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1925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과 함께 결성되어, 소련 공산당의 지부 역할을 수행했다. 초대 서기는 블라디미르 이바노프였으며, 대숙청 시기에 많은 당원들이 숙청되었다.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하면서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공산주의 - 파이줄라 호자예프
    파이줄라 호자예프는 부하라 출신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자디드 운동과 청년 부하라당 활동, 볼셰비키와의 협력을 통해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과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지만, 스탈린 대숙청 시기에 처형되었다가 복권된 후 현대 우즈베키스탄에서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공산주의 -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은 러시아 제국 부하라 토후국 붕괴 후 볼셰비키 혁명 영향으로 1920년에서 1924년까지 중앙아시아에 존속했던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사회주의 이념에 기반한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반소비에트 세력의 저항에 부딪혀 민족 경계 획정에 따라 해체,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등으로 편입되었다.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무탈 부르하노프가 작곡하고 티무르 파타와 투라브 툴라가 가사를 썼고,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멜로디로 사용된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원어 이름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Узбекистана (러시아어)
Ўзбекистон Коммунистик Партияси (우즈베크어)
Oʻzbekiston Kommunistik Partiyasi (우즈베크어, 로마자 표기)
로고
국기
색상적색
역사
창당1925년 2월 12일
해산1991년 11월 3일
계승 정당우즈베키스탄 인민 민주당
이념 및 정책
정치적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치적 위치극좌
조직
국제 조직소련 공산당
국가우즈베키스탄

2. 역사

1925년, 소련 정부는 중앙아시아 지역에 영토 변화를 단행하면서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했다. 그 결과 우즈베키스탄 민족이 수도 타슈켄트에서 소수 민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볼셰비키를 포함한 여러 정부 기관이 공화국에 설립되었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상대적 행정 기능을 가지고 정부의 여러 결정에 기여했다. 1930년대 대숙청 이후, 이전의 첫 비서관들을 포함한 많은 당원들이 제거되었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역대 서기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블라디미르 이바노프1925년 2월 12일 - 1927년
쿠프리안 키르키시1927년 - 1929년 4월
니콜라이 기칼로1929년 4월 - 1929년 6월 11일
이삭 젤렌스키1929년 6월 - 1929년 12월
아크말 이크라모프1929년 12월 - 1937년 9월 21일
표트르 야코블레프 (대행)1937년 9월 21일 - 1937년 9월 27일
우스만 유수포프1937년 9월 27일 - 1953년 4월 7일
아민 니야조프1953년 4월 7일 - 1955년 12월 22일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1955년 12월 22일 - 1957년 12월 28일
사빌 카마로프1957년 12월 28일 - 1959년 3월 15일
샤라프 라시도프1959년 3월 15일 - 1983년 10월 31일
이남존 우스만호자예프1983년 11월 3일 - 1988년 1월 12일
라피크 니샤노프1988년 1월 12일 - 1989년 6월 23일
이슬람 카리모프1989년 6월 23일 - 1991년 11월 3일



1991년 8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개명했다.

3.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는 우즈베크 SSR의 최고 지도자로, 사실상 우즈베크 SSR의 최고 권력자였다. 이들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되었으며, 소련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교체되었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
번호사진이름취임퇴임정당
1
105x105px
블라디미르 이바노프1925년 2월 12일1927년소련 공산당
2
105x105px
쿠프리안 키르키시1927년1929년 4월소련 공산당
3
105x105px
니콜라이 기칼로1929년 4월1929년 6월 11일소련 공산당
4이삭 젤렌스키1929년 6월1929년 12월소련 공산당
5아크말 이크라모프1929년 12월1937년 9월 21일소련 공산당
6
105x105px
표트르 야코블레프1937년 9월 21일1937년 9월 27일소련 공산당
7
105x105px
우스만 유수포프1937년 9월 27일1950년 4월 7일소련 공산당
8--아민 니야조프1950년 4월 7일1955년 12월 22일소련 공산당
9--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1955년 12월 22일1957년 12월 28일소련 공산당
10--소비르 카몰로프1957년 12월 28일1959년 3월 15일소련 공산당
11
105x105px
샤로프 라시도프1959년 3월 15일1983년 10월 31일소련 공산당
12
105x105px
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1983년 11월 3일1988년 1월 12일소련 공산당
13--라피크 니쇼노프1988년 1월 12일1989년 6월 23일소련 공산당
14
105x105px
이슬람 카리모프1989년 6월 23일1991년 11월 3일소련 공산당



1991년 8월, 이슬람 카리모프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을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개명했다.

3. 1. 개요

1925년 소련 정부는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한 중앙아시아 지역에 영토 변화를 단행했다. 그 결과 우즈베키스탄 민족이 수도 타슈켄트에서 소수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볼셰비키를 포함한 여러 정부 기관이 공화국에 설립되었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상대적 행정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정부의 여러 결정에 기여했다. 1930년대 대숙청 이후, 이전의 제1서기였던 몇몇 당원들을 포함하여 많은 당원들이 제거되었다.

제1서기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로, 사실상 우즈베크 SSR의 최고 권력자였다. 이들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되었으며, 소련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교체되었다.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
번호사진이름취임퇴임정당
1블라디미르 이바노프1925년 2월 12일1927년소련 공산당
2쿠프리안 키르키시1927년1929년 4월소련 공산당
3니콜라이 기칼로1929년 4월1929년 6월 11일소련 공산당
4이삭 젤렌스키1929년 6월1929년 12월소련 공산당
5아크말 이크라모프1929년 12월1937년 9월 21일소련 공산당
6표트르 야코블레프1937년 9월 21일1937년 9월 27일소련 공산당
7우스만 유수포프1937년 9월 27일1950년 4월 7일소련 공산당
8--아민 니야조프1950년 4월 7일1955년 12월 22일소련 공산당
9--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1955년 12월 22일1957년 12월 28일소련 공산당
10--소비르 카몰로프1957년 12월 28일1959년 3월 15일소련 공산당
11샤로프 라시도프1959년 3월 15일1983년 10월 31일소련 공산당
12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1983년 11월 3일1988년 1월 12일소련 공산당
13--라피크 니쇼노프1988년 1월 12일1989년 6월 23일소련 공산당
14이슬람 카리모프1989년 6월 23일1991년 11월 3일소련 공산당



1991년 8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은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개명했다.

3. 2. 역대 제1서기 목록

이 직책은 우즈베크 SSR의 정치, 경제, 사회를 총괄하는 자리였다. 다음은 역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 목록이다.

사진이름
(출생–사망)
취임퇴임정당
1블라디미르 이바노프
(1893–1938)
1925년 2월 12일1927년소련 공산당
2쿠프리안 키르키시
(1886–1932)
1927년1929년 4월소련 공산당
3니콜라이 기칼로
(1897–1938)
1929년 4월1929년 6월 11일소련 공산당
4이삭 젤렌스키
(1890–1938)
1929년 6월1929년 12월소련 공산당
5아크말 이크라모프
(1898–1938)
1929년 12월1937년 9월 21일소련 공산당
6표트르 야코블레프
(?–?)
1937년 9월 21일1937년 9월 27일소련 공산당
7우스만 유수포프
(1901–1966)
1937년 9월 27일1950년 4월 7일소련 공산당
8
아민 니야조프
(1903–1973)
1950년 4월 7일1955년 12월 22일소련 공산당
9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
(1917–2008)
1955년 12월 22일1957년 12월 28일소련 공산당
10
소비르 카몰로프
(1910–1990)
1957년 12월 28일1959년 3월 15일소련 공산당
11샤로프 라시도프
(1917–1983)
1959년 3월 15일1983년 10월 31일소련 공산당
12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
(1932–2017)
1983년 11월 3일1988년 1월 12일소련 공산당
13
라피크 니쇼노프
(1927–2023)
1988년 1월 12일1989년 6월 23일소련 공산당
14이슬람 카리모프
(1938–2016)
1989년 6월 23일1991년 11월 3일소련 공산당



1991년 이슬람 카리모프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을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개명했다.

3. 2. 1. 블라디미르 이바노프 (1925년 2월 12일 - 1927년)



'''블라디미르 이바노프'''(1893~1938)는 소련 공산당 소속으로,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초대 제1서기였다. 1925년 2월 12일부터 1927년까지 재임했다. 1925년 소련 정부가 중앙아시아 지역에 영토 변화를 단행하면서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했고, 타슈켄트를 수도로 하여 여러 정부 기관이 설립되었다. 블라디미르 이바노프는 이 시기에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초대 제1서기로 임명되어 당의 행정 기능을 수행하고 정부의 여러 결정에 기여했다.[1]

3. 2. 2. 쿠프리안 키르키시 (1927년 - 1929년 4월)



쿠프리안 키르키시 (1886–1932)는 블라디미르 이바노프의 뒤를 이어 1927년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에 취임하여 1929년 4월까지 재임하였다. 그는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2]

3. 2. 3. 니콜라이 기칼로 (1929년 4월 - 1929년 6월 11일)



'''니콜라이 기칼로'''(1897–1938)는 1929년 4월부터 1929년 6월 11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3]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3]

3. 2. 4. 이삭 젤렌스키 (1929년 6월 - 1929년 12월)

니콜라이 기칼로의 뒤를 이어 1929년 6월부터 1929년 12월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4] 이삭 젤렌스키는 1890년에 태어나 1938년에 사망했으며,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4]

3. 2. 5. 아크말 이크라모프 (1929년 12월 - 1937년 9월 21일)

아크말 이크라모프(1898–1938)는 1929년 12월부터 1937년 9월 21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하였다. 그는 장기간 제1서기 직을 수행했으나, 1930년대 대숙청 시기에 숙청되었다.[5]

이름
(출생–사망)
취임퇴임정당
아크말 이크라모프
(1898–1938)
1929년 12월1937년 9월 21일소련 공산당

[5]

3. 2. 6. 표트르 야코블레프 (1937년 9월 21일 - 1937년 9월 27일) (대행)

악말 이크라모프가 숙청된 후, 표트르 야코블레프는 1937년 9월 21일부터 1937년 9월 27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 대행을 맡았다.[5] 그는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5]

3. 2. 7. 우스만 유수포프 (1937년 9월 27일 - 1953년 4월 7일)



우스만 유수포프는 1937년 9월 27일부터 1950년 4월 7일까지 소련 공산당 소속으로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하였다. 그는 스탈린 시대에 장기간 제1서기 직을 수행했다.

3. 2. 8. 아민 니야조프 (1953년 4월 7일 - 1955년 12월 22일)

아민 니야조프 (1903년~1973년)는 소련 공산당 소속으로, 1950년 4월 7일부터 1955년 12월 22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 우스만 유수포프의 뒤를 이어 제1서기가 되었고, 이후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가 그의 뒤를 이었다.

3. 2. 9.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 (1955년 12월 22일 - 1957년 12월 28일)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1917~2008년)는 흐루쇼프 시기에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 재임 기간은 1955년 12월 22일부터 1957년 12월 28일까지였다.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

3. 2. 10. 소비르 카몰로프 (1957년 12월 28일 - 1959년 3월 15일)

누리트딘 무히트디노프의 뒤를 이어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에 취임하였다.[1] 소비르 카몰로프는 1957년 12월 28일부터 1959년 3월 15일까지 재임하였다.[1]

사진이름
(출생–사망)
취임퇴임정당
--소비르 카몰로프
(1910–1990)
1957년 12월 28일1959년 3월 15일소련 공산당


3. 2. 11. 샤로프 라시도프 (1959년 3월 15일 - 1983년 10월 31일)

샤로프 라시도프는 1959년 3월 15일부터 1983년 10월 31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하였다. 그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시대에 장기간 제1서기 직을 수행하며 우즈베크 SSR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사진이름
(출생–사망)
취임퇴임정당
샤로프 라시도프
(1917–1983)
1959년 3월 15일1983년 10월 31일소련 공산당


3. 2. 12. 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 (1983년 11월 3일 - 1988년 1월 12일)

샤로프 라시도프 사후, 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가 1983년 11월 3일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에 취임했다. 그는 1988년 1월 12일까지 재임하였으며, 소련 공산당 소속이었다.

사진이름
(출생–사망)
취임퇴임정당
이놈존 우스몬후자에프
(1932–2017)
1983년 11월 3일1988년 1월 12일소련 공산당


3. 2. 13. 라피크 니쇼노프 (1988년 1월 12일 - 1989년 6월 23일)

'''라피크 니쇼노프'''(1927–2023)는 소련 공산당 소속으로,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 시기인 1988년 1월 12일부터 1989년 6월 23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

3. 2. 14. 이슬람 카리모프 (1989년 6월 23일 - 1991년 11월 3일)

이슬람 카리모프는 1989년 6월 23일부터 1991년 11월 3일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제1서기를 역임하였다. 그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의 마지막 제1서기이자, 독립 우즈베키스탄의 초대 대통령이었다. 1991년 카리모프는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을 우즈베키스탄 인민민주당으로 개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Д.Левый. Смутное время в Узбекистане http://left.ru/2003/[...] 2020-12-11
[2]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Суда РФ от 30 ноября 1992 г. N 9-П https://www.garant.r[...]
[3] 웹사이트 カリモフ大統領プロフィール http://www.jp-ca.org[...] 日ウ投資環境整備ネットワーク 2013-03-14
[4] 웹인용 Д.Левый. Смутное время в Узбекистане http://left.ru/2003/[...] 2020-12-11
[5]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Конституционного Суда РФ от 30 ноября 1992 г. N 9-П https://www.garan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