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우 (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우는 북송 철종의 첫 번째 연호로 1086년 1월 18일부터 1094년 4월 29일까지 사용되었다. 이 기간은 서기 1086년부터 1094년까지이며, 요나라의 대안, 서하의 천안례정, 천의치평, 천우민안 등의 연호와 동시대에 사용되었다. 대리국에서는 건안과 천우, 베트남에서는 꽝흐우와 호이퐁, 일본에서는 오토쿠와 간지 연호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원우 (연호) | |
---|---|
원우 (元祐) | |
종류 | 연호 |
기년법 종류 | 간지, 십간, 십이지, 납음오행 |
시대 | 중국 |
국가 | 북송 |
사용 기간 | 1086년 ~ 1093년 |
서력 기원 | 1086년 |
간지 | 병인년 |
십간 | 병(丙) |
십이지 | 호랑이(寅) |
납음오행 | 노중화(爐中火) |
1087년 | 서력 기원 |
간지 | 정묘년 |
십간 | 정(丁) |
십이지 | 토끼(卯) |
납음오행 | 노중화(爐中火) |
1088년 | 서력 기원 |
간지 | 무진년 |
십간 | 무(戊) |
십이지 | 용(辰) |
납음오행 | 대림목(大林木) |
1089년 | 서력 기원 |
간지 | 기사년 |
십간 | 기(己) |
십이지 | 뱀(巳) |
납음오행 | 대림목(大林木) |
1090년 | 서력 기원 |
간지 | 경오년 |
십간 | 경(庚) |
십이지 | 말(午) |
납음오행 | 노방토(路旁土) |
1091년 | 서력 기원 |
간지 | 신미년 |
십간 | 신(辛) |
십이지 | 양(未) |
납음오행 | 노방토(路旁土) |
1092년 | 서력 기원 |
간지 | 임신년 |
십간 | 임(壬) |
십이지 | 원숭이(申) |
납음오행 | 검봉금(劍鋒金) |
1093년 | 서력 기원 |
간지 | 계유년 |
십간 | 계(癸) |
십이지 | 닭(酉) |
납음오행 | 검봉금(劍鋒金) |
2. 개원
원풍 9년 1월 1일(1086년 1월 18일)에 연호를 '''원우'''로 개원하였다.[1][2][3][4][5]
천의치평 원년
원우 9년 4월 12일(1094년 4월 29일)에 연호를 소성으로 개원하였다.[6][7][8][4][5]
3. 연대 대조표
천의치평 2년 천의치평 3년 천의치평 4년 천우민안 원년 천우민안 2년 천우민안 3년 천우민안 4년 천우민안 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