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보주의는 사회, 정치적 변화를 통해 일반 대중의 이익을 실현하려는 사상 및 운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주의, 아나키즘, 여성주의, 생태주의 등 좌익 성향의 사상이 포함되며, 사회자유주의와 환경주의도 진보주의로 분류되기도 한다. 진보주의는 17세기 계몽주의 이후 등장하여,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게 해석된다. 유럽에서는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문명 발전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고, 현대에는 불평등 해소, 환경 보호, 노동자 권리 증진 등을 목표로 한다. 진보주의는 문화적, 경제적,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각국 정당들은 이념에 따라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보주의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은 독일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여 사회 개혁을 강조한 수정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저서 《사회주의의 전제조건》을 통해 수정주의 논쟁을 촉발하고 독일 제국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 진보주의 - 합의 의사결정
    합의 의사결정은 모든 구성원의 동의를 목표로 하는 의사결정 방식으로, 협업, 평등주의, 참여를 특징으로 하며, 유보 선언, 기권 등의 대안을 통해 합의 불가능 상황에 대처하고, 다양한 모델과 비판을 받으며 다른 문화권에서도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 정치 이데올로기 사이드바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정치 이데올로기 사이드바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진보주의
학파
학파진보주의
모던 리버럴리즘
진보주의 교육
이념
이념계몽주의
근대주의
자유권

적극적 자유
사회정의

사회복지

여성 참정권
정책
정책
네오 내셔널리즘

뉴딜

페어 딜
뉴 프런티어
위대한 사회
역사
역사적 사건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미국 독립 전쟁 (1775년)
미국 독립선언 (1776년)
프랑스 혁명 (1789년)
테르미도르의 반동 (1794년)
7월 혁명 (1830년)
차티스트 운동 (1838년)
1848년 혁명 (1848년)
아이제나흐 강령 (1869년)
고타 강령 (1875년)
페이비언 협회 설립 (1884년)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여성의 날 성립 (1911년 3월)
신해혁명 (1911년 10월)
러시아 2월 혁명 (1917년 3월)
10월 혁명 (1917년 11월)
14개조 평화 원칙 (1918년 1월)
독일 11월 혁명 (1918년 11월)
국제 연맹 창설 (1920년)
미국의 뉴딜 정책 실시 (1933년)
스페인 내전 (1936년)
국제 연합 창설 (1945년)
세계 인권 선언 (1948년)
프랑크푸르트 선언 (1951년)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안보투쟁 (1959년)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 (1960년대)
프라하의 봄 (1968년 1월)
1968년 혁명 (1968년 5월)
스톤월 항쟁 (1969년)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글라스노스트 (1986년)
동유럽 혁명 (1989년)
국제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 성립 (1990년)
볼리바르 혁명 (1999년)
함부르크 강령 (2007년)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2008년)
아랍의 봄 (2010년)
중국 재스민 혁명 (2011년 2월)
월 가를 점거하라 (2011년 9월)
노란 조끼 운동 (2018년)
상징 및 표어
상징불끈 쥔 주먹
핵심 요소
핵심 요소개인주의
개혁
공정 무역
과학적 관리법
근대성
기술 진보
민주화
반부패 운동
반인종주의
반전 운동
복지
사회 변천
사회 진보
사회연대주의
사회 정의
성소수자의 권리
성평등
세속주의
여성의 권리
인도주의
자결권
자연환경보호
정치적 올바름
지속 가능한 발전
진보주의 교육
평등주의
평화주의
혼합 경제
영향
영향결정론
구조주의
근대주의
기술관료제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사회주의
지공주의
관련 조직
관련 정당급진당
노동당
녹색당
민주당
사회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관련 국제 조직유럽 녹색당-자유 동맹 (Greens/EFA, 1999 - )
진보동맹 (PA, 2013 - )
주요 운동가
운동가모리스 (1834년 ~ 1896년)
E. 졸라 (1840년 ~ 1902년)
J. 애덤스 (1860년 ~ 1936년)
스더밍 (1941년 ~ )
무어 (1954년 ~ )
주요 이론가
이론가디드로 (1713년 ~ 1784년)
칸트 (1724년 ~ 1804년)
푸리에 (1772년 ~ 1837년)
J. S. 밀 (1806년 ~ 1873년)
소로 (1817년 ~ 1862년)
그린 (1836년 ~ 1882년)
조지 (1839년 ~ 1897년)
듀이 (1859년 ~ 1952년)
애보트 (1876년 ~ 1957년)
켈젠 (1881년 ~ 1973년)
라이히 (1897년 ~ 1957년)
사르트르 (1905년 ~ 1980년)
보부아르 (1908년 ~ 1986년)
메를로퐁티 (1908년 ~ 1961년)
카뮈 (1913년 ~ 1960년)
북친 (1921년 ~ 2006년)
롤스 (1921년 ~ 2002년)
바우만 (1925년 ~ 2017년)
부르디외 (1930년 ~ 2002년)
A. K. 센 (1933년 ~ )
네그리 (1933년 ~ )
발리바르 (1942년 ~ )
워런 (1949년 ~ )
소칼 (1955년 ~ )
주요 정치인
정치인콩도르세 (1743년 ~ 1794년)
라폴레트 Sr. (1855년 ~ 1925년)
윌슨 (1856년 ~ 1924년)
T. 루스벨트 Jr. (1858년 ~ 1919년)
A. E. 스미스 Jr. (1873년 ~ 1944년)
F. D. 루스벨트 (1882년 ~ 1945년)
마쓰모토 (1887년 ~ 1966년)
쑹칭링 (1893년 ~ 1981년)
긴즈버그 (1933년 ~ 2020년)
샌더스 (1941년 ~ )

2. 진보주의 사상의 다양성 및 그에 대한 논란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사회주의아나키즘, 다양한 형태의 집산주의, 여성주의, 생태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해방 신학, 민중신학, 세속화 신학, 사신신학 등이 현재 진보적인 것으로 지칭되는 사상에 해당한다.[121] 사회자유주의, 환경주의 또한 진보주의로 규정하기도 한다.[121]

좌익 성향의 사상들이 주로 진보주의로 규정되지만, 일부 급진적인 좌파(마르크스주의자, 아나키스트 등)는 '진보주의'라는 용어를 사회자유주의를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121] 이들은 사회자유주의자들이 개량주의에 불과하여 문제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아나키스트들은 '진보'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121] 이들은 '진보'라는 관념이 현실 직시를 방해하고 자발적 결사와 개인의 자율성을 저해한다고 비판한다. 아나키스트들은 민주주의가 사람들에게 지배 체제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어 직접적이고 자율적인 행동을 방해하고, 지배 자체에 대한 반역의 의지를 무마시키며 국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킨다고 비난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나키스트들은 투표를 거부하며, 이를 장려하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122]

2. 1. 주요 사상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사회주의아나키즘, 다양한 형태의 집산주의, 여성주의, 생태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해방 신학, 민중신학, 세속화 신학, 사신신학 등이 현재 진보적인 것으로 지칭되는 사상에 해당한다. 사회자유주의, 환경주의 또한 진보주의로 규정하기도 한다.

좌익 성향의 사상들이 진보주의로 규정되는 경향이 많지만, 강한 좌파 성향의 경우 오히려 '진보주의'라는 규정을 거부하기도 한다. 마르크스주의자나 아나키스트들은 종종 '진보주의'를 사회자유주의(혹은 멸칭으로서 리버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며, 일부 사회자유주의자들은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로 규정한다. 공산주의자나 아나키스트들은 사회자유주의자들이 개량주의에 불과하여 문제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스스로의 사상을 '진보주의'라는 애매한 용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체로 부정적인 자세를 취한다.

특히 아나키스트들은 진보라는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들은 '진보'라는 관념이 오늘날의 사건과 역사가 점차 진화하여 더욱 나은 미래를 향한다는 가설에 기반한다고 본다. 아나키스트들은 그 점에서 진보라는 개념이 현실을 그대로 직시하여 그것의 전복을 꿈꾸도록 하는 일을 방해하고, 사회가 결과적으로 나아질 것이라는 환상으로서 자발적 결사와 개인의 자율성을 저해하며, 사람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든다고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 아나키스트들 사이에서 이러한 시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경우는 민주주의에 대한 입장이다. 아나키스트들이 아나키를 일종의 고도로 진보한 민주주의라고 주장하더라도, 이것이 오늘날 민주주의라고 불리는 것을 옹호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아나키스트들은 민주주의가 사람들에게 그들이 지배 체제에 영향력을 줄수 있다는 환상(지배에서 자유로의 진보를 향한다는 환상)을 심어줘서 사람들이 직접적이고 자율적인 행동을 행사하는 것을 방해하고, 지배 자체에 대한 반역의 의지를 무마시키며 국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킨다고 비난하는 경향이있다. 이에 따라 지배의 영속을 위한 환상을 거부 한다는 의미에서, 투표를 거부하며 이를 장려하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정치에서 진보주의가 등장한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역사 순환 사상이 채택되었고, 원죄종말론에 뒷받침된 중세 서유럽(서방 교회 지역)에서는 인간은 타락하는 존재이며, 정치에서도 옛 좋은 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요구되었다. 동양유교 세계에서도 삼황오제가 이상화되었고, 조상에 대한 를 가장 중요시하는 관점에서 조상이 정한 규칙(국가라면 조법, 가정이라면 가풍·가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새로운 것으로 더 좋아진다는 발상 자체가 이단으로 여겨졌다.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에 의해 인류가 자연을 극복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러한 사고방식이 정치·사회에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파스칼은 지식의 축적에 의해 "인류"라는 하나의 생명체를 더 완전한 존재로 가까이 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에서 발생한 계몽사상은 기술의 발전과 도덕의 발전은 같다고 하는 생각에서 봉건 사상과 앙시앵 레짐을 옛 시대의 산물로서 강하게 비판했다. 콩도르세의 『인간 정신의 진보와 역사상』은 그것을 체계화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독일 관념론 철학이 지닌 합리주의 사상이나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주의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이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마누엘 칸트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인류의 이상으로 여겼고, 헤겔은 인류 전체에 자유 의식이 침투하는 것을 진보로 여겼다. 마르크스는 진보란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에 의해 자신의 힘으로 쟁취하는 것이라고 했다.

"진보주의"의 의미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유럽의 계몽 시대에는, 경험치를 강화하여 사회 기반으로 함으로써 비문명적 상태에서 문명으로의 발전을 유럽이 증명하고 있다는 신념에서, 진보주의는 매우 중요시되었다.[107]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진보는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그 개념세계에 퍼질 것이라고 믿었다.[107]

그리고 현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을 "진보적"이라고 부른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그것들의 공통점은 현재의 제도나 대응 방법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환기시켜, 민주주의의 확대나 사회적 또는 경제적 평등의 확대, 사람들의 행복도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를 지지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시어도어 루즈벨트부터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이르기까지를, 독점 자본주의·트러스트 동맹에 의해 발생한 사회 문제를 공공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연방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게 된 점에 대해 "진보주의 시대"라고 칭한다.

2. 2. 논란

좌익 성향의 사상들이 주로 진보주의로 규정되지만, 일부 급진적인 좌파(마르크스주의자, 아나키스트 등)는 '진보주의'라는 용어를 사회자유주의를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한다.[121] 이들은 사회자유주의자들이 개량주의에 불과하여 문제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아나키스트들은 '진보'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121] 이들은 '진보'라는 관념이 현실 직시를 방해하고 자발적 결사와 개인의 자율성을 저해한다고 비판한다. 아나키스트들은 민주주의가 사람들에게 지배 체제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어 직접적이고 자율적인 행동을 방해하고, 지배 자체에 대한 반역의 의지를 무마시키며 국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킨다고 비난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나키스트들은 투표를 거부하며, 이를 장려하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122]

3.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

진보주의의 개념은 지역마다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가령 진보 집권이 어려운 보수적인 미국, 일본, 대한민국에서 이념상으로는 중도파에 속하는 자유주의는 일종의 진보주의 이념으로 간주되지만 유럽권에서는 진보로 간주하지 않으며,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일부 진보적인 남미국가들에게는 보수주의 이념으로 평가받는다.[107]

정치에서 진보주의가 등장한 것은 매우 늦어,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의 사회,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에서는 역사 순환 사상이 채택되었고, 원죄종말론에 뒷받침된 중세 서유럽(서방 교회 지역)에서는 인간은 타락하는 존재이며, 정치에서도 옛 좋은 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요구되었다. 동양유교 세계에서도 삼황오제가 이상화되었고, 조상에 대한 를 가장 중요시하는 관점에서 조상이 정한 규칙(국가라면 조법, 가정이라면 가풍·가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새로운 것으로 더 좋아진다는 발상 자체가 이단으로 여겨졌다.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에 의해 인류가 자연을 극복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러한 사고방식이 정치·사회에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즉, 파스칼은 지식의 축적에 의해 "인류"라는 하나의 생명체를 더 완전한 존재로 가까이 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에서 발생한 계몽사상은 기술의 발전과 도덕의 발전은 같다고 하는 생각에서 봉건 사상과 앙시앵 레짐을 옛 시대의 산물로서 강하게 비판했다. 콩도르세의 『인간 정신의 진보와 역사상』은 그것을 체계화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독일 관념론 철학이 지닌 합리주의 사상이나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주의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이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마누엘 칸트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인류의 이상으로 여겼고, 헤겔은 인류 전체에 자유 의식이 침투하는 것을 진보로 여겼다. 마르크스는 진보란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에 의해 자신의 힘으로 쟁취하는 것이라고 했다.

"진보주의"의 의미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유럽의 계몽 시대에는, 경험치를 강화하여 사회 기반으로 함으로써 비문명적 상태에서 문명으로의 발전을 유럽이 증명하고 있다는 신념에서, 진보주의는 매우 중요시되었다.[107]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진보는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그 개념세계에 퍼질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현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이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그것들의 공통점은 현재의 제도나 대응 방법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환기시켜, 민주주의의 확대나 사회적 또는 경제적 평등의 확대, 사람들의 행복도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 특히, 미국에서 시어도어 루즈벨트부터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이르기까지를, 독점 자본주의·트러스트 동맹에 의해 발생한 사회 문제를 공공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연방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게 된 점에 대해 "진보주의 시대"라고 칭한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에서 '진보주의'적 정치세력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정의당노동당, 사회주의 정당인 진보당, 생태주의 정당인 녹색당, 여성주의 정당인 페미니즘당이 있다.

과거 극심한 반공주의로 인해 사회주의에 대한 사람들의 반감이 커, 진보주의 세력은 평등주의, 생태주의 등의 가치를 통해 우회적으로 공동체주의를 표방하는 경향이 있다.

정치계 외에 대한민국 개신교계에서도 진보와 보수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흔히 종교, 학문, 신학상 개방성, 사회 구원(사회참여), 진보적 정치이념, 에큐메니컬(교회 일치 운동)을 주장하는 개신교도를 진보적 개신교도로 이해한다.[123]

== 아시아 ==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는 사회 모순을 변화와 개혁으로 해결하려는 이념을 지지하는 정당과 단체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처음에 진보주의를 개진주의라고 불렀다. 1882년, 명치 14년의 정변으로 인해 하야한 오쿠마 시게노부영국을 본뜬 진보주의 정당인 헌법개진당을 결성했고,[109] 교육기관으로 도쿄 전문학교를 개교했다. 당시 내각은 초연주의의 번벌이 장악하고 있었고, 대항 세력인 헌법개진당은 "왕실의 존영과 국민의 행복의 완수" · "내치 개량 등에 의한 국권 확장" · "지방 자치" · "선거권의 확대" · "통상의 추진" · "경화주의"를 강령으로 내걸었다.[110][109]

1889년, 도쿄 전문학교 강사인 이치시마 겐키치는 도쿄 전문학교 참고서로 『정치원론』을 출판하여, 그 저서에서 정당의 종류를 "급진당", "수구당", "개진당", "보수당"의 네 종류로 나누고, "수구는 지키는 데 극단적이어서 완고하게 옛 제도를 고수하는 것이며, 급진은 나아가는 데 극단적이어서 진취적으로 열심히 하여 다른 것을 돌볼 겨를이 없는 것이며, 보수는 감히 나아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진보 속에서도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개진은 감히 지키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오로지 현황을 개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11] 또한 이치시마 겐키치는 개진과 보수에 대해, 개진은 분권, 통상, 흥산 불간섭의 정책을 취하는 경향이 있으며,[111] 보수는 집권, 외교, 흥산 정책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111] 미국은 개진주의만 행해지며,[111] 영국은 보수주의만 행해진다고 했다.[111]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이 공포되었다. 같은 해, 헌법개진당은 헌법에 반하는 오쿠마 시게노부의 조약 개정의 단행을 주장했고,[112] 자유당과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외인 법관 임용 문제). 1890년, 규슈의 진보주의 각 정파는 규슈 연합동지회의 조직을 의결했고,[113] 그 후, 규슈 동지회가 되었다.[113] 규슈 동지회는 진보당 연합을 모의하여, 헌법개진당, 자유당, 애국공당, 대동구락부와 교섭을 진행했고, 이들 5당은 협의회를 열었지만,[114] 헌법개진당과 자유당의 틈은 깊어서, 헌법개진당은 신당에 참가하지 않았고,[115][114] 규슈 동지회, 자유당, 애국공당, 대동구락부의 4당은 합동으로 "자유의 대의에 의지하여 개진의 방책에 따르는" 헌법자유당 (후의 자유당)을 조직했다.[115][114] 헌법자유당은 개진의 방침을 내걸었지만, 그 강령은 "민권 확장", "정당 옹호", "대등 외교", "정당 내각"이었고,[115][114] 헌법개진당의 방침과는 달랐다.

1892년, 치시마함 사건이 일어나자, 헌법개진당은 대외 강륙파의 하나가 되어 현행 조약 력행 운동을 벌였다. 1894년, 이누카이 쓰요시는 선거 대책으로 헌법개진당의 별동대가 될 중국진보당을 결성했다.[116] 1896년, 헌법개진당, 중국진보당을 포함한 다수의 당은 합동하여 진보당을 결성했고, 이로써 개진당의 이름은 사라졌다.[117] 진보당의 강령은 "진보주의와 책임 내각의 수립", "외정의 쇄신, 국권의 확장", "행정 기관의 혁신", "재정의 정리, 민업의 발달" 등이었다.[118]

1898년, 자유당과 진보당은 합동하여 헌정당이 되어 진보주의 방침을 내걸었다. 그 후, 다시 분열했지만, 구 자유당 계도 헌정당의 진보주의 방침을 계승했다.

1900년, 이토 히로부미여당으로 헌법정우회를 결성하여, 일본의 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 헌법정우회는 구 자유당 계의 헌정당 인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강령에는 "항해 무역을 성하게 한다" · "지방 자치" 등의 진보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119]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그 후, 프랑스나 영국 등 각국은 무역을 관세제에서 할당제로 전환시켰고,[120] 협정 무역의 시대에 돌입했으며,[120] 일본도 수출 통제를 할 필요성에 몰렸다.[120] 이로써 고전적 자유주의는 쇠퇴하게 되었다.

== 인도 ==

인도에서는 국가나 지역에 수많은 정당이 있다. 인도통합진보동맹이라는 정당 연합이 진보주의를 내세우고 있으며 인도 국민회의가 이 조직을 주도하고 있다. 사회 수준에서 인도에서 활동하는 여러 진보주의 정당은 서양 기준으로 사회변화와 발전을 추구한다고 간주할 만한 정책을 크게 드러내지는 않으나 여성의 권리, 노동자의 권리, 카스트 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힌두 정통파에 지지를 호소하는 보수주의 정당들보다 훨씬 세속주의적이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진보주의'적 정치세력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정의당노동당, 사회주의 정당인 진보당, 생태주의 정당인 녹색당, 여성주의 정당인 페미니즘당이 있다.

과거 극심한 반공주의로 인해 사회주의에 대한 사람들의 반감이 커, 진보주의 세력은 평등주의, 생태주의 등의 가치를 통해 우회적으로 공동체주의를 표방하는 경향이 있다.

정치계 외에 대한민국 개신교계에서도 진보와 보수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흔히 종교, 학문, 신학상 개방성, 사회 구원(사회참여), 진보적 정치이념, 에큐메니컬(교회 일치 운동)을 주장하는 개신교도를 진보적 개신교도로 이해한다.[123]

3. 2. 아시아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는 사회 모순을 변화와 개혁으로 해결하려는 이념을 지지하는 정당과 단체가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처음에 진보주의를 개진주의라고 불렀다. 1882년, 명치 14년의 정변으로 인해 하야한 오쿠마 시게노부영국을 본뜬 진보주의 정당인 헌법개진당을 결성했고,[109] 교육기관으로 도쿄 전문학교를 개교했다. 당시 내각은 초연주의의 번벌이 장악하고 있었고, 대항 세력인 헌법개진당은 "왕실의 존영과 국민의 행복의 완수" · "내치 개량 등에 의한 국권 확장" · "지방 자치" · "선거권의 확대" · "통상의 추진" · "경화주의"를 강령으로 내걸었다.[110][109]

1889년, 도쿄 전문학교 강사인 이치시마 겐키치는 도쿄 전문학교 참고서로 『정치원론』을 출판하여, 그 저서에서 정당의 종류를 "급진당", "수구당", "개진당", "보수당"의 네 종류로 나누고, "수구는 지키는 데 극단적이어서 완고하게 옛 제도를 고수하는 것이며, 급진은 나아가는 데 극단적이어서 진취적으로 열심히 하여 다른 것을 돌볼 겨를이 없는 것이며, 보수는 감히 나아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진보 속에서도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개진은 감히 지키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오로지 현황을 개량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11] 또한 이치시마 겐키치는 개진과 보수에 대해, 개진은 분권, 통상, 흥산 불간섭의 정책을 취하는 경향이 있으며,[111] 보수는 집권, 외교, 흥산 정책을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고,[111] 미국은 개진주의만 행해지며,[111] 영국은 보수주의만 행해진다고 했다.[111]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이 공포되었다. 같은 해, 헌법개진당은 헌법에 반하는 오쿠마 시게노부의 조약 개정의 단행을 주장했고,[112] 자유당과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외인 법관 임용 문제). 1890년, 규슈의 진보주의 각 정파는 규슈 연합동지회의 조직을 의결했고,[113] 그 후, 규슈 동지회가 되었다.[113] 규슈 동지회는 진보당 연합을 모의하여, 헌법개진당, 자유당, 애국공당, 대동구락부와 교섭을 진행했고, 이들 5당은 협의회를 열었지만,[114] 헌법개진당과 자유당의 틈은 깊어서, 헌법개진당은 신당에 참가하지 않았고,[115][114] 규슈 동지회, 자유당, 애국공당, 대동구락부의 4당은 합동으로 "자유의 대의에 의지하여 개진의 방책에 따르는" 헌법자유당 (후의 자유당)을 조직했다.[115][114] 헌법자유당은 개진의 방침을 내걸었지만, 그 강령은 "민권 확장", "정당 옹호", "대등 외교", "정당 내각"이었고,[115][114] 헌법개진당의 방침과는 달랐다.

1892년, 치시마함 사건이 일어나자, 헌법개진당은 대외 강륙파의 하나가 되어 현행 조약 력행 운동을 벌였다. 1894년, 이누카이 쓰요시는 선거 대책으로 헌법개진당의 별동대가 될 중국진보당을 결성했다.[116] 1896년, 헌법개진당, 중국진보당을 포함한 다수의 당은 합동하여 진보당을 결성했고, 이로써 개진당의 이름은 사라졌다.[117] 진보당의 강령은 "진보주의와 책임 내각의 수립", "외정의 쇄신, 국권의 확장", "행정 기관의 혁신", "재정의 정리, 민업의 발달" 등이었다.[118]

1898년, 자유당과 진보당은 합동하여 헌정당이 되어 진보주의 방침을 내걸었다. 그 후, 다시 분열했지만, 구 자유당 계도 헌정당의 진보주의 방침을 계승했다.

1900년, 이토 히로부미여당으로 헌법정우회를 결성하여, 일본의 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 헌법정우회는 구 자유당 계의 헌정당 인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강령에는 "항해 무역을 성하게 한다" · "지방 자치" 등의 진보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119]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그 후, 프랑스나 영국 등 각국은 무역을 관세제에서 할당제로 전환시켰고,[120] 협정 무역의 시대에 돌입했으며,[120] 일본도 수출 통제를 할 필요성에 몰렸다.[120] 이로써 고전적 자유주의는 쇠퇴하게 되었다.

인도에서는 국가나 지역에 수많은 정당이 있다. 인도통합진보동맹이라는 정당 연합이 진보주의를 내세우고 있으며 인도 국민회의가 이 조직을 주도하고 있다. 사회 수준에서 인도에서 활동하는 여러 진보주의 정당은 서양 기준으로 사회변화와 발전을 추구한다고 간주할 만한 정책을 크게 드러내지는 않으나 여성의 권리, 노동자의 권리, 카스트 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힌두 정통파에 지지를 호소하는 보수주의 정당들보다 훨씬 세속주의적이다.

3. 2. 1. 인도

인도에서는 국가나 지역에 수많은 정당이 있다. 인도통합진보동맹이라는 정당 연합이 진보주의를 내세우고 있으며 인도 국민회의가 이 조직을 주도하고 있다. 사회 수준에서 인도에서 활동하는 여러 진보주의 정당은 서양 기준으로 사회변화와 발전을 추구한다고 간주할 만한 정책을 크게 드러내지는 않으나 여성의 권리, 노동자의 권리, 카스트 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힌두 정통파에 지지를 호소하는 보수주의 정당들보다 훨씬 세속주의적이다.

3. 3. 북미

3. 3. 1. 미국

미국에서는 1940년대까지만 해도 사회주의를 비롯한 진보주의 운동이 활발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소련초강대국이 경쟁하는 냉전 시대에 접어들고 매카시즘 광풍이 불면서 좌파 이념인 공산주의자들 뿐 아니라, 비공산계열 사회주의자, 심지어는 사회민주주의자들마저 공산주의자로 매도당해 미국사회에서 매장되었다.[124] 한국전쟁 이후 매카시즘 광풍이 끝난 이후, 이미 미국인들은 좌파, 사회주의에 대한 극단적인 반감이 생겨서 완전히 전멸한 이후였기 때문에 여성주의, 복지, 세속주의, 노동자들의 권리 등의 비롯한 진보주의 이념들은 당시기준으로 사회주의자들이 아닌, 중도우파 정당인 미국 민주당과 자유주의자들이 어느 정도 주장하게 되었다.[124] 현재까지 미국에서는 사민주의를 포함한 사회주의는 일종의 정치적 금기이기 때문에, 경제적 자유주의를 제외한 자유주의는 진보적 이념으로 평가받는다.[124] 그러나, 최근에는 미국 시애틀 의원에 사회주의 의원이 등장하기도 하였다.[124]

3. 4. 남미

20세기 중후반, 남미에서는 친미 독재정권들이 자유주의라는 명목하에 반대파들을 탄압하며, 경제적 자유주의 정책을 펼쳤다. 이로 인해 사회적 양극화가 심해졌고, 20세기 말 민주화 이후 자유주의보수주의 이념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반면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가 진보주의적 이념으로 평가받는다.

3. 5. 유럽

영국과 중앙유럽을 제외하고는 경제적 자유주의를 포함한 자유주의 이념은 중도주의 또는 중도우파이념으로 평가받으며, 사회주의나, 사회민주주의가 진보적인 이념으로 평가받으며, 현재 유럽의 거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다당제인 국가들이 많지만 자유주의 성향의 보수주의 정당들과, 사회주의 성향의 진보주의 정당들이 양당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3. 5. 1. 북유럽

북유럽에서는 20세기 중반에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대개 인기를 얻으면서 유럽 내에서 제일 진보적이며, 사회보장제도가 탄탄한 나라들이 되었다. 북유럽에서 자유주의는 진보주의가 아닌 보수주의 우파 정당들이 표방한다.

3. 5. 2. 서유럽

서독, 프랑스를 비롯한 서유럽 국가들은 사회민주주의마저 매카시즘 논리로 탄압한 미국과 달리, 일부 사회민주주의자들이 보수주의자들과 타협하여 반공주의의 선두에 서기도 하였다. 당시 서유럽에서 공산주의는 극단주의적 이념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에 비공산계열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가 진보주의 이념으로 평가받았다. 공산권 붕괴 이후에는 반권위주의공산주의도 진보주의 이념이라는 시각이 많아졌다.

3. 5. 3. 중앙유럽

중앙유럽에서 진보주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원래 진보주의는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좌익적 이념을 말하는 것이지만 과거, 반공주의를 외치며 자본화를 위해 투쟁했던 사람들은 대개 우파나 경제적 자유주의자에 속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이념을 진보주의로 표방하는 경우도 있다.

3. 6. 러시아

러시아는 과거 소련 공산주의 국가였으나, 소련은 계획경제, 복지 등 좌익적인 정책도 추진하였으나 원래 좌익의 가치와는 반대되는 양상을 띠는 부분도 많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여성·반핵·인권 등의 문제는 러시아에서 오히려 중도우파자유주의자들의 활동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25] 과거 공산당의 폭압적 지배로 인해 좌익적 대안이 왜곡된 이들 국가들에서는 자유주의적 의제들이 진보적 성격을 갖는 경우가 많아 자유주의단체들이 진보주의 운동의 주축을 이루기도 한다.[125] 특히 자유 시장, 개방 경제 등으로 상징되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이념은 민중들에게 자연스럽게 진보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125]

한편 러시아의 좌익은 소련을 계승한 '''구좌파'''와 아나키스트나 평화주의자 같은 소련체제에 저항하거나, 러시아 붕괴 이후 등장한 자유주의적인 '''신좌파'''로 나뉘었다.[125] '''구좌파'''는 주로 구시대적 체제를 옹호하며, 무기 개발, 내셔널리즘 같은 가치를 추종하기 때문에 보수주의로 분류되며, '''신좌파'''가 진보주의로 분류된다.[125]

대개 우익보수주의국가주의, 좌파는 진보주의, 평화주의를 표방하는 경우가 많지만 러시아나 구 공산권 국가들은 역사적 특성 때문에 좌익, 우익 개념으로 보수, 진보를 나누지 않는 경우가 많다.[125]

현재 러시아에서 보수주의우익의 경우는 친푸틴주의자들, 통합 러시아당 지지자들을 의미하며, 좌익의 경우는 소련시대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반동주의자들을 의미한다.[125] 반대로 러시아의 진보주의는 우익의 경우 러시아 공화당-인민자유당처럼 사회적으로 동성애자 권리 증진 등 진보적인 가치를 추종하면서 신자유주의를 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좌익의 경우는 신자유주의에 반대하고 어느정도 국유화를 옹호하기는 하나, 권위주의에 반대하며, 평화주의, 생태주의를 옹호한다.[125]

4. 역사

정치에서 진보주의가 등장한 것은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의 사회역사 순환 사상이 채택되었고, 원죄종말론에 뒷받침된 중세 서유럽에서는 인간은 타락하는 존재이며, 정치에서도 옛 좋은 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요구되었다. 동양유교 세계에서도 삼황오제가 이상화되었고, 조상이 정한 규칙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새로운 것으로 더 좋아진다는 발상 자체가 이단으로 여겨졌다.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에 의해 인류가 자연을 극복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러한 사고방식이 정치·사회에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파스칼은 지식의 축적에 의해 "인류"라는 하나의 생명체를 더 완전한 존재로 가까이 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에서 발생한 계몽사상은 기술의 발전과 도덕의 발전은 같다고 하는 생각에서 봉건 사상과 앙시앵 레짐을 옛 시대의 산물로서 강하게 비판했다. 콩도르세의 『인간 정신의 진보와 역사상』은 그것을 체계화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독일 관념론 철학이 지닌 합리주의 사상이나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주의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이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마누엘 칸트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인류의 이상으로 여겼고, 헤겔은 인류 전체에 자유 의식이 침투하는 것을 진보로 여겼다. 마르크스는 진보란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에 의해 자신의 힘으로 쟁취하는 것이라고 했다.

"진보주의"의 의미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유럽의 계몽 시대에는, 경험치를 강화하여 사회 기반으로 함으로써 비문명적 상태에서 문명으로의 발전을 유럽이 증명하고 있다는 신념에서, 진보주의는 매우 중요시되었다.[107]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진보는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그 개념세계에 퍼질 것이라고 믿었다.[107]

그리고 현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이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그것들의 공통점은 현재의 제도나 대응 방법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환기시켜, 민주주의의 확대나 사회적 또는 경제적 평등의 확대, 사람들의 행복도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 특히, 미국에서 시어도어 루즈벨트부터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이르기까지를, 독점 자본주의·트러스트 동맹에 의해 발생한 사회 문제를 공공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연방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게 된 점에 대해 "진보주의 시대"라고 칭한다.

4. 1. 계몽주의부터 산업혁명까지

이마누엘 칸트는 진보를 야만에서 문명으로 향하는 움직임으로 규정했다.[14] 18세기 철학자이자 정치학자인 콩도르세(Marquis de Condorcet)는 정치적 진보가 노예제의 소멸, 읽기 능력의 증가, 성 불평등의 감소, 교도소 개혁, 빈곤 감소를 포함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5]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은 자유 시장과 사람들의 이동의 자유에 대한 전통적인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경제와 사회의 급속한 근대화를 요구했다.[16] 그러나 19세기 후반, 서구 세계에서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 사이의 엄청난 경제적 불평등, 규제가 거의 없는 ''자유방임'' 자본주의, 통제 불능의 독점적 기업,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의 격렬하고 종종 폭력적인 갈등으로 진보가 억압되고 있다는 견해가 인기를 얻었다.[17]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자유주의는 영국 자유주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의 사람들이 "진보적인 존재"라는 개념의 영향을 받았다.[18] 영국 총리 벤자민 디즈레일리는 일국가 보수주의 토리당 하에서 진보적 보수주의를 발전시켰다.[19][20]

프랑스에서는 사회 혁명과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자유방임'' 중도우파 사이의 공간을 급진주의가 채웠는데, 이는 사회적 진보가 반교권주의, 인본주의, 공화주의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했다. 독일 제국에서는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 총리가 사회주의 운동으로부터 노동자들을 멀리하고 산업혁명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진보적인 사회 복지 조치를 시행했다.[21]

1891년, 레오 13세(Pope Leo XIII)는 로마 가톨릭 교회 회칙 ''레룸 노바룸''(Rerum novarum)을 발표하여 노동 착취를 비난하고 사회 정의를 위해 노동 조합과 기업의 정부 규제를 지지할 것을 촉구하면서 재산권을 옹호하고 사회주의를 비판했다.[22] 사회 복음이라는 진보적인 개신교적 관점이 북미에서 등장하여 경제적 착취와 빈곤에 도전했다.[23]

20세기 초 진보주의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창설,[24][25] 스칸디나비아의 강제 불임 시술,[26] 영국의 우생학,[27] 금주 운동 등이 포함되었다.[28][29]

4. 2. 현대 정치 철학

미국에서 진보주의는 존 로크(John Locke)와 미국 공화국의 건국자들이 주장한 정부 권위의 제한에 대한 헌법주의[31]에 대한 지적 반란으로 시작되었다.[32] 1890년대 사회 운동으로 시작되어 진보주의 시대로 불리는 대중적인 정치 운동으로 발전했으며,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세 명의 미국 대통령 후보 모두 자신을 진보주의자라고 주장했다. 진보주의자들은 사회 다윈주의를 거부하고 계급 투쟁, 탐욕, 빈곤, 인종차별, 폭력과 같은 사회 문제를 양질의 교육, 안전한 환경, 효율적인 직장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다.[33] 이들은 주로 도시에 거주하고 대학 교육을 받았으며 강력한 중앙 정부를 신뢰했다.[33] 공화당 대통령 테오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와 이후 진보당은 "현명한 진보주의와 현명한 보수주의는 손을 맞잡고 간다"고 선언했다.[34]

민주당 내 미국 진보 운동의 일원이었던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진보주의적 입장을 발전시켰다. 제국주의는 진보주의 내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였는데, 일부는 미국 제국주의를 지지하고 다른 일부는 반대했다.[35]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대응으로 윌슨 대통령의 14개 조항은 자결권 개념을 확립하고 제국주의적 경쟁과 식민지의 불의를 비판했다. 반제국주의자들은 제국 지배에 저항하는 지역에서 이러한 견해를 지지했다.[36]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경제적 케인즈주의가 받아들여지면서 많은 국가에서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의 큰 역할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 신자유주의가 부상하고 국가 개입주의 정책이 도전을 받으면서, 중도좌파 진보 운동은 제3의 길을 채택하여 시장 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다.[37] 일부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제3의 길을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38] 영국 보수당의 진보적 보수주의 요소들은 신자유주의를 비판해왔다.[39]

21세기 진보주의자들은 경제 불평등의 해로운 영향과 제도적 인종차별과 같은 체계적인 차별을 줄이기 위한 공공 정책을 지속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사회 안전망과 노동자 권리를 옹호하며, 민주적 과정에 대한 기업의 영향력에 반대한다. 사회민주주의 지지자들은 자신을 진보적 대의를 증진하는 사람으로 규정했다.[40]

5. 유형

정치에서 진보주의가 등장한 것은 매우 늦어,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의 사회,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에서는 역사 순환 사상이 채택되었고, 원죄종말론에 뒷받침된 중세 서유럽(서방 교회 지역)에서는 인간은 타락하는 존재이며, 정치에서도 옛 좋은 법으로 돌아가는 것이 요구되었다. 동양유교 세계에서도 삼황오제가 이상화되었고, 조상에 대한 를 가장 중요시하는 관점에서 조상이 정한 규칙(국가라면 조법, 가정이라면 가풍·가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새로운 것으로 더 좋아진다는 발상 자체가 이단으로 여겨졌다.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에 의해 인류가 자연을 극복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 17세기에 들어서면서, 그러한 사고방식이 정치·사회에도 적용되기 시작한다. 즉, 파스칼은 지식의 축적에 의해 "인류"라는 하나의 생명체를 더 완전한 존재로 가까이 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프랑스에서 발생한 계몽사상은 기술의 발전과 도덕의 발전은 같다고 하는 생각에서 봉건 사상과 앙시앵 레짐을 옛 시대의 산물로서 강하게 비판했다. 콩도르세의 『인간 정신의 진보와 역사상』은 그것을 체계화한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독일 관념론 철학이 지닌 합리주의 사상이나 이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주의 사상에도 영향을 주었고, 더 나아가 찰스 다윈의 진화론이 이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마누엘 칸트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실현을 인류의 이상으로 여겼고, 헤겔은 인류 전체에 자유 의식이 침투하는 것을 진보로 여겼다. 마르크스는 진보란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에 의해 자신의 힘으로 쟁취하는 것이라고 했다.

"진보주의"의 의미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유럽의 계몽 시대에는, 경험치를 강화하여 사회 기반으로 함으로써 비문명적 상태에서 문명으로의 발전을 유럽이 증명하고 있다는 신념에서, 진보주의는 매우 중요시되었다.[107]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진보는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그 개념세계에 퍼질 것이라고 믿었다.[107]

그리고 현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이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그것들의 공통점은 현재의 제도나 대응 방법의 부정적인 측면에 주의를 환기시켜, 민주주의의 확대나 사회적 또는 경제적 평등의 확대, 사람들의 행복도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 특히, 미국에서 시어도어 루즈벨트부터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이르기까지를, 독점 자본주의·트러스트 동맹에 의해 발생한 사회 문제를 공공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연방 정부가 경제에 개입하게 된 점에 대해 "진보주의 시대"라고 칭한다.

; 문화적 진보주의

일반적으로 사회적 및 문화적 진보주의를 의미한다.[41] "문화적 자유주의"와 상당히 유사하며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41] 일부 문화적 진보주의자는 경제적으로 중도주의적, 보수적이거나 정치적으로 자유지상주의적일 수 있다. 체코 해적당은 (문화적 또는 사회적) 진보 정당으로 분류되지만,[62] 스스로를 "경제적으로 중도적이고 사회적으로 자유로운" 정당이라고 부른다.[42]

; 경제적 진보주의

경제적 진보주의는 '신진보 경제학'이라고도 불리며, 문화 분야의 진보주의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43] 민주적 자본주의, 민주적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등 다양한 경제 이론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43] 경제적 진보주의자들은 사회 정의공익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정부 규제, 사회 보호 및 공공재 유지를 통해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일부 경제 진보주의자들은 문화적 문제에 대해 중도우파적 견해를 보일 수 있으며, 공동체주의적 보수 운동 (예: 기독교 민주주의, 원네이션 보수주의)과 관련이 있다.[8][45]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이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 기술진보주의

기술진보주의는 1999년에 처음 등장한 용어로, "자기실현과 자아실현에 대한 모든 정치적, 문화적, 생물학적, 심리적 제약의 제거"를 의미한다.[46] 기술진보주의는 진보의 과학적, 기술적 측면이 사회의 윤리적, 사회적 발전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과학기술 발전은 그 비용, 위험, 보상이 공정하게 분배될 때까지는 적절한 진보로 간주되지 않는다. 많은 기술진보주의 비평가들과 지지자들은 향상된 민주주의, 증가된 정의, 감소된 폭력, 그리고 더 넓은 권리 문화는 모두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이상을 옹호하고 적용하는 과학기술적 발전이 수반되지 않는 한 현대 기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믿는다.[47][48]

5. 1. 문화적 진보주의

일반적으로 사회적 및 문화적 진보주의를 의미한다.[41] "문화적 자유주의"와 상당히 유사하며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41] 일부 문화적 진보주의자는 경제적으로 중도주의적, 보수적이거나 정치적으로 자유지상주의적일 수 있다. 체코 해적당은 (문화적 또는 사회적) 진보 정당으로 분류되지만,[62] 스스로를 "경제적으로 중도적이고 사회적으로 자유로운" 정당이라고 부른다.[42]

5. 2. 경제적 진보주의

경제적 진보주의는 '신진보 경제학'이라고도 불리며, 문화 분야의 진보주의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43] 민주적 자본주의, 민주적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등 다양한 경제 이론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43] 경제적 진보주의자들은 사회 정의공익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정부 규제, 사회 보호 및 공공재 유지를 통해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4] 일부 경제 진보주의자들은 문화적 문제에 대해 중도우파적 견해를 보일 수 있으며, 공동체주의적 보수 운동 (예: 기독교 민주주의, 원네이션 보수주의)과 관련이 있다.[8][45]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변혁이나 정부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사람들의 이익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운동"이다.[108] 예를 들어 민주적인 프로세스를 통한 불평등이나 차별 개선을 위한 공공 정책, 환경 보호를 위한 정책 제안, 사회적 세이프티넷이나 노동자의 권리, 기업의 독점이나 지배에 대한 반대 등 많은 운동이 "진보적"이라고 불린다.

5. 3. 기술진보주의

기술진보주의는 1999년에 처음 등장한 용어로, "자기실현과 자아실현에 대한 모든 정치적, 문화적, 생물학적, 심리적 제약의 제거"를 의미한다.[46] 기술진보주의는 진보의 과학적, 기술적 측면이 사회의 윤리적, 사회적 발전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과학기술 발전은 그 비용, 위험, 보상이 공정하게 분배될 때까지는 적절한 진보로 간주되지 않는다. 많은 기술진보주의 비평가들과 지지자들은 향상된 민주주의, 증가된 정의, 감소된 폭력, 그리고 더 넓은 권리 문화는 모두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이상을 옹호하고 적용하는 과학기술적 발전이 수반되지 않는 한 현대 기술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믿는다.[47][48]

6. 진보 정당 또는 진보적 분파를 가진 정당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진보 정당이 존재하며, 이들 정당은 사회, 경제적 변화를 추구하며 각 국가의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rogressivism in English https://en.oxforddic[...] 2017-05-02
[2] 서적 Enlightenment Phantasies: Cultural Identity in France and Germany, 1750–1914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2003
[3] 서적 America in White, Black, and Gray: A History of the Stormy 1960s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7
[4] 서적 The Modern Political Tradition: Episode 17: Progressivism and New Liberalism Great Courses 2014
[5] 서적 Japanese Constitutional Revisionism and Civic Activism Rowman & Littlefield 2021
[6]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Neoliberal Order: America and the World in the Free Market Era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1
[7] 웹사이트 America Is Becoming a Social Democracy https://foreignpolic[...] 2024-10-24
[8] 뉴스 Did you know there's a third party based on Catholic teaching? https://www.catholic[...] 2016-10-12
[9] 웹사이트 New political party says its roots are in Catholic Social Teaching https://cruxnow.com/[...] 2021-11-17
[1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Neoliberal Order: America and the World in the Free Market Era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1
[11] 웹사이트 America Is Becoming a Social Democracy https://foreignpolic[...] 2024-10-24
[12] 웹사이트 After a Decade of Left-Populism, What Have We Learned About Political Change? https://washingtonmo[...] 2024-10-24
[13] 웹사이트 Hillary Clinton on flip-flop charge: 'I'm a progressive, but I'm a progressive who likes to get things done' http://theweek.com/s[...] 2024-10-24
[14] 서적 Kant: political writing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5] 서적 History of the Idea of Progress Basic Books 1980
[16] 서적 Telling the Truth about Histo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7] 서적 Progressiv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Liberalism
[19] 서적 British Political Science: Fifty Years of Political Studies Wiley-Blackwell 2000
[20] 서적 Disraeli Eyre & Spottiswoode (Publishers) Ltd 1967
[21] 서적 Union Contributions to Labor Welfare Policy and Practice: Past, Present, and Future Routledge 2013
[22] 서적 The Progressive Era Infobase Publishing 2005
[23] 서적 The Rise of the Social Gospel in American Protestantism, 1865–1915 1940
[24] 서적 Liberal Languages: Ideological Imaginations and Twentieth-Century Progressive Though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25] 학술지 Woodrow Wilson, Alliances, and the League of Nations 2006-04
[26] 학술지 Geneticists and the Eugenics Movement in Scandinavia 1989
[27] 학술지 Retrospectives: Eugenics and Economics in the Progressive Era https://www.princeto[...] 2017-10-22
[28] 서적 Prohibition and the Progressive Movement, 1900–1920 1970
[29] 웹사이트 Prohibition: A Case Study of Progressive Reform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7-10-04
[30] 서적 Progressiv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8-17
[32] 서적 Progressivism : the strange history of a radical idea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33] 웹사이트 The Progressive Era (1890–1920) http://www.gwu.edu/~[...] The Eleanor Roosevelt Papers Project 2014-09-31
[34] 서적 William Howard Taft: The Travails of a Progressive Conserv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Progressiv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Reconsidering Woodrow Wilson: Progressivism, Internationalism, War, and Peace
[37] 서적 Welfare State Change: Towards a Third Way?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After the Third Way: The Future of Social Democracy in Europe I.B. Taurus
[39] 서적 The Conservative Party and Social Policy The Policy Press
[40] 서적 The Future of European Social Democracy: Building the Good Society Palgrave Macmillan
[41] 서적 Delirium: The Politics of Sex in America https://books.google[...] Catapult 2012
[42] 뉴스 Piráti chtějí vést liberální politický střed a v květnu získat 20 procent, zaznělo na fóru v Táboře https://ct24.ceskate[...] ČT24 2019-01-19
[43] 웹사이트 The rise — and fall? — of the New Progressive Economics https://www.vox.com/[...] 2024-10-04
[44]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Progressive Economics https://www.american[...]
[45] 웹사이트 New political party says its roots are in Catholic Social Teaching https://cruxnow.com/[...] 2018-11-26
[46] 서적 The Cultural Dimension of Waste: a Critique of the Ethos of Technology. Economic and Environmental Studies https://czasopisma.u[...] 2003
[47]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Transhumanism": Part Two http://ieet.org/inde[...] 2004
[48] 웹사이트 Technoprogressivism Beyond Technophilia and Technophobia http://ieet.org/inde[...] 2005
[49] 웹사이트 La llamativa definición política de Alberto Fernández: "Soy de la rama del liberalismo progresista peronista" https://www.clarin.c[...] 2019-07-19
[50] 웹사이트 Juan Grabois lanza el Frente Patria Grande que lideraría Cristina Kirchner https://www.perfil.c[...] 2018-10-27
[51] 웹사이트 Alberto Fernández: "Soy más hijo de la cultura hippie que de las veinte verdades peronistas" https://www.perfil.c[...] 2020-04-12
[52] 웹사이트 Australian Greens Are Building a Movement to End Neoliberalism https://www.jacobinm[...] 2021-09-03
[53] 서적 Dominant Elites in Latin America: From Neo-Liberalism to the 'Pink Tid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54] 뉴스 A trajetória do PSB, o Partido que quer lançar Joaquim Barbosa à Presidência https://www.bbc.com/[...]
[55] 뉴스 O Que é ser progressist? https://www.bbc.com/[...]
[56] 뉴스 O que pensam os partidos progressistas sobre o "Efeito Lula" https://www.brasilde[...] 2021-03-17
[57] 서적 Our Lives: Canada after 1945: Second Edition James Lorimer & Company 2012
[58] 서적 Song of a Nation: The Untold Story of Canada's National Anthem McClelland & Stewart 2018
[59] 웹사이트 Trudeau made pushing his agenda more complicated with a failed bid for majority https://www.cbc.ca/n[...] 2021-09-21
[60] 서적 Dilemmas of Free Express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1
[61] 웹사이트 Croatia's Largest Political Parties https://www.expatinc[...] 2018-06-14
[62] 웹사이트 Finally, a healthy dose of anti-establishment http://politicalcrit[...] 2018-01-08
[63] 웹사이트 Czechs Eye 'Symbolic' Pirate Breakthrough in Europe https://balkaninsigh[...] 2019-05-21
[64] 웹사이트 Notre charte fondatrice https://www.nouvelle[...]
[65] 웹사이트 Volt Germany https://voltdeutschl[...]
[66] 서적 Populism and the Crisis of Democracy: Volume 3: Migration, Gender,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67] 서적 Global Struggles and Social Change: From Prehistory to World Revolu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0
[68] 서적 Euroscepticism and the Rising Threat from the Left and Right: The Concept of Millennial Fascism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7
[69] 서적 Oxi: An Act of Resistance: The Screenplay and Commentary, Including interviews with Derrida, Cixous, Balibar, and Negri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
[70] 웹사이트 Mengenal Partai Hijau Indonesia: Suarakan Isu Lingkungan, Anti Mengultuskan Pemimpin https://mojok.co/kot[...] 2023-02-08
[71] 서적 Popular Culture, Globalization and Japan Routledge 2007
[72] 서적 EGenerational Gap in Japanese Politics: A Longitudinal Study of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u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73] 뉴스 "선제공격 능력 갖추자" 日정부 주장에…"시대착오적" 비판 https://www.edaily.c[...] 2021-11-13
[74] 뉴스 Citizen campaigns seek to increase voter turnout in Upper House election https://www.japantim[...] 2019-07-20
[75] 웹사이트 GroenLinks (GL) https://www.parlemen[...]
[76] 웹사이트 EEN PROGRESSIEF OPPOSITIEAKKOORD https://groenlinks.n[...]
[77] 웹사이트 PVDA EN GROENLINKS SLUITEN PROGRESSIEF OPPOSITIEAKKOORD https://groenlinks.n[...]
[78] 웹사이트 Indeling van partijen https://prodemos.nl/[...]
[79] 웹사이트 Progressief Oppositieakkoord https://www.pvda.nl/[...]
[80] 웹사이트 Partij van de Arbeid (PvdA) https://www.parlemen[...]
[81] 웹사이트 About Akbayan – Akbayan Party List https://akbayan.org.[...]
[82]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Portugal – who are the parties? https://www.theportu[...]
[83] 서적 Party Development and Democratic Change in Post-Communist Europe: The First Decad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84] 웹사이트 The Progress Singapore Party Offers A 'Progressive' Vision for Singapore https://www.ricemedi[...] 2020-06-18
[85] 웹사이트 Minjung Party press conference https://en.yna.co.kr[...] 2018-10-11
[86] 웹사이트 South Korea Backtracks on Easing Sanctions After Trump Comment https://www.nytimes.[...] 2018-10-11
[87] 서적 Why Banks Fail: The Political Roots of Banking Crises in Spai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
[88] 뉴스 Errejón pide a Gabilondo centrarse en lo importante, una mayoría progresista https://www.lavangua[...] 2019-05-24
[89] 웹사이트 The Center Cannot Hold in Spain, but Can the Left Take Advantage? https://www.thenatio[...] The Nation 2021-05-03
[90] 웹사이트 Democracy prevails in Taiwan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0-01-12
[91] 서적 Policy Analysis in Taiwan Policy Press 2018
[92] 웹사이트 Nidhi Eoseewong: An open letter to Pheu Thai https://prachatai.co[...] 2018-05-08
[93] 웹사이트 Green Party of England and Wales elects new leaders https://europeangree[...] European Green Party
[94] 웹사이트 The Battle Within the Democratic Party https://www.theatlan[...]
[95] 서적 Fighting for the Progressive Center in the Age of Trump ABC-CLIO 2014
[96] 잡지 How Socialist Is Bernie Sanders? https://www.newyorke[...] 2020-03-02
[97] 웹사이트 Progressives contemplate post-Cuomo politics https://spectrumloca[...] Spectrum News 2021-08-11
[98] 서적 Black Lives Matter at School: An Uprising for Educational Justice https://books.google[...] Haymarket Books 2020
[99] 서적 The History of Argentin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100] 웹사이트 El pinochetista Kast y el progresista Boric definirán la presidencia el 19 de diciembre elecciones en Chile https://www.ambito.c[...]
[101] 서적 The Right Wing in France: From 1815 to de Gaulle 1966
[102] 서적 Changing Party Systems in We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03] 서적 Civil society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4] 서적 Left and right in South Kor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5] 웹사이트 Definition of progressivism in English https://en.oxforddic[...] Oxford English Dictionary
[106] 웹사이트 プログレシビズム - 日本大百科全書 https://kotobank.jp/[...] 小学館
[107] 서적 Enlightenment Phantasies: Cultural Identity in France and Germany, 1750年 – 1914年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2003-00-00
[108] 웹사이트 progressivism https://dictionary.c[...]
[109] 웹사이트 立憲改進党 https://kotobank.jp/[...]
[110] 뉴스 幕を閉じる民政党 (上・下) {{新聞記事文庫|url|0100315[...] 読売新聞 1940-08-15
[111] 서적 東京専門学校参考書 政治原論 桃浪書院蔵版 https://books.google[...] 1889-00-00
[112] 서적 明治憲政史 (上巻) https://books.google[...] 1914-00-00
[113] 서적 明治憲政史 (上巻) https://books.google[...] 1914-00-00
[114] 서적 帝国議会史 全 https://books.google[...] 1901-00-00
[115] 서적 明治憲政史 (上巻) https://books.google[...] 1914-00-00
[116] 서적 犬養毅伝 https://books.google[...] 1932-00-00
[117] 서적 日本憲政史を語る 上 https://books.google[...] 1938-00-00
[118] 서적 犬養毅伝 https://books.google[...] 1932-00-00
[119] 서적 立憲政友会史 第壹巻 伊藤総裁時代 https://books.google[...] 1924-00-00
[120] 서적 貿易政策論 https://books.google[...] 1934-00-00
[121] 웹사이트 From Politics to Life: Ridding Anarchy of the Leftist Millstone https://theanarchist[...]
[12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crimethinc.c[...] 2018-04-02
[123] 서적 미래에서 온 기독교 에클레시안
[124] 웹사이트 http://www.hani.co.k[...]
[125] 웹사이트 http://www.press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