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리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리오어는 단어 강세가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는 언어이다. 음운론적으로는 /i e a o u/의 다섯 개의 모음소와 자음 체계를 가지며, 비음화 파열음이 단일 음으로 취급된다. 문법적으로는 독립형 1개와 의존형 3개를 갖는 인칭 대명사 체계를 사용하며, 3인칭에서는 수의 구분이 없고 복수 표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월리오어
기본 정보
이름월리오어
다른 이름부톤어
자기 이름Bahasa wolio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사용 지역술라웨시섬
사용자65,000명 (2004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셀레베스어군
하위 어군워투-월리오어군
세부 어군월리오-카마루어
문자 체계
문자부리 월리오 (아랍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wlo
Glottologwoli1241
Glottolog 이름월리오

2. 음운론

월리오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단어 강세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월리오어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 1개와 의존형 3개를 갖는다.

인칭 대명사
독립형행위자목적어소유격
1인칭 단수iakuwloku-wlo-akuwlo-ngkuwlo
1인칭 복수 (포괄)ingkitawlota-wlo-kitawlo-tawlo
1인칭 복수 (배타)ingkamiwlota-wlo-kamiwlo-mamiwlo
2인칭 단수ingkoowlou-wlo-kowlo-muwlo
2인칭 복수ingkomiuwlou-wlo-komiuwlo-miuwlo
3인칭inciawloa-wlo-a/-iawlo-nawlo



3인칭에서는 수의 구분이 없다. 선택적으로 복수 표지 mangawlo를 사용하여 복수를 표현할 수 있다. (예: manga inciawlo '그들')

2. 1. 자음

자음
순음설첨음설단음연구개음성문음
ptkʔ
ɓɗɡ
mpntɲtʃŋk
mbndɲdʒŋɡ
mnɲŋ
βsh
l, r



b, d, far는 (주로 아랍어에서 빌려온) 차용어에서 나타난다. βund는 'w'로 표기하고 tʃund는 'c'로 표기한다. rund전동음이다. 자음 체계는 비음화 파열음의 존재가 특징이며, 월리오어에서는 단일 음으로 취급된다.[1]

자음
colspan=3|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평음
비음화
유성음평음
비음화
내파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전동음
설측음



b, d, far는 주로 아랍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발견된다.[2]

2. 2. 모음

월리오어의 모음은 의 다섯 개이다.

2. 3. 강세

단어 강세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모음은 i e a o u|이 에 아 오 우wya 다섯 개이다. b, d, f|ㅂ, ㄷ, ㅍwya는 주로 아랍어에서 온 차용어에서 발견된다.[1]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있으며, 개음절만 허용된다.[1]

자음
순음설첨음설단음연구개음성문음
ptkʔ
ɓɗɡ
mpntɲtʃŋk
mbndɲdʒŋɡ
mnɲŋ
βsh
l, r



β|wya는 'w'로 표기하고 tʃ|wya는 'c' 로 표기한다. r|wya전동음이다. 자음 체계는 비음화 파열음의 존재가 특징이며, 월리오어에서는 단일 음으로 취급된다.[1]


3. 문법

월리오어는 문법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는데, 특히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 1개와 의존형 3개로 구분되어 복잡한 체계를 보인다. 3인칭 대명사는 수를 구분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 표지를 사용하여 복수임을 나타낼 수 있다.

3. 1. 인칭 대명사

월리오어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 1개와 의존형 3개를 갖는다.

인칭 대명사
독립형행위자목적어소유격
1. 단수iaku|이아쿠wloku-|쿠-wlo-aku|-아쿠wlo-ngku|-응쿠wlo
1. 복수 (포괄)ingkita|잉키타wlota-|타-wlo-kita|-키타wlo-ta|-타wlo
1. 복수 (배타)ingkami|잉카미wlota-|타-wlo-kami|-카미wlo-mami|-마미wlo
2. 단수ingkoo|잉코오wlou-|우-wlo-ko|-코wlo-mu|-무wlo
2. 복수ingkomiu|잉코미우wlou-|우-wlo-komiu|-코미우wlo-miu|-미우wlo
3.incia|인치아wloa-|아-wlo-a/-ia|-아/-이아wlo-na|-나wlo



3인칭에서는 수의 구분이 없다. 선택적으로, 복수 표지 manga|망아wlo를 사용하여 복수를 표현할 수 있다: manga incia|망아 인치아wlo '그들'.

참조

[1] 간행물 The Historical Paths of Sahu Ceremonial Textiles
[2] 서적 To Speak with Cloth: Studies in Indonesian Textiles https://archive.org/[...] Museum of Cultur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3] 웹사이트 Wolio https://www.ethnolog[...] 2015
[4] 논문 The pretenders to the Muna-Buton 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5] 논문 Evidence for a Celebic super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