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우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진우체국은 1905년 6월 25일 울진우편국으로 개국하여, 1949년 울진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1년 사무관국으로 승격되었으며, 여러 차례 청사 이전과 집배광역화 작업을 거쳤다. 2011년 이후 관할 우체국 명칭 변경 및 신설, 폐국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2021년 3월 1일 기준으로 울진읍, 죽변면, 북면, 근남면, 매화면 등을 관할한다. 현재 울진우체국은 영업과, 우편물류과, 경영지도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설치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1905년 설치 - 오산우체국
오산우체국은 1905년 오산우편소로 시작하여 오산우편국으로 변경, 사무관국으로 승격, 현재 청사 준공을 거쳐 오산시의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산시 전 지역의 우편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 울진군 소재의 관공서 - 경상북도울진교육지원청
경상북도울진교육지원청은 울진군 지역의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행정기관으로, 관내에는 여러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일부 초등학교의 분교가 운영되고 있다. - 울진군 소재의 관공서 - 울진해양경찰서
울진해양경찰서는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산하 경찰서로, 울진 지역의 해상 치안 및 안전을 담당하며, 여러 부서와 4개의 파출소를 관할한다. - 경상북도 소재의 우체국 - 경주우체국
경주우체국은 1902년 경주우편소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및 위치 변경을 거쳐 현재 경주시 동, 천북면 등 8개 지역을 관할한다. - 경상북도 소재의 우체국 - 안동우체국
안동우체국은 1895년 안동우체사로 시작하여 현재 안동시와 인근 지역에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우체국과 우편 취급국을 관할하는 경상북도 안동시 소재의 우체국이다.
울진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울진우체국 |
종류 | 우체국 |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연호로 19 |
관할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일원 |
홈페이지 | 울진우체국 |
운영 정보 |
2. 연혁
1905년 6월 25일 울진우편국으로 개국하였다.[1] 1910년 10월 1일 울진우편국으로 승격되었다.[1] 1949년 8월 13일 울진우체국으로 개칭되었다.[1] 1971년 12월 15일 사무관국으로 승격되었다.[1] 1976년 12월 30일 구 청사로 신축 이전하였고,[1] 1989년 12월 23일 현 청사로 신축 이전하였다.[1]
2001년 7월 16일 집배광역화를 위해 울진군 온정면 우편구역을 울진평해우체국으로 통합하였고,[1] 10월 8일 울진군 북면, 원남면, 근남면 우편구역을 울진우체국으로 통합하였다.[2] 2011년 7월 31일 삼근우체국 별정우체국이 폐국되었고,[3] 8월 1일 울진금강송우체국(6급)이 개국되었다.[3]
2013년 11월 1일 죽변우체국을 울진죽변우체국으로, 평해우체국을 울진평해우체국으로, 후포우체국을 울진후포우체국으로, 기성우체국을 울진기성우체국으로, 울진매화우체국을 울진원남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4]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이 고시되었고,[5] 11월 1일 부구우체국을 울진북면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6] 2015년 4월 21일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우편구역이 변경 고시되었으며,[7] 6월 1일 울진원남우체국을 울진매화우체국으로, 울진금강송우체국을 명칭 변경하였다.[8] 2021년 3월 1일 우편구역이 고시되었다.[9]
2. 1. 설립 초기 (1905년 ~ 1949년)
1905년 6월 25일, 대한제국 시기에 울진우편국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1] 1910년 10월 1일,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울진우편국으로 승격되었다.[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8월 13일, 울진우체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2. 2. 운영 및 확장 (1971년 ~ 2001년)
1971년 12월 15일, 울진우체국은 사무관국으로 승격되었다.[1] 1976년 12월 30일에는 구 청사로 신축 이전하였고,[1] 1989년 12월 23일에는 현 청사로 다시 신축 이전하였다.[1]2001년에는 집배광역화를 위해 우편구역 조정이 있었다. 7월 16일에는 울진군 온정면 우편구역이 울진평해우체국으로 통합되었고,[1] 10월 8일에는 울진군 북면, 원남면, 근남면 우편구역이 울진우체국으로 통합되었다.[2]
2. 3. 관할 구역 및 명칭 변경 (2011년 ~ 현재)
2011년 7월 31일 삼근우체국 별정우체국이 폐국되었다.[3] 2011년 8월 1일 울진서면우체국(6급)이 개국되었다.[3] 2013년 11월 1일 죽변우체국을 울진죽변우체국으로, 평해우체국을 울진평해우체국으로, 후포우체국을 울진후포우체국으로, 기성우체국을 울진기성우체국으로, 울진매화우체국을 울진원남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4]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이 다음과 같이 고시되었다.[5]
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울진우체국 | 울진읍 · 근남면 · 북면 · 원남면 · 죽변면 | 36303 ~ 36345 |
울진평해우체국 | 평해읍 · 기성면 · 온정면 · 후포면 | 36346 ~ 36371 |
울진서면우체국 | 서면 | 36300 ~ 36302 |
2014년 11월 1일 부구우체국을 울진북면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6] 2015년 4월 21일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우편구역이 다음과 같이 변경 고시되었다.[7]
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울진우체국 | 울진읍 · 근남면 · 북면 · 매화면 · 죽변면 | 36303 ~ 36345 |
울진평해우체국 | 평해읍 · 기성면 · 온정면 · 후포면 | 36346 ~ 36371 |
울진서면우체국 | 금강송면 | 36300 ~ 36302 |
2015년 6월 1일 울진원남우체국을 울진매화우체국으로, 울진서면우체국을 울진금강송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8] 2021년 3월 1일 우편구역이 다음과 같이 고시되었다.[9]
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울진우체국 | 울진읍 · 죽변면 · 북면 · 근남면 · 매화면 | 36303 ~ 36313 36314 ~ 36319 36320 ~ 36331 36332 ~ 36338 36339 ~ 36345 |
울진평해우체국 | 평해읍 · 기성면 · 온정면 · 후포면 | 36346 ~ 36354 36355 ~ 36352 36363 ~ 36368 36369 ~ 36371 |
울진금강송우체국 | 금강송면 | 36300 ~ 36302 |
울진우체국은 경상북도 울진군 지역의 우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3. 관할 우체국
2011년 7월 31일 삼근우체국이 폐국되었고, 현재 울진근남우체국, 울진금강송우체국, 울진기성우체국, 울진매화우체국, 울진북면우체국, 울진온정우체국, 울진죽변우체국, 울진평해우체국, 울진후포우체국을 관할하고 있다.
3. 1. 현황
2015년 6월 1일 울진서면우체국에서 명칭 변경울진기성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척산3길 11 2013년 11월 1일 기성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진매화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1길 51 2013년 11월 1일 울진매화우체국에서 울진원남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2015년 6월 1일 울진원남우체국에서 명칭 변경울진북면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3길 14-3 2014년 11월 1일 부구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진온정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소태로 9-16 울진죽변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중앙로 173 2013년 11월 1일 죽변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진평해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로 78 2013년 11월 1일 평해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울진후포우체국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로 154-2 2013년 11월 1일 후포우체국에서 명칭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