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드워스 인성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드워스 인성검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인들의 정신 건강 문제를 선별하기 위해 개발된 최초의 성격 검사 중 하나이다. 심리학자들의 인터뷰와 정신 질환자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했으며, 116개의 '예/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검사는 신병 선별 프로그램에 활용되었으며, 이후 아동 및 청소년용 개정판으로도 개발되었다. 우드워스 인성검사는 이후 여러 심리 검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의 검사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 검사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는 해서웨이와 맥킨리가 개발하고 미네소타 대학교가 저작권을 소유한 인성 검사로, 정신 병리와 인성 구조를 측정하며 경험적 준거 채점 방식을 사용해 임상 척도를 도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버전으로 수정 및 개선되어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 성격 검사 - TCI (심리검사)
    TCI는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자기 이해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유도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심리 검사 도구이다.
우드워스 인성검사
개요
이름우드워스 개인 자료표
개발자로버트 S. 우드워스
개발 연도1917년
유형성격 검사
목적군대 지원자의 신경증적 경향 식별
내용자가 보고 질문
신경증적 증상 관련 항목
특징최초의 표준화된 성격 검사 중 하나
대규모 집단 검사 가능
제한점응답 왜곡 가능성 (가짜 응답)
문항 내용의 명확성 부족
역사
개발 배경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 군대의 필요성
신경증 환자를 식별하여 전투 부대 배치 방지
초기 버전116개 문항으로 구성
'예', '아니오' 응답 방식
수정 및 발전다양한 변형 및 개정판 개발
다른 성격 검사 개발에 영향
활용
군대군대 지원자 선별
임상신경증적 경향 평가
연구성격 특성 연구
참고 문헌
참고 문헌Woodworth, R.S. (1918). Woodworth Psychoneurotic Inventory. APA PsycTests.
Clinical Assess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ersonality and Behavior, page 7

2. 개발 과정

우드워스, WPDS 개발자.


우드워스 개인 특성 자료표(Woodworth Personal Data Sheet, WPDS)는 제1차 세계 대전미국 육군 신병을 대상으로 심리적 문제를 선별하기 위해 로버트 우드워스(Robert Sessions Woodworth)가 개발하였다.[5][6] 우드워스는 심리학자들과의 인터뷰 및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검사 문항을 만들었다.[5] 개발된 검사는 미국 육군 군의감에게 제출되어 채택되었으며, 이를 통해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신병을 추가 평가하는 선별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5] 문항의 내용은 신체 증상, 병력, 가족력 및 사회 적응을 다루었으며, 최종 형태는 116개의 예/아니오 질문으로 구성되었다.[3]

2. 1. 초기 개발



우드워스는 심리학자들과의 인터뷰 및 심리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검사 문항을 만들었다. 이 문항들은 정상으로 간주되는 피험자 집단에게 먼저 제시되었고, 이 과정에서 너무 자주 답변된 문항들은 정상과 비정상을 구별하는 변별력이 낮다고 판단되어 제거되었다.[5][6]

이렇게 추려진 문항 세트는 대규모의 군인 표본과 소규모의 "진단된 비정상 피험자" 표본에게 다시 적용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는 미국 육군 군의감에게 제출되었고, 군의감은 이를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신병을 추가 평가를 위해 심리학자에게 의뢰하는 신병 선별 예비 프로그램이 수립되었다.[5]

개발 과정에서 문항의 변별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이러한 방식이 점수의 신뢰도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포기되었다.[7] 최종적으로 완성된 검사의 문항 내용은 신체 증상, 병력, 가족력 및 사회 적응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최종 형태는 116개의 예/아니오 형식의 질문으로 구성되었다.[3]

2. 2. 미군 적용 및 평가

먼저 정상으로 간주되는 피험자들에게 문항을 테스트하여 너무 자주 응답된 문항들을 제거했다.[5][6] 이렇게 축소된 문항 세트를 대규모 군인 표본과 '비정상'으로 진단된 소규모 표본에게 적용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를 미국 육군 군의감에게 제출했고, 군의감은 이를 채택하여 높은 점수를 받은 신병을 추가 평가를 위해 심리학자에게 의뢰하는 선별 프로그램을 수립했다.[5]

문항의 변별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점수의 신뢰도를 높이지 못해 중단되었다.[7]

2. 3. 문항 구성

문항의 내용은 신체 증상, 병력, 가족력 및 사회 적응을 다루었다. 문항의 변별력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점수의 신뢰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여 포기되었다.[7] 최종 형태는 116개의 예/아니오 질문으로 구성되었다.[3]

2. 4. 예시 문항


  • 1. 보통 몸이 건강하고 튼튼하다고 느끼십니까? (역 채점) 예
  • 4. 직업에 대한 꿈 때문에 괴로움을 겪으십니까? 아니오
  • 25. 실신한 적이 있습니까? 아니오
  • 110. 가족 중 자살한 사람이 있습니까? 아니오
  • 116. 야외 생활을 좋아하십니까? (역 채점) 예

3. 개정판

초기 심리 검사들은 대부분 우드워스 인성검사(WPI)를 수정하여 만들어졌는데, WPI의 116개 질문은 후속 검사 개발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했다.[8] 이를 바탕으로 1920년대에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개정판이 개발되었다.[8]

WPI의 문항들은 이후 서스톤 성격 검사[8]나 현대의 증상 체크리스트-90-개정판[9]과 같은 다른 심리 검사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3. 1. 아동 및 청소년용 개정판

1920년, 버포드 존슨(Buford Johnson)은 우드워스 인성검사(WPI)를 기반으로 10세에서 16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한 버전을 만들었다. 이 버전은 WPI의 51개 문항과 새로 추가된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8] 1923년, 엘렌 매튜(Ellen Matthew)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개정판을 만들었다. 이 판은 WPI의 23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고 33개 문항은 일부 수정했으며, 28개 문항을 새로 추가했다.[8] 같은 해인 1923년, V. M. 케이디(V. M. Cady)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개정판을 제작했다. 이 개정판에는 WPI의 모든 문항과 존슨이 자신의 개정판에서 추가했던 문항들이 포함되었다.[8]

3. 2. 현대 심리 검사에 미친 영향

초창기 심리 검사들은 대부분 우드워스 인성검사(WPI)를 수정하여 만들어졌다. WPI의 116개 질문은 후속 검사 개발에 충분한 자료를 제공했다.

1920년, 버포드 존슨(Buford Johnson)은 WPI 문항 중 51개를 가져오고 9개를 추가하여 10세에서 16세 사이 어린이를 위한 검사를 만들었다.[8] 1923년에는 엘렌 매튜(Ellen Matthew)가 WPI 문항 23개를 그대로 사용하고 33개를 일부 수정했으며, 새로운 문항 28개를 추가하여 또 다른 아동용 검사를 개발했다. 같은 해 V. M. 케이디(V. M. Cady)는 WPI의 모든 문항과 존슨이 추가했던 문항들을 활용하여 청소년용 검사를 만들었다.[8]

WPI의 문항들은 1930년 서스톤 성격 검사(Thurstone Personality Schedule) 개발을 위한 자료 풀에도 포함되었다.[8]

현대에 사용되는 일부 심리 검사, 예를 들어 증상 체크리스트-90-개정판(Symptom Checklist-90-Revised) 등에도 WPI에서 유래한 질문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9]

4. 한국에서의 활용 및 발전

6.25 전쟁 이후, 한국군은 군 복무에 어려움을 겪는 장병을 조기에 식별하고 필요한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 개발에 주목했다. 이 과정에서 WPDS(Woodworth Personal Data Sheet)가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초기에는 미군에서 사용하던 검사 문항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활용하는 수준이었으나, 점차 한국 사회의 특성과 정서, 문화를 반영한 독자적인 문항 개발과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군에서는 장병들의 정신 건강 증진과 군 생활 적응을 돕고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심리 검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군 심리 검사 시스템의 발전 과정에서 WPDS는 역사적인 출발점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에서도 군 장병들의 인권복지 향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심리 검사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정신 건강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참조

[1] 논문 A broad-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http://projects.ori.[...]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7 1999
[2] 학술지 Woodworth Psychoneurotic Inventory 1918
[3] 서적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issues. Cengage Learning 2012
[4] 서적 Clinical Assess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ersonality and Behavior
[5] 논문 A history of the early days of personality testing in American industry: an obsession with adjustment. 2008
[6] 서적 Handbook of mental examination methods (1919) The Macmillan Company 1919
[7] 논문 A study of the Woodworth Psychoneurotic Inventory with suggested revision. 1930
[8] 서적 The Theory and Practice of Student Counsel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djustment Inven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35
[9] 논문 Symptom Checklist‐90‐Revised. 2010
[10] 논문 A broad-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http://projects.ori.[...]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7 1999
[11] 서적 Psychological testing: Principles, applications, and issues. Cengage Learning 2012
[12] 서적 Clinical Assess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ersonality and Behavi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