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술라웨시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술라웨시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술라웨시섬 남부와 서부, 그리고 칼리만탄섬 서부에서 사용된다. 부기스어군, 마카사르어군, 세코어군, 레몰랑어, 북부 남술라웨시어군으로 분류되며, 각 군에는 여러 언어들이 속해 있다. 타만어군은 과거 분류가 불분명했으나 부기스어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남술라웨시어군에 포함되었다. 남술라웨시어군은 말라가시어 어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원시 남술라웨시어의 음운 체계가 재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술라웨시어군 | |
---|---|
개요 | |
유형 | 어족 |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사용 지역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서칼리만탄주) |
하위 어군 | |
하위 어군 목록 | 부기어군 타만어군 마카사르어군 레몰랑어 세코어군 북부 남술라웨시어군 |
언어학적 정보 | |
조어 | 남술라웨시 조어 |
글롯토코드 | sout2923 |
지도 정보 | |
![]() |
2. 내부 분류
남술라웨시어군의 내부 분류는 주로 Grimes & Grimes (1987)와 Ethnologue의 연구 결과를 따른다.[1] 이 어군은 여러 하위 분파로 나뉘며, 주요 어군으로는 부기스어군, 마카사르어군, 세코어군, 북부 남술라웨시어군이 있다. 레몰랑어는 이들과 함께 남술라웨시어군의 직접적인 하위 분파 중 하나로 분류된다.[1]
서부 칼리만탄에서 사용되는 타만어군 (음발로어, 타만어)은 20세기 말까지 분류상 위치가 불확실했으나, 네덜란드 언어학자 카를 A. 아델라르가 이들이 특히 부기어와 가깝다는 점을 밝혀 부기스어군의 하위 분파로 포함될 수 있음을 보였다.[3][4]
한편, 조벨(Zobel, 2020)은 바다이어군을 남술라웨시어군 내에서 세코어군과 함께 '세코-바다이어군'으로 묶어 분류하기도 한다.[2]
아래는 남술라웨시어군의 상세 분류 체계이다.[1]
- '''부기스어군'''
- 부기스어파
- 부기어
- 참팔라기안어
- '''타만어군'''
- 음발로어
- 타만어
- '''마카사르어군'''
- 븐통어
- 연안 콘조어
- 고지 콘조어
- 마카사르어
- 슬라야르어
- '''세코어군'''
- 부동부동어
- 파나수안어
- 세코 파당어
- 세코 텅아어
- 레몰랑어
- '''북부 남술라웨시어군'''
- 마무주어
- 만다르어
- '''마센렘풀루어군'''
- 두리어
- 엔레캉어
- 말림풍어
- 마이와어
- '''피투 울룬나 살루어군'''
- 아랄레·타불라한어
- 다카어
- 파네이어
- 밤밤어
- 울루만다어
- '''토라자어군'''
- 칼룸팡어
- 타에어
- 마마사어 (파타이어, 중앙 마마사어, 북부 마마사어 포함)
- 토라자·사단어
- 탈론도어
2. 1. 부기스어군
부기스어군은 술라웨시섬 남서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군이다. 주요 언어로는 부기어와 참팔라기안어가 있다.[1] 부기어는 남술라웨시어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2. 1. 1. 타만어군
타만어군은 서부 칼리만탄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으로, 음발로어와 타만어가 여기에 속한다.음발로어(말로어)로 대표되는 타만어군의 분류학적 위치는 20세기 말까지 불분명했다. 네덜란드 출신 언어학자 카를 A. 아델라르는 타만어군이 특히 부기스어와 가깝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타만어군이 남술라웨시어군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혔다.[3][4]
2. 2. 마카사르어군
마카사르어군은 술라웨시섬 남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이다. 이 어군에는 다음 언어들이 포함된다.[1]- 븐통어
- 연안 콘조어
- 고지 콘조어
- 마카사르어
- 슬라야르어
2. 3. 세코어군
세코어군은 다음 언어들로 구성된다.- 부동부동어
- 파나수안어
- 세코 파당어
- 세코 텅아어
한편, 조벨(Zobel, 2020)은 바다이어군을 남술라웨시어군 내에서 세코어군과 함께 '세코-바다이어군'으로 묶어 분류하기도 한다.[2]
2. 4. 레몰랑어
레몰랑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남술라웨시어군의 한 언어이다.[1] Grimes & Grimes (1987)와 에스놀로그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레몰랑어는 부기스어군, 마카사르어군, 세코어군, 북부 남술라웨시어군 등 다른 주요 어군들과 함께 남술라웨시어군의 직접적인 하위 분파 중 하나로 간주된다.[1]2. 5. 북부 남술라웨시어군
북부 남술라웨시어군은 술라웨시섬 중북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이 어군은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를 가진다.[1]- 마무주어
- 만다르어
- '''마센렘풀루어군'''
- '''피투 울룬나 살루어군'''
- '''토라자어군'''
이 분류는 Grimes & Grimes (1987)와 Ethnologue를 따른 것이다.[1]
2. 5. 1. 마무주어
마무주어는 남술라웨시어군의 하위 분류인 북부 남술라웨시어군(또는 남술라웨시 북부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1]2. 5. 2. 만다르어
만다르어는 남술라웨시어군의 하위 분파인 남술라웨시 북부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1] 남술라웨시 북부어군에는 만다르어 외에도 마무주어, 마센렘풀루어군, 피투 울룬나 살루어군, 토라자어군 등이 포함된다.[1] 이 분류는 Grimes & Grimes (1987)와 Ethnologue를 따른 것이다.[1]2. 5. 3. 마센렘풀루어군
- 두리어
- 엔레캉어
- 말림풍어
- 마이와어
2. 5. 4. 피투 울룬나 살루어군
- 아랄레·타불라한어
- 다카어
- 파네이어
- 밤밤어
- 울루만다어
2. 5. 5. 토라자어군
- 칼룸팡어
- 타에어
- 마마사어 (파타이어, 중앙 마마사어, 북부 마마사어 포함)
- 토라자·사단어
- 탈론도어
3. 외적 분류
현재 연구 수준에서 남술라웨시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 중 하나로 여겨진다.[5]
4. 말라가시어에 끼친 영향
아델라르(Adelaar, 1995)는 말라가시어의 어휘가 바리토어군에서만 기원한 것이 아니며, 남술라웨시어군에서 비롯된 단어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6] 로저 블렌치(Roger Blench, 2018)는 이를 뒷받침하는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다.[7]
5. 재구
밀스(Mills, 1975)가 남술라웨시조어(원시 남술라웨시어, PSS)를 재구한 바 있다.[8][9]
5. 1. 음운론
원시 남술라웨시어(PSS)의 음운 체계는 후대의 언어들 비교를 통해 재구되었다. 모음 체계는 6개의 모음(*i, *ɨ, *u, *e, *o, *a*)으로 구성되며, 자음 체계는 다양한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자음들을 포함한다. 특정 모음과 자음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PMP)로부터 규칙적인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다.5. 1. 1. 모음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ɨ | *u |
중모음 | *e | *o | |
저모음 | *a |
원시 남술라웨시어(PSS)의 모음 *ɨ는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PMP) *ə가 반영된 것이다. 이 모음은 부기스어에서만 보존되었으며, 다른 언어에서는 대부분 'a'로 변화하였다. 다만 특정 환경에서는 'i', 'u', 'e', 드물게는 'o'로 변화하기도 했다.
중모음 *e와 *o는 주로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의 특정 음운 연쇄에서 유래했다. *e는 PMP *-iq 또는 *-ay에서, *o는 PMP *-uq 또는 *-aw에서 비롯되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PMP *putiqmis > PSS *putemis '희다'
- PMP *mataymis > PSS *matemis '죽다'
- PMP *suluqmis > PSS *sulomis '횃불'
- PMP *pisawmis > PSS *pisomis '칼'
5. 1. 2. 자음
연구개 마찰음 *ɣ는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PMP) *R의 반영으로 어말에만 나타나며, *z는 PMP *j의 반영으로 어중에서만 발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outh Sulawesi
https://www.ethnolog[...]
2020
[2]
저널
The Kaili–Wolio Branch of the Celebic Languages
2020
[3]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the Tamanic languages
Mouton de Gruyter
1994
[4]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005
[5]
저널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2017
[6]
저널
Asian Roots of the Malagasy: A Linguistic Perspective
1995
[7]
간행물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tratifying the peopling of Madagascar
http://www.rogerblen[...]
2015-10-23
[8]
논문
Proto South Sulawesi and proto Austronesian phonology
University of Michigan
1975
[9]
저널
The Reconstruction of Proto-South-Sulawesi
https://www.persee.f[...]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