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쐐기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말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되어 서기 2세기까지 사용된 문자 체계이다. 최초에는 회계 용도로 사용된 그림 문자에서 시작하여 점차 단순화, 추상화되었으며, 수메르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쐐기 문자는 수메르, 아카드, 엘람, 히타이트, 아시리아, 고대 페르시아 등 여러 문명에서 사용되었으며, 각기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19세기에 해독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쐐기 문자는 법률, 역사 기록, 종교적 기록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로고 디자인 등에서 영감을 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후르리어
    후르리어는 우라르투어와 함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하는 언어이며, 기원전 3천년기 말부터 텍스트가 나타나 13세기에 쇠퇴했으나 1910년대 이후 연구가 재개되었고,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변형된 설형 문자로 표기되었다.
  • 쐐기 문자 - 하티어
    하티어는 고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된 사멸된 고립어이며, 여러 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학설이 존재하고 히타이트 사제들이 작성한 종교적 점토판에서 일부 단어와 어근이 발견된다.
  • 쐐기 문자 - 수메르어
    수메르어는 기원전 4천 년기 후반부터 기원전 2천 년기 초까지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사용된 고립어로, 쐐기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문학 작품과 행정 기록을 통해 연구되고, 아카드어에 밀려 사어가 되었지만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상형문자 - 파이스토스 원반
    파이스토스 원반은 기원전 2천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크레타 섬의 점토 원반으로, 양면에 45개의 서로 다른 기호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활판 인쇄의 초기 사례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기원, 용도, 기록 내용이 명확히 해독되지 않은 미스터리이다.
  • 상형문자 - 루위아어
    루위아어는 기원전 2천년기에서 1천년기 사이에 아나톨리아 중·서부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사용된 아나톨리아어파의 고대 언어로, 설형 문자와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인도유럽어족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쐐기 문자
개요
명칭쐐기 문자
유형표어 문자, 음절 문자
표기 언어수메르어, 아카드어, 에블라어, 엘람어, 히타이트어, 후르리어, 루비아어, 우라르투어, 고대 페르시아어
사용 시기기원전 36세기경 – 기원후 1세기
기원(선문자 시대)
후계 문자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 우가리트 문자
ISO 15924Xsux
유니코드U+12000–U+1236E (수메르-아카드어 쐐기 문자)
U+12400–U+12473 (쐐기 문자 숫자)
쐐기 문자
상세 정보
설명쐐기 문자는 고대 근동에서 사용된 문자 체계로,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후 2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표어 문자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음절 문자의 요소도 더해졌다.
기원쐐기 문자는 수메르에서 기원했다.
사용 언어쐐기 문자는 수메르어, 아카드어, 에블라어, 엘람어, 히타이트어, 후르리어, 루비아어, 우라르투어, 팔라이크어, 아람어, 고대 페르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특징쐐기 문자는 점토판에 갈대 등으로 만든 펜으로 새겨 썼으며, 쐐기 모양의 자국을 남기는 것이 특징이다.
발전쐐기 문자는 초기 원시 쐐기 문자에서 발전하여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와 우가리트 문자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 분야
아시리아학쐐기 문자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는 아시리아학(Assyriology)이라고 불린다. 이 용어는 초기 발굴이 아시리아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 데서 유래되었으나, 현재는 쐐기 문자와 관련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

2. 역사

쐐기 문자의 역사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전과 함께한다. 문자는 신석기 시대에 가축이나 상품의 특정 양을 기록하는 데 사용된 점토 토큰에서 시작되었다.[19] 이 토큰들은 둥근 점토 봉투(점토 불라)에 보관되었고,[19] 이후 스타일러스로 기호를 기록한 평평한 태블릿으로 대체되었다.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 말 우루크에서 처음 기록되었고, 곧 근동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19]

아르카익(수직) 스크립트에서 아시리아까지 쐐기 문자의 점진적인 단순화를 보여주는 표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는 문자 발명에 대한 최초의 알려진 이야기를 전한다.

쐐기 문자 체계는 기원전 31세기부터 서기 2세기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 동안 여러 개발 단계를 거쳤다.[22] 우루크에서 나온 가장 최근의 확실한 태블릿은 서기 79/80년에 제작되었다.[23] 쐐기 문자는 로마 시대에 알파벳 문자로 완전히 대체되었고, 현재 사용되는 쐐기 문자 체계는 없다. 19세기 아시리아학에서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문자 체계로 해독해야 했으며, 1857년에 해독에 성공했다.

쐐기 문자는 2,0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상당히 변화했다. 아래 이미지는 기호 SAĜ "머리"의 발전 과정을 보여준다(Borger nr. 184, U+12295).
기원전 3000–1000년 쐐기 문자 기호 SAG "머리"의 진화



쐐기 문자 해독은 1836년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 해독으로 시작되었다.

현대에 출판된 최초의 쐐기 문자 비문은 페르세폴리스 유적에서 채취한 아케메네스 왕실 비문을 복사한 것으로, 1778년 카르스텐 니부어가 최초로 완전하고 정확한 사본을 출판했다. 1620년, 가르시아 데 실바 피게로아는 페르세폴리스의 비문을 아케메네스 시대로 추정하고 고대 페르시아어로 식별했다. 1621년, 피에트로 델라 발레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는 방향을 명시했다.[72]

1802년 G.F. 그로테펜트는 페르세폴리스의 비문 사본을 이용하여 고대 페르시아어 해독에 힘썼다.[110]

베히스툰 비문 해독은 헨리 로린슨과 에드워드 힝크스에 의해 완료되었다. 1835년 헨리 로린슨은 페르시아 베히스툰 절벽에서 베히스툰 비문을 발견하여 그 일부를 베껴 적었다. 비문은 다리우스 1세 치세 (기원전 522 - 486년)에 새겨졌으며, 페르시아 제국의 세 가지 공용어인 고대 페르시아어, 아카드어(아카드어|아카드어akk), 엘람어(엘람어|엘람어elx)로 쓰인 동일한 텍스트였다. 에드워드 힝크스는 고대 페르시아어가 부분적으로 음절 문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1930년대에는 아카드어를 이용하여 수메르어 쐐기 문자 해독이 시작되어 1940년대에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에 의해 해독되었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기원전 3500년 ~ 기원전 2500년)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말, 회계에 사용된 근동 토큰 시스템에서 비롯된 상형 문자 원시 문자에서 발전했다. 이 토큰들은 기원전 9천년기부터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2천년기 후반에도 간혹 사용되었다.[26] 초기의 토큰 형태가 수메르 상형 문자의 토대가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28]



메소포타미아의 "원시 문학" 시대는 대략 기원전 35세기에서 32세기에 걸쳐 있다. 최초의 명확한 문자 기록은 기원전 3,300년경의 우루크 IV 시기부터 시작되며, 이후 우루크 III, 젬데트 나스르, 초기 왕조 I 우르, 수사 (원시 엘람 문자로)에서 발견된 석판은 기원전 2,9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9]

키쉬 석판, 기원전 3500년, 상형 문자와 초기 쐐기 문자가 새겨진 키쉬의 석회암 석판. 아마도 가장 초기의 문자 기록일 것이다. 애쉬몰린 박물관.


원래 상형 문자는 날카롭게 다듬은 갈대 필기구점토 석판에 세로 열로 그리거나 돌에 새겨졌다. 이 초기 스타일은 획의 특징적인 쐐기 모양이 없었다.[30] 이 시대의 대부분의 원시 설형 문자 기록은 회계적 성격을 띠었다.[31]

기원전 2900년경 이후의 점토판은 음절 요소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수메르어의 전형적인 언어 구조를 분명히 보여준다.[37] 음절 요소를 사용한 최초의 점토판은 초기 왕조 시대 I–II기(기원전 2800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분명히 수메르어로 쓰였다는 데 동의한다.[38]

이 시기에는 일부 그림 문자가 음성적 가치를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여 추상적인 아이디어나 개인 이름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38] 많은 그림 문자가 원래 기능을 잃기 시작했으며, 주어진 기호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기호 목록은 약 1,500개에서 약 600개로 줄어들었고, 문자는 점점 더 음운론적이 되었다.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결정 기호가 다시 도입되었다.

우루크 문화기(기원전 3200년경)에 수메르인에 의해 상형 문자로서의 성격이 강한 우루크 고졸 문자가 발명되었으나,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되는 동안 점차 단순화·추상화되어, 청동기 시대 초두(기원전 2500년)에는 약 1,000자의 수메르 문자가 되었다.

최초의 상형 문자는 점토판 위에 세로 틀을 만들고, , 즉 갈대로 만든 끝이 뾰족한 첨필로 쓰였다. 이윽고 문자는 가로쓰기로 바뀌었고, 또한 끝을 쐐기 모양으로 만든 첨필을 점토판에 눌러 써서 쓰게 되었다.

2. 2.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2300년)

기원전 3000년대 중반, 쐐기 모양의 쐐기 문자를 만들기 위해 점토에 밀어 넣는 새로운 쐐기 팁 필기구가 도입되었다. 이 개발은 특히 부드러운 점토에 글을 쓸 때 글쓰기를 더 빠르고 쉽게 만들었다.[47] 필기구의 점토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작가는 단일 도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인상을 만들 수 있었다.[47] 숫자의 경우, 쐐기 팁 필기구가 일반화될 때까지 둥근 팁 필기구가 처음에 사용되었다.[47] 글쓰기 방향은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이었다.[47] 쐐기 문자 점토판은 가마에서 구워 단단하게 만들어 영구적인 기록을 제공하거나, 영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젖은 상태로 놔두었다가 재활용할 수 있었다.[47]

이 스크립트는 기념 석비와 조각된 부조에 널리 사용되어 기념비가 세워진 통치자의 업적을 기록했다. 구어에는 많은 동음이의어와 유사 동음이의어가 포함되었으며, 처음에는 "생명" [til]과 "화살" [ti]와 같은 유사한 발음의 단어가 동일한 기호(𒋾)로 쓰였다. 그 결과, 많은 기호가 점차 표어문에서 음절 문자로 바뀌어, 예를 들어 "화살"이라는 단어의 기호가 "ti"라는 소리의 기호가 되었다.[48]

음절 문자는 특히 문법적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수메르어 글쓰기에 사용되었으며, 그 사용은 아카드어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아카드어 글쓰기에서 더욱 발전하고 수정되었다.[49] 종종 의미는 비슷하지만 발음이 매우 다른 단어가 동일한 기호로 쓰였다. 예를 들어 수메르어 단어 '이빨' [zu], '입' [ka] 및 '목소리' [gu]는 모두 입을 나타내는 원래의 그림 문자(𒅗)로 쓰였다.

점토판에 적합하도록 개조된 쐐기 모양의 쐐기 문자로 작성된 밭과 집의 매매 계약, 슈루파크, 기원전 2600년경.


소리가 같은 단어는 다른 기호를 갖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음절 [ɡu]는 14개의 다른 기호를 가졌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쐐기 문자 그림 문자는 그때까지 세로로 쓰여졌지만,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실제로 옆으로 놓였다. 이 변화는 아카드 시대 직전에, 우루크 통치자 루갈자게시 (기원전 2294–2270년경 통치) 시대에 처음 발생했다.[52][47] 세로 스타일은 기원전 2000년대 중반까지 돌 석비에 기념비적인 목적으로 남아 있었다.[47]

2. 3. 아카드 제국과 그 이후 (기원전 2300년 ~ 기원전 1800년)

아카드 제국 시대에 쐐기 문자는 아카드어를 표기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수메르어는 점차 구어로서의 지위를 잃었지만, 쐐기 문자는 계속 사용되었다. 엘람 설형 문자는 수메르-아카드 설형 문자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히타이트 설형 문자는 아카드 설형 문자를 차용하여 히타이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57]

엘람 설형 문자는 기원전 3천년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현대 이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엘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수메르-아카드 설형 문자의 단순화된 형태였다. 엘람 설형 문자는 때때로 다른 지역 문자, 원시 엘람 문자 및 선형 엘람 문자와 경쟁했다. 가장 초기의 엘람 설형 문자 텍스트는 기원전 22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카드인과 엘람인 사이의 조약이다. 어떤 사람들은 기원전 2500년부터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58] 점토판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제한된 부분만 읽을 수 있지만, "나람신의 친구는 내 친구, 나람신의 적은 내 적"과 같은 빈번한 언급을 통해 텍스트가 아카드 왕 나람신과 엘람 통치자 히타 사이의 조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57]

가장 유명한 엘람 문헌이자 결국 해독으로 이어진 문헌은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들이 의뢰한 삼중 언어 베히스툰 비문에서 발견된 것들이다.[59] 로제타석과 유사한 이 비문은 세 가지 다른 필기 시스템으로 작성되었다. 첫 번째는 고대 페르시아어였으며, 1802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에 의해 해독되었다. 두 번째인 바빌론어 설형 문자는 고대 페르시아어 텍스트 직후 해독되었다. 엘람어는 인접한 셈어족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 문자의 해독은 1840년대까지 지연되었다.[60]

엘람 설형 문자는 아카드어 원형보다 훨씬 적은 기호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는 주로 음절 문자에 의존했지만, 후기 텍스트에서는 표어 문자가 더 흔해졌다. 많은 기호가 곧 아카드어 원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어려운 매우 독특한 지역 형태 변형을 갖게 되었다.[61]

히타이트 설형 문자는 기원전 1800년경의 고 아시리아 설형 문자를 히타이트어에 적용한 것으로, 기원전 17세기부터 약 13세기까지 사용되었다. 대략 같은 시스템이 히타이트 제국의 서기관들에 의해 다른 두 아나톨리아어인 루위아어 (원래의 아나톨리아 상형 문자와 함께)와 팔라어, 그리고 고립된 하티어에도 사용되었다. 설형 문자가 히타이트어 표기에 적용되었을 때, 수메르어 표어 문자(수메르그램)가 이미 아카드어 표기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었고 히타이트어에서도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카드어'' 표어 문자(Akkadograms)라고도 알려진 한 층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표어 문자로 관습적으로 표기된 많은 히타이트어 단어들의 발음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수메르 쐐기 문자의 후세 차용은, 적어도 수메르 문자의 몇몇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 아카드어 문헌은 수메르어의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와 한 단어에 통째로 대응하는 표어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쐐기 문자의 많은 문자가, 음절과 의미의 양쪽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쐐기 문자가 히타이트어를 쓰는 데 차용되었을 때, 아카드어의 표어 문자적인 쓰임이 더해졌고, 그 결과 많은 히타이트어 단어가 표어 문자적으로 쓰였기 때문에, 그 음가를 오늘날 추정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음절 문자와 표어 문자의 복합적인 필기 시스템의 복잡성은, 일본어의 필기 시스템의 복잡성과 비교할 수 있다. 일본어가 한자로 쓰이는 경우, 어떤 문자는 표음적이고, 어떤 문자는 표의적으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음가가 제각각으로 취해진다. 또한, 한자에서 발전한 순수한 표음적인 가나도 또한 사용된다. 쐐기 문자로 쓰인 히타이트어도 또한 비슷한 표기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2. 4. 신 아시리아와 신 바빌로니아 시대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6세기)



철기 시대에 쐐기 문자는 더욱 단순화되었다. 기원전 10세기부터 아시리아 쐐기 문자가 등장하여, 구 아시리아 쐐기 문자를 대체하였다. 신 아시리아 쐐기 문자는 기원전 6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에 아람 문자메소포타미아의 공식 문자로 채택되면서 쐐기 문자는 점차 주변화되었다. 그러나 쐐기 문자는 문학 전통에서는 계속 사용되었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도 사용되었다.[22]

2. 5. 소멸과 해독 (기원전 1세기 ~ 19세기)

쐐기 문자는 기원후 1세기경에 완전히 소멸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 학자들에 의해 쐐기 문자 해독이 시작되었다.

현대에 출판된 최초의 쐐기 문자 비문은 페르세폴리스 유적에서 채취한 아케메네스 왕실 비문을 복사한 것이었으며, 1778년 카르스텐 니부어에 의해 최초의 완전하고 정확한 사본이 출판되었다. 1620년, 가르시아 데 실바 피게로아는 페르세폴리스의 비문을 아케메네스 시대에 속한다고 추정했으며, 이를 고대 페르시아어로 식별하고 그 유적을 페르세폴리스의 고대 거주지로 결론지었다. 1621년, 피에트로 델라 발레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는 방향을 명시했다.[72]

실제 해독은 19세기 초에 시작되었으며,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 연구에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1802년에 "왕"이라는 단어를 인식했다.[73] 1802년 G.F. 그로테펜트는 페르세폴리스의 비문 사본을 이용하여 고대 페르시아어의 해독에 힘썼다.[110]

베히스툰 비문의 해독은 헨리 로린슨과 에드워드 힝크스에 의해 완료되었다. 1835년 헨리 로린슨에 의해 재발견되어 이용되었다. 로린슨은 영국 육군 장교로, 페르시아의 베히스툰 절벽에서 베히스툰 비문을 발견하여 그 일부를 베껴 적었다. 비문은 다리우스 1세 치세 (기원전 522 - 486년)에 새겨졌으며, 페르시아 제국의 세 가지 공용어인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 아카드어(아카드어|아카드어akk), 엘람어(엘람어|엘람어elx)로 쓰인 동일한 텍스트였다. 베히스툰 비문이 아카드어 설형 문자 해독에 수행한 역할은 로제타 석이 히에로글리프 해독에 수행한 역할과 같다. 에드워드 힝크스는 고대 페르시아어가 부분적으로 음절 문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고대 페르시아어를 번역한 후, 로린슨과 힝크스는 폴 에밀 보타가 1842년에 도시 니네베를 발견한 것으로 크게 도움을 받았다.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에 의해 발굴된 보물 중에는 아카드어 설형 문자로 덮인 소실된 점토판 수만 점을 보유한 아슈르바니팔 왕가의 문서고, 아슈르바니팔 도서관의 유적이 있었다. 1851년까지 로린슨과 힝크스는 200개의 아카드어를 읽는 데 성공했다.

1857년, 로린슨, 힝크스, 율리우스 오페르트, 윌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 4명은 런던에서 회합하여 해독의 정확성을 시험하는 유명한 실험을 했다. 영국 왕립 아시아 학회 서기 에드윈 노리스가 4명 각자에게 최근 발견된 아시리아 황제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 치세에 쓰인 비문 사본을 건넸다. 번역 중에는 4명의 정보 교환이 금지되었다. 학식 경험자로 구성된 심판이 모여 4명의 번역 결과를 정밀 검토하여 그 정확성을 평가했고, 결과에 만족한다고 발표했고, 아카드어 설형 문자로 쓰인 아카드어의 해독이 달성되었다고 선언했다.

1930년대에는 아카드어를 툴로 하여 (수메르어) 설형 문자로 쓰인 수메르어 해독도 시작되어 1940년대에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에 의해 해독되었다.

3. 쐐기 문자의 종류

쐐기 문자는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엔겔베르트 켐퍼가 1712년 『환국기관』에서 '쐐기 문자'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후, 이 문자를 사용하는 문명 및 문화 연구는 아시리아학으로 불리게 되었다.[108][109]

쐐기 문자는 문자의 형태에 주목한 명칭이며, 실제로는 기원과 계통이 다른 다양한 문자 체계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수메르어아카드어의 문자는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의 조합이지만, 우가리트 문자는 압자드이며,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는 알파벳이다.

우루크 문화기(기원전 3200년)에 수메르인이 발명한 우루크 고졸 문자는 상형 문자의 성격이 강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단순화, 추상화되었다. 청동기 시대 초기(기원전 2500년)에는 약 1,000자의 수메르 문자가, 청동기 시대 말기(기원전 2000년)에는 약 400자(히타이트어 설형 문자)에서 약 200자(아카드어 설형 문자)로 줄어들었다. 아카드어를 표기하기 위해 수메르 쐐기 문자를 차용한 áš-šur-ra-a-aakk 문자는 음절 문자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수메르어의 표어 문자를 차용하기도 했다.[49]

수메르 문자는 아카드어(아카드어 설형 문자), 엘람어(엘람어 설형 문자), 히타이트어(히타이트어 설형 문자), 설형 문자 루위어에 차용되었으며, 고대 페르시아어(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나 우가리트어(우가리트 문자) 등에 독자적인 문자의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는 기원전 5세기에 다리우스 1세에 의해 개발된, 기존 설형 문자와는 독립적인 문자 체계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엘람어, 아카드어, 후리어, 히타이트어 설형 문자와 같은 당대의 다른 문자 체계와 뚜렷한 연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독립적인 발명품으로 간주한다.[68]

3. 1. 수메르 쐐기 문자





메소포타미아의 "원시 문학" 시대는 대략 기원전 35세기에서 32세기에 걸쳐 있다. 최초의 명확한 문자 기록은 기원전 3,300년경 우르크 IV 시기부터 시작되며, 이후 우르크 III, 젬데트 나스르, 초기 왕조 I 우르, 수사 (원시 엘람 문자로)에서 발견된 석판은 기원전 2,90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9]

원래 상형 문자는 날카롭게 다듬은 갈대 필기구점토 석판에 세로 열로 그리거나 돌에 새겨졌다. 이 초기 스타일은 획의 특징적인 쐐기 모양이 없었다.[30] 이 시대의 대부분의 원시 설형 문자 기록은 회계적 성격을 띠었다.[31]

신, 국가, 도시, 선박, 새, 나무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특정 기호는 결정사라고 알려져 있으며, 독자를 위한 지침으로 사용된 해당 용어의 수메르 기호였다. 고유 명사는 일반적으로 순전히 "표어 문자" 방식으로 계속 작성되었다.

기원전 2900년경 이후의 점토판은 음절 요소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비(非) 인도유럽어족 교착어수메르어의 전형적인 언어 구조를 분명히 보여준다.[37] 음절 요소를 사용한 최초의 점토판은 초기 왕조 시대 I–II기(기원전 2800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분명히 수메르어로 쓰였다는 데 동의한다.[38]

이 시기에는 일부 그림 문자가 음성적 가치를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여 추상적인 아이디어나 개인 이름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38] 많은 그림 문자가 원래 기능을 잃기 시작했으며, 주어진 기호는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기호 목록은 약 1,500개에서 약 600개로 줄어들었고, 문자는 점점 더 음운론적이 되었다.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결정 기호가 다시 도입되었다.

현대 설형 문자 점토판에 이름이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수메르 왕은 키시의 엔메바라게시이다.[39]

3. 2. 아카드 쐐기 문자

áš-šur-ra-a-aakk 문자는 수메르 쐐기 문자를 차용하여 아카드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áš-šur-ra-a-aakk에서는 음절 문자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수메르어의 표어 문자를 차용하여 사용하기도 했다.[49] áš-šur-ra-a-aakk아시리아바빌로니아에서 각각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수메르 쐐기 문자는 우루크 문화기(기원전 3200년)에 상형 문자로서의 성격이 강한 우루크 고졸 문자가 발명되었으나,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되는 동안 점차 단순화·추상화되었다.[47] 초기 쐐기 문자는 뾰족한 필기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특히 부드러운 점토에 글을 쓸 때 글쓰기를 더 빠르고 쉽게 만들기 위해 쐐기 모양의 쐐기 문자를 점토에 밀어 넣는 새로운 쐐기 팁 필기구가 도입되었다.[47]

수메르어는 음절 문자를 사용하여 문법적 요소를 표현하였고, 이러한 사용 방식은 아카드어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아카드어 글쓰기에서 더욱 발전하고 수정되었다.[49] 종종 의미는 비슷하지만 발음이 매우 다른 단어가 동일한 기호로 쓰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수메르어 단어 '이빨' [zu], '입' [ka] 및 '목소리' [gu]는 모두 입을 나타내는 원래의 그림 문자(𒅗)로 쓰였다. 소리가 같은 단어는 다른 기호를 갖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음절 [ɡu]는 14개의 다른 기호를 가졌다.

기호의 목록은 기존 기호를 복합 기호로 결합하여 확장되었으며, 이들은 원래 두 기호의 의미를 결합하거나, 한 기호는 의미를, 다른 기호는 발음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50]

3. 3. 엘람 쐐기 문자

엘람 쐐기 문자는 기원전 3천년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현대 이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엘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수메르-아카드 쐐기 문자의 단순화된 형태였다. 엘람 쐐기 문자는 때때로 다른 지역 문자인 원시 엘람 문자 및 선형 엘람 문자와 경쟁했다. 가장 초기의 엘람 쐐기 문자 텍스트는 기원전 22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카드인과 엘람인 사이의 조약이다.[57] 어떤 사람들은 기원전 2500년부터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58] 점토판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제한된 부분만 읽을 수 있지만, "나람신(Nāramsîn)의 친구는 내 친구, 나람신의 적은 내 적"과 같은 빈번한 언급을 통해 텍스트가 아카드 왕 나람신과 엘람 통치자 히타 사이의 조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57]

가장 유명한 엘람 문헌이자 결국 해독으로 이어진 문헌은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들이 의뢰한 삼중 언어 베히스툰 비문에서 발견된 것들이다.[59] 로제타석과 유사한 이 비문은 세 가지 다른 필기 시스템으로 작성되었다. 첫 번째는 고대 페르시아어였으며, 1802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에 의해 해독되었다. 두 번째인 바빌론어 쐐기 문자는 고대 페르시아어 텍스트 직후 해독되었다. 엘람어는 인접한 셈어족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 문자의 해독은 1840년대까지 지연되었다.[60]

엘람 쐐기 문자는 아카드어 원형보다 훨씬 적은 기호를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초기에는 주로 음절 문자에 의존했지만, 후기 텍스트에서는 표어 문자가 더 흔해졌다. 많은 기호가 곧 아카드어 원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어려운 매우 독특한 지역 형태 변형을 갖게 되었다.[61]

3. 4. 히타이트 쐐기 문자

히타이트 쐐기 문자는 기원전 1800년경의 고 아시리아 쐐기 문자를 히타이트어에 적용한 것으로, 기원전 17세기부터 약 13세기까지 사용되었다. 히타이트 제국의 서기관들은 루위아어팔라어, 그리고 고립된 하티어에도 대략 같은 시스템의 쐐기 문자를 사용하였다.

쐐기 문자가 히타이트어 표기에 적용되었을 때, 수메르어 표어 문자(수메르그램)가 이미 아카드어 표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었고 히타이트어에서도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카드어'' 표어 문자(Akkadograms)라고도 알려진 층이 추가되었다. 그 결과 많은 히타이트어 단어가 표어 문자적으로 쓰였기 때문에, 그 음가를 오늘날 추정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음절 문자와 표어 문자의 복합적인 필기 시스템의 복잡성은, 일본어의 필기 시스템과 비교할 수 있다.[3] 일본어는 한자로 쓰이는 경우, 어떤 문자는 표음적이고, 어떤 문자는 표의적으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음가가 제각각으로 취해진다. 또한, 한자에서 발전한 순수한 표음적인 가나도 또한 사용된다.[3]

3. 5. 우가리트 문자

우가리트 문자는 쐐기 문자를 사용하여 작성된 표준 셈어 스타일 알파벳(압자드)이었다. 쐐기 모양을 하고는 있지만, 수메르·아카드 문자와 계통이 다른 표기 체계였다.

3. 6.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는 기원전 5세기에 다리우스 1세에 의해 개발된, 기존 설형 문자와는 독립적인 문자 체계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엘람어, 아카드어, 후리어, 히타이트어 설형 문자와 같은 당대의 다른 문자 체계와 뚜렷한 연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독립적인 발명품으로 간주한다.[68]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는 아시리아 문자보다 훨씬 적은 수의 쐐기 획을 사용하며, "신", "왕", "국가"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단어에 대한 소수의 표어 문자를 제외하면 반 알파벳 음절 문자에 가깝다. 36개의 음성 문자와 8개의 표어 문자로 구성된 이 문자는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초기 아케메네스 왕조 통치자들이 사용했다.[69]

이러한 단순하고 논리적인 구조 덕분에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는 1802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그로테펜트의 연구를 시작으로 현대 학자들에 의해 가장 먼저 해독되었다. 다양한 고대 이중 언어 또는 삼중 언어 비문을 통해 3천 년 전 수메르 문자와 같이 훨씬 더 복잡하고 오래된 문자들을 해독할 수 있게 되었다.

쐐기 문자라는 명칭은 문자의 형태에 주목한 것이며, 실제로는 기원과 계통이 다른 다양한 문자 체계를 포함한다. 수메르어아카드어 문자는 표어 문자와 음절 문자의 조합이지만, 우가리트 문자는 압자드이며,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는 알파벳이다.

고대 페르시아 쐐기 문자는 음소 문자(알파벳)로, 각 문자의 획수는 아시리아 문자보다 훨씬 적다. "신"이나 "왕"과 같은 자주 사용되는 단어는 표의 문자로 표현되었다.

4. 음절표

() = a₂
() = a₃
= a₄
= a₅
= a₆
= a₇
= a₈
= a₉
= a₁₀
= a₁₁
= a₁₂
= a₁₃
= a₁₄ = e
() = e₂
() = e₃
= e₄
= e₅
= e₆
= e₇
= e₈
= e₁₀
= e₁₁
= e₁₂
= e₁₃ = i
() = i₂
() = i₃
= i₄
= i₅
= i₆
= i₇
= i₈
= i₉
= i₁₀
= i₁₁
= i₁₄
= i₁₅
= i₁₆ = u
() = u₂
() = u₃
= u₄
= u₅
= u₆
= u₇
= u₈
= u₉
= u₁₀
= u₁₁
= u₁₂
= u₁₃
= u₁₄
= u₁₆
= u₁₇
= u₁₈
= u₁₉
= u₂₀
= u₂₁
= u₂₂
= u₂₃ = a
() = a₂
() = a₃
= a₄
= a₅
= a₆
= a₇
= a₈
= a₉
= a₁₀
= a₁₁
= a₁₂
= a₁₃
= a₁₄ = e
() = e₂
() = e₃
= e₄
= e₅
= e₆
= e₇
= e₈
= e₁₀
= e₁₁
= e₁₂
= e₁₃ = i
() = i₂
() = i₃
= i₄
= i₅
= i₆
= i₇
= i₈
= i₉
= i₁₀
= i₁₁
= i₁₄
= i₁₅
= i₁₆ = u
() = u₂
() = u₃
= u₄
= u₅
= u₆
= u₇
= u₈
= u₉
= u₁₀
= u₁₁
= u₁₂
= u₁₃
= u₁₄
= u₁₆
= u₁₇
= u₁₈
= u₁₉
= u₂₀
= u₂₁
= u₂₂
= u₂₃a-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ai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ea = ia
() = ia₂
() = ia₃
= ia₄
= ia₅
= ia₇
= ia₈
= ia₉
= ia₁₀ = ua
() = ua₂
= ua₄e- = ea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iestyle="background-color:#CCCCCC;" |-ei- = ia
() = ia₂
() = ia₃
= ia₄
= ia₅
= ia₇
= ia₈
= ia₉
= ia₁₀ = ie = ii
() = ii₃ = iu
() = iu₂ = aistyle="background-color:#CCCCCC;" | = ii
() = ii₃style="background-color:#CCCCCC;" |-iu- = ua
() = ua₂
= ua₄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CCCCCC;" | = iu
() = iu₂style="background-color:#CCCCCC;" |-u



아카드어 CV 및 VC 음절 문자
CaCeCiCuaCeCiCuC
ʾ- = ʾa
() = ʾa₂
() = ʾa₃
= ʾa₄
= ʾa₅
= ʾe
() = ʾe₂
= ʾi
() = ʾi₂
() = ʾi₃
= ʾu
() = ʾu₂
() = ʾu₃
= ʾu₄
= ʾu₅
= aʾ
() = aʾ₂
() = aʾ₃
= eʾ
() = eʾ₂
() = eʾ₃
= iʾ
() = iʾ₂
= uʾ
() = uʾ₂
() = uʾ₃
= u₄ʾ
b- = ba
() = ba₂
() = ba₃
= ba₄
= ba₅
= ba₆
= ba₇
= ba₈
= ba₉
= ba₁₀
= ba₁₁
= ba₁₃
= ba₁₄
= ba₁₅
= be
() = be₂
() = be₃
= be₄
= be₅
= be₆
= be₇
= bi
() = bi₂
() = bi₃
= bi₄
= bi₅
= bi₆
= bi₇
= bi₉
= bu
() = bu₂
() = bu₃
= bu₄
= bu₅
= bu₇
= bu₈
= bu₉
= bu₁₀
= bu₁₁
= bu₁₂
= bu₁₃
= bu₁₄
= bu₁₅
= bu₁₆
= bu₁₇
= ab
() = ab₂
() = ab₃
= ab₄
= eb
() = eb₂
= ib
() = ib₂
= ub
() = ub₂
() = ub₃
= ub₄
= ub₅
= ub₆
-b
d- = da
() = da₂
() = da₃
= da₄
= da₅
= da₆
= da₇
= da₈
= da₉
= da₁₀
= da₁₁
= da₁₂
= da₁₃
= de
() = de₂
() = de₃
= de₄
= de₅
= de₆
= de₈


5. 유니코드

쐐기 문자는 유니코드 5.0에 포함되어 있다. 다음 영역에서 982자가 수록되어 있다.

U+0123456789ABCDEF
12000𒀀𒀁𒀂𒀃wordArray𒀅𒀆𒀇𒀈𒀉𒀊𒀋𒀌தலைநகரம்বিক্ষோபம்𒀏
12010𒀐𒀑தலைநகரம்বিক্ষோபம்தலைநகரம்𒀕𒀖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𒀜𒀝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20𒀠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𒀥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𒀭தலைநகரம்𒀯
12030𒀰𒀱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𒀶𒀷𒀸𒀹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40𒁀𒁁𒁂𒁃தலைநகரம்𒁅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𒁉𒁊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𒁍தலைநகரம்𒁏
12050𒁐தலைநகரம்𒁒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𒁕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6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7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𒁲𒁳𒁴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𒁷𒁸𒁹𒁺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𒁾𒁿
1208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𒂃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𒂊𒂋𒂌𒂍𒂎𒂏
12090𒂐𒂑𒂒𒂓𒂔தலைநகரம்𒂖𒂗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𒂚𒂛𒂜𒂝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A0𒂠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𒂥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𒂨தலைநகரம்𒂪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𒂭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B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𒂵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𒂹தலைநகரம்𒂻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C0𒃀𒃁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𒃇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𒃏
120D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𒃒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𒃚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0E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𒃬𒃭தலைநகரம்𒃯
120F0தலைநகரம்𒃱தலைநகரம்𒃳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𒃺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0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𒄂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𒄍தலைநகரம்𒄏
12110தலைநகரம்𒄑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𒄔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𒄚தலைநகரம்𒄜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2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𒄩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30தலைநகரம்𒄱தலைநகரம்𒄳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𒄷தலைநகரம்𒄹𒄺𒄻𒄼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𒄿
12140𒅀𒅁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𒅄𒅅𒅆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𒅉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50𒅐𒅑𒅒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𒅗தலைநகரம்𒅙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𒅟
1216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𒅣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𒅧தலைநகரம்𒅩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𒅯
12170தலைநகரம்𒅱தலைநகரம்𒅳தலைநகരം𒅵𒅶𒅷தலைநகரம்𒅹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8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𒆅𒆆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𒆊தலைநகரம்𒆌தலைநகரம்𒆎தலைநகரம்
1219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𒆔தலைநகரம்𒆖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𒆙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A0𒆠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𒆪𒆫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𒆮தலைநகரம்
121B0தலைநகரம்𒆱தலைநகரம்𒆳𒆴தலைநகரம்𒆶𒆷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1C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𒇍𒇎தலைநகரம்
121D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𒇔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𒇝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1E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𒇢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1F0தலைநகரம்𒇱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𒇶𒇷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200𒈀𒈁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𒈆𒈇தலைநகരം𒈉தலைநகரம்𒈋தலைநகരം𒈍𒈎தலைநகரம்
1221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𒈓𒈔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𒈗𒈘𒈙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220𒈠𒈡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𒈨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𒈬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23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𒈳𒈴𒈵தலைநகരം𒈷𒈸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𒈼தலைநகരം𒈾தலைநகரம்
1224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𒉅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𒉈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𒉌𒉍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
1225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𒉗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𒉝தலைநகரம்𒉟
12260தலைநகரம்𒉡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𒉤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𒉨𒉩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𒉬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27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𒉷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𒉺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280𒊀𒊁𒊂𒊃𒊄𒊅𒊆𒊇𒊈𒊉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𒊎𒊏
12290தலைநகரம்𒊑𒊒𒊓தலைநகரம்𒊕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𒊘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𒊛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2A0தலைநகரம்𒊡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𒊧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𒊫தலைநகരം𒊭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2B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𒊸தலைநகரம்𒊺தலைநகരം𒊼𒊽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2C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2D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𒋛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2E0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𒋣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𒋫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2F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𒋴𒋵𒋶𒋷𒋸𒋹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𒋿
1230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𒌂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𒌅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𒌋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𒌎𒌏
12310தலைநகരം𒌑தலைநகരം𒌓தலைநகரம்𒌕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320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𒌥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𒌩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𒌭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330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𒌳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𒌹தலைநகരം𒌻தலைநகരം𒌽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34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𒍃𒍄𒍅𒍆தலைநகരം𒍈தலைநகരം𒍊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350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𒍔தலைநகരം𒍖தலைநகരം𒍘𒍙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360தலைநகരം𒍡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𒍧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 
12400𒐀𒐁তৃণভূ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41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42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𒐭𒐮𒐯
12430𒐰𒐱𒐲𒐳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44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1245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46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രംதலைநகரம்             
12470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தலைநகரம்             


6. 쐐기 문자의 사용

쐐기 문자는 신석기 시대에 점토 토큰을 사용하여 가축이나 상품의 수량을 기록하면서 시작되었다.[19] 이 토큰들은 둥근 점토 봉투(점토 불라)에 보관되었고, പിന്നീട് 스타일러스로 기호를 기록한 평평한 태블릿으로 대체되었다.[19] 문자는 기원전 4천년 말 우루크에서 처음 기록되었고, 곧 근동 지역으로 퍼져나갔다.[19]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한 시는 문자 발명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쿨라바의 왕이 점토판에 글을 써서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내용이다.[20][21]

쐐기 문자 체계는 기원전 3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22] 최근의 쐐기 문자 점토판은 서기 79/80년에 제작되었다.[23] 쐐기 문자는 로마 시대에 알파벳 문자로 대체되었고, 19세기에 아시리아학을 통해 해독되었다.

쐐기 문자는 2,0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변화를 겪었다. 오른쪽의 이미지는 "머리"를 뜻하는 기호 SAĜ의 발전 과정을 보여준다.



초기 점토판은 그림 문자였기 때문에 어떤 언어로 쓰였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수메르어로 추정된다.[36] 이후의 점토판은 음절 요소를 사용하여 교착어수메르어의 언어 구조를 보여준다.[37] 초기 왕조 시대 I–II기(기원전 2800년경)의 점토판은 수메르어로 쓰였다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38]

이 시기에 그림 문자는 음성적 가치를 가지게 되어 추상적인 개념이나 이름을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38] 기호 목록은 1,500개에서 600개로 줄어들고, 문자는 점점 음운론적이 되었다.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결정 기호가 다시 도입되었다.

이름이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수메르 왕은 키시의 엔메바라게시(기원전 2600년경)이다.[39]

제프리 샘슨은 이집트 상형 문자가 수메르 문자보다 조금 늦게 나타났고, 수메르 문자의 영향을 받아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41][42][43] 그러나 직접적인 증거가 부족하여 이집트 상형 문자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45]

초기 쐐기 문자는 뾰족한 필기구를 사용하여 "선형 쐐기 문자"라고 불렸다.[47] 기원전 3천 년대 중반, 쐐기 모양의 필기구가 도입되어 글쓰기가 더 빠르고 쉬워졌다.[47] 쐐기 문자 점토판은 가마에서 구워 영구적인 기록을 남기거나, 필요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었다.[47]

구어에는 동음이의어가 많아, 처음에는 "생명" [til]과 "화살" [ti]처럼 발음이 비슷한 단어가 같은 기호(𒋾)로 쓰였다. 이후, "화살" 기호는 "ti" 소리의 기호가 되었다.[48]

음절 문자는 문법적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수메르어 글쓰기에 사용되었고, 아카드어의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아카드어 글쓰기에서 더욱 발전했다.[49] 발음이 다른 단어가 같은 기호로 쓰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이빨' [zu], '입' [ka], '목소리' [gu]는 모두 입을 나타내는 그림 문자(𒅗)로 쓰였다. 소리가 같은 단어는 다른 기호를 가졌다. 예를 들어 음절 [ɡu]는 14개의 다른 기호를 가졌다.

기호 목록은 복합 기호를 통해 확장되었다. 예를 들어 𒅗 ''ka'' '입'과 𒀀 ''a'' '물'을 결합하여 ''nag̃'' '마시다'의 기호를 형성했다.[50]

알 수 없는 이유로 쐐기 문자 그림 문자는 세로에서 가로쓰기로 바뀌었다. 이 변화는 우루크 통치자 루갈자게시 시대(기원전 2294–2270년경)에 처음 발생했다.[52][47]

수메르어는 서기 1세기까지 사용되었고, 구어는 기원전 2100년에서 1700년 사이에 사라졌다.

엘람 설형 문자는 기원전 3천년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엘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단순화된 형태였다. 가장 초기의 엘람 설형 문자 텍스트는 기원전 2200년경 아카드인과 엘람인 사이의 조약이다.[57]

히타이트 설형 문자는 기원전 1800년경의 고 아시리아 설형 문자를 히타이트어에 적용한 것이다.

6. 1.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의 사용

함무라비 법전과 같은 법률, 지도, 의료 기록, 종교 이야기 등이 쐐기 문자로 기록되었다.[19] 일반 시민들도 쐐기 문자를 읽고 쓸 수 있었으며, 개인적인 편지나 사업 문서 작성에 활용했다.[19] 학자들은 쐐기 문자를 사용하여 복잡한 학문적인 내용을 기록하기도 했다.[19]

6. 2. 현대의 사용

쐐기 문자는 오늘날 로고 디자인 등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7. 주요 발견 유적

현대에 발굴된 쐐기 문자 점토판은 50만 개에서 200만 개로 추정되며, 이 중 해독되거나 출판된 것은 약 3만 개에서 10만 개 정도이다.[71] 대영 박물관이 약 13만 개의 점토판으로 가장 많은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를린 아시아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이라크 국립 박물관, 예일 바빌로니아 컬렉션(약 4만 개), 펜 박물관이 그 뒤를 잇는다. 이들 대부분은 수 세기 동안 번역, 연구, 출판되지 않은 채 보관되어 있었는데, 이는 전 세계에 쐐기 문자 전문가가 수백 명밖에 없기 때문이다.[70]

쐐기 문자 비문이 발견된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웁살라 대학교 제공.


19세기부터 쐐기 문자 비문 코퍼스를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21세기에는 쐐기 문자 디지털 도서관 계획과 풍부하게 주석된 쐐기 문자 코퍼스가 가장 중요한 두 프로젝트이다.

위치점토판 수최초 발견언어
니네베20,000–24,000[100]1840아카드어
니푸르60,000[100]1851
기르수40,000–50,000[100]1877
두르-카틀림무500[100]1879
시파르60,000–70,000[101][100]1880바빌로니아어
아마르나3821887카나아노-아카드어
누지10,000–20,000[100]1896아카드어, 후르-아카드어
아슈르16,000[102]1898아카드어
하투사30,000[103]1906히타이트어, 후르어
드레헴100,000[100]수메르어
카네쉬23,000[104]1925아카드어
우가리트1,5001929우가리트어, 후르어
페르세폴리스15,000–18,000[105]1933엘람어, 고대 페르시아어
마리20,000–25,000[100]1933아카드어
알라라크300[106]1937아카드어, 후르-아카드어
아부 살라비크500[100]1963수메르어, 아카드어
에블라약 5,000[107]1974수메르어, 에블라어
님루드2441952신아시리아어, 신바빌로니아어


참조

[1] 문서 Adkins 2003, p. 47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cuneiform in English https://en.oxforddic[...] 2017-07-30
[3] AV media Cuneiform: Irving Finkel & Jonathan Taylor bring ancient inscriptions to life https://www.youtube.[...] The British Museum 2017-07-30
[4] thesis A descriptive grammar of Sumerian https://openaccess.l[...] Faculty of the Humanities, Leiden University 2010
[5] 웹사이트 Hittite Online https://lrc.la.utexa[...]
[6]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Litera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2-16
[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writing https://www.bl.uk/hi[...] 2022-05-10
[8] 웹사이트 Hittite Online https://lrc.la.utexa[...]
[9]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World's Ancient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0] 웹사이트 Hittite Online https://lrc.la.utexa[...]
[11] 서적 Saeculum: Gedenkschrift für Heinrich Otten anlässlich seines 100. Geburtstags Harrassowitz 2015
[12] 간행물 The Graeco-Babyloniaca Once Again https://www.degruyte[...] 2007-12-18
[13] 서적 The Ancient Hebrew Tradition as Illustrated by the Monuments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4]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15] 서적 Mitteilungen der Deutschen Orientgesellschaft 142 https://www.orient-g[...] 2010
[16] 웹사이트 Image gallery: tablet / cast https://research.bri[...]
[17] 서적 Cuneifor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18] 문서 Bennison-Chapman, Lucy E. "Reconsidering 'Tokens': The Neolithic Origins of Accounting or Multifunctional, Utilitarian Tools?." Cambridge Archaeological Journal 29.2 (2019): 233–259 https://scholarlypub[...]
[19]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20]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1] 서적 The First Writing: Script Invention as History and Proces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2] 문서 Adkins 2003, p. 47
[23] 문서 Hunger, Hermann, and Teije de Jong, "Almanac W22340a from Uruk: The latest datable cuneiform tablet.", Zeitschrift für Assyriologie und vorderasiatische Archäologie 104.2, pp. 182–194, 2014
[24] 서적 Culture and Values: A Survey of the Western Humanities, Volume 1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
[25] 문서 Overmann, Karenleigh A.. "The Neolithic Clay Tokens", in The Material Origin of Numbers: Insights from the Archaeology of the Ancient Near East, Piscataway, New Jersey, US: Gorgias Press, 2019, pp. 157–178
[26] 문서 Denise Schmandt-Besserat, "An Archaic Recording System and the Origin of Writing." Syro Mesopotamian Studies, vol. 1, no. 1, pp. 1–32, 1977
[27]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28] 문서 Denise Schmandt-Besserat, An Archaic Recording System in the Uruk-Jemdet Nasr Period,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vol. 83, no. 1, pp. 19–48, (Jan. 1979)
[29]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30]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31] 문서 Robert K. Englund, "Proto-Cuneiform Account-Books and Journals", in Michael https://cdli.ucla.ed[...]
[32] 문서 Green, M. and H. J. Nissen (1987). Zeichenliste der Archaischen Texte aus Uruk. ATU 2. Berlin
[33] 문서 Englund, R. K. (1998). "Texts from the Late Uruk Period". In: Mesopotamien: Späturuk-Zeit und Frühdy-
[34] 문서 Born, L., & Kelley, K. (2021). A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o-Cuneiform Sign Use in Archaic Tribute. Cuneiform Digital Library Bulletin, 006 https://cdli.ucla.ed[...]
[35]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36] 간행물 "PROTO-CUNEIFORM AND SUMERIANS." 2014
[37]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38]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39]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40] 웹사이트 Proto-cuneiform tablet https://www.metmuseu[...]
[41]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10-31
[42]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1-10-31
[4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970
[44] 서적 The Times Atlas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Hammond Incorporated 1989
[45] 서적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1-10-31
[46]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A Modern Survey of an Ancient Land Algora Publishing 2004
[47]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8] 서적 Introduction to Sumerian grammar https://cdli.ucla.ed[...]
[49] 서적 Introduction to Sumerian grammar https://cdli.ucla.ed[...]
[50] 서적 Introduction to Sumerian grammar https://cdli.ucla.ed[...]
[51] 서적 Introduction to Sumerian grammar https://cdli.ucla.ed[...]
[52]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53] 서적 Before the European Challenge: The Great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0
[54] 서적 Mémoires https://archive.org/[...] Mission archéologique en Iran 1900
[55]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56] 서적 Reading The Past Cuneiform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87
[57] 서적 The Elamite language (1998) https://archive.org/[...]
[58] 문서 Peter Daniels and William Bright (1996)
[59] 문서 Reiner, Erica (2005)
[60] 서적 The Elamite language (1998) https://archive.org/[...]
[61] 간행물 Клинопись 2010
[62] 서적 Before the European Challenge: The Great Civilizations of Asi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0
[63] 서적 Cuneiform inscriptions of Western Asia http://www.etana.org[...]
[64] 웹사이트 History of Mesopotamia – Mesopotamia from c. 320 bce to c. 620 ce https://www.britanni[...] 2020-12-11
[65] 간행물 The Last Wedge 1997
[66] 백과사전 The Libraries of Babel: Text, Authority, and Tradition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9-08-20
[67] 백과사전 Law and archaeology: Modified Wigmorean Analy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8-20
[68] 간행물 "Notes on the old Persian signs" 1970
[69]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and the Americ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70] 간행물 Cuneiform Tablets: Who's Got What? http://members.bib-a[...] 2005
[71] 간행물 The Digital Hammurabi Project http://pages.jh.edu/[...]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72]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25
[73]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Cuneiform Inscriptions https://archive.org/[...]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74] 서적 Forgotten Empire: The World of Ancient Per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75] 웹사이트 DPa https://www.livius.o[...] 2020-04-16
[76] 웹사이트 XPe https://www.livius.o[...] 2020-09-24
[77] 학술지 Translating Akkadian to English with neural machine translation https://academic.oup[...] 2023-05-02
[78]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79] 서적 Greece and Mesopotamia: Dialogues i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80]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81] 웹사이트 Antiochus cylinder https://www.britishm[...]
[82] 서적 Babylonian Life and History https://archive.org/[...] Religious Tract Society 1884
[83] 문서 Cf. The Cylinder of Antiochus I from the Ezida temple in Borsippa (BM 36277), p.4 by M. Stol and R.J. van der Spek and Antiochus I 01 by The Royal Inscriptions of Babylonia online (RIBo) Project. The transliteration here differs slightly from these sources by rendering the determinative for male personal names 𒁹 with the Sumerian reading of the sign DIŠ, whereas it is more commonly transcribed with the conventional letter M today. The spellings 𒂍𒊕𒅍 (É.SAG.ÍL) and 𒂍𒍣𒁕 (É.ZI.DA) can also be read phonetically in Akkadian (as they are in the second source), because the names themselves have been borrowed into Akkadian with their Sumerian pronunciations. Conversely, the sign 𒆗, which may have the phonetic value ''dan'' in Akkadian, was nevertheless originally a Sumerian logogram KAL 'strong'. Finally, 𒅇 (''ù'') was the word for 'and' not only in Akkadian, but also in Sumerian.
[84] 간행물 Hittite heterographic writings and their interpretation
[85] 서적 Topics in Contemporary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86] 웹사이트 Nimintabba tablet https://research.bri[...]
[87] 서적 Communication and Materiality: Written and Unwritten Communication in Pre-Modern Societ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
[88] 서적 Exp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Museum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6
[89] 간행물 Knocking on Wood: Writing Boards in the Kassite Administration
[90] 간행물 They Wrote on Wax. Wax Boards in the Ancient Near East
[91] 간행물 Wooden Wax-Covered Writing Boards as Vorlage for kudurru Inscriptions in the Middle Babylonian Period
[92] 학술지 The World's Oldest Writing https://www.archaeol[...] 2016-05
[93] 서적 Wer las und schrieb in Babylonien und Assyrien Verlag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94] 간행물 'Lire et écrire en Mésopotamie: Une affaire dé spécialistes?'
[95] 학술지 Levels of Literacy 2011
[96] 웹사이트 Our Logo {{!}} Liberty Fund https://libertyfund.[...] 2020-05-14
[97] 문서 Revised proposal to encode proto-cuneiform in Unicode https://www.unicode.[...] 2023-07-11
[98] 문서 Final proposal to encode the Cuneiform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unicode.org/[...] 2004-06-08
[99] 학술지 Reading Akkadian cuneiform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ttps://doi.org/10.1[...]
[100]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Oxford University Press
[101] 학술지 Neo-Babylonian and Achaemenid Economic Texts from the Sippar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http://www.jstor.org[...] American Oriental Society 2023-04-29
[102] 서적 Sumerisches Glossar Selbstverl. Ellermeier
[103] 웹사이트 The Hittite cuneiform tablets from Bogazköy http://www.unesco.or[...] UNESCO 2016-09-18
[104] 서적 Old Assyrian Bibliography
[105] 웹사이트 Persepolis Fortification Archive https://oi.u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6-09-18
[106] 학위논문 Archival practices at Old Babylonian/Middle Bronze Age Alalakh (Level VII) http://gradworks.umi[...] University of Chicago 2007-01-01
[107] 서적 A Century of Biblical Archaeology Westminster Knox Press
[108] 문서 前田(2000) 5ページ
[109] 서적 Amoenitatum exoticarum https://babel.hathit[...]
[110] 문서 前田(2000) 5ページ
[111] 간행물 "The Elamite Language" Documenta Asiana IV,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 Istituto per gli Studi Micenei ed Egeo-Anatolic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