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투월리오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투월리오어군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와 부톤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하위 그룹이다. 이 어군은 칼라오어-라이욜로어, 월리오어-카마루어, 워투어를 포함하며, 언어학적 분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초기에는 무나-부톤어군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음운론적 증거를 통해 별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미드(2003)는 술라웨시 하위 그룹의 일부로, 조벨(2020)은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로 분류하며 레도, 워투, 월리오, 카마루, 칼라오, 로아어를 포함한다.
워투-월리오어군은 크게 3개의 분기 아래 5개의 언어로 구성된다.
워투-월리오어는 3개의 분기로 나뉘는 5개의 언어로 구성된다. 각 언어와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2. 분류
초기 연구에서는 월리오어, 라이욜로어[1], 그리고 이후에는 워투어[2]까지 무나-부톤어군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3] 2004년 도노휴(Donohue)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 언어들이 워투-월리오어군이라는 별개의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4] 미드(Mead, 2003)는 워투-월리오어군을 술라웨시어군의 여섯 분기 중 하나로 보았다.[5]
한편, 조벨(Zobel, 2020)은 워투-월리오어군을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로 명명하며, 레도, 워투어, 월리오어, 카마루어, 칼라오어, 로아어 (바랑-바랑어)를 포함시켰다. 그는 이 중 월리오어, 카마루어, 칼라오어, 로아어(바랑-바랑어)를 '섬 카일리-월리오어'라는 하위 그룹으로 묶었다. 또한, 레도는 카일리-파모나어군의 문법적 특징을 가지면서도 어휘는 주로 워투-월리오어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 남술라웨시어군으로 분류되던 마무주어 역시 워투-월리오어 어휘의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6]
2. 1. 칼라오어군
칼라오-라이욜로어 분기는 칼라오어와 라이욜로어로 구성되며, 이 언어들은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의 셀라야르 제도에서 사용된다.
2. 1. 1. 칼라오어
칼라오어는 워투월리오어군의 한 분기인 칼라오–라이욜로어에 속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인도네시아 남술라웨시의 셀라야르 제도에서 사용된다.
언어학자 조벨 (2020)은 워투-월리오어군을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로 명명하고, 칼라오어를 월리오어, 카마루어, 로아어 (바랑-바랑어)와 함께 이 그룹 내의 '섬 카일리-월리오어'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였다.[6]
2. 1. 2. 라이욜로어
라이욜로어는 칼라오어와 함께 워투-월리오어군의 한 분기를 이루며, 주로 남술라웨시의 슬라야르 제도에서 사용된다. 초기 분류에서는 무나-부톤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1][3], 2004년 도노휴(Donohue)의 연구를 통해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워투어, 월리오어 등과 함께 독자적인 워투-월리오어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
2. 2. 월리오어군
워투-월리오어군의 한 분기는 월리오어와 카마루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언어는 인도네시아 동남술라웨시의 부톤섬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4] 초기에는 다른 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1][3] 현재는 음운론적 특징을 근거로 워투월리오어군의 독자적인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4]
2. 2. 1. 월리오어
월리오어는 카마루어와 함께 부톤 섬 (동남술라웨시)에서 사용된다.
초기 분류에서는 무나-부톤 하위 그룹에 포함되었으나,[1][3] 도노휴 (2004)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워투-월리오어가 자체적으로 별개의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고 보았다.[4] 조벨 (2020)은 워투-월리오어를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라고 부르며, 월리오, 카마루, 칼라오, 로아어 (바랑-바랑어)를 남부 카일리-월리오어 내의 '섬 카일리-월리오어'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6]
2. 2. 2. 카마루어
카마루어는 월리오어와 함께 워투-월리오어군의 한 분기를 이루며, 인도네시아 동남술라웨시의 부톤섬에서 사용된다.
조벨(Zobel) (2020)의 분류에 따르면, 카마루어는 월리오어, 칼라오어, 로아어 (바랑-바랑어)와 함께 '남부 카일리-월리오어' 내의 '섬 카일리-월리오어'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6]
2. 3. 워투어
워투어는 남술라웨시 본만 북쪽 해안의 워투 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워투-월리오어군의 세 분기 중 하나를 이룬다.
2. 3. 1. 워투어
워투어는 남술라웨시 본만 북쪽 해안의 워투 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는 워투-월리오어군의 한 분기를 이룬다.
초기 분류에서는 무나-부톤어군의 하위 그룹에 포함되었으나,[2][3] 도노휴(Donohue, 2004)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워투-월리오어가 자체적으로 별개의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미드(Mead, 2003)는 워투-월리오어를 술라웨시어 하위 그룹의 여섯 개 분기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5]
조벨(Zobel, 2020)은 워투-월리오어를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라고 부르며, 레도, 워투어, 월리오어, 카마루어, 칼라오어, 로아어 (바랑-바랑어)를 이 그룹에 포함시켰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레도는 카일리-파모나어군의 형태론적 및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어휘는 주로 워투-월리오어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 남술라웨시어군으로 분류되는 마무주어 역시 워투-월리오어 어휘 기층을 가지고 있다.[6]
3. 언어학적 특징 및 분류 논쟁
분기 언어 사용 지역 칼라오-라이욜로 칼라오어, 라이욜로어 술라웨시 셀라야르 제도 (남술라웨시) 월리오-카마루 월리오어, 카마루어 부톤섬 (동남술라웨시) 워투 워투어 워투 구 (남술라웨시) 북쪽 해안 (본만 북쪽)
초기 분류에서는 월리오어, 라이욜로어[1], 그리고 이후에는 워투어[2]가 무나-부톤어군의 하위 그룹에 포함되었다.[3] 그러나 도노휴 (Donohue, 2004)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워투-월리오어가 자체적으로 별개의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4]
3. 1. 미드 (2003)의 분류
미드 (2003)는 워투-월리오어를 술라웨시 하위 그룹의 6개 분기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5]
3. 2. 조벨 (2020)의 분류
조벨 (2020)은 워투-월리오어를 '남부 카일리-월리오어'라고 부르며, 레도, 워투, 월리오, 카마루, 칼라오, 로아어 (바랑-바랑어)를 포함시켰다. 이 중에서 월리오, 카마루, 칼라오, 로아어 (바랑-바랑어)는 남부 카일리-월리오어 내에서 '섬 카일리-월리오어'라는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조벨은 레도가 카일리-파모나어군의 형태론적 및 문법적 특징을 가지면서도, 어휘는 주로 워투-월리오어에서 유래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마무주어는 전통적으로 남술라웨시어군으로 분류되지만, 워투-월리오어 어휘의 기층(substratum)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6]
참조
[1]
서적
Atlas van Tropisch Nederland
Topografische Dienst
[2]
서적
Languages of South Sulawesi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서적
Papers in Austronesian linguistic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
서적
Papers in Austronesian subgrouping and dialectolog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
논문
Evidence for a Celebic super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6]
간행물
The Kaili–Wolio Branch of the Celebic Languages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
[7]
논문
The pretenders to the Muna-Buton 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
논문
Evidence for a Celebic super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