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술라웨시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라웨시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어군이다. 술라웨시어군의 하위 분류는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되며, David Mead (2003)는 토미니·톨리톨리어군, 카일리·파모나어군, 워투월리오어군, 동술라웨시어군(살루안·방가이어군, 남동술라웨시어군)으로 분류했다.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어군과 워투월리오어군을 묶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제안하며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 술라웨시어군 내에서는 다양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라웨시섬 - 찌아찌아어
    인도네시아 부톤섬 남부에서 사용되는 찌아찌아어는 고유 문자 없이 군둘 문자를 사용하다 2009년 바우바우시에서 한글을 표기 문자로 채택한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술라웨시어군
개요
유형어족
하위 분류토미니-톨리톨리어군
카일리-파모나어군
워투-월리어군
살루안-방가이어군
붕쿠-톨라키어군
무나-부톤어군
사용 지역술라웨시섬, 인도네시아
언어학적 정보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원시 언어원시 술라웨시어
Glotto 코드cele1242
Glottolog 명칭Celebic

2. 하위 분류

술라웨시어군의 하위 분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인다.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는 2003년에 술라웨시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5][6]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어군과 워투·월리오어군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형성하며, 이를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배치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Zobel (2020)의 분류에서 카일리·월리오는 미드(2003)의 토미니·톨리톨리어군과 동부 셀레비어 어군을 포함하는 토미니·동부 셀레비어와 자매 그룹으로 배치된다.[3]

2008년 오스트로네시아 기초어휘 데이터베이스의 분석은 술라웨시어군의 통일성을 완전히 지지하였다.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살루안방가이어군
  • 동남술라웨시어군 (85% 신뢰)
  • * 파모나·톨라키어군 (90%)
  • ** 카일리파모나어군
  • ** 붕쿠톨라키어군
  • * 확대 무나부톤어군 (100%)
  • ** 투캉베시·보네라테어군
  • ** 무나·월리오어군 (75%)

워투월리오어군
무나부톤어군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셀레비어군을 토미니톨리톨리어군, 카일리파모나어군, 워투월리오어군, 동부 (살루안방가이어군, 남동부 (붕쿠톨라키어군, 무나부톤어군))로 분류했다.[1][2]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어군과 워투월리오어군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형성하며, 이를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배치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Zobel (2020)의 분류에서 카일리-월리오는 미드(2003)의 토미니톨리톨리어군과 ''동부 셀레비어'' 어군을 포함하는 토미니-동부 셀레비어와 자매 그룹으로 배치된다.[3]

2. 1. 내적 분류 (Mead, 2003)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는 2003년에 술라웨시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5][6]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어군과 워투·월리오어군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형성하며, 이를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배치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Zobel (2020)의 분류에서 카일리·월리오는 미드(2003)의 토미니·톨리톨리어군과 동부 셀레비어 어군을 포함하는 토미니·동부 셀레비어와 자매 그룹으로 배치된다.[3]

2. 2. 오스트로네시아 기초어휘 데이터베이스 (2008)

2008년 오스트로네시아 기초어휘 데이터베이스의 분석은 술라웨시어군의 통일성을 완전히 지지하였다.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살루안방가이어군
  • 동남술라웨시어군 (85% 신뢰)
  • * 파모나·톨라키어군 (90%)
  • ** 카일리파모나어군
  • ** 붕쿠톨라키어군
  • * 확대 무나부톤어군 (100%)
  • ** 투캉베시·보네라테어군
  • ** 무나·월리오어군 (75%)

워투월리오어군
무나부톤어군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셀레비어군을 토미니톨리톨리어군, 카일리파모나어군, 워투월리오어군, 동부 (살루안방가이어군, 남동부 (붕쿠톨라키어군, 무나부톤어군))로 분류했다.[1][2]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어군과 워투월리오어군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형성하며, 이를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배치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Zobel (2020)의 분류에서 카일리-월리오는 미드(2003)의 토미니톨리톨리어군과 ''동부 셀레비어'' 어군을 포함하는 토미니-동부 셀레비어와 자매 그룹으로 배치된다.[3]

2. 3. Zobel (2020)의 분류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셀레비어군을 토미니-톨리톨리, 카일리-파모나, 워투-월리오, 동부 (살루안-방가이, 붕쿠-톨라키, 무나-부톤 포함)로 분류했다.[1][2]

최근 Zobel (2020)은 카일리-파모나와 워투-월리오를 묶어 카일리–월리오 어군을 제안하고, 이를 셀레비어군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 또한, Zobel (2020)은 카일리-월리오어군을 토미니-톨리톨리와 ''동부 셀레비어'' 어군을 포함하는 토미니-동부 셀레비어와 자매군으로 분류했다.[3]

3.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 위치

술라웨시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하위 그룹의 주요 분파를 구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

4. 음운 변화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술라웨시조어로 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C1C2 > *C2 (C1는 비음이 아님)
  • *h > Ø
  • *d > *r
  • *ay, *-ey > *e
  • *-aw, *-ew > *o
  • *j > *y, Ø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술라웨시조어에서 동술라웨시조어로 넘어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e (슈와) > *o
  • *-iq > *eq
  • 세 번째 음절 *a > *o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동술라웨시조어에서 살루안·방가이조어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awa- > *oa
  • *-b, *-g > *p, *k
  • *q > *ʔ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동술라웨시조어에서 남동술라웨시조어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w- > Ø
  • *s > *s, *h
  • *Z > *s
  • *ñ > n
  • *b > *b, *w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남동술라웨시조어에서 붕쿠톨라키조어로 오는 음운변화가 다음과 같다고 기술한다.[5][1]

  • *q > *ʔ
  • *w- > *h
  • *ʀ > Ø (어두 또는 *i와 인접했을 때)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남동술라웨시조어에서 무나·부톤조어로 넘어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w > Ø
  • 어말 자음 탈락(?)

4. 1.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 술라웨시조어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술라웨시조어로 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C1C2 > *C2 (C1는 비음이 아님)
  • *h > Ø
  • *d > *r
  • *ay, *-ey > *e
  • *-aw, *-ew > *o
  • *j > *y, Ø


술라웨시조어에서 일어난 음운 변화는 하위 어군인 동술라웨시조어, 살루안방가이어군, 남동술라웨시조어, 붕쿠톨라이어군, 무나부톤어군에서 추가적인 음운 변화로 이어진다.

4. 2. 술라웨시조어 → 동술라웨시조어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술라웨시조어에서 동술라웨시조어로 넘어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e (슈와) > *o
  • *-iq > *eq
  • 세 번째 음절 *a > *o


동술라웨시조어에서 살루안방가이조어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awa- > *oa
  • *-b, *-g > *p, *k
  • *q > *ʔ


동술라웨시조어에서 남동술라웨시조어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w- > Ø
  • *s > *s, *h
  • *Z > *s
  • *ñ > n
  • *b > *b, *w

4. 3. 동술라웨시조어 → 살루안·방가이조어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동술라웨시조어에서 살루안·방가이조어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awa- > *oa
  • *-b, *-g > *p, *k
  • *q > *ʔ

4. 4. 동술라웨시조어 → 남동술라웨시조어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동술라웨시조어에서 남동술라웨시조어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w- > Ø
  • *s > *s, *h
  • *Z > *s
  • *ñ > n
  • *b > *b, *w

4. 5. 남동술라웨시조어 → 붕쿠·톨라이어군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남동술라웨시조어에서 붕쿠톨라키조어로 오는 음운변화가 다음과 같다고 기술한다.[5][1]

  • *q > *ʔ
  • *w- > *h
  • *ʀ > Ø (어두 또는 *i와 인접했을 때)

4. 6. 남동술라웨시조어 → 무나·부톤어군

데이비드 미드(David Mead, 2003a:125)는 남동술라웨시조어에서 무나·부톤조어로 넘어오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고 기술한다.[5][1]

  • *w > Ø
  • 어말 자음 탈락(?)

참조

[1] 서적 Issues in Austronesian historical phonology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 서적 Issues in Austronesian historical phonology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논문 The Kaili–Wolio Branch of the Celebic Languages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
[4] 논문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5] 간행물 Evidence for a Celebic supergroup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3
[6] 간행물 The Saluan-Banggai microgroup of eastern Sulawesi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