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글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 글로부》는 1964년부터 1985년까지 브라질 군사 정권을 지지하며, 진보주의 정부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던 신문이다. 1994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시민 케인을 넘어서》의 상영을 막으려 시도하여 검열 논란에 휩싸였다. 1986년에는 아스투리아스 공작 커뮤니케이션상을 수상했으며,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발행 부수 변화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창간 - 더 뉴요커
《더 뉴요커》는 1925년 창간된 미국의 잡지로, 유머 잡지에서 출발하여 소설, 에세이, 르포르타주 등 다양한 장르를 다루며 독특한 스타일과 철저한 팩트 체크, 개성 있는 표지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 1925년 창간 - 필라델피아 데일리 뉴스
1925년 창간된 필라델피아 데일리 뉴스는 범죄 기사와 스포츠, 선정주의적 내용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재정난으로 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판본으로 통합되었으며, 기자들의 노력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조지 펜클 상을 제정하기도 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우 글로부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유형 | 일간 신문 |
형태 | 브로드시트 |
소유주 | 글로부 그룹 |
출판사 | Editora Globo |
편집자 | Ruth de Aquino |
사설 편집자 | Aluízio Maranhão |
사진 편집자 | José Roberto Serra |
창간 | 1925년 7월 29일 |
정치 성향 |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본사 위치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언어 | 포르투갈어 |
발행 부수 | 373,138 부 (2021년) |
설립자 | Irineu Marinho |
웹사이트 | O Globo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2. 역사적 배경
《오 글로부》는 브라질 역사 속 주요 정치적 격변기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성장해왔다. 특히 1964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된 브라질 군사정권 시기에는 정권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1], 1980년대 정치 개방 과정에서도 이러한 입장을 유지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이후 등장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와 지우마 호세프의 진보주의 정부에 대해서는 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을 바탕으로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4] 이러한 역사적 행보는 《오 글로부》가 브라질 내에서 우익 및 보수 성향의 대표적인 언론으로 자리매김하는 배경이 되었다.[1]
2. 1. 군사 정권과의 관계
《오 글로부》는 1964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된 브라질 군사정권의 적극적인 지지자였다.[1] 1980년대 브라질의 정치 개방 과정에서도 군사 정권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으며, 이 시기 대중 시위에 대한 정보를 왜곡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오 글로부》는 우익 및 보수 성향의 신문으로 평가받는다.[1]2. 2. 진보 정권과의 대립
경제적으로 강력한 자유주의 노선을 따르며,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와 지우마 호세프의 진보주의 정부에 대해 강하게 반대해 왔다.[4] 이는 과거 브라질 군사 정권(1964년~1985년)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던[1] 역사와 연결되며, 1980년대 정치 개방 과정에서도 군사 정권을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11]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오 글로부》는 여전히 우익 및 보수 성향의 신문으로 평가받으며,[1] 과거 대중 시위에 대한 정보를 왜곡하여 논란을 빚기도 했다.[11]3. 검열 논란
우 글로부는 자사의 설립 과정 및 과거 군사 독재 정권과의 관계를 다룬 영국 다큐멘터리 영화 ''시민 케인을 넘어서''(Beyond Citizen Kane)의 브라질 내 상영을 막으려는 시도로 인해 검열 논란에 휩싸였다. 1994년, 글로부 측의 소송으로 영화 상영이 경찰에 의해 저지되었으며, 이는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12] 이후에도 글로부는 대학 도서관의 영화 사본 압수를 시도하는 등 지속적으로 상영을 방해하려 했으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러한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이 논란은 글로부의 영향력과 언론 통제 시도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시민 케인을 넘어서' 상영 금지
1994년, 영국 다큐멘터리 영화 ''시민 케인을 넘어서''(Beyond Citizen Kane)가 리우데자네이루 현대 미술관에서 상영되기 하루 전, 글로부(O Globo) 측의 소송에 따른 법원 영장을 집행한 군사 경찰에 의해 영화 사본이 압수되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브라질 최대 텔레비전 방송사인 헤지 글로부의 설립 과정과 과거 군사 독재 정권과의 관계를 조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당시 미술관장은 상영을 강행할 경우 무거운 벌금을 부과받을 것이라는 압박을 받았다. 이러한 검열 시도에 대한 대중의 거센 항의가 이어졌고, 결국 사건 발생 3일 만에 리우데자네이루 문화부 장관이 해임되는 결과를 낳았다.[12]이듬해인 1995년, 글로부는 상파울루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된 영화 사본의 압수를 법원에 요청했으나, 이 요청은 기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주로 대학 내 그룹들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상영될 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 동안 영화는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채 대학이나 정치 단체 등에서 비공식적으로 상영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브라질 내에서 영화의 공개를 막으려는 글로부의 시도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고, 영화는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퍼져나갔다.
2009년 8월 20일, 신문 ''폴랴 데 상파울루''는 경쟁 방송사인 헤지 레코드가 2만달러 미만의 금액으로 이 다큐멘터리의 방송 권리를 구매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글로부가 헤지 레코드의 소유주인 에디르 마세두와 하나님의 왕국 보편 교회의 다른 고위 관계자들에 대한 공공부의 조사를 보도한 이후, 두 방송사 간의 상호 비방전이 격화되던 시점에 이루어진 일이었다. 에디르 마세두는 1989년 11월 9일부터 헤지 레코드를 소유해왔다.
3. 2. '시민 케인을 넘어서' 관련 추가 검열 시도
1994년 브라질에서 영국 다큐멘터리 영화 ''시민 케인을 넘어서''(Beyond Citizen Kane) 상영 시도가 군사 경찰에 의해 저지된 사건 이후에도 글로부의 검열 시도는 계속되었다.[12] 이 영화는 브라질 최대 텔레비전 방송사인 헤지 글로부의 설립 과정과 과거 군사 독재 정권과의 유착 관계를 다루고 있었다.1995년, 글로부는 상파울루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된 영화 사본을 압수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으나, 이 요청은 기각되었다. 이후 2000년대까지 이 영화는 주로 대학 내 그룹들에게 제한적으로 상영될 수밖에 없었다.
2000년대 들어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글로부가 브라질 내에서 영화 공개를 막으려는 노력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1990년대 동안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이 영화는 대학과 정치 단체 등에서 비공식적으로 상영되다가,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2009년 8월 20일, 신문 ''폴랴 데 상파울루''는 경쟁 방송사인 헤지 레코드가 2만달러 미만의 금액으로 이 다큐멘터리의 방송 권리를 구매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글로부가 에디르 마세두와 하나님의 왕국 보편 교회의 다른 고위 관계자들에 대한 검찰 조사를 보도한 이후, 글로부와 레코드 간의 상호 비방전이 벌어지던 시점에 이루어진 일이었다. 에디르 마세두는 1989년 11월 9일부터 헤지 레코드를 소유해왔다.
4. 수상 내역
- 1986년, 아스투리아스 공작 커뮤니케이션상.
5. 발행 부수
(내용 없음)
5. 1. 최근 발행 부수 변화 (2014-2021)
wikitext연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총 발행 부수 | 321,919 | 304,053 | 307,339 | 243,404 | 315,004 | 333,773 | 341,738 | 373,138 |
참조
[1]
간행물
Protesting the Paradigm: A Comparative Study of News Coverage of Protests in Brazil, China, and India
https://www.research[...]
2016-02
[2]
서적
El Arte del Terror - Historia
https://books.google[...]
Elemental Editoração
2018-02-21
[3]
웹사이트
La impactante tapa del diario O Globo de Brasil - Diario Hoy En la noticia
https://diariohoy.ne[...]
2022-05-24
[4]
웹사이트
O Globo
https://brazil.mom-g[...]
[5]
웹사이트
Jornais em 2021: impresso cai 13%; digital sobe 6%
https://www.poder360[...]
2022-02-01
[6]
웹사이트
Jornais impressos: circulação despenca 16,1% em 2022
https://www.poder360[...]
2023-09-11
[7]
웹사이트
Analysis
https://www.alexa.co[...]
2020-01-21
[8]
웹사이트
Apoio ao golpe de 64 foi um erro {{!}} Memória O Globo
http://memoria.oglob[...]
2023-02-16
[9]
웹사이트
Jornais impressos: circulação despenca 16,1% em 2022
https://www.poder360[...]
2023-09-11
[10]
웹사이트
Poder360 dobra audiência e bate recorde em 2022
https://www.poder360[...]
2023-09-11
[11]
웹사이트
Los 24 Periódicos de Izquierda y Derecha Más Importantes
https://www.lifeder.[...]
2020-02-18
[12]
뉴스
Documentário polêmico sobre a Globo completa dez anos
http://www.estadao.c[...]
2003-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