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자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자드는 자음만을 표기하고 모음 표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문자 체계이다. 아랍 문자의 전통적인 배열 순서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페니키아 문자가 역사상 널리 사용된 최초의 아브자드이며, 아람 문자, 그리스 문자 등 다양한 문자의 기원이 되었다. 아브자드는 셈어족 언어의 형태론적 구조에 적합하며, 알파벳, 아부기다 등 다른 문자 체계와 구분된다. 현대에는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등이 아브자드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어에서도 모음을 생략하는 표기 방식이 아브자드와 유사한 측면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브자드 |
---|
2. 어원
'아브자드'라는 명칭은 아랍 문자의 전통적인 배열 순서인 '아브자드 순'의 처음 네 글자인 알리프(ا, ʾ|ar), 바(ب, b), 짐(ج, j), 달(د, d)에서 유래하였다. 연속해서 읽을 때 편의상 모음을 붙여 '아브자드'가 되었다.[1]
역사상 처음으로 널리 사용된 아브자드는 페니키아 문자이다. 설형 문자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와 같은 당시의 다른 문자들에 비해 페니키아 문자는 20여 개 남짓 밖에 존재하지 않아 배우기 쉬웠다. 페니키아 문자는 페니키아의 해상무역 상인들에 의해 널리 퍼졌다.
3. 기원
페니키아 문자는 음성 표기의 획기적인 단순화였다. 상형 문자는 음성적으로 쓰려는 소리로 시작하는 상형 문자를 선택해야 했기 때문이다. 마치 만요가나(한자가 오로지 음성적 용도로 사용된 것처럼)가 가나가 발명되기 전에 일본어를 음성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과 같다. 페니키아 문자는 아람 문자와 그리스 문자를 포함한 여러 새로운 문자 체계의 기원이 되었다.
3. 1. 아람 문자의 영향
아람 문자는 중동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후 히브리 문자, 나바테아 문자로 발전되었다. 시리아 문자는 아람 문자의 필기체 형태에서 발전된 문자이다. 아랍 문자는 아람 문자 계열의 문자들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점까지는 드러나 있으나, 직접 조상에 해당하는 문자가 나바테아 문자인지 시리아 문자인지, 또는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존재한다.
3. 2. 그리스 문자의 탄생
페니키아 문자는 모음이 추가된 그리스 문자를 거쳐 현대 서양의 알파벳, 키릴 문자 등으로 발전하였다.[2] 기원전 9세기경,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문자를 채용하여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시작하였다.[3] 이들은 모음을 표기하지 않아 발생하는 동음이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자를 변경하였다.[3] 그리스어 발음 특성상 인후음 표기에 사용되는 알레프, 헤, 헤트, 아인은 필요하지 않았기에, 이들 문자에 모음 음가를 부여하였다.[3] 와우 및 요드도 모음으로 사용되면서, 역사상 최초로 자음과 모음이 모두 포함된 알파벳인 그리스 문자가 탄생하였다.[3]
3. 3. 아부기다의 등장
아람 문자는 인도에 전파되어 브라흐미 문자가 되었으며, 이는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문자들의 조상인 아부기다가 되었다.[1]
4. '비순수' 아브자드
대부분의 현대 아브자드는 모음 표기를 위한 문자나 기호를 일부 포함하는 '비순수' 아브자드이다.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람 문자, 아베스타 문자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들 문자에는 모음자로도 사용되는 문자(마테르 렉시오니스)가 일부 포함되어 있거나, 모음 기호가 나중에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히브리 문자에서는 (h), (w), (y) 등이 자음 표기 외에 모음 표기에도 사용된다.
반면, 순수 아브자드는 모음 표시가 완전히 없는 문자 체계를 말하며, 고대 페니키아 문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6]
4. 1. 모음의 추가
기원전 9세기, 그리스인들은 페니키아 문자를 채용하여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는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스어는 모음을 표기하지 않으면 동음이의어가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문자에 변경이 이루어졌다. 그리스어 발음 특성상, 인후음 표기에 사용되는 알레프, 헤, 헤트, 아인은 필요하지 않아 이 문자에 모음 음가를 부여했다. 와우 및 요드도 모음으로 사용되면서, 역사상 최초로 자음과 모음이 모두 들어간 알파벳인 그리스 문자가 탄생하였다.한편, 페니키아 문자에서 다른 흐름의 발전도 있었다. 자음을 기본으로 하고 /a/ 등의 모음이 기본적으로 붙는 것으로 간주하여, 자음에 짧은 곡선을 붙여 모음이 변화됨을 나타내는 아부기다 형태이다. 기원전 3세기 경 아람 문자에서 브라흐미 문자가 발생하였으며,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후 5세기 사이에 남아랍 문자에서 그으즈 문자가 발생하였다.
5. 셈어족 언어와 아브자드
셈어족 언어에서 단어는 대부분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에서 형성되며, 모음은 어미나 파생 형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셈어의 형태론적 구조는 아브자드 서체와 잘 맞는다.[14] 예를 들어 고전 아랍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에서 어근 كتب|K-T-Bar(''쓰다'')로부터 كتب|katabaar(''그는 썼다''), كتبت|katabtaar(''너(남성 단수)는 썼다''), يكتب|yaktubuar(''그는 쓴다''), مكتبة|maktabahar(''도서관'')과 같은 단어들이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모음에 대한 글자 표기가 없으면 공통 어근이 더 명확해져, 독자가 익숙한 어근을 통해 낯선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고, 숙련된 독자는 더 쉽게 단어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셈어족에서는 3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이 매우 많으며, 꿰뚫는 접사나 접두사, 접미사를 붙여 다양한 어휘와 동사의 활용형 등을 만들기 때문에 조어법상 매우 효율적이다.[14] 아랍어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어근 | 관련 단어 |
---|---|
كتب|K-T-Bar | كتب|KaTaBar(쓰다), كتاب|KiTāBar(책), مكتب|maKTaBar(책상), كاتب|KāTiBar(작가) |
كسر|K-S-Rar | كسر|KaSaRar(깨뜨리다), كسر|KaSSaRar(분쇄하다), مكسور|maKSūRar(깨지다), انكسر|inKaSaRar(깨지다) |
6. 다른 문자 체계와의 비교
아브자드는 음소 문자의 한 종류로, 알파벳, 아부기다와 구별된다. 음절 문자, 표어 문자 등 다른 문자 체계와도 비교할 수 있다.
피터 T. 대니얼스의 정의에 따르면, 아브자드는 기본적인 글자들 중에서 모음이 아닌 자음만 표기한다는 점에서 알파벳과 다르다.[6] 아브자드는 아부기다와는 다르게, 아브자드에서는 모음 소리가 음운론에 의해 ''암시적으로'' 나타나며, 히브리 문자의 니쿠드(niqqud)나 아랍 문자의 하라카트(ḥarakāt)와 같이 모음 표기를 위한 기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사용은 선택적이며 지배적인 형태가 아니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아부기다는 ("고유" 모음을 제외한) 모든 모음을 기호, 글자에 붙이는 작은 부호, 독립적인 글리프 또는 글자의 회전을 통해 표기한다. 일부 아부기다는 자음만을 제대로 표기하기 위해 고유 모음을 ''억제''하는 특수 기호를 사용한다. 음절 문자(syllabary)에서는 글자가 완전한 음절, 즉 독립적인 모음 소리 또는 하나 이상의 자음 소리와 모음 소리의 결합을 나타낸다.
7. 아브자드의 숫자 표기
아브자드 문자에 속하는 여러 문자들은 이오니아 식 숫자 표기법을 포함해 숫자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10진법이 탄생하기 전 시대에는 일상적으로 숫자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히브리 성서의 숫자 표기, 현재의 항목 순서 표기에도 이 표기 방식이 남아 있다. 수비학에도 이 방식이 사용되었다.[15][16]
아래는 숫자 값이 400 이하인 히브리 숫자와 아라비아 숫자 표기법의 대조표이다.
8. 현대의 아브자드
“순수하지 않은” 아브자드(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등)에는 모음 자로도 사용되는 글자(준모음)가 몇 개 있거나, 필수적이지 않은 모음 부호가 있거나, 또는 둘 다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히브리 문자에서는 ה|hhe, ו|whe, י|yhe가 모음 자로도 사용된다.[1]
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아베스타어 등 현대 아브자드의 대부분은 순수하지 않은 아브자드이다.[1] 순수한 아브자드의 예로는 고대 페니키아 문자가 있다.[1]
9. 아브자드 목록 (소멸 및 현존)
이름 | 사용 여부 | 필기체 | 방향 | 자음 수 | 모음 표기 문자 | 기원 지역 | 사용 집단 | 언어 | 시대 (연대) | 영향을 받은 문자 | 영향을 준 문자 |
---|---|---|---|---|---|---|---|---|---|---|---|
시리아 문자 | 예 | 예 | 우측에서 좌측 | 22 | 3 | 중동 | 시리아 기독교, 아시리아인 | 아람어: 시리아어, 아시리아 신아람어, 투로요어, 믈라흐소어 | 기원전 100년경[1] | 아람어 | 나바테아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이어 문자, 파르티아 문자, 파흘라위 문자, 소그드 문자, 아베스타 문자, 마니교 문자[1] |
히브리 문자 | 예 | 예 | 우측에서 좌측 | 22 + 5 (최종 자음) | 4 | 중동 | 이스라엘인,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 제2성전 유대 | 히브리어, 유대 아랍어, 유대 아람어, 유대 페르시아어, 유대 이탈리아어, 이디시어, 라디노어, 기타 여러 언어 | 기원전 2세기 | 구히브리 문자, 초기 아람어 | |
아랍 문자 | 예 | 예 | 우측에서 좌측 | 28 | 3 | 중동 | 4억 명 이상 | 아랍어, 카슈미르어, 페르시아어, 파슈토어, 위구르어, 쿠르드어, 우르두어, 기타 여러 언어[1] | 512년[2] | 나바테아 아람어 | 타나 문자 |
아람 문자 (공용)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3 | 중동 |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 제국, 바빌로니아 제국, 아시리아 제국 | 공용 아람어, 히브리어 | 기원전 500년경[1] | 페니키아 문자 | 후기 히브리어, 나바테아 문자, 시리아 문자 |
아람 문자 (초기)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없음 | 중동 | 다양한 셈족 민족 | 기원전 1000년~900년경 | 페니키아 문자 | 히브리어, 공용 아람어[1] | |
나바테아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없음 | 중동 | 나바테아 왕국[3] | 나바테아어 | 기원전 200년경[3] | 아람어 | 아랍 문자 |
중페르시아어 (파흘라위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3 | 중동 | 사산 제국 | 파흘라위어, 중페르시아어 | 기원전 200년경 ~ 기원후 700년경 | 아람어 | 시편, 아베스타 문자[1] |
시편 파흘라위 문자 | 아니오 | 예 | 우측에서 좌측 | 21 | 예 | 중국 북서부 [1] | 종이에 쓰는 페르시아 문자[1] | 기원후 400년경[10] | 시리아 문자 | ||
페니키아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부스트로페돈 | 22 | 없음 | 비블로스[1] | 가나안인 | 페니키아어, 푸니크어, 히브리어 | 기원전 1500년~1000년경[1] | 원시 가나안 문자[1] | 푸니크어(변형),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라틴 문자, 아랍 문자, 히브리 문자 |
파르티아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예 | 파르티아 (현대 이란 북동부, 투르크메니스탄 남부, 아프가니스탄 북서부에 해당)[1] | 파르티아 제국과 사산 제국 시대[1] | 파르티아어 | 기원전 200년경[1] | 아람어 | |
사바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부스트로페돈 | 29 | 없음 | 남아라비아 (세바) | 남아라비아인 | 사바어 | 기원전 500년경[1] | 비블로스[1] | 에티오피아 문자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1] |
푸니크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없음 | 카르타고 (튀니지), 북아프리카, 지중해[1] | 푸니크 문화 | 푸니크어, 신푸니크어 | 페니키아 문자 | ||
원시 시나이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 좌측에서 우측 | 24 | 없음 | 이집트, 시나이 반도, 가나안 | 가나안인 | 가나안어 | 기원전 1900년~1700년경 | 이집트 상형 문자와 함께 사용 |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
우가릿 문자 | 아니오 | 예 | 좌측에서 우측 | 30 | 없음, 3개 문자는 성문 폐쇄음+모음 | 우가릿 (현대 시리아 북부) | 우가릿인 | 우가릿어, 후리어 | 기원전 1400년경[1] | 원시 시나이 문자 | |
남아라비아 문자 | 아니오 | 예 (자부르 문자 - 남아라비아 문자의 필기체) | 우측에서 좌측, 부스트로페돈 | 29 | 예 | 남아라비아 (예멘) | 딤트 왕국 | 암하라어, 티그리냐어, 티그레어, 셈어, 쿠시어, 닐로사하라어 | 기원전 900년경 | 원시 시나이 문자 | 게에즈 문자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
소그드 문자 | 아니오 | 아니오 (후기 버전에서는 예) | 우측에서 좌측, 좌측에서 우측 (세로) | 20 | 3 | 중국 일부 (신장),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 불교도, 마니교도 | 소그드어 | 기원후 400년경 | 시리아 문자 | 구위구르 문자[1] |
사마리아 문자 | 예 (700명) | 아니오 | 우측에서 좌측 | 22 | 없음 | 레반트 | 사마리아인 (나블루스와 홀론) | 사마리아 아람어, 사마리아 히브리어 | 기원전 100년경~기원후 1년경 | 구히브리 문자 | |
티피나 문자 | 예 | 아니오 | 아래에서 위, 우측에서 좌측, 좌측에서 우측 | 31 | 예 | 북아프리카 | 베르베르인 | 베르베르어 | 기원전 2000년경[11] | 페니키아 문자, 아랍 문자 | 신티피나 문자 |
10. 한국어와 아브자드
한국어는 자질 문자인 한글을 사용하지만, 셈어족이 아닌 언어에서도 모음을 생략하여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아브자드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문장 "Many non-Semitic languages such as English can be written without vowels and read with little difficulty"를 모음 없이 "Mn nn-Smtc lnggs sch s nglsh cn b wrttn wtht vwls nd rd wth lttl dffclty"와 같이 쓸 수 있다.
영어에는 Blvd.(=Boulevard)나 bldg.(=building)과 같은 아브자드적인 약어도 있다. 부적절한 표현을 "자율규제"하기 위해 이러한 표기법이 사용되기도 하며, 이 기법은 디스엠보웰링으로 알려져 있다. leet 표기에는 모음을 생략하는 용법이 많으며, 특히 짧은 단어에서 자주 나타난다.
참조
[1]
OED
abjad
[2]
서적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Scripts II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19-10-10
[3]
서적
The Idea of Writing: Writing Across Borders
https://books.google[...]
Brill
2012
[4]
간행물
Fundamentals of Grammatology
https://www.jstor.or[...]
1990
[5]
간행물
Towards a typology of phonemic scripts
2017
[6]
서적
Writing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Abjads / Consonant alphabets
http://omniglot.com/[...]
2009-05-22
[8]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approach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5
[9]
웹사이트
Low-resource autodiacritization of abjads for speech keyword search
http://www.isca-spee[...]
2006
[10]
웹사이트
PAHLAVI PSALTER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11]
서적
Rock Art Studies - News of the World Volume 3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08-08-05
[12]
OED
abjad
[13]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14]
문서
ふしぎな、ふしぎなアラビア語
http://www.tufs.ac.j[...]
東京外国語大学
2015-10-13
[15]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s in the Hebrew Block
https://www.fileform[...]
2019-10-04
[16]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s in the Arabic Block
https://www.fileform[...]
2019-10-04
[17]
문서
본 표의 개별 아라비아 문자는 기본적으로 같은 수치의 히브리 문자에서 파생되었지만, 유일한 예외로 아라비아 문자 Seen은 히브리 문자 Samekh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다.
[18]
웹사이트
Abjads / Consonant alphabets
http://omniglot.com/[...]
2009-05-22
[19]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