문학 등 다양한 종교 및 문화에서 활용되었으며, 여러 계산 방법과 다양한 언어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 - 이스라엘 - 이스라엘 방위군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창설되어 유대인 준군사 조직을 통합, 이스라엘의 안보와 국토를 수호하며 중동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 온 육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된 국군으로, 높은 전투력을 유지하나 전쟁범죄 논란과 인권 침해 비판도 존재한다. - 이스라엘 - 하이파
하이파는 이스라엘 북부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18세기 이후 성장하여 시오니즘 운동과 이스라엘 건국 후 유대인 이민으로 크게 발전, 현재는 이스라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며, 바하이교의 세계 중심지로서 다문화 도시의 특징을 갖는다. - 아브자드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아브자드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히브리 문자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브리 문자 |
유형 | 아브자드 |
사용 언어 | 히브리어 이디시어 라디노어 모자라베어 레반트 아랍어 아람어 기타 유대 제어 |
사용 시기 | 기원전 2세기-1세기 ~ 현재 |
조상 문자 | 이집트 상형 문자 |
조상 문자2 | 원시 시나이 문자 |
조상 문자3 | 페니키아 문자 |
조상 문자4 | 아람 문자 |
자매 문자 | 나바테아 문자 시리아 문자 팔미라 문자 에데사 문자 하트라 문자 엘리마이스 문자 만다 문자 팔라비 문자 카로슈티 문자 |
자식 문자 | 이디시 문자 정사각형 말룰라 문자 |
![]() | |
유니코드 | U+0590에서 U+05FF 히브리어 U+FB1D에서 U+FB4F 알파벳 표현 형식 |
ISO 15924 | Hebr |
표기 | |
히브리어 | אָלֶף־בֵּית עִבְרִי |
로마자 표기 | Alefbet ivri |
히브리어 (음성) | י, ו, ה, א |
기타 정보 | |
종류 | 아브자드 (알파벳으로도 사용) |
사용 시기 | 기원전 200년경-현재 |
사용 언어 | 히브리어 이디시어 라디노어 유대 아랍어군 (유대 제어 참조) |
![]() | |
ISO 15924 | Hebr |
원어 표기 | אלפבית עברי |
로마자 표기 | 알레프베이트 이브리 |
문자 정보 | |
이름 | 히브리 문자 |
원래 이름 | אלפבית עברי |
종류 | 아브자드 |
표기 언어 | 히브리어 이디시어 라디노어 유대어 |
시기 | 기원전 200년~현재 |
계통 1 | 원시 시나이 문자 |
계통 2 | 원시 가나안 문자 |
계통 3 | 페니키아 문자 |
계통 4 | 아람 문자 |
자매 문자 |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
![]() |
2. 역사
히브리 문자의 역사는 크게 고대 히브리 문자와 정방형 히브리 문자의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기원전 1000년경 이전까지는 가나안 방언들이 대부분 구분이 어려웠다.[6] 학자들은 원시 가나안 문자의 히브리어 변형을 고대 히브리어 알파벳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기원전 800년경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실로암 비문(기원전 700년경)이 그 예이다.
고대 히브리어 알파벳은 고대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에서 사용되었다. 기원전 6세기 유다 왕국의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들은 아람 문자(제국 아람 문자)의 한 형태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번성했다. 이스라엘 땅에 남아 있던 사마리아인들은 고대 히브리어 알파벳을 계속 사용했다. 기원전 3세기, 유대인들은 페르시아 제국이 사용했던 아람 문자의 양식화된 "정방형" 형태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사마리아인들은 사마리아 문자라고 불리는 고대 히브리어 문자의 한 형태를 계속 사용했다. 기원전 330년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 이후, 유대인들은 정방형 아시리아 형태에 정착하기 전까지 두 가지 문자를 모두 사용했다.
2. 1. 기원과 발전
히브리 문자는 기원전 10세기경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된 고대 히브리 문자를 기원으로 한다.[6] 초기에는 고대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에서 사용되었으며, 게제르 달력(기원전 10세기)과 실로암 비문(기원전 700년경)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7][8][9][10][11][12]
기원전 6세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들은 아람 문자(제국 아람 문자)의 영향을 받은 정방형 히브리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번성했던 아람 문자는 빠르게 쓸 수 있도록 곡선적이고 필기체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기원전 3세기, 유대인들은 페르시아 제국이 사용했던 양식화된 "정방형" 형태의 아람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기원전 330년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 이후, 유대인들은 정방형 아시리아 형태에 정착하기 전까지 두 가지 문자를 모두 사용했다.
사마리아인들은 고대 히브리 문자를 변형한 사마리아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 하스몬 왕조가 성립한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전 1세기 경에 제작된 사해 문서를 보면, 기원전후 유대인들의 문자는 성전, 속문서를 막론하고 거의 아람 문자계인 정방형 히브리 문자로 이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해 문서 중에는 신명인 "YHWH" 등 일부 단어를 고대 히브리 문자로 구분하여 적은 예가 있다.[49]
정방형 히브리어 알파벳은 나중에 카라임어, 유대 아랍어, 유대 스페인어, 이디시어와 같은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언어를 쓰는 데 적용되어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알파벳은 히브리어 학술 저술에 계속 사용되었고, 18세기와 19세기에 히브리어가 구어로 부활함에 따라, 특히 이스라엘에서 다시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 2. 중세 및 근대
정방형 히브리어 알파벳은 이후 카라임어, 유대 아랍어, 유대 스페인어, 이디시어와 같은 유대인 디아스포라 언어를 쓰는 데 적용되었다.[53] 히브리어 알파벳은 학술 저술에 계속 사용되었고, 18세기와 19세기에 히브리어가 구어로 부활하면서, 특히 이스라엘에서 다시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히브리어는 오랜 세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발음에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아슈케나짐식 히브리어, 세파르딤식 히브리어, 예멘식 히브리어 등 다양한 발음이 사용되지만, 중세의 티베리아식 발음과 현대 이스라엘의 표준 발음이 주로 설명된다.
티베리아식 발음에서 , , , , , 6개의 자음은 위치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었다. 어두 또는 장자음일 때는 파열음, 모음 뒤(장자음 제외)에서는 마찰음 , , , , , 로 발음되었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 , 만이 마찰음화한다.
티베리아식 발음에서 바브(וhe)는 반모음 였지만, 현대에는 마찰음 가 되었다.
티베리아식 발음에는 셈어 특징인 강세음이 있으며, 텟(טhe)는 , 차디(צhe)는 , 쿠프(קhe)는 였지만, 현대어에서는 각각 , , 가 되었다. 헷(חhe)는 무성 인두 마찰음 , 아인(עhe)는 유성 인두 마찰음 이었지만, 각각 무성 연구개 마찰음 , 성문 파열음 (또는 무음)으로 변화했다.
이러한 음성 변화로 현대어에서는 여러 문자가 동음이 되어, 문자와 음성 관계가 복잡해졌다.
각지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은 다른 서체 전통을 가졌지만, 성서 필사용 히브리 문자는 오래된 서체를 유지했다. 주석용으로는 행서체적인 서체가 발달했는데, 중세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라시 문자(Rashi script)가 대표적이다. 일상용으로는 필기체가 발달했다. 현대 필기체는 16-17세기 중앙 유럽에서 사용된 아슈케나짐(Ashkenazim) 필기체에서 유래했다.[52]

이산 유대인들은 히브리어와 아람어 외에도 각 지역 언어를 사용했는데, 이디시어, 라디노어, 유대 아랍어군이 중요하며, 모두 히브리 문자로 표기되었다.[53] 각 언어 표기를 위해 문자 체계가 확장되었다.
이디시어는 12세기 이후 히브리 문자로 쓰였지만, 정서법이 통일되지 않아 다양한 철자가 존재한다. 히브리어·아람어 유래 단어는 전통 철자를, 독일어 계열 단어는 독일어 정서법에 일대일 대응하는 "어원적" 철자와 실제 이디시어 발음을 반영한 "형태음운론적" 철자가 대립한다.[54] 1936년 제정, 이듬해 출판된 YIVO(이디시 과학원)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55] YIVO 방식은 파열음(다게시), 마찰음(라페), 신의 점, 모음 구분을 위한 기호를 사용한다.[56]
이디시어에 있고 히브리어에 없는 자음은 마찰음(라페 기호) 또는 이중자음으로 나타냈다.
자음 | ||||
---|---|---|---|---|
표기 | טשhe | זשhe | פֿhe | וו |
YIVO 방식에서는 준모음과 니쿠드를 조합하여 모음을 완전히 표기한다.[57]
모음 | a | o | i | u | e | ey | ay | oy |
---|---|---|---|---|---|---|---|---|
어중간 | אַhe | אָhe | יhe | וhe | עhe | ייhe | ײַhe | ויhe |
어두 | אַhe | אָhe | איhe | אוhe | עhe | אייhe | אײַhe | אויhe |
현대 히브리 문자의 기본 자모는 모두 자음을 나타내며 22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5자(כ מ נ פ צ)는 어말에만 사용되는 특별한 자형(소피트)을 가지고 있어 총 27자로 볼 수도 있다.[36]
모호함이 우려되는 경우 점으로 구분한다. 예: וווּhe vu, ייִhe yi, ויִhe ui 등[56]
3. 문자
명칭 자모 어말형 필기체 수치 티베리아식 발음 현대 발음 알레프(alef) א -- 1 ʾ|알레프he , 영 베트, 베이트[37](bet) ב -- 2 b|베트he , ḇ|베트he , 기멜(gimel) ג -- 3 g|기멜he , ḡ|기멜he 달렛[38][39](dalet) ד -- 4 d|달레트he , ḏ|달레트he 헤(he) ה -- 5 h|헤he 바브[38][39] ו -- 6 w|바브he 자인(zayin) ז -- 7 z|자인he 헷[38][39](chet) ח -- 8 ḥ|헤트he 텟[38][39](tet) ט -- 9 ṭ|테트he 유드[38][39](요드[37])(yod) י -- 10 y|요드he 카프, 하프[37](kaf) כ ך 20 k|카프he , ḵ|카프he , 라메드[38][39](lamed) ל -- 30 l|라메드he 멤[38][39](mem) מ ם 40 m|멤he 눔[38][39](nun) נ ן 50 n|눈he 사멕[38][39](samekh) ס -- 60 s|사메크he 아인(ayin) ע -- 70 ʿ|아인he , 영 페, 페[37](pe) פ ף 80 p|페he , p̄|페he , 차디[38](차딕[37])(tsadi) צ ץ 90 ṣ|차데he 쿠프[38][39](코프[37])(qof) ק -- 100 q|코프he 레시[38][39](resh) ר -- 200 r|레시he 신, 씬[37](shin) ש -- 300 š|신he , ś|신he , 타우(tav) ת -- 400 t|타브he , ṯ|타브he
ב ג ד כ פ ת 6자는 파열음(b g d k p t)과 마찰음()의 두 가지 음이 있지만, 현대 히브리어에서 구별되는 것은 이 중 ב כ פ 3음뿐이다. 니쿠드가 사용될 때, 파열음은 다게시라고 불리는 내부의 점으로 표시된다(בּ|베트 다게쉬he גּ|기멜 다게쉬he דּ|달레트 다게쉬he כּ|카프 다게쉬he פּ|페 다게쉬he תּ|타브 다게쉬he). 현대어에서 구별되는 3음 중, ב의 마찰음으로서의 발음은 ו와 동음이며, כ의 마찰음으로서의 발음은 ח와 같다.
ש에는 와 의 두 가지 음이 있으며, 단어에 따라 구별되지만, 의 음이 더 많이 나타난다. 니쿠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라면 우측 상단에 점을 찍고(שׁ|신 우측점he), 이라면 좌측 상단에 점을 찍는다(שׂ|신 좌측점he). 의 음은 ס와 동음이 된다.
히브리 문자에는 강세음을 나타내는 글자(ṭ|테트he (ט|테트he), ṣ|차데he (צ|차데he), q|코프he (ק|코프he))가 있었지만, 현대에는 각각 , , 로 발음된다. 따라서 ט는 ת의 파열음 발음과, ק는 כ의 파열음 발음과 동음이 되어 있다.
니쿠드(니쿠다르라고도 함)는 6세기 이후 마소라 학자들에 의해 발전된, 정확한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구분 부호(diacritical mark)이다. 이것들은 일반적인 표기에는 사용되지 않고, 성서 본문 이외에는 교육·설명용 텍스트에서만 사용된다.
자음의 구별에 사용되는 니쿠드는 다음과 같다.
모음의 표기에는, 옛날에는 자음을 위한 몇몇 문자(y, w, h)를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전용하는 것이 행해졌다(준모음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준모음 표기는 모음을 나타내기에는 완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현재 사용되는 표준적인 기호는 히브리어 티베리아식 발음을 나타낸 것이지만, 이 방식은 7개의 (완전한) 모음과 4개의 단모음, 합계 11종류의 모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현대 히브리어는 5모음뿐이고 장단의 구별도 없다는 점, 슈워(셰바)를 발음하는지 여부가 중세와 현대에서 다르다는 등의 이유 때문에, 기호와 실제 발음과의 관계는 복잡하다.
목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편의상 기호는 자음 문자 מ|멤he 아래에 붙여 놓았다).[46]
준모음 없음 | y,w 있음 | h 있음 | 티베리아식 | 현대 | 기호명 |
---|---|---|---|---|---|
מִ|멤 힐릭he | מִי|멤 요드 힐릭he | 힐릭 | |||
מֵ|멤 체레he | מֵי|멤 요드 체레he | מֵה|멤 헤 체레he | 체레 | ||
מֶ|멤 세골he | מֶי|멤 요드 세골he | מֶה|멤 헤 세골he | 세골 | ||
מַ|멤 파타흐he | 파타흐 | ||||
מָ|멤 카마츠he | מָה|멤 헤 카마츠he | 카마츠 | |||
מֹ|멤 홀람he | מוֹ|멤 바브 홀람he | מֹה|멤 헤 홀람he | 홀람 | ||
מֻ|멤 쿠부츠he | מוּ|멤 바브 슈루크he | 쿠부츠(준모음 없음), 슈루크(준모음 있음) | |||
מֱ|멤 하타프 세골he | 하타프 세골 | ||||
מֲ|멤 하타프 파타흐he | 하타프 파타흐 | ||||
מֳ|멤 하타프 카마츠he | 하타프 카마츠 | ||||
מְ|멤 슈와he , 0 | , 0 | , 0 | 셰바 |
주:
- 유성의 슈워(셰바)는 위쪽 작은 e로 음역되는 경우가 많다(예: קְטֹל|케톨he ). 하타프도 마찬가지로 작게 기록되는 경우가 있다.
- 어말의 후음에 a의 기호(파타흐)가 붙어 있는 경우(חַ|헤트 파타흐he עַ|아인 파타흐he הַּ|헤 마픽 파타흐he), 모음 a는 자음보다 앞서 발음된다. 이것을 잠입 파타흐라고 부른다.
- 홀람에는 몇 가지 예외적인 쓰기 방식이 있다.
- * 준모음 바브를 수반하지 않는 홀람(홀람 하셀)은 자음의 왼쪽 위에 점을 찍지만, 바브를 수반하는 경우에는 바브의 바로 위에 점을 찍는다(홀람 마레).
- * 홀람 하셀은 신(שׁ|신he) 앞에서는 쓰여지지 않는다. 신(שׂ|신 좌측점he)에 홀람 하셀이 붙는 경우에도 아무것도 쓰여지지 않는다.
- * 홀람 뒤에 발음하지 않는 알레프가 계속되는 경우, 홀람은 알레프의 오른쪽 위에 놓인다.
- * 바브에 홀람 하셀이 붙은 경우(현대어에서는 “vo”처럼 발음됨), 인쇄에 따라서는 홀람 마레와 동형이 되지만, 구별되는(바브의 왼쪽 위에 점을 찍는) 경우도 있다.
- u의 음을 나타내려면, 준모음 바브가 없는 경우에는 자음 아래에 쿠부츠를 쓴다. 바브가 있는 경우에는, 바브 안에 다게시와 마찬가지로 점을 찍고, 이것을 슈루크라고 부른다.
- 카마츠는 현대어에서 a로 발음되는 것이 보통이지만(카마츠 가돌), 일부 어에서는 o로 발음된다(카마츠 카탄).
- 셰바는 모음이 계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셰바 나프)와, 발음되는 경우(셰바 나아)가 있다.
3. 1. 문자 목록
히브리 문자는 22개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5개의 문자는 단어 끝에서 다른 형태(최종형)를 사용한다. 다음 표는 각 문자의 이름, 현대 히브리어 및 고대 문자 형태, 음가를 나타낸다.[36]명칭 | 자모 | 어말형 | 필기체 | 수치 | 티베리아식 발음 | 현대 발음 | |
---|---|---|---|---|---|---|---|
알레프(alef) | א | -- | 1 | , 영 | |||
베트, 베이트[37](bet) | ב | -- | 2 | , | , | ||
기멜(gimel) | ג | -- | 3 | , | |||
달레트[38][39](dalet) | ד | -- | 4 | , | |||
헤(he) | ה | -- | 5 | ||||
바브[38][39](vav) | ו | -- | 6 | ||||
자인(zayin) | ז | -- | 7 | ||||
헷[38][39](chet) | ח | -- | 8 | ||||
텟[38][39](tet) | ט | -- | 9 | ||||
유드[38][39](요드[37])(yod) | י | -- | 10 | ||||
카프, 하프[37](kaf) | כ | ך | |||||
20 | , | , | |||||
라메드[38][39](lamed) | ל | -- | 30 | ||||
멤[38][39](mem) | מ | ם | |||||
40 | |||||||
눔[38][39](nun) | נ | ן | |||||
50 | |||||||
사메흐[38][39](samekh) | ס | -- | 60 | ||||
아인(ayin) | ע | -- | 70 | , 영 | |||
페, 페[37](pe) | פ | ף | |||||
80 | , | , | |||||
차디[38](차딕[37])(tsadi) | צ | ץ | |||||
90 | |||||||
쿠프[38][39](코프[37])(qof) | ק | -- | 100 | ||||
레슈[38][39](resh) | ר | -- | 200 | ||||
신, 씬[37](shin) | ש | -- | 300 | , | , | ||
타브[38](tav) | ת | -- | 400 | , |
{| class="wikitable"
|-
! rowspan="3"| 문자명
(유니코드)
! colspan=7 | 문자 일람
|-
! colspan=4 | 현대 히브리어
! colspan=3 | 고대문자
|-
! 명조체
! 고딕체
! 고정폭 글꼴
! 필기체
! 라시 문자
! 페니키아
! 고 히브리어
! 아람 문자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알레프 Alef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א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א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א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베트 Bet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ב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ב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ב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기멜 Gimel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ג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ג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ג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달레트 Dalet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ד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ד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ד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헤 He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ה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ה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ה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봐브 Vav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ו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ו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ו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자인 Zayin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ז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ז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ז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헤트 Het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ח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ח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ח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테트 Tet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ט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ט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ט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요드 Yod
|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י
| style="font-family: Arial, sans-serif;"| י
| style="font-family: 'Courier New', monospace;"| י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카프 Kaf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כ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כ
|
|
|rowspan=2|
|rowspan=2|
|rowspan=2|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최종 카프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ך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ך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라메드 Lamed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ל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ל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멤 Mem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מ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מ
|
|
|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최종 멤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ם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ם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눔 Nun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נ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נ
|
|
|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최종 눔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ן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ן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사멕 Samekh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ס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ס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아인 Ayin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ע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ע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페 Pe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פ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פ
|
|
|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최종 페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ף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ף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차디 Tsade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צ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צ
|
|
|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최종 차디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ץ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ץ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코프 Qof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ק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ק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레쉬 Resh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ר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ר
|
|
|
|
|
|-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200%;"
| style="font-size:50%;"| 신 Shin
| lang="he"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BL Hebrew', David, Narkisim, 'Taamey Frank CLM', 'New Peninim MT', 'Noto Serif Hebrew', FreeSerif, serif;"| ש
| lang="he" style="font-family: Arial, 'DejaVu Sans Condensed', 'DejaVu Sans', Tahoma, 'Noto Sans Hebrew', Alef, FreeSans, sans-serif;"| ש
|
|
|
|
| --|]]
3. 2. 발음
알레프*아인*
(모음 사이의 구개음화)
묵음
(성문 폐쇄음)
베트 (다게쉬 없음) 베트
바브
헷*
카프 (다게쉬 없음)
카프*
테트
타브
카프 (다게쉬 있음)
코프
사메크
신 (왼쪽 점 있음)
차디*
타브-사메크*
타브-신*
차디 (게레쉬 있음)
테트-신*
타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