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니키아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3세기부터 사용된 음소 문자 체계로, 원시 시나이 문자와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기원했다. 22개의 자음 문자를 사용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페니키아 상인들의 해상 무역을 통해 지중해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그리스 알파벳, 이탈리아 반도 고대 문자 등 다양한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페니키아 문자는 아람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그리고 브라흐미 문자를 비롯한 다양한 문자의 기원이 되었으며, 오늘날 사용되는 많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유니코드에는 U+10900부터 U+1091F까지 할당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 문자 - 페니키아어
    페니키아어는 고대 페니키아인들이 사용한 셈어족 언어로, 현대 알파벳의 조상인 페니키아 문자를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전파되었으며, 특히 카르타고의 포에니어는 로마 시대까지 존속하며 베르베르어에 영향을 미쳤다.
  • 페니키아 문자 - 아람어
    아람어는 기원전 1000년경 아람인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셈어족 언어로, 신아시리아 제국의 공용어 채택으로 넓은 지역에 확산되었고, 예수의 언어이자 성경과 탈무드의 주요 언어이며, 현대에는 일부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 페니키아어 - 셈어파
    셈어파는 아랍어, 히브리어 등을 포함하는 어족으로, 노아의 아들 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자음 체계와 어근 활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페니키아어 - 포에니어
    포에니어는 고대 페니키아어에서 파생되어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사용된 언어로, 독자적인 체계를 발전시켜 네오-푸니어 형태로 존속했으며, 비문과 문학 작품, 《포에눌루스》 등을 통해 연구되고 일부 베르베르어 어근에 흔적이 남아있다.
  • 기원전 11세기 설립 - 쿠시 왕국
    쿠시 왕국은 고대 누비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이집트를 정복하여 제25왕조를 세우고 메로에로 수도를 옮겨 철기 기술, 관개 시설,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갖추었으며, 4세기경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하였다.
  • 기원전 11세기 설립 - 카리아
    카리아는 현재 튀르키예의 아이든 주, 무을라 주, 데니즐리 주에 걸쳐 있던 고대 아나톨리아 남서부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번성했으며 마우솔로스 영묘와 밀라스, 보드룸, 달얀 등의 도시 유적으로 유명하다.
페니키아 문자
기본 정보
문자 유형아브자드
사용 언어페니키아어
푸닉어
고대 아람어
암몬어
모압어
에돔어
고대 아랍어
사용 시기기원전 1050년경 ~ 기원전 150년경
기원이집트 상형문자에서 원시 시나이 문자를 거쳐 발전
후계 문자고대 히브리어 문자
아람 문자
그리스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리비아-베르베르 문자
자매 문자남셈어 문자
유니코드 범위U+10900–U+1091F
ISO 15924 코드Phnx
페니키아 문자
다른 이름초기 선형 문자 (셈어 문맥에서)
특징
표기 방식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모음 표시마테르 렉티오니스 (주로 긴 모음만 표시)
발전 과정원시 시나이 문자에서 발전하여 페니키아인들이 사용, 이후 여러 문자 체계에 영향
역사
기원기원전 11세기경 페니키아 지역에서 등장
확산지중해 연안 지역으로 확산, 그리스 문자 등 다른 문자 체계의 기원이 됨
쇠퇴헬레니즘 시대에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들이 사용되면서 점차 쇠퇴
소멸카르타고 멸망 이후 (기원전 149년) 사용 중단
사용
비문왕의 비문 (예: 킬라무와 왕의 비문)
계약서
봉헌문
상업상업 활동 기록
종교신전 기록
참고 자료
고고학적 발견키프로스의 키티온 비문
레바논의 비블로스 비문
몰타의 마르사슬록 비문

2. 역사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2000년경 발명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음소 문자에서 기원했다.[45] 룩소르 근처 와디 엘 홀의 낙서나 시나이 반도의 사라비트 알 하딤에서 발견된 원시 시나이 문자는 기원전 18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 시나이 문자는 이집트 히에로글리프(상형문자) 지식을 가진 서부 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노동자들이 상형 문자의 자형을 기반으로 두음법칙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다는 가설이 있지만, 해독이 정확하지 않아 입증되지는 않았다.[46]

우가릿 문자(기원전 14세기경)는 원시 시나이 문자를 계승한 가장 오래된 문자 중 하나이며, 27개의 자음 문자와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하는 3개의 음절 문자를 가지고 있다. 팔레스타인에서도 원시 시나이 문자를 계승한 기원전 17-15세기경의 문자가 발견되어 원 가나안 문자라고 불리며, 이것이 페니키아 문자로 이어졌다. 기원전 11세기 중반 이후의 것을 페니키아 문자라고 부르는데, 문자 수가 22개로 줄고 자형이 추상적으로 변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방향이 안정되었다.[47] 아히람 석관 비문(기원전 850년경)은 가장 오래된 페니키아 문자 비문 중 하나이다.[48]

페니키아 문자는 22개의 자음을 가진 아브자드(자음 문자)로,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없었다. 모음은 구전을 통해 익혔으며, 이 특징은 아람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등에도 계승되었다.[41][42] 페니키아 문자와 동계의 오래된 문자에는 설형 문자의 자형을 가진 우가릿 문자나 남아라비아 문자가 있지만, 페니키아 문자는 자음 체계가 간소화되어 22자밖에 없었다.[43]

페니키아 문자는 상인들에 의해 유럽과 중동으로 퍼져나가 다양한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면서 많은 후계 문자 체계가 탄생했다. 아람 문자아랍 문자히브리 문자의 조상이 되었고, 브라흐미 문자는 인도계 문자의 기원이 되었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직계 후계로, 알파벳이 되었으며, 라틴 문자, 키릴 문자 등이 파생되었다.

18세기에 장 자크 바르텔레미는 그리스어와 함께 쓰인 이중 언어 비문을 통해 팔미라 문자와 페니키아 문자를 해독했다.[44]

장 자크 바르텔레미의 페니키아 메달 연구

2. 1. 기원

가장 오래된 원시 알파벳 문자 기록은 시나이 반도와 가나안에서 중청동기와 후청동기에 걸쳐 산발적으로 발견되는 원시 시나이 문자이다. 이 문자는 기원전 13세기와 12세기에 시리아-히타이트 국가의 부상 전까지는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페니키아 문자는 청동기 붕괴 시대의 "원시 가나안" 문자의 직접적인 연속이다. 베들레헴 근처 알-카데르에서 발견된 기원전 11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페니키아 화살촉에 새겨진 비문은 두 문자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를 금석학자들에게 제공했다.[6][7] 레바논 비블로스에 있는 아히람 왕의 석관에 새겨진 아히람 비문은 그 연대 측정에 논란이 있지만, 알려진 다섯 개의 비블로스 왕실 비문 중 하나이며, 본질적으로 완전히 발달된 페니키아 문자를 보여준다.[8] 하지만 "페니키아"라는 이름은 관례적으로 기원전 11세기 중반부터 시작되는 비문에 부여된다.[9]

페니키아 문자는 많은 음소 문자의 근원이지만, 그 근원이 되는 최고(最古)의 음소 문자는 기원전 2000년경에 발명된 것으로 생각된다.[45] 발견된 것으로는 룩소르 근처 와디 엘 홀에서 발견된 낙서나 시나이 반도의 사라비트 알 하딤에서 발견된 문자(원 시나이 문자)가 있으며, 기원전 1800년경의 것으로 생각된다.

원 시나이 문자 연구에 따르면, 음소 문자는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 지식을 가지고 서세미어를 모어로 하는 노동자들에 의해, 히에로글리프의 자형을 기반으로 두음법의 원리에 따라 그 문자가 나타내는 세미어 단어의 첫 자음을 취한 것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 설이 입증되려면 원 시나이 문자의 해독이 정확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원 시나이 문자의 해독은 매우 의심스럽다.[46]

원 시나이 문자를 계승하고 충분한 자료가 있는 최고(最古)의 문자는 우가릿 문자(기원전 14세기경)이며, 27개의 자음 문자와 성문 파열음으로 시작하는 3개의 음절 문자를 가지고 있다.

팔레스타인에서도 원 시나이 문자를 계승한 기원전 17-15세기경의 문자가 몇 개 발견되어 원 가나안 문자라고 불린다. 이것이 페니키아 문자로 이행했다. 이 이행은 연속성이 강하여 이행 시기를 확정할 수 없지만, 편의상 기원전 11세기 중반 이후의 것을 페니키아 문자라고 부르고 있다.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문자 수가 22개로 줄어들고, 자형은 추상적이 되었다. 서기 방향은 안정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게 되었다.[47] 최고(最古)의 페니키아 문자 비문 중 하나로 아히람 석관 비문(기원전 850년경)이 있다.[48]

2. 2. 발전과 전파

페니키아 문자는 페니키아 상인들의 해상 무역 활동을 통해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1] 이 문자는 북아프리카와 남유럽 등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 적용되기 쉬운 단순성 덕분에 널리 사용되었다.[13] 페니키아 문자 비문은 레바논의 비블로스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등 페니키아 도시와 식민지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12]

기원전 9세기부터 페니키아 알파벳의 변형이 번성했는데, 여기에는 그리스 문자, 이탈리아 반도 고대 문자, 소아시아 문자 등이 포함된다. 페니키아 문자는 하나의 기호로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 체계였기 때문에, 당시 사용되던 쐐기 문자나 이집트 상형 문자에 비해 훨씬 배우기 쉬웠다.[10] 이는 읽고 쓰는 능력이 소수 엘리트에게만 제한되었던 사회 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니키아 왕자 카드모스는 그리스인들에게 페니키아 알파벳(phoinikeia grammata|포이니케이아 그람마타grc)을 소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4] 그리스인들은 이를 개량하여 자신들의 그리스 알파벳을 만들었다.

페니키아 문자는 자음만을 표기하는 아브자드였으며, 모음은 구전을 통해 익혔다.[41][42] 이러한 특징은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아람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등에도 계승되었다.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의 직계 조상이며, 그리스 문자는 특정 문자의 음가를 모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알파벳이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라틴 문자, 키릴 문자 등이 탄생했다.

2. 3. 주요 비문

모압 석비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페니키아 문자


1758년 장자크 바르텔레미가 해독한 페니키아 알파벳. 1번은 멜카르트의 기둥, 2번은 주화, 3번은 포코크 키티온 비문에서 나온 것이다.


페니키아 문자가 새겨진 주요 비문은 다음과 같다:[17]

  • KAI 1: 아히람 석관, 비블로스, 기원전 1000년경.
  • KAI 14: 에쉬무나자르 2세의 석관, 기원전 5세기
  • KAI 15–16: 보다스타르트 비문, 기원전 4세기
  • KAI 24: 킬라무와 기념비, 기원전 9세기
  • KAI 46: 노라 돌, 기원전 800년경
  • KAI 47: 멜카르트의 기둥 비문, 기원전 2세기
  • KAI 26: 카라테페 이중 언어 비문, 기원전 8세기
  • KAI 277: 피르기 금판, 페니키아-에트루리아 이중 언어 비문, 기원전 500년경
  • 치네쾨이 비문, 페니키아-루위아 이중 언어 비문, 기원전 8세기

2. 4. 현대의 재발견

18세기에 장 자크 바르텔레미는 팔미라 문자와 페니키아 문자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44] 그는 그리스어와 함께 쓰인 이중 언어 비문을 통해 고유 명사를 비교하여 각 문자가 나타내는 소리를 밝혀냈다. 그 후, 히브리어시리아어 지식을 바탕으로 본문을 해석하여 해독했다.[44]

처음에는 페니키아 문자가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직접 변형된 것으로 여겨졌으나,[18] 19세기에 샹폴리옹이 이집트 상형 문자를 해독한 후에도 학자들은 두 문자 체계 사이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히에라틱이나 쐐기 문자와의 연관성도 찾지 못했다. 독자적 창작 이론에서는 한 개인이 고안했다는 설부터 힉소스 민족이 이집트 상형 문자를 왜곡하여 만들었다는 설까지 다양했다.[19] 결국 원시 시나이 문자가 상형 문자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페니키아 문자는 많은 음소 문자의 근원이지만, 그 기원이 되는 가장 오래된 음소 문자는 기원전 2000년경에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45] 룩소르 근처 와디 엘 홀에서 발견된 낙서나 시나이 반도의 세라비트 엘 카딤에서 발견된 원시 시나이 문자는 기원전 18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 시나이 문자 연구에 따르면, 음소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 지식을 가진 서부 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노동자들이 상형 문자의 자형을 기반으로 두음법칙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이 가설이 입증되려면 원시 시나이 문자의 해독이 정확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해독이 매우 의심스럽다.[46]

3. 글자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등 여러 문자의 기원이 되었으며, 그 형태와 음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20] 페니키아 문자 자체도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여 한 가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다.

페니키아 문자의 각 글자는 특정한 사물을 나타내는 그림에서 유래되었으며, 해당 사물의 이름을 따서 글자의 이름이 지어졌다. 예를 들어, '알레프'는 '소'를 의미하며,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것이다.

페니키아 문자의 글자, 이름, 의미, 그리고 다른 문자와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페니키아 문자와 그에 해당하는 글자
그림글자이름로마자 전사히브리 문자아랍 문자그리스 문자로마 문자키릴 문자
𐤀알레프ʼאΑαAaАа
𐤁베트bבΒβBbБб, Вв
𐤂기멜낙타gגΓγCc, GgГг, Ґґ
𐤃달레트dדΔδDdДд
𐤄창문hהΕεEeЕе, Єє, Ээ
𐤅바브갈고리wוϜϝ, ΥυFf, Uu, Vv, Ww, YyУу, Ѵѵ, Ўў, Ԝԝ, Үү
𐤆자인무기zזΖζZzЗз, Жж
𐤇헤트담장חΗηHhИи, Йй
𐤈테트바퀴טΘθѲѳ, Фф
𐤉요드yיΙιIi, JjІі, Її, Јј
𐤊카프손바닥kכΚκKkКк
𐤋라메드몰이 막대기lלΛλLlЛл
𐤌mמΜμMmМм
𐤍nנΝνNnНн
𐤎사메크물고기sסسΞξ, ΧχXxѮѯ, Хх
𐤏아인ʿעΟοOoОо, Өө
𐤐pפΠπPpПп
𐤑차데파피루스 나무צϺϻЦц, Чч, Џџ
𐤒코프원숭이qקϘϙQqҀҁ
𐤓레쉬머리rרΡρRrРр
𐤔šשشΣσSsСс, Шш, Щщ
𐤕타우표시tתΤτTtТт


3. 1. 글자 목록

그림문자이름[22]음소음역대응하는 문자
히브리 문자아랍 문자그리스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
𐤀ʾālep황소ʾʾאΑαAaАа
𐤁bētbbבΒβBbБб, Вв
𐤂gīmel낙타ggגΓγCc, GgГг, Ґґ
𐤃dāletddדΔδDdДд
𐤄창문hhהΕεEeЕе, Єє, Ээ
𐤅wāw갈고리wwוϜϝ, ΥυFf, Uu, Vv, Ww, YyУу, Ѵѵ, Ўў, Ԝԝ, Үү
𐤆zayin무기zzזΖζZzЗз, Жж
𐤇ḥēt담장חΗηHhИи, Йй
𐤈ṭēt바퀴טΘθѲѳ, Фф
𐤉yōdyyיΙιIi, JjІі, Її, Јј
𐤊kap손바닥kkכΚκKkКк
𐤋lāmed몰이 막대기llלΛλLlЛл
𐤌mēmmmמΜμMmМм
𐤍nūnnnנΝνNnНн
𐤎sāmek물고기ssסسΞξ, ΧχXxѮѯ, Хх
𐤏ʿayinʿʿעΟοOoОо, Өө
𐤐ppפΠπPpПп
𐤑ṣādē파피루스 나무צϺϻЦц, Чч, Џџ
𐤒qōp원숭이qqקϘϙQqҀҁ
𐤓rēš머리rrרΡρRrРр
𐤔šīnššשشΣσ, ΣςSsСс, Шш, Щщ
𐤕tāw표시ttתΤτTtТт



페니키아 문자는 다른 알파벳으로 발전하면서 그 형태와 음가가 변화했다.[20] 페니키아 문자 자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여 균일하지 않다.

초기 그리스 알파벳은 페니키아 문자와 유사했지만, 자음만 있던 페니키아 문자에 모음이 추가되었다. 그리스어 음가와 일치하지 않는 페니키아 문자 사용 방식에 따라 여러 변종이 있었다. 이오니아 알파벳이 표준 그리스 알파벳이 되었고, 쿠마이 알파벳은 라틴 알파벳을 포함한 이탈리아 알파벳으로 발전했다.

룬 문자는 이탈리아 알파벳에서, 키릴 문자는 중세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히브리어, 시리아어, 아랍어 문자는 아람 문자에서 유래했으며(아랍 문자는 나바테아 문자의 중세 속필체 변종), 게에즈 문자는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했다.

3. 2. 문자 이름

페니키아 문자의 각 글자 이름은 악로포니(acrophony) 원칙에 따라 지어졌다. 즉, 각 글자는 그 글자가 나타내는 소리로 시작하는 단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페니키아 알파벳의 두 번째 문자는 '집'을 의미하는 이집트 상형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집'을 의미하는 셈어 단어는 ''bet''이었고, 따라서 페니키아 문자는 ''bet''이라고 불리며 ''b''라는 음가를 가졌다.[29]

테오도르 뇌르데케는 1904년에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일부 문자 이름이 페니키아어로 변경되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gaml'' '던지는 막대기'에서 ''gimel'' '낙타'로
  • ''digg'' '물고기'에서 ''dalet'' '문'으로
  • ''hll'' '환희'에서 ''he'' '창문'으로
  • ''ziqq'' '족쇄'에서 ''zayin'' '무기'로
  • ''naḥš'' '뱀'에서 ''nun'' '물고기'로
  • ''piʾt'' '모퉁이'에서 ''pe'' '입'으로
  • ''šimš'' '태양'에서 ''šin'' '이빨'로


이가엘 야딘(1963)은 무기(samek, zayin)의 이름을 딴 원래 문자 형태 중 일부와 유사한 실제 전투 장비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30]

페니키아 문자의 각 문자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페니키아 문자에서 발전한 그리스 문자,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등은 기본적으로 공통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페니키아 문자에도 비슷한 이름이 붙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문자 이름 중에는 그 기원이 명확한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알레프()는 히브리어 “牡牛(수소)”와 관련이 있으며, 그 글자 모양은 소의 머리를 정면에서 그린 모양으로 볼 수 있다. 카프()는 히브리어 “손바닥”과 관련이 있으며, 그 글자 모양은 손바닥을 그린 것처럼 보인다. 이들은 원래 어떤 사물의 그림을 그리고, 그 그림으로 나타내는 단어의 첫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되었다는 음절문자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기원이 불분명한 것도 많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일부 문자의 옛 이름이 달랐다고 생각한 사람도 있다. 예를 들어 앨런 가디너는 원 시나이 문자의 뱀 모양 글자를 게에즈 문자에서 “n” 자를 나하스라고 부르는 것을 근거로 히브리어 נָחָשׁ (naḥaš, “뱀”)과 연결하여 “n”을 나타내는 글자로 해석했다. 이에 따르면 페니키아 문자의 눈() “물고기”는 나중에 이름이 바뀐 것이 된다. 그러나 다니엘스에 따르면 게에즈 문자의 문자 이름은 16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으며, 원 시나이 문자 해석에 사용하는 것은 잘못이다.[51]

페니키아 문자와 그에 해당하는 글자
그림글자이름로마자 전사히브리아랍그리스로마키릴
𐤀알레프ʼאΑαAaАа
𐤁베트bבΒβBbБб, Вв
𐤂기멜낙타gגΓγCc, GgГг, Ґґ
𐤃달레트dדΔδDdДд
𐤄창문hהΕεEeЕе, Єє, Ээ
𐤅바브갈고리wוϜϝ, ΥυFf, Uu, Vv, Ww, YyУу, Ѵѵ, Ўў, Ԝԝ, Үү
𐤆자인무기zזΖζZzЗз, Жж
𐤇헤트담장חΗηHhИи, Йй
𐤈테트바퀴טΘθѲѳ, Фф
𐤉요드yיΙιIi, JjІі, Її, Јј
𐤊카프손바닥kכΚκKkКк
𐤋라메드몰이 막대기lלΛλLlЛл
𐤌mמΜμMmМм
𐤍nנΝνNnНн
𐤎사메크물고기sסسΞξ, ΧχXxѮѯ, Хх
𐤏아인ʿעΟοOoОо, Өө
𐤐pפΠπPpПп
𐤑차데파피루스 나무צϺϻЦц, Чч, Џџ
𐤒코프원숭이qקϘϙQqҀҁ
𐤓레쉬머리rרΡρRrРр
𐤔šשشΣσSsСс, Шш, Щщ
𐤕타우표시tתΤτTtТт


3. 3. 숫자

페니키아 숫자 체계는 1, 10, 20, 100을 나타내는 별개의 기호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1을 나타내는 기호는 단순한 세로 획(𐤖)이었다. 9까지의 다른 숫자들은 이러한 획을 적절한 개수만큼 더하여 3개씩 그룹으로 배열하여 만들었다. 10을 나타내는 기호는 가로선 또는 못 모양(𐤗)이었다. 20을 나타내는 기호(𐤘)는 여러 가지 글자 변형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는 두 개의 10을 나타내는 기호를 조합하여 대략 Z자 모양으로 만든 것이었다. 10의 더 큰 배수는 적절한 수의 20과 10을 그룹화하여 만들었다. 100을 나타내는 기호(𐤙)에도 여러 가지 글자 변형이 있었다. 100을 나타내는 기호는 앞에 오는 숫자와 곱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4와 100을 조합하면 400이 되었다.[31] 이 체계에는 0을 나타내는 숫자가 없었다.[32]

페니키아 숫자
페니키아 문자
1𐤖
10𐤗
20𐤘
100𐤙


4. 파생된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매우 영향력이 커서 오늘날 사용되는 많은 문자 체계의 기원이 되었다.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었고,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했다. 아람 문자 또한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되었으며, 아랍 문자히브리 문자로 발전했다. 브라흐미 문자와 그 후의 브라흐미 문자계가 인도 문화권에서 아람 문자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지만, 이 이론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만약 이 이론이 사실이라면 세계 대부분의 문자 체계가 페니키아 문자를 공통 조상으로 가지게 된다.

페니키아 문자의 각 글자는 파생된 문자에서 새로운 형태로 바뀌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키릴 문자, 페니키아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22개의 자음을 가진 아브자드(자음 문자)이다.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없으며, 모음은 구전을 통해 익혔다. 이러한 특징은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아람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등에도 계승되었다.[41][42]

페니키아 문자와 같은 시기에 사용된 문자로는 쐐기 문자 형태의 우가릿 문자와 현재 예멘 지역에서 사용된 남아라비아 문자가 있지만, 이들은 28~30자 정도였다. 반면 페니키아 문자는 22자로, 페니키아어의 자음 체계가 간소화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43]

페니키아 문자는 페니키아 상인들에 의해 유럽과 중동으로 퍼져 나갔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많은 후계 문자 체계가 탄생했다.

페니키아 계통 문자 비교도
왼쪽부터, 라틴 문자·그리스 문자·페니키아 문자·히브리 문자·아랍 문자

4. 1. 초기 셈족 문자

구 팔레오-히브리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지역적 변종으로, 초기 히브리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사마리아 문자는 기원전 6세기에 등장한 구 팔레오-히브리 문자에서 발전한 것이다. 남아라비아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의 완성된 발전 이전 단계의 원시 시나이 문자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게에즈 문자는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발전했다.[43]

4. 2. 사마리아 문자

사마리아어판 레위기의 한 페이지


페니키아 문자는 사마리아인들에 의해 계속 사용되었고, 비이스라엘 중간 단계 없이 페니키아 문자의 직접적인 연속으로 사마리아 문자가 발전했다. 사마리아인들은 현재까지 히브리어와 아람어 텍스트를 기록하기 위해 이 문자를 계속 사용해 왔다. 가장 초기의 사마리아 비문과 중세 및 현대 사마리아 사본을 비교해 보면 사마리아 문자가 주로 서체로 사용된 정적인 문자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1]

4. 3. 아람 문자 계통

아람 문자아람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으며,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초기 문자이다. 아람어는 중동의 공용어였기 때문에 널리 채택되었다. 이후 히브리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등 여러 관련 문자로 분화되었는데, 나바테아 문자는 필기체 형태로 아랍 문자의 조상이 되었다.[16] 히브리 문자는 기원전 300년경 제2성전 시대에 페르시아 제국에서 사용된 아람 문자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제2성전 시대 후기에 페니키아식 서체가 부활하여 쿰란 동굴의 일부 사례에서 보이는데, 예를 들어 기원전 2세기 또는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구히브리 레위기 두루마리가 있다.

기원전 5세기까지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페니키아 문자 대부분이 아람 문자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페르시아 제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모든 알파벳 문자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페르시아 제국 문자 자체도 궁극적으로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유래했지만, 이스라엘이 아닌 중간 단계의 진화 과정을 거쳤다). 현재 히브리 문자로 알려진 "유대인 정방형 문자" 변형은 기원전 3세기경 아람 문자에서 직접적으로 진화했다 (하지만 일부 문자 모양은 서기 1세기까지 표준이 되지 않았다).

카로슈티 문자는 기원전 3세기에 인도-그리스 왕국에서 사용된 아람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음절 문자이다. 시리아 문자는 초기 기독교 시대에 사용된 아람 문자의 파생 형태이다. 소그드 문자는 시리아 문자에서 유래했으며, 마니교 문자는 소그드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아랍 문자나바테아 문자의 중세 필기체 변형이며, 나바테아 문자 자체는 아람 문자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다.

4. 4. 브라흐미 문자 계통

많은 학자가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가 페니키아 문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인도와 동남아시아(인도차이나)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문자 체계가 페니키아 문자를 조상으로 두고 있는 것이다.[33][34] 주목할 만한 예외는 한글이다.[35][36]

특히 게오르크 뷔흘러(1898)는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 (그리고 파생된 인도 문자)가 궁극적으로 아람 문자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했는데, 이는 오늘날 사용되는 거의 모든 알파벳 문자 체계의 조상을 페니키아 문자로 만드는 것이다.

아람 문자에서 유래된 카로슈티 문자가 기원전 4세기경 인도 북부에 존재했던 것은 확실하므로, 알파벳 문자 체계의 아람어 모델이 그 지역에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카로슈티 문자에서 약간 더 최근의 브라흐미 문자로의 연결은 미약하다. 뷔흘러의 제안은 여전히 주류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증명된 적이 없으며, 학계의 명확한 합의는 없다.

브라흐미 문자와 그 후계인 인도계 문자는 아람 문자에서 유래한다는 견해가 유력하지만, 반론도 있다. 아람 문자 기원설이 옳다면, 이들 문자도 페니키아 문자의 후계가 된다. 한글도 브라흐미 계 문자를 참고하여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다.[56]

4. 5. 그리스 문자 계통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파생되었거나 페니키아 문자처럼 원시 가나안 문자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소리가 페니키아 문자와 비슷하지만 당시 그리스어에서 쓰이지 않는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는 홀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뀌었다. 뒤에 로마자키릴 문자가 그리스 문자에서 비롯되었다.[20]

그리스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유래되었다.[37] 그리스인들은 서로 다른 음운론을 가지고 있었기에 페니키아 문자를 자신들의 소리, 특히 페니키아어에는 없는 모음을 표기하도록 적응시켰다. 그리스어에서 모음을 적는 것이 더 중요했을 가능성이 있다. 페니키아어는 셈어이므로, 단어는 자음 어근을 기반으로 했고, 의미의 손실 없이 모음을 광범위하게 제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인도유럽어족인 그리스어에는 없는 특징이다. 어쨌든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에 없는 자음 소리의 페니키아 문자를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각 문자는 앞의 자음이 제거된 이름을 가지게 되었고, 그 문자는 이제 앞에 있는 모음의 값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페니키아어에서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ʾāleph''는 모음 를 나타내도록 사용되었고, ''he''는 가 되었고, ''ḥet''는 (장모음)이 되었고, ''ʿayin''는 (인두음이 다음 모음을 변화시켰기 때문에)가 되었고, 두 개의 반자음 ''wau''과 ''yod''는 각각 높은 모음 과 가 되었다.

소아시아의 알파벳은 일반적으로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파생물로 간주된다.

라틴 알파벳은 이탈리아 고대 문자(원래 그리스 알파벳의 한 형태에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것은 에트루리아어 및 다른 언어에 사용되었다. 룬 문자의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주요 이론은 라틴 알파벳 자체, 알프스 문자를 통해 일부 초기 이탈리아 고대 문자 또는 그리스 알파벳에서 진화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룬 문자는 궁극적으로 페니키아 알파벳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하나 이상의 문자에서 유래한 것이 분명하다.[37][38]

콥트 알파벳은 대부분 헬레니즘 시대의 성숙한 그리스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며, 당시 그리스어에는 없던 소리를 위한 몇 가지 추가 문자가 있다. 이러한 추가 문자는 데모틱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키릴 문자는 후기(중세)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되었다. 일부 키릴 문자(일반적으로 중세 그리스어에는 없는 소리를 위해)는 글라골 문자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에서 직접 발전했다. 그리스인들은 대부분의 기호의 발음을 그대로 유지했지만, 그리스어에 존재하지 않는 발음을 표현했던 문자들 중 일부를 모음 표기에 사용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페니키아 문자 알레프(Aleph)에서 거의 같은 이름의 첫 번째 그리스 문자 알파(Alpha)가 유래했지만, 표현하는 소리는 완전히 달라졌다.

키릴 문자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키릴 문자의 일부 문자는, 히브리 문자의 영향을 받은 글라골 문자의 자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라틴 문자는 에트루리아어나 다른 언어에서 사용되었던 고대 이탈리아 문자(원래는 그리스 문자에서 유래)에서 파생되었다. 게르만족의 룬 문자도 초기 형태의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서 북부 이탈리아 문자를 거쳐 파생되었다고 여겨진다.

4. 6. 팔레오히스파닉 문자

팔레오히스파닉 문자는 타르테소스어, 이베리아어, 켈티베리아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적합한, 유전적으로 관련된 반음절 문자(semisyllabary)의 토착 집합이다. 이 문자들은 1922년 마누엘 고메스-모레노(Manuel Gómez-Moreno)에 의해 해독되었지만, 현존하는 어떤 언어와도 관련이 없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39] 고메스-모레노는 처음에 페니키아 문자-그리스 문자의 결합된 기원을 지적했지만, 이후 학자들은 그 기원이 그리스와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한다.[39]

이 문자군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타르테소스 문자 또는 남서부 문자(Southwest Paleohispanic script)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문자일 수 있다. 팔레오히스파닉 문자 비문의 대부분은 압도적으로 북동부 이베리아 문자(Northeastern Iberian script)를 사용하는데, 이 문자는 콘테스타니아(Contestania) 북쪽 레반틴 해안과 에브로 강(히베르, Hiber) 유역에서 이베리아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이베리아어는 또한 남동부 이베리아 문자(Southeastern Iberian script)와 이오니아 그리스 문자의 변형인 그레코-이베리아 알파벳(Greco-Iberian alphabet)으로도 기록되는데, 남동부 이베리아 문자는 남서부 문자와 북동부 이베리아 문자보다 더 유사하다. 켈티베리아 문자(Celtiberian script)는 북동부 이베리아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로 켈티베리아인의 언어를 기록하는데, 흥미로운 점은 라틴 문자와 대조적으로 로마 정복 시대에도 사용되고 발전되었다는 것이다.

팔레오히스파닉 문자의 특징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반음절성(Semi-syllabism): 기호의 절반은 파열음(k, g, b, d, t)으로 구성된 음절을 나타내고, 나머지 절반은 모음(a, e, i, o, u)과 유음(l, n, r, ŕ, s, ś)과 같은 단순 음소를 나타낸다.
  • 이중성(Duality): 초기 이베리아어와 켈티베리아어 비문에 나타나며, 기호가 추가적인 선으로 수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ge'에 선을 추가하면(
    x16px
    ) 'ke'(
    x16px
    )가 된다. 후기에는 문자가 단순화되어 비문에서 이중성이 사라진다.
  • 중복성(Redundancy): 남서부 문자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각 음절 기호 뒤에 모음이 반복된다.

5. 유니코드

페니키아 문자는 유니코드 5.0에 U+10900 - U+1091F 범위에 할당되었다. 히브리 문자 서체의 변화로 처리하는 대안도 있었지만 기각되었다.

U+0123456789ABCDEF
10900𐤀𐤁𐤂𐤃𐤄𐤅𐤆𐤇𐤈𐤉𐤊𐤋𐤌𐤍𐤎𐤏
10910𐤐𐤑𐤒𐤓𐤔𐤕𐤖𐤗𐤘𐤙𐤚𐤛𐤟



U+10900 - U+10915까지는 'aleph'부터 'taw'까지의 문자이고, U+10916 - U+1091B는 각각 숫자 1, 10, 20, 100, 2, 3이며, U+1091F는 단어 구분 기호이다.

참조

[1] 잡지 First Alphabet Found in Egypt https://archive.arch[...] 2000-01-01
[2] 서적 A History of Writing Reaktion
[3] 서적 Beyond Babel: A Handbook for Biblical Hebrew and Related Languages
[4]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Border Trade and Travel https://books.google[...] McFarland
[5] 서적 Beyond Babel: A Handbook for Biblical Hebrew and Related Languages
[6] 학술지 Newly Found Inscriptions in Old Canaanite and Early Phoenician Scrip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7] 서적 The Origins of Writin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20-06-30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뉴스 Discovery of Egyptian Inscriptions Indicates an Earlier Date for Origin of the Alphabet https://www.nytimes.[...] 2017-04-20
[13] 서적
[14]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15] 서적 Histories https://www.perseus.[...]
[16] 서적 The Mishna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In the beginning: a short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7-05-23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A Phoenician Punic grammar Brill
[21] 웹사이트 Charts http://unicode.org/c[...]
[22] 서적 A History of Writing Reaction Books
[23] 서적
[24] 설명 Proto-Sinaitic letters origins
[25] 설명 Glyph origin
[26] 웹사이트 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to the Bible https://www.bluelett[...]
[27] 설명 Letter name Nūn origin
[28] 설명 Letter name צד origin
[29] 서적
[30] 서적 The Art of Warfare in Biblical Lands McGraw-Hill
[31] 웹사이트 Phoenician numerals in Unicode http://www.dkuug.dk/[...] 2017-04-20
[32] 웹사이트 Number Systems http://www.math.wich[...] 2017-04-20
[33] 서적 Brahmi and Kharoshthi
[34] 서적 A Brief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35] 서적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 University of California
[36]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Ancient Technology https://books.google[...] Greenwood
[38] 서적 Norwegian Runes and Runic Inscriptions Boydell Press
[39] 서적 Historia lingüística de la Península Ibérica en la antigüedad https://www.academia[...] CSIC 2010-12-31
[40] 웹사이트 Stele of Prince Kilamuwa from Sam'al https://www.ancient.[...]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2017-09-01
[41] 텍스트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웹사이트 Semitic script dated to 1800 B.C. http://www.nytimes.c[...]
[51] 서적
[52] 텍스트
[53] 텍스트
[54] 텍스트
[55] 텍스트
[56]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