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지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연도, 날짜, 시간, 방위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상나라 시대에 갑골문자를 통해 처음 등장했으며, 오행사상과 결합하여 길흉을 점치는 데 활용되었다. 60년마다 같은 간지가 반복되어 환갑 등의 기념일에 활용되며, 연도 표기, 시간, 방위, 사주팔자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현대 한국에서는 혈액형이나 별자리에 비해 덜 대중적으로 사용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지 - 병오
    병오는 육십간지 중 43번째로, 천간과 지지 모두 화의 기운을 가지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46인 해이고, 일본에서는 병오년생 여성에 대한 미신으로 출산율이 급감하는 현상이 있었으며, 육십간지 중 43번째 날이기도 하다.
  • 간지 - 병신
    병신은 육십간지 중 33번째 해로 붉은 원숭이의 해를 의미하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36인 해에 해당하고, 일진이 병신인 날과 음력 7월을 병신의 달이라고 한다.
간지
육십간지
개요
설명중국의 전통적인 시간 계산 방법
특징
구성10간과 12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짐
주기60년 주기로 순환함
활용
사용연도 표기
날짜 표기
시간 표기
달 표기
역사적 사용전통 역법 및 점성술에 활용됨
문화적 의미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됨
간지
구성천간(天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地支):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로마자 표기
육십간지liuksip ganjji
간지ganjji

2. 역사

wikitext

기원전 11세기 초에 제작된 갑자 순환표가 새겨진 뼈


간지는 상나라 시대에 나타났으며,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문자에 많은 간지가 날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21] 갑골문에는 간지 이름만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조왕의 이름을 “조갑”, “부정” 등 그 사람과 관련된 특정 간지 이름으로 부르는 예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십이지보다 십간이 더 기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은나라#은나라 왕 목록”도 함께 참조).[6] 거의 모든 갑골문에는 이 형식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 날짜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주나라 전역에서 확인되며, 날짜를 명시해야 하는 모든 문서 목적을 위해 한대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갑골문자(소의 어깨뼈에 갑골문자가 새겨져 있음), 상하이 박물관 소장


은나라 왕실의 계보


춘추전국시대에 자연과 세계의 생성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로 설명하는 오행사상이 생겨나면서 간지도 오행과 결합하게 되었다. 옛날에는 십간을 “십일(十日)”, 십이지를 “십이진(十二辰)”이라고 불렀다. 『사기』 율서에서는 위를 어미, 아래를 자식으로 비유하여 “십모십이자(十母十二子)”라고 부른다. 간(干)과 지(支)에 비유하여 “간지”라고 부르게 된 것은 후한 시대부터이다.

기원전 722년부터 481년까지의 사건 연표인 ''춘추좌씨전''의 거의 모든 날짜는 이 시스템을 연호와 월(朔望)과 결합하여 날짜를 기록한다.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일식은 그 시대 이후로 갑자 일수 계산의 연속성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끊임없는 연속성은 상나라 시대에 갑자 순환이 처음 등장했던 시대로 더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연도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훨씬 더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용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발견된 문서는 기원전 168년에 봉인된 마왕퇴 3호묘에서 발견된 비단 문서들 중 일부이다. 이 문서들 중 하나에는 갑자 격자도표가 세 곳에 주석이 달려 중요한 사건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의 첫 해인 기원전 246년은 60주기의 용어 ''이묘''(, 60개 중 52번째)의 위치 옆에 있는 도표에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연도에 해당한다. 연도를 기록하기 위한 순환의 사용은 전한(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동안 행정적인 시간 기록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연도 계산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 1984년은 현재 순환(—''갑자''년)을 시작했으며, 2044년에는 새로운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중국에서는 갑자 계산이 증가하는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라 전통적인 음력 음력설임에 유의하라. 예를 들어, ''기축''()년(2009년과 대략 일치)은 2009년 1월 26일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점성술에서는 2월 4일경에 발생하는 첫 번째 절기인 "입춘"()으로 해가 시작된다.)

달이나 해를 표시하기 위해 간지를 사용하게 된 시기는 은나라 시대보다 후대이다. 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고래로 저명한 사건이나 황제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전국시대 중엽이 되면서 목성(세성)의 하늘에서의 위치에 따라 해를 가리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처음에는 목성의 위치에 따라, 다음에는 십이지에 따라, 한나라 시대에는 간지의 조합으로 해를 표시하는 예가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하루(24시간)를 십이지로 나누게 된 시기도 한나라 시대이다. 십이지에 동물을 충당하는 것은 진나라 시대에도 볼 수 있지만, 문헌에서 처음 나오는 것은 후한 시대부터이다. 또한, “외사에는 강일(剛日)을 사용하고, 내사에는 유일(柔日)을 사용한다.”고 한 것도 한나라 시대이며, 이것은 전국시대의 음양가의 영향을 받고 있다.

방위에의 응용도 음양오행사상과 결합함으로써 한나라 시대에 널리 퍼졌다.

하지만, 전 10권 중 8권이 『사고전서』에도 수록되어 있는 당나라 시대에 편찬된 병서인 『신기제적태백음경』(이전 편) 중, 권 4 “전구(戰具)”와 권 9 “둔갑(遁甲)”에서 야반, 계명과 같은 십이시에 의한 시간 이름과 함께 이 시간의 간지는 …과 같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시간을 간지로 부르는 습관의 정착에는 긴 시간이 걸렸고, 당나라 시대에는 아직 오래된 기억의 잔재가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 따르면, 553년에 달력이 일본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치에 달력이 사용된 것은 수이코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일본이 공식적으로 중국력을 채택한 604년은 순환의 첫 해였다.[7]

한국(환갑; 還甲한국어 환갑)과 일본(還暦일본어 ''칸레키'')의 60세 생일 축하(문자 그대로 '달력의 귀환')는 연도 계산으로서 갑자 순환의 영향을 반영한다.[8]

티베트력도 12지와 5행을 기반으로 한 60년 주기를 사용하여 연도를 계산하지만, 중국 주기의 첫 해가 항상 ''갑자''(목 쥐의 해)인 반면, 티베트 주기의 첫 해는 ''정묘''(; 중국 주기의 4번째 해, 화 토끼의 해)이다.[9]

2. 1. 기원



간지는 상나라 시대에 나타났으며,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문자에 많은 간지가 날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21] 갑골문에는 간지 이름만으로 날짜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조왕의 이름을 “조갑”, “부정” 등 그 사람과 관련된 특정 간지 이름으로 부르는 예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십이지보다 십간이 더 기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은나라#은나라 왕 목록”도 함께 참조).[6] 거의 모든 갑골문에는 이 형식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 날짜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주나라 전역에서 확인되며, 날짜를 명시해야 하는 모든 문서 목적을 위해 한대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춘추전국시대에 자연과 세계의 생성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로 설명하는 오행사상이 생겨나면서 간지도 오행과 결합하게 되었다. 옛날에는 십간을 “십일(十日)”, 십이지를 “십이진(十二辰)”이라고 불렀다. 『사기』 율서에서는 위를 어미, 아래를 자식으로 비유하여 “십모십이자(十母十二子)”라고 부른다. 간(干)과 지(支)에 비유하여 “간지”라고 부르게 된 것은 후한 시대부터이다.

기원전 722년부터 481년까지의 사건 연표인 ''춘추좌씨전''의 거의 모든 날짜는 이 시스템을 연호와 월(朔望)과 결합하여 날짜를 기록한다.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일식은 그 시대 이후로 갑자 일수 계산의 연속성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끊임없는 연속성은 상나라 시대에 갑자 순환이 처음 등장했던 시대로 더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연도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훨씬 더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용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발견된 문서는 기원전 168년에 봉인된 마왕퇴 3호묘에서 발견된 비단 문서들 중 일부이다. 이 문서들 중 하나에는 갑자 격자도표가 세 곳에 주석이 달려 중요한 사건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의 첫 해인 기원전 246년은 60주기의 용어 ''이묘''(, 60개 중 52번째)의 위치 옆에 있는 도표에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연도에 해당한다. 연도를 기록하기 위한 순환의 사용은 전한(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동안 행정적인 시간 기록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연도 계산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 1984년은 현재 순환(—''갑자''년)을 시작했으며, 2044년에는 새로운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중국에서는 갑자 계산이 증가하는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라 전통적인 음력 음력설임에 유의하라. 예를 들어, ''기축''()년(2009년과 대략 일치)은 2009년 1월 26일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점성술에서는 2월 4일경에 발생하는 첫 번째 절기인 "입춘"()으로 해가 시작된다.)

달이나 해를 표시하기 위해 간지를 사용하게 된 시기는 은나라 시대보다 후대이다. 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고래로 저명한 사건이나 황제의 즉위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전국시대 중엽이 되면서 목성(세성)의 하늘에서의 위치에 따라 해를 가리키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처음에는 목성의 위치에 따라, 다음에는 십이지에 따라, 한나라 시대에는 간지의 조합으로 해를 표시하는 예가 널리 행해지게 되었다.

하루(24시간)를 십이지로 나누게 된 시기도 한나라 시대이다. 십이지에 동물을 충당하는 것은 진나라 시대에도 볼 수 있지만, 문헌에서 처음 나오는 것은 후한 시대부터이다. 또한, “외사에는 강일(剛日)을 사용하고, 내사에는 유일(柔日)을 사용한다.”고 한 것도 한나라 시대이며, 이것은 전국시대의 음양가의 영향을 받고 있다.

방위에의 응용도 음양오행사상과 결합함으로써 한나라 시대에 널리 퍼졌다.

하지만, 전 10권 중 8권이 『사고전서』에도 수록되어 있는 당나라 시대에 편찬된 병서인 『신기제적태백음경』(이전 편) 중, 권 4 “전구(戰具)”와 권 9 “둔갑(遁甲)”에서 야반, 계명과 같은 십이시에 의한 시간 이름과 함께 이 시간의 간지는 …과 같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시간을 간지로 부르는 습관의 정착에는 긴 시간이 걸렸고, 당나라 시대에는 아직 오래된 기억의 잔재가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 따르면, 553년에 달력이 일본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치에 달력이 사용된 것은 수이코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일본이 공식적으로 중국력을 채택한 604년은 순환의 첫 해였다.[7]

한국(환갑; 還甲한국어 환갑)과 일본(還暦일본어 ''칸레키'')의 60세 생일 축하(문자 그대로 '달력의 귀환')는 연도 계산으로서 갑자 순환의 영향을 반영한다.[8]

티베트력도 12지와 5행을 기반으로 한 60년 주기를 사용하여 연도를 계산하지만, 중국 주기의 첫 해가 항상 ''갑자''(목 쥐의 해)인 반면, 티베트 주기의 첫 해는 ''정묘''(; 중국 주기의 4번째 해, 화 토끼의 해)이다.[9]

2. 2. 한국으로의 전래

간지 순환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인 기원전 1100년경 점복 기록인 갑골문에 날짜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6] 거의 모든 갑골문에는 이 형식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나라 전역에서 확인된다. 한대까지 날짜를 명시해야 하는 모든 문서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춘추좌씨전의 거의 모든 날짜는 이 시스템을 연호와 월(朔望)과 결합하여 날짜를 기록한다.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일식은 그 시대 이후로 갑자 일수 계산의 연속성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연도를 기록하는 데 간지 순환을 사용한 것은 훨씬 더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용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발견된 문서는 기원전 168년에 봉인된 마왕퇴 3호묘에서 발견된 비단 문서들 중 일부이다. 이 문서들 중 하나에는 갑자 격자도표가 세 곳에 주석이 달려 중요한 사건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의 첫 해인 기원전 246년은 60주기의 52번째 용어인 ''이묘''() 위치 옆에 있는 도표에 표시되어 있다. 연도를 기록하기 위한 순환의 사용은 전한(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동안 행정적인 시간 기록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연도 계산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 1984년은 현재 순환의 ''갑자''년()을 시작했으며, 2044년에는 새로운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중국에서 갑자 계산은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라 전통적인 음력 음력설이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553년에 달력이 일본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치에 달력이 사용된 것은 수이코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일본이 공식적으로 중국력을 채택한 604년은 순환의 첫 해였다.[7] 한국과 일본의 60세 생일 축하(문자 그대로 '달력의 귀환')는 연도 계산으로서 갑자 순환의 영향을 반영한다.[8]

[[파일:Gyoda Inariyama Tumulus In Spring 1.JPG|270px|right|thumb|이이가야마 고분(사이타마현기타시)]

간지 기년이 일본에 전래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중국의 역서가 백제를 통해 일본에 전래된 것은 킨메이 천황 15년(554년)으로 여겨지지만[34], 실제로는 그 이전일 가능성이 높다. 일본에서 최초의 역이 만들어진 것은 604년(推古 12년)이라고 전해진다.[17]

사이타마현기타시 사이타마의 사이타마 고분군 중 하나인 이이가야마 고분에서 출토된 금상철검에는 "辛亥年七月中記"라는 기년이 있으며, 명문 중 "獲加多支鹵(와카타케루) 대왕"을 웅략 천황으로 보는 견해가 주류이기 때문에 "신해년"을 471년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531년이라는 반론도 있다.

와카야마현하시모토시 스미다의 스미다 하치만궁에 소장되어 있는 인물화상경에는 "癸未年八月日十大王年男弟王在意柴沙加宮時斯麻念長寿…"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이 "계미년"은 "남제(おとど) 왕"이 케이타이 천황으로 생각되는 것으로부터 503년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35]

2. 3.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갑자 순환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인 기원전 년경부터 시작된 점복 기록인 갑골문에 날짜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증명된다.[6] 거의 모든 갑골문에는 이 형식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 날짜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주나라 전역에서 확인되며, 날짜를 명시해야 하는 모든 문서 목적을 위해 한대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722년부터 481년까지의 사건 연표인 ''춘추좌씨전''의 거의 모든 날짜는 이 시스템을 연호와 월(朔望)과 결합하여 날짜를 기록한다.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일식은 그 시대 이후로 갑자 일수 계산의 연속성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연도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훨씬 더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용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발견된 문서는 기원전 168년에 봉인된 마왕퇴 3호묘에서 발견된 비단 문서들 중 일부이다. 연도를 기록하기 위한 순환의 사용은 전한(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동안 행정적인 시간 기록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연도 계산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 1984년은 현재 순환(—''갑자''년)을 시작했으며, 2044년에는 새로운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중국에서는 갑자 계산이 증가하는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라 전통적인 음력 음력설임에 유의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 따르면, 553년에 달력이 일본으로 전해졌지만, 정치에 달력이 사용된 것은 수이코 시대에 이르러서였다.[7] 한국(환갑; 還甲한국어 환갑)과 일본(還暦일본어 ''칸레키'')의 60세 생일 축하(문자 그대로 '달력의 귀환')는 연도 계산으로서 갑자 순환의 영향을 반영한다.[8]

2. 4. 일제강점기와 현대



갑자 순환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인 기원전 년경부터 시작된 점복 기록인 갑골문에 날짜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증명된다.[6] 거의 모든 갑골문에는 이 형식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 날짜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주나라 전역에서 확인되며, 날짜를 명시해야 하는 모든 문서 목적을 위해 한대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722년부터 481년까지의 사건 연표인 ''춘추좌씨전''의 거의 모든 날짜는 이 시스템을 연호와 월(朔望)과 결합하여 날짜를 기록한다. 춘추좌씨전에 기록된 일식은 그 시대 이후로 갑자 일수 계산의 연속성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연도를 기록하는 데 갑자 순환을 사용한 것은 훨씬 더 최근의 일이다. 이러한 용도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발견된 문서는 기원전 168년에 봉인된 마왕퇴 3호묘에서 발견된 비단 문서들 중 일부이다. 이 문서들 중 하나에는 갑자 격자도표가 세 곳에 주석이 달려 중요한 사건을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진시황()의 첫 해인 기원전 246년은 60주기의 용어 ''이묘''(, 60개 중 52번째)의 위치 옆에 있는 도표에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연도에 해당한다. 연도를 기록하기 위한 순환의 사용은 전한(기원전 202년 ~ 서기 8년) 동안 행정적인 시간 기록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연도 계산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중단 없이 이어져 왔다. 1984년은 현재 순환(—''갑자''년)을 시작했으며, 2044년에는 새로운 순환이 시작될 것이다. 중국에서는 갑자 계산이 증가하는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라 전통적인 음력 음력설임에 유의하라. 예를 들어, ''기축''()년(2009년과 대략 일치)은 2009년 1월 26일에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 따르면, 553년에 달력이 일본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치에 달력이 사용된 것은 수이코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일본이 공식적으로 중국력을 채택한 604년은 순환의 첫 해였다.[7]

한국(환갑; 還甲한국어 환갑)과 일본(還暦일본어 ''칸레키'')의 60세 생일 축하(문자 그대로 '달력의 귀환')는 연도 계산으로서 갑자 순환의 영향을 반영한다.[8]

티베트력도 12지와 5행을 기반으로 한 60년 주기를 사용하여 연도를 계산하지만, 중국 주기의 첫 해가 항상 ''갑자''(목 쥐의 해)인 반면, 티베트 주기의 첫 해는 ''정묘''(; 중국 주기의 4번째 해, 화 토끼의 해)이다.[9]

3. 구성

'''십간(十干)'''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의 10종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십이지(十二支)'''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의 12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들을 합쳐 '''간지(干支)'''라고 부른다.[15] 십간십이지는 전국시대에 만들어진 음양오행설보다 훨씬 오래된 기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음양오행설에 의한 설명은 억지이며 학문적인 의미는 없다. 또한 생명의 성쇠 순환 과정이라는 설도 있지만, 이는 간지를 간지(幹枝)로 해석한 데서 비롯된 식물에 대한 연상과,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일반적인 어원 속설 해석법에 따른 후한 시대의 해석[18]이다. 쥐, 소, 호랑이… 등 12가지 동물과의 관계가 왜 설정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상생과 상극


오행의 조합에 따라 길흉을 점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대표적인 것을 아래에 제시한다.

  • “'''상생'''” … 이 관계는 천지 음양의 기가 조화를 이루어 만사가 순조롭게 진행되어 길하다고 여겨진다.
  •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낳는다)
  • *화생토(火生土: 불은 흙을 낳는다)
  • *토생금(土生金: 흙은 쇠를 낳는다)
  • *금생수(金生水: 쇠는 물을 낳는다)
  •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낳는다)

  • “'''상극'''” … 이 관계는 천지의 균형이 무너지기 때문에 흉하다고 여겨진다.
  • *목극토(木剋土: 나무는 흙을 이긴다)
  • *토극수(土剋水: 흙은 물을 이긴다)
  • *수극화(水剋火: 물은 불을 이긴다)
  • *화극금(火剋金: 불은 쇠를 이긴다)
  • *금극목(金剋木: 쇠는 나무를 이긴다)

  • “'''비화'''” … 이 관계는 같은 기가 겹치기 때문에 오행 각각의 성질을 강화시켜, 좋은 경우에는 더욱 좋아지고, 나쁜 경우에는 더욱 나빠진다고 여겨진다.


그 외에, 상모, 상승이 있다.

|100px|thumb|right|24 방위(cardinal directions)

번호간지중국어 병음한국어일본어베트남어연관서력 기원(AD)서력 기원전(BC)현재 주기
1갑자jiǎzǐ갑자Giáp Tý양목(陽木) 쥐(子)4571984
2을축yǐchǒu을축Ất Sửu음목(陰木) 소(丑)5561985
3병인bǐngyín병인Bính Dần양화(陽火) 호랑이(寅)6551986
4정묘dīngmǎo정묘Đinh Mão음화(陰火) 토끼(卯)7541987
5무진wùchén무진Mậu Thìn양토(陽土) 용(辰)8531988
6기사jǐsì기사Kỷ Tỵ음토(陰土) 뱀(巳)9521989
7경오gēngwǔ경오Canh Ngọ양금(陽金) 말(午)10511990
8신미xīnwèi신미Tân Mùi음금(陰金) 양(未)11501991
9임신rénshēn임신Nhâm Thân양수(陽水) 원숭이(申)12491992
10계유guǐyǒu계유Quý Dậu음수(陰水) 닭(酉)13481993
11갑술jiǎxū갑술Giáp Tuất양목(陽木) 개(戌)14471994
12을해yǐhài을해Ất Hợi음목(陰木) 돼지(亥)15461995
13병자bǐngzǐ병자Bính Tý양화(陽火) 쥐(子)16451996
14정축dīngchǒu정축Đinh Sửu음화(陰火) 소(丑)17441997
15무인wùyín무인Mậu Dần양토(陽土) 호랑이(寅)18431998
16기묘jǐmǎo기묘Kỷ Mão음토(陰土) 토끼(卯)19421999
17경진gēngchén경진Canh Thìn양금(陽金) 용(辰)20412000
18신사xīnsì신사Tân Tỵ음금(陰金) 뱀(巳)21402001
19임오rénwǔ임오Nhâm Ngọ양수(陽水) 말(午)22392002
20계미guǐwèi계미Quý Mùi음수(陰水) 양(未)23382003
21갑신jiǎshēn갑신Giáp Thân양목(陽木) 원숭이(申)24372004
22을유yǐyǒu을유Ất Dậu음목(陰木) 닭(酉)25362005
23병술bǐngxū병술Bính Tuất양화(陽火) 개(戌)26352006
24정해dīnghài정해Đinh Hợi음화(陰火) 돼지(亥)27342007
25무자wùzǐ무자Mậu Tý양토(陽土) 쥐(子)28332008
26기축jǐchǒu기축Kỷ Sửu음토(陰土) 소(丑)29322009
27경인gēngyín경인Canh Dần양금(陽金) 호랑이(寅)30312010
28신묘xīnmǎo신묘Tân Mão음금(陰金) 토끼(卯)31302011
29임진rénchén임진Nhâm Thìn양수(陽水) 용(辰)32292012
30계사guǐsì계사Quý Tỵ음수(陰水) 뱀(巳)33282013
31갑오jiǎwǔ갑오Giáp Ngọ양목(陽木) 말(午)34272014
32을미yǐwèi을미Ất Mùi음목(陰木) 양(未)35262015
33병신bǐngshēn병신Bính Thân양화(陽火) 원숭이(申)36252016
34정유dīngyǒu정유Đinh Dậu음화(陰火) 닭(酉)37242017
35무술wùxū무술Mậu Tuất양토(陽土) 개(戌)38232018
36기해jǐhài기해Kỷ Hợi음토(陰土) 돼지(亥)39222019
37경자gēngzǐ경자Canh Tý양금(陽金) 쥐(子)40212020
38신축xīnchǒu신축Tân Sửu음금(陰金) 소(丑)41202021
39임인rényín임인Nhâm Dần양수(陽水) 호랑이(寅)42192022
40계묘guǐmǎo계묘Quý Mão음수(陰水) 토끼(卯)43182023
41갑진jiǎchén갑진Giáp Thìn양목(陽木) 용(辰)44172024
42을사yǐsì을사Ất Tỵ음목(陰木) 뱀(巳)45162025
43병오bǐngwǔ병오Bính Ngọ양화(陽火) 말(午)46152026
44정미dīngwèi정미Đinh Mùi음화(陰火) 양(未)47142027
45무신wùshēn무신Mậu Thân양토(陽土) 원숭이(申)48132028
46기유jǐyǒu기유Kỷ Dậu음토(陰토) 닭(酉)49122029
47경술gēngxū경술Canh Tuất양금(陽金) 개(戌)50112030
48신해xīnhài신해Tân Hợi음금(陰金) 돼지(亥)51102031
49임자rénzǐ임자Nhâm Tý양수(陽水) 쥐(子)5292032
50계축guǐchǒu계축Quý Sửu음수(陰水) 소(丑)5382033
51갑인jiǎyín갑인Giáp Dần양목(陽木) 호랑이(寅)5472034
52을묘yǐmǎo을묘Ất Mão음목(陰木) 토끼(卯)5562035
53병진bǐngchén병진Bính Thìn양화(陽火) 용(辰)5652036
54정사dīngsì정사Đinh Tỵ음화(陰火) 뱀(巳)5742037
55무오wùwǔ무오Mậu Ngọ양토(陽토) 말(午)5832038
56기미jǐwèi기미Kỷ Mùi음토(陰토) 양(未)5922039
57경신gēngshēn경신Canh Thân양금(陽金) 원숭이(申)6012040
58신유xīnyǒu신유Tân Dậu음금(陰金) 닭(酉)1602041
59임술rénxū임술Nhâm Tuất양수(陽水) 개(戌)2592042
60계해guǐhài계해Quý Hợi음수(陰수) 돼지(亥)3582043


3. 1. 십간(十干)

십간(十干)은 천간이라고 하며,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의 10종류가 있다. 십간으로 연도의 일의 자리 숫자를 판정하기도 한다.

십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음양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
색상파랑(靑)빨강(赤)노랑(黃)하양(白)검정(黑)
서기 연도의 일의 자리 숫자###4###5###6###7###8###9###0###1###2###3



음양오행설에서 십간은 천운을 나타내는 목, 화, 토, 금, 수의 오행에 각각 음양 한 쌍을 배치하여 나타낸다. 십간의 훈독 명칭은 갑(기노에/木の兄일본어), 을(기노토/木の弟일본어), 병(히노에/火の兄일본어), 정(히노토/火の弟일본어), 무(츠치노에/土の兄일본어), 기(츠치노토/土の弟일본어), 경(카노에/金の兄일본어), 신(카노토/金の弟일본어), 임(미즈노에/水の兄일본어), 계(미즈노토/水の弟일본어)가 되며, 오행 각각에 '형/누나'를 의미하는 「(노)에」와 '아우/여동생'을 의미하는「(노)토」가 붙은 것이다.

사주팔자의 4개의 궁 안에서는 십간성이 단독 또는 지지와 함께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갑신(甲申)시(오후 3시 반에서 5시 반 사이)에 출생한 경우, 전반부(15:30~16:30)에 태어났다면 갑목(甲木)이 단독으로, 후반부(16:30~17:30) 출생자는 신금(辛金)이 갑신과 따로 존재한다.

3. 2. 십이지(十二支)

십이지(十二支)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를 말하며, 각각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 배정된다.

십이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음양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양(陽)음(陰)
오행수(水)토(土)목(木)목(木)토(土)화(火)화(火)토(土)금(金)금(金)토(土)수(水)
동물호랑이토끼원숭이돼지



십이지의 각 글자는 특정한 시간과 계절, 동물을 상징한다.[20] 예를 들어 자(子)는 쥐, 밤 11시~새벽 1시, 새로운 생명이 싹트는 상태를, 축(丑)은 소, 새벽 1시~3시, 싹이 트지만 아직 자라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십이지는 사주팔자에서 천간(天干)이 남성일 때 여성, 일간(日干) 자신이 여성일 때 남성 또는 자신의 내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십이지에는 오행이 배정되는데, 사계절에 대응하는 오행은 이 목(木), 여름이 화(火), 가을이 금(金), 겨울이 수(水)이며, 토(土)는 각 계절의 마지막 달에 해당한다. 각 계절에 십이지를 배정하면 봄은 寅(목), 卯(목), 辰(목, 토용 기간은 토왕), 여름은 巳(화), 午(화), 未(화, 토용 기간은 토왕), 가을은 申(금), 酉(금), 戌(금, 토용 기간은 토왕), 겨울은 亥(수), 子(수), 丑(수, 토용 기간은 토왕)이 된다.

음양오행설은 중국 전국 시대에 鄒衍중국어의 오행사상에 음양사상이 결합된 것으로, 간지와 결합하여 간지오행설로서 천지간 만물의 근본 원리가 된다고 여겨졌다.

4. 간지 목록

병음일본어베트남어음양-오행-십이지 간의 조합음독훈독1甲子갑자jiǎzǐ|자쯔중국어かっし|갓시일본어きのえね|기노에네일본어Giáp Tý|잡띠vi양(陽) - 목(木) - 자(子)2乙丑을축yǐchǒu|이처우중국어いっちゅう|잇추일본어きのとのうし|기노토노우시일본어Ất Sửu|엇스우vi음(陰) - 목(木) - 축(丑)3丙寅병인bǐngyín|빙인중국어へいいん|헤이인일본어ひのえとら|히노에토라일본어Bính Dần|빈전vi양(陽) - 화(火) - 인(寅)4丁卯정묘dīngmǎo|딩마오중국어ていぼう|데이보일본어ひのとのう|히노토노일본어Đinh Mão|딘마오vi음(陰) - 화(火) - 묘(卯)5戊辰무진wùchén|우천중국어ぼしん|보신일본어つちのえたつ|쓰치노에타쓰일본어Mậu Thìn|머우틴vi양(陽) - 토(土) - 진(辰)6己巳기사jǐsì|지쓰중국어きし|기시일본어つちのとのみ|쓰치노토노미일본어Kỷ Tỵ|끼띠vi음(陰) - 토(土) - 사(巳)7庚午경오gēngwǔ|겅우중국어こうご|고고일본어かのえうま|가노에우마일본어Canh Ngọ|까인응오vi양(陽) - 금(金) - 오(午)8辛未신미xīnwèi|신웨이중국어しんび|신비일본어かのとのひつじ|가노토노히쓰지일본어Tân Mùi|떤무이vi음(陰) - 금(金) - 미(未)9壬申임신rénshēn|런선중국어じんしん|진신일본어みずのえさる|미즈노에사루일본어Nhâm Thân|념턴vi양(陽) - 수(水) - 신(申)10癸酉계유guǐyǒu|구이유중국어きゆう|기유일본어みずのとのとり|미즈노토노토리일본어Quý Dậu|꾸이저우vi음(陰) - 수(水) - 유(酉)11甲戌갑술jiǎxū|자쉬중국어こうじゅつ|고주쓰일본어きのえいぬ|기노에이누일본어Giáp Tuất|잡뚜엇vi양(陽) - 목(木) - 술(戌)12乙亥을해yǐhài|이하이중국어いつがい|이쓰가이일본어きのとのい|기노토노이일본어Ât Hợi|엇허이vi음(陰) - 목(木) - 해(亥)13丙子병자bǐngzǐ|빙쯔중국어へいし|헤이시일본어ひのえね|히노에네일본어Bính Tý|빈띠vi양(陽) - 화(火) - 자(子)14丁丑정축dīngchǒu|딩처우중국어ていちゅう|데이추일본어ひのとのうし|히노토노우시일본어Đinh Sửu|딘스우vi음(陰) - 화(火) - 축(丑)15戊寅무인wùyín|우인중국어ぼいん|보인일본어つちのえとら|쓰치노에토라일본어Mậu Dần|머우전vi양(陽) - 토(土) - 인(寅)16己卯기묘jǐmǎo|지마오중국어きぼう|기보일본어つちのとのう|쓰치노토노일본어Kỷ Mão|끼마오vi음(陰) - 토(土) - 묘(卯)17庚辰경진gēngchén|겅천중국어こうしん|고신일본어かのえたつ|가노에타쓰일본어Canh Thìn|까인틴vi양(陽) - 금(金) - 진(辰)18辛巳신사xīnsì|신쓰중국어しんし|신시일본어かのとのみ|가노토노미일본어Tân Tỵ|떤띠vi음(陰) - 금(金) - 사(巳)19壬午임오rénwǔ|런우중국어じんご|진고일본어みずのえうま|미즈노에우마일본어Nhâm Ngọ|념응오vi양(陽) - 수(水) - 오(午)20癸未계미guǐwèi|구이웨이중국어きび|기비일본어みずのとのひつじ|미즈노토노히쓰지일본어Quý Mùi|꾸이무이vi음(陰) - 수(水) - 미(未)21甲申갑신jiǎshēn|자선중국어こうしん|고신일본어きのえさる|기노에사루일본어Giáp Thân|잡턴vi양(陽) - 목(木) - 신(申)22乙酉을유yǐyǒu|이유중국어いつゆう|이쓰유일본어きのとのとり|기노토노토리일본어Ất Dậu|엇저우vi음(陰) - 목(木) - 유(酉)23丙戌병술bǐngxū|빙쉬중국어へいじゅつ|헤이주쓰일본어ひのえいぬ|히노에이누일본어Bính Tuất|빈뚜엇vi양(陽) - 화(火) - 술(戌)24丁亥정해dīnghài|딩하이중국어ていがい|데이가이일본어ひのとのい|히노토노이일본어Đinh Hợi|딘허이vi음(陰) - 화(火) - 해(亥)25戊子무자wùzǐ|우쯔중국어ぼし|보시일본어つちのえね|쓰치노에네일본어Mậu Tý|머우띠vi양(陽) - 토(土) - 자(子)26己丑기축jǐchǒu|지처우중국어きちゅう|기추일본어つちのとのうし|쓰치노토노우시일본어Kỷ Sửu|끼스우vi음(陰) - 토(土) - 축(丑)27庚寅경인gēngyín|겅인중국어こういん|고인일본어かのえとら|가노에토라일본어Canh Dần|까인전vi양(陽) - 금(金) - 인(寅)28辛卯신묘xīnmǎo|신마오중국어しんぼう|신보일본어かのとのう|가노토노일본어Tân Mão|떤마오vi음(陰) - 금(金) - 묘(卯)29壬辰임진rénchén|런천중국어じんしん|진신일본어みずのえたつ|미즈노에타쓰일본어Nhâm Thìn|념틴vi양(陽) - 수(水) - 진(辰)30癸巳계사guǐsì|구이쓰중국어きし|기시일본어みずのとのみ|미즈노토노미일본어Quý Tỵ|꾸이띠vi음(陰) - 수(水) - 사(巳)31甲午갑오jiǎwǔ|자우중국어こうご|고고일본어きのえうま|기노에우마일본어Giáp Ngọ|잡응오vi양(陽) - 목(木) - 오(午)32乙未을미yǐwèi|이웨이중국어いつび|이쓰비일본어きのとのひつじ|기노토노히쓰지일본어Ất Mùi|엇무이vi음(陰) - 목(木) - 미(未)33丙申병신bǐngshēn|빙선중국어へいしん|헤이신일본어ひのえさる|히노에사루일본어Bính Thân|빈턴vi양(陽) - 화(火) - 신(申)34丁酉정유dīngyǒu|딩유중국어ていゆう|데이유일본어ひのとのとり|히노토노토리일본어Đinh Dậu|딘저우vi음(陰) - 화(火) - 유(酉)35戊戌무술wùxū|우쉬중국어ぼじゅつ|보주쓰일본어つちのえいぬ|쓰치노에이누일본어Mậu Tuất|머우뚜엇vi양(陽) - 토(土) - 술(戌)36己亥기해jǐhài|지하이중국어きがい|기가이일본어つちのとのい|쓰치노토노이일본어Kỷ Hợi|끼허이vi음(陰) - 토(土) - 해(亥)37庚子경자gēngzǐ|겅쯔중국어こうし|고시일본어かのえね|가노에네일본어Canh Tý|까인띠vi양(陽) - 금(金) - 자(子)38辛丑신축xīnchǒu|신처우중국어しんちゅう|신추일본어かのとのうし|가노토노우시일본어Tân Sửu|떤스우vi음(陰) - 금(金) - 축(丑)39壬寅임인rényín|런인중국어じんいん|진인일본어みずのえとら|미즈노에토라일본어Nhâm Dần|념전vi양(陽) - 수(水) - 인(寅)40癸卯계묘guǐmǎo|구이마오중국어きぼう|기보일본어みずのとのう|미즈노토노일본어Quý Mão|꾸이마오vi음(陰) - 수(水) - 묘(卯)41甲辰갑진jiǎchén|자천중국어こうしん|고신일본어きのえたつ|기노에타쓰일본어Giáp Thìn|잡틴vi양(陽) - 목(木) - 진(辰)42乙巳을사yǐsì|이쓰중국어いっし|잇시일본어きのとのみ|기노토노미일본어Ất Tỵ|엇띠vi음(陰) - 목(木) - 사(巳)43丙午병오bǐngwǔ|빙우중국어へいご|헤이고일본어ひのえうま|히노에우마일본어Bính Ngọ|빈응오vi양(陽) - 화(火) - 오(午)44丁未정미dīngwèi|딩웨이중국어ていび|데이비일본어ひのとのひつじ|히노토노히쓰지일본어Đinh Mùi|딘무이vi음(陰) - 화(火) - 미(未)45戊申무신wùshēn|우선중국어ぼしん|보신일본어つちのえさる|쓰치노에사루일본어Mậu Thân|머우턴vi양(陽) - 토(土) - 신(申)46己酉기유jǐyǒu|지유중국어きゆう|기유일본어つちのとのとり|쓰치노토노토리일본어Kỷ Dậu|끼저우vi음(陰) - 토(土) - 유(酉)47庚戌경술gēngxū|겅쉬중국어こうじゅつ|고주쓰일본어かのえいぬ|가노에이누일본어Canh Tuất|까인뚜엇vi양(陽) - 금(金) - 술(戌)48辛亥신해xīnhài|신하이중국어しんがい|신가이일본어かのとのい|가노토노이일본어Tân Hợi|떤허이vi음(陰) - 금(金) - 해(亥)49壬子임자rénzǐ|런쯔중국어じんし|진시일본어みずのえね|미즈노에네일본어Nhâm Tý|념띠vi양(陽) - 수(水) - 자(子)50癸丑계축guǐchǒu|구이처우중국어きちゅう|기추일본어みずのとのうし|미즈노토노우시일본어Quý Sửu|꾸이스우vi음(陰) - 수(水) - 축(丑)51甲寅갑인jiǎyín|자인중국어こういん|고인일본어きのえとら|기노에토라일본어Giáp Dần|잡전vi양(陽) - 목(木) - 인(寅)52乙卯을묘yǐmǎo|이마오중국어いつぼう|이쓰보일본어きのとのう|기노토노일본어Ất Mão|엇마오vi음(陰) - 목(木) - 묘(卯)53丙辰병진bǐngchén|빙천중국어へいしん|헤이신일본어ひのえたつ|히노에타쓰일본어Bính Thìn|빈틴vi양(陽) - 화(火) - 진(辰)54丁巳정사dīngsì|딩쓰중국어ていし|데이시일본어ひのとのみ|히노토노미일본어Đinh Tỵ|딘띠vi음(陰) - 화(火) - 사(巳)55戊午무오wùwǔ|우우중국어ぼご|보고일본어つちのえうま|쓰치노에우마일본어Mậu Ngọ|머우응오vi양(陽) - 토(土) - 오(午)56己未기미jǐwèi|지웨이중국어きび|기비일본어つちのとのひつじ|쓰치노토노히쓰지일본어Kỷ Mùi|끼무이vi음(陰) - 토(土) - 미(未)57庚申경신gēngshēn|겅선중국어こうしん|고신일본어かのえさる|가노에사루일본어Canh Thân|까인턴vi양(陽) - 금(金) - 신(申)58辛酉신유xīnyǒu|신유중국어しんゆう|신유일본어かのとのとり|가노토노토리일본어Tân Dậu|떤저우vi음(陰) - 금(金) - 유(酉)59壬戌임술rénxū|런쉬중국어じんじゅつ|진주쓰일본어みずのえいぬ|미즈노에이누일본어Nhâm Tuất|념뚜엇vi양(陽) - 수(水) - 술(戌)60癸亥계해guǐhài|구이하이중국어きがい|기가이일본어みずのとのい|미즈노토노이일본어Quý Hợi|꾸이허이vi음(陰) - 수(水) - 해(亥)



간지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조합한 것으로, 각 간지는 특정 오행(五行) 및 동물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2024년은 갑진(甲辰)년으로, 양목(陽木) 용(辰)에 해당한다.

{| class="wikitable"

|-

! 1804년–2043년 (일본)

! 서력(西暦)년을 60으로 나눈 나머지

! 간지(干支)
(읽는 법)

! colspan="2" | 오행(五行)

! 선일(選日)

! 그 간지에 관한 사항

|-

|1860년–1861년
1920년
1980년
2040년

| style="text-align:center" | 0

|경신(庚申)
(카노에사루/코우신)

|금(金)

|금(金)

|팔전(八専)

|경신신앙(경신탑(庚申塔))
경신환국(庚申換局)(1680년 , 조선)

|-

|1861년–1862년
1921년
1981년
2041년

| style="text-align:center" | 1

|신유(辛酉)
(카노토노토리/신유)

|금(金)

|금(金)

|팔전(八専)

|신유사옥(辛酉邪獄)(1801년 , 조선)
신유정변(辛酉政變)(1861년 , 중국)
신유혁명(辛酉革命)·신유개원(辛酉改元)

|-

|1862년–1863년
1922년
1982년
2042년

| style="text-align:center" | 2

|임술(壬戌)
(미즈노에이누/진술)

|수(水)

|토(土)



|임술민란(壬戌民亂)(1862년 , 조선)

|-

|1863년–1864년
1923년
1983년
2043년

| style="text-align:center" | 3

|계해(癸亥)
(미즈노토노이/계해)

|수(水)

|수(水)

|팔전(八専)

|계해약정(癸亥約定)(가길조약(嘉吉條約),1443년 , 조선)

|-

|1804년–1805년
1864년–1865년
1924년
1984년

| style="text-align:center" | 4

|갑자(甲子)
(키노에네/갑자)

|목(木)

|수(水)

|천사일(天赦日)(입동 후)

|갑자사화(甲子士禍)(1504년,조선)
마쓰오 바쇼(松尾芭蕉)『갑자음행(甲子吟行)』(1684년)
마쓰우라 시즈야마(松浦静山)『갑자야화(甲子夜話)』(1821년, 갑자일에 집필 시작)
이토 코시타로(伊東甲子太郎) 상락(上洛)(1864년)
한신 고시엔 구장(阪神甲子園球場) 개원(1924년)
갑자신용조합(甲子信用組合) 창업(1924년)
갑자혁령(甲子革令)·갑자개원(甲子改元)
이이누마혼케(飯沼本家)|갑자정종(甲子正宗)

|-

|1805년–1806년
1865년–1866년
1925년
1985년

| style="text-align:center" | 5

|을축(乙丑)
(키노토노우시/을축)

|목(木)

|토(土)





|-

|1806년–1807년
1866년–1867년
1926년
1986년

| style="text-align:center" | 6

|병인(丙寅)
(히노에토라/병인)

|화(火)

|목(木)



|문화의 대화재(文化の大火)|병인의 대화재(丙寅の大火)(1806년, 일본)
병인교옥(丙寅教獄)·병인양요(丙寅洋擾)(1866년, 조선)

|-

|1807년–1808년
1867년–1868년
1927년
1987년

| style="text-align:center" | 7

|정묘(丁卯)
(히노토노우/정묘)

|화(火)

|목(木)



|정묘호란(丁卯胡亂)(1627년, 조선)

|-

|1808년–1809년
1868년–1869년
1928년
1988년

| style="text-align:center" | 8

|무진(戊辰)
(츠치노에타츠/무진)

|토(土)

|토(土)



|보신전쟁(戊辰戦争)(1868년,일본)

|-

|1809년–1810년
1869년–1870년
1929년
1989년

| style="text-align:center" | 9

|기사(己巳)
(츠치노토노미/기사)

|토(土)

|화(火)



|기사환국(己巳換局)(1689년, 조선)

|-

|1810년–1811년
1870년–1871년
1930년
1990년

| style="text-align:center" | 10

|경오(庚午)
(카노에우마/경오)

|금(金)

|화(火)

|범토(犯土)|대토(大土)

|고대 일본의 호적 제도(古代日本の戸籍制度)#경오년적(庚午年籍)(670년, 일본)
경오사변(庚午事變)(1870년, 일본)

|-

|1811년–1812년
1871년–1872년
1931년
1991년

| style="text-align:center" | 11

|신미(辛未)
(카노토노히츠지/신미)

|금(金)

|토(土)

|대토(大土)

|신미호적(辛未戸籍)(1871년, 일본)
신미양요(辛未洋擾)(1871년, 조선)

|-

|1812년–1813년
1872년
1932년
1992년

| style="text-align:center" | 12

|임신(壬申)
(미즈노에사루/임신)

|수(水)

|금(金)

|대토(大土)

|임신의 난(壬申の乱)(672년, 일본)
임신호적(壬申戸籍)(1872년, 일본)

|-

|1813년–1814년
1873년
1933년
1993년

| style="text-align:center" | 13

|계유(癸酉)
(미즈노토노토리/계유)

|수(水)

|금(金)

|대토(大土)

|계유정난(癸酉靖難)(1453년, 조선)

|-

|1814년–1815년
1874년
1934년
1994년

| style="text-align:center" | 14

|갑술(甲戌)
(키노에이누/갑술)

|목(木

5. 응용



천간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를 끝자리 연도 4부터 시작하고, 10년 주기 고정

지지 :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를 연도 12로 나눈 나머지를 4부터 시작, 12년 주기 고정

5. 1. 연도 표기

십간과 십이지는 각각 10년과 12년마다 순환하며, 두 숫자의 최소공배수는 60이므로 하나의 간지는 60년마다 돌아온다. 태어나서 만60세 생일이 되는 해는 자신이 태어난 해와 같은 간지, 즉 갑자를 가진다고 하여 환갑(還甲 - 갑자가 돌아옴) 혹은 회갑(回甲)이라고 한다.[10]

십간은 10년을 주기로 순환하므로, 연도의 마지막 숫자가 같은 해는 같은 십간(천간)을 가진다. 서기 4년이 '갑(甲)'이므로, 1994년, 2004년, 2014년, 2024년은 모두 갑의 해이다. 2004년을 기준으로 2006년은 '병(丙)'의 해임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십이지는 12년을 주기로 돌아오며, 특정 해, 혹은 자신의 생년으로부터 기산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96년은 쥐띠로 '자(子)'의 해이다. 12년 주기로 돌아오므로 2008년 역시 자의 해이고, 2년 앞인 2006년은 '술(戌)', 즉 개의 띠이다. 따라서 2006년은 '병술(丙戌)년'임을 알 수 있다.

정묘호란의 경우, 1999년기묘년이므로, 60년 전인 1939년 및 12년 간격의 1927년, 1951년이 모두 '묘(卯)'의 해이다. '갑(甲)'이 연도가 4로 끝나는 해이므로 '정(丁)'은 연도가 7로 끝나는 해임을 고려하면, 정묘호란은 1627년에 일어난 사건임을 계산할 수 있다.[10]

60년 주기와 서기 연도의 관계


간지는 한나라 시대부터 연도 표기에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그 이전 연도에도 소급 적용될 수 있다. 주기가 반복되므로, 다른 정보 없이는 연도를 특정할 수 없지만, 종종 연호와 함께 사용하여 특정 연도를 지정한다.[10] 연도는 사용하는 달력의 새해부터 시작된다. 중국에서는 윤년이 일반적으로 중국의 음력 설에 바뀌며, 일본에서는 최근까지 일본 음력 설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1월 1일이다.[10]

그레고리력 연도에 해당하는 60년 주기를 찾으려면, 서기 4년 이후의 연도에 대해서는 그레고리력 연도에서 3을 빼고 60으로 나눈 다음 나머지를 취한다. 서기 1년 이전의 연도에 대해서는 그레고리력 연도(BC)에 2를 더하고 60으로 나눈 다음 나머지를 60에서 뺀다.[10]

예를 들어, 서기 2012년에 해당하는 60년 주기는 29년째(壬辰; ''rénchén'')이다. 즉, ''(2012–3) mod 60 = 29''이다. 기원전 221년에 해당하는 60년 주기는 17년째(庚辰; ''gēngchén'')이다. 즉, ''60- [(221+2) mod 60] = 17''이다.[10]

진시황(秦始皇)의 즉위년(기원전 246년)의 간지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246 + 2 = 248을 계산하고, 248 ÷ 60 = 4 (나머지 무시)를 계산한다. 그 후 248 – (60 × 4) = 8을 계산하고, 마지막으로 60 – 8 = 52를 계산하여 52번째 간지인 을묘(乙卯; ''yǐmǎo'')를 얻는다.[10]

연대표는 년을 기록하거나 세는 방법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연호 기원에 따른 기년법과 함께 60년 주기의 간지에 따른 '''간지 기년법'''이 병용되어 왔다. 그 기원은 목성 관측과 관련이 깊다.

목성


'''세성기년법'''은 천구에서 목성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기년법으로, 중국 전국 시대에 시작되었다. 목성은 약 12년에 천구를 한 바퀴 돌며, 십이차(천구를 천구의 적도대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12등분한 구획)를 1년에 한 차례씩 이동한다.

'''태세기년법'''은 목성의 거울상인 태세의 천구에서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기년법이다. 목성은 천구 상에서 십이차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지만, 당시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던 십이진(천구를 천구의 적도대를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12등분한 구획, 십이지가 배당됨)에 대해서는 운행 방향과 순서가 반대였다. 그래서 목성의 원궤도에 한 개의 지름을 긋고, 그 지름을 축으로 목성과 선대칭의 위치에 존재하는 태세라는 가상의 별을 설정하여, 그 십이진에서의 위치로 연도를 표기했다.

한대에 들어서면서 『회남자』 천문훈에 “회남 원년 겨울, 천일재병자(天一在丙子)”라고 기록된 것처럼, 십간과 조합한 '''간지'''로 태세의 위치가 기록되기 시작했다.

후한의 건무 26년(서기 50년)은 당시 사용되던 유흠의 삼통력의 초진법을 따른다면 경술신해로 해야 할 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무제를 따라다니던 학자들은 초진을 하지 않고 경술로 연호를 계속 이어갔다. 그리고 원화 2년(서기 85년)의 개력에서는 삼통력의 초진법 자체가 폐지되었다.[25] 이후로 목성을 관측하여 그 위치로 년을 기록하는 일은 없어졌다. 이때부터 목성의 운행과는 관계없이 60년 주기의 간지를 1년씩 기계적으로 진행시켜 나가는 간지 기년법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파일:Gyoda Inariyama Tumulus In Spring 1.JPG|270px|right|thumb|이이가야마 고분(사이타마현기타시)]

간지 기년이 일본에 전래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중국의 역서가 백제를 통해 일본에 전래된 것은 킨메이 천황 15년(554년)으로 여겨지지만[34], 실제로는 그 이전일 가능성이 높다.

사이타마현기타시 사이타마의 사이타마 고분군 중 하나인 이이가야마 고분에서 출토된 금상철검에는 "辛亥年七月中記"라는 기년이 있으며, 471년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531년이라는 반론도 있다.

와카야마현하시모토시 스미다의 스미다 하치만궁에 소장되어 있는 인물화상경에는 "癸未年八月日十大王年男弟王在意柴沙加宮時斯麻念長寿…"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503년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35]

어떤 연도를 서력으로 나타낸 값을 10으로 나눈 나머지, 즉 일의 자리를 구하여 아래 표에서 십간을 구한다.

나머지(일의 자리)0123456789
십간



마찬가지로, 서력으로 나타낸 값을 1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여 아래 표에서 십이지(十二支)를 구한다.

나머지01234567891011
십이지


5. 2. 날짜 및 시간 표기

십간과 십이지는 각각 10년과 12년마다 순환하며, 두 숫자의 최소공배수는 60이므로 하나의 간지는 60년마다 돌아온다. 태어나서 만 60세 생일이 되는 해는 자신이 태어난 해와 같은 간지, 즉 갑자를 가진다고 하여 환갑(還甲) 혹은 회갑(回甲)이라고 한다.

십간은 10년을 주기로 순환하며, 서력 연도의 마지막 숫자가 같은 해는 같은 십간을 가진다. 서기 4년이 '갑(甲)'이므로, 1994년, 2004년, 2014년, 2024년은 모두 갑의 해이다. 2006년은 '병(丙)'의 해이다.

십이지는 12년을 주기로 돌아온다. 1996년은 쥐띠 해로 '자(子)'의 해이며, 12년 후인 2008년 역시 자의 해이다. 2006년은 '술(戌)', 즉 개의 해이다. 따라서 2006년은 '병술(丙戌)년'이다.

정묘호란의 경우, 1999년기묘년이므로 60년 전인 1939년 및 12년 간격의 1927년, 1951년이 모두 '묘(卯)'의 해이다. '갑(甲)'이 연도가 4로 끝나는 해이므로 '정(丁)'은 연도가 7로 끝나는 해임을 알 수 있어, 정묘호란은 1627년에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315x315픽셀


지지는 달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1] 기원전 2세기경부터 지지를 사용하여 1년을 12등분했으며, 북두칠성의 방향과 조정되었다.[11] 달을 배치하는 체계는 음력과 양력 두 가지가 있다.[12]

고대에는 지지 이름을 사용하여 1년의 첫 달을 나타내기도 했다. 예를 들어 한나라 이후 첫 달은 '건인월/建寅月중국어'이었지만, 그 이전에는 '건자월/建子月중국어'(주나라 시대) 또는 '건축월/建丑月중국어'(상나라 시대)이기도 했다.[13]

점성술적 목적으로 천간도 필요하며, 달은 5년 주기를 따른다.[13] 갑년/기년(甲/己年)의 첫 달은 병인()월이고, 다음 달은 정묘()월 등이며, 그 해의 마지막 달은 정축()월이다.[13]

간지(干支)를 이용한 날짜 기록법인 '''간지기일법(干支紀日法)'''은 은나라 시대 갑골문에 이미 나타나 있다.[23] 고대 중국에서는 1월을 3등분하여 10일 주기의 "순(旬)"을 고안하고 십간이라는 순서 부호를 붙였다.[23] 갑자일부터 계해일까지 60일 주기로 날짜를 기록했으며, 이는 3,000년 이상 이어져 오고 있다.[23]

일본서기 등 동아시아 역사서에도 간지기일이 널리 사용된다.[23] 간지는 오래된 기록의 날짜를 확정하는 데 유력한 단서가 되며, 구력(舊曆)의 윤달 유무를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3]

고대 중국에서는 동지를 포함하는 달을 '자월'이라 불렀다. 자(子)는 십이지의 첫 번째로, '새로운 생명의 씨앗이 깃드는 때'를 의미한다. 주(서주)에서는 동짓날을 새해로, 자월을 1월로 삼았으나, 한(한나라)에서는 하력을 다시 사용하여 정월이 인월(寅月) 입춘으로 바뀌었다. 현재 중국에서도 하력을 사용한다. '일양래복(一陽來復)'은 동지를 의미하며, 새해의 시작, 나쁜 일 뒤의 행운, 음기가 극에 달한 뒤 양기가 시작됨을 뜻한다. 천문과 이십사절기의 평기에서는 동지를 1년의 기점으로 삼는다.

당(나라) 시대에는 월명에 십간을 더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갑년(甲年)의 인월(寅月)은 병인월(丙寅月)이 된다. 십이지는 시간이나 방위, 각도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현대의 23시부터 다음 날 1시까지를 자시로 하고, 11시부터 13시까지를 오(午)시로 했다. '자정', '정오', '오전', '오후' 등의 표현이 여기서 유래한다. 일본에서 십이지를 시간에 배치하고 자시를 자정으로 한 것은 추고 천황 12년(604년) 정월로 추정된다.[37]

십이지는 달과 같은 12개의 주기로 이어지므로 매년 같다. 십간은 10개이므로 십이지와 조합하면 태양력에서는 5년(60개월) 주기로 같은 간지의 달이 반복된다.

5. 3. 방위 표기

십이지는 시간이나 방위, 각도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오행설에 기반한 십간은 오방과 결합되었고, 후대에는 십이지와 팔괘를 섞어 세분화한 이십사산이 사용되었다.

십이지에서 동쪽은 묘, 서쪽은 유, 남쪽은 오, 북쪽은 자로 표현한다. 동서 연결선은 '''묘유선''', 남북 연결선(경선)은 '''자오선''', 경도 0도인 런던 그리니치 천문대 통과 경선은 '''본초자오선'''으로 불린다.

북동쪽·남동쪽·남서쪽·북서쪽은 각각 "우시토라"[38], "다쓰미"[39], "히쓰지사루", "이누이"라고 불리며, 팔괘의 "간", "손", "곤", "건" 글자가 대응된다. 지남침의 자석을 놓은 판 무늬는 육임신과 식반의 지반 모양과 유사하다.

이십사산에서는 십간 중 무·기는 사용되지 않아, 십간 8개, 십이지 12개, 팔괘 4개를 합쳐 24방위가 된다.

한자중국어일본어(음)일본어(훈)각도방위
1zǐ/ㄗˇ
2guǐ /ㄎㄨㄟˊ미즈노토15°북북동미북
3chǒu /ㄔㄡˇ우시30°북북동미동
4gèn/ㄍㄣˋ우시토라45°북동
5yín /ㄧㄣˇ토라60°동북동미북
6jiǎ /ㄐㄧㄚˇ키노에75°동북동미동
7mǎo /ㄇㄠˇ90°
8yǐ /ㄧˇ이쓰키노토105°동남동미동
9chén /ㄔㄣˊ다쓰120°동남동미남
10xùn /ㄒㄩㄣˋ다쓰미135°남동
11sì /ㄙˋ150°남남동미동
12bǐng /ㄅㄧㄥˇ페이히노에165°남남동미남
13wǔ /ㄨˇ우마180°
14dīng /ㄉㄧㄥˉ테이히노토195°남남서미남
15wèi /ㄨㄟˋ히쓰지210°남남서미서
16kūn /ㄎㄨㄣˉ히쓰지사루225°남서
17shēn /ㄕㄣˉ사루240°서남서미남
18gēng /ㄍㄥˉ카노에255°서남서미서
19yǒu /ㄧㄡˇ토리270°
20xīn /ㄒㄧㄣˉ카노토285°서북서미서
21xū /ㄒㄩˉ쥬쓰이누300°서북서미북
22qián /ㄑㄧㄢˊ이누이315°북서
23hài /ㄏㄞˋ가이330°북북서미서
24rén /ㄖㄣˋ미즈노에345°북북서미북



십이지와 방위의 결합은 한나라 시대로 추정된다. 한나라 시대 상수역에서는 괘, 효에 십이월, 십이율, 십이진(지), 이십사절기, 오행, 방위 등이 배당된 복잡한 이론이 발달했다. 세덕신이 있는 방향인 혜방은 그 해의 간명에 따라 결정된다.

5. 4. 사주팔자

십간과 십이지는 각각 10년과 12년마다 순환하며, 두 숫자의 최소공배수는 60이므로 간지는 60년마다 돌아온다. 태어나서 만 60세 생일이 되는 해는 자신이 태어난 해와 같은 간지를 가지므로, 환갑(還甲) 혹은 회갑(回甲)이라고 한다.

십간은 10년을 주기로 순환하므로, 연도의 마지막 숫자가 같은 해는 같은 십간을 가진다. 서기 4년이 ''갑(甲)''이므로, 1994년, 2004년, 2014년, 2024년은 모두 갑의 해이다. 2004년을 기준으로 2006년은 ''병(丙)''의 해임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법은 특정 사건의 연도를 짐작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십이지는 12년을 주기로 돌아오며, 특정 해, 혹은 자신의 생년으로부터 기산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96년은 쥐띠로 ''자(子)''의 해이다. 12년 주기로 돌아오므로 2008년 역시 자의 해이고, 2년 앞인 2006년은 ''술(戌)'', 즉 개의 띠이다. 2006년은 ''병술(丙戌)년''이다.

계산 예:

한대에는 역경의 해석학으로서 상수역이 유행하였는데, 거기에서는 역경의 괘나 효에 십이월, 십이지, 이십사절기, 오행, 방위 등이 배당되어 복잡한 이론이 만들어졌다.[47]

납갑은 팔괘와 십이지가 결부되어 점에 사용된 것이다. 전한 시대의 경방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삼국 시대 오의 우번 등에 의해 계승되었다. 후에는 십이지도 역경에 사용되는 것처럼 되었고, 팔괘의 각 효에 십이지가 대입되었다. 당나라의 이순풍은 『주역원의』에서 팔괘육위도를 전하고 있다.[47]

납음은 음양오행설과 중국 고대의 음운론을 응용하여, 형용사를 추가하여 십이지를 30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출생년도의 납음은 그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었다.[48] 납음에서 흉일로 여겨진 것은 오묘일이었다. 무진일, 임진일, 병술일, 신축일, 을미일이 그것인데, 집짓기는 괜찮지만, 동토·지고메·장례식·묘지 조성·파종·여행·기도 등은 흉일로 여겨졌다.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날에 장례식 등을 거행하면 무덤을 다섯 개 나란히 짓는다고 하여 꺼리는 일이 있었다.[48]

일의 십이지는 현대 일본에서의 칠요표 형식의 달력에서도, 어느 정도 정보량이 있는 것에는 기재되어 있다.

5. 5. 기타

십이지가 십이지신, 음양오행 사상과 결합되면서 다양한 전승과 속신이 생겨났고, 이는 일본에 전래되어 일본 고유의 것과 융합, 독자적인 속신을 만들어냈다. 원숭이(申) 날은 ‘떠나다(去る)’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결혼식을 올리지 않는다는 속신이 있었다.[40]

세는 나이 61세는 태어난 해의 로 돌아오므로 “환갑(還暦)”이라고 하며, 정월에는 은퇴하여 장수를 축하하였다.[40] 이 나이에 붉은 두건이나 ちゃんちゃんこ를 선물하는 것은 다시 아기로 돌아가 “태어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40] 현재는 만 60세 생일이나 60주년에 환갑을 축하하는 경우가 많으며, 2주(120년) 했을 경우에는 대환갑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화갑(花甲)”이라 하며, 일본과 마찬가지로 60년 장수를 축하하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중국 한나라 시대 위서의 예언설(참위)은 일본에서 더 신뢰받았다. 신유천명이 바뀌는 해로 여겨져 왕조가 교체되는 신유혁명의 해로 간주되었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에 정치적 변혁을 막기 위해 삼선청행의 제창으로 신유년 창태 4년(901년)을 “연희”로 개원하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경응에 이르기까지 신유년과 전년인 경신년 2년 연속으로 개원이 실시되었지만, 중국에는 이러한 예가 없다. 『일본서기』에서는 신무천황이 즉위한 해를 서력 기원전 660년 신유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메이지 시대 역사가 나카 미치요는 추고천황 9년(601년)이 1260년 주기의 대혁명이 일어나는 해에 해당하므로, 서력 기원전 660년을 즉위년으로 삼았다는 설을 제기했다. 1320년 주기설을 채택하는 학자들은 백강 전투 이듬해 갑자년(서력 664년)을 기점으로 간주한다.

갑자혁명과 관련하여, 중국 후한 말 태평도 교조 장각광화 3년(180년)에 “蒼天已死 黃天當立 歳在甲子 天下大吉zh-hant(푸른 하늘(한나라)은 이미 죽었고, 누런 하늘(황건적)이 일어설 것이다. 해는 갑자년이며, 천하가 크게 길할 것이다.)”(『후한서』71권 황포숭주규열전 제61 황포숭전[41])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광화 7년(184년) 갑자년에 황건의 난을 일으켰다.

근세 이전 일본에서는 도교 전설에 기반하여 경신일에 경신회가 널리 행해졌다. 중국 전승에 따르면, 인간의 머리와 배, 발에는 삼시라는 벌레가 있어 악행을 감시하고, 경신일 밤에 하늘에 올라가 천제에게 보고하여 수명을 줄인다고 한다. 따라서 삼시가 하늘에 오르지 못하도록 철야해야 했으며, 이를 “수경신(守庚申)”이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경신일에 채식하는 것이 좋다고 여겨졌다. 일본에는 경신일 밤에 태어난 아이, 또는 경신일에 관계를 맺어 임신한 아이는 도둑이 된다는 전승이 있으며, 경신일에 태어난 아이의 이름에 “금(金)” 자를 넣어 재액을 막기도 했다. 나쓰메 소세키의 본명 “금之助(킨노스케)”는 이러한 속신에 따른 것이다. 일본에서는 “경신님(庚申さま)”으로 경신일 자체가 신격화되기도 했다. 경신일 밤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 신들을 모시고, 그 후 잠 못 이루고 술잔치 등을 하며 밤을 지새우는 경신회를 열었다. 경신회를 3년 18회[42] 계속한 기념으로 경신탑이 세워졌으며, 지금도 각지에 남아 있다.

음양오행설에 따르면, 병과 오는 모두 강하고 굳센 양(陽)이며 화(火)의 성질을 지녀, 중국에서는 그 해에 화재가 많다고 여겨졌다. 일본에서는 팔백야 오칠이 병오년(1666년)에 태어났다는 소문[43]으로 인해, 병오년에 태어난 여성은 성격이 급하고 남편의 운세를 압도하여 배우자를 단명하게 한다는 속신으로 변화했다.[44] 이는 남성 중심주의적 견해이며 미신이지만, 일본에서는 병오년 출산을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1966년 출생자 수는 전년 대비 45만 명 감소했고, 다음 해인 정미년에는 신생아 수가 약 57만 명 증가했다. 정사(丁巳)는 팔전 중 하나이다.

십이지(干支)는 24절기(二十四節気)와 잡절(雑節)과 관련되어 각지에서 다양한 연중행사(年中行事)가 행해진다. 중국 한나라 시대에는 정월(正月) 첫 자(子)의 날에 황제(皇帝)가 써서 밭을 갈고, 황후(皇后)가 빗자루로 누에 잠자리를 쓸어서 조상신(祖先神)과 누에신(蚕神)을 모시는 행사가 있었다. 이 행사는 고대 일본에도 전래되었으며, 정창원(正倉院)에는 당시 사용했던 써레와 빗자루가 남아 있다. 정월 초자(正月初子) 날에 산과 들에 나가 어린 싹을 따고 어린 소나무를 꽂아 장수를 기원하는 행사는 『소우기(小右記)』에 기록된 "자의 날 놀이(子の日のお遊び)"이며,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궁중의 연중행사였다.

그 외 유명한 연중행사는 다음과 같다.
간지의 상생의 날인 천사일은 “모든 것이 좋다”는 대길일로 여겨졌다. 봄(입춘부터 입하 전까지)은 무인, 여름(입하부터 입추 전까지)은 갑오, 가을(입추부터 입동 전까지)은 무신, 겨울(입동부터 입춘 전까지)은 갑자의 날이다.

삼린망은 택일의 하나로, 특정 월의 해일, 인일, 오일을 건축 관련 흉일로 여긴다. 십방모는 갑신일부터 계사일까지 10일간을 흉일로 본다. 삼복은 하지 이후 특정 경(庚)일들을 흉일로 보는데, 이는 화기가 왕성한 여름철에 금(金)이 불에 눌린다는(火剋金) 오행 사상에서 유래한다.

그 외의 선택일에는 팔전, 불성취일, 천일천상, 일립만배일, 범토(대토·소토), 랍일 등이 있으며, 모두 십이지가 사용된다.

십이직은 역주의 하나로, 십이지와는 다른 12개의 순환을 달에 맞춰 역을 만들고, 그날의 길흉을 점쳤던 것이다. 중국 전국 시대에 싹이 트기 시작했으며, 진(秦)과 초(楚)에서는 다른 십이직을 사용했다. 현대까지 전해지는 것은 중국을 통일한 진(秦)의 십이직이다. 십이직은 건(建), 제(除), 만(滿), 평(平), 정(定), 집(執), 파(破), 위(危), 성(成), 납(納), 개(開), 폐(閉)로 구성된다.

6. 현대 한국에서의 간지

현대에 있어서 십이지(干支)점은 혈액형 성격 분류나 점성술에 비해 마이너하다. 혈액형이나 별자리는 개인의 프로필에 자주 기재되지만, 십이지는 기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리학자이기도 했던 마스나가 아츠히코에 의해 행해진, 생일의 십이지에서 간(干)에서 지(支)로 뽑은 십이운과 어떤 종류의 성격 분류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는, 동물점이나 동물점의 동물 캐릭터를 다른 것으로 바꾼 여러 가지 점에 무단으로 유용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Jikkan-jūnishi https://books.google[...]
[2] 일반 CCTV 설날 갈라
[3] harvcol
[4] harvcol
[5] harv
[6] 서적 Mathematics Across Cultures: The History of Non-Western Mathematics Springer 2012
[7] 웹사이트 Calendar History; the Source http://www.ndl.go.jp[...] National Diet Library 2013-01-01
[8] 백과사전 Kanreki http://eos.kokugakui[...] 2013-01-01
[9] 서적 Atīśa and Tibet: Life and Works of Dipamkara Srijnana in relation to the history and religion of Tibet Motilal Banarsidass 1996
[10] 웹사이트 Mathematics of the Chinese calendar http://www.math.nus.[...] Department of Math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10-07-17
[11] 사전 Iwanami Shoten
[12] 서적 Xīn Tángshū 1060
[13] 사전 Iwanami Shoten
[14] 서적 Conflicting Memories: Tibetan History under Mao Retold Brill 2020
[15] 웹사이트 コトバンク「干支」 https://kotobank.jp/[...]
[16] 웹사이트 十干十二支 https://kotobank.jp/[...]
[1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日本の暦」第一章:暦の歴史 https://www.ndl.go.j[...]
[18] 서적 釈名、史記暦書、漢書律暦志
[19] 서적 中国の実在観の研究、中国上代陰陽五行思想の研究、宋代易学の研究
[20] 서적 漢書律暦志
[21] 일반 용병 등 외사에는 십간의 기수일, 제사 등 내사에는 십간의 우수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
[22] 일반 사고전서
[23] 일반 갑골점
[24] 일반 乙亥, 丙子, 丁丑, 甲寅, 劉歆, 元和 (漢)
[25] 일반 중국 관력
[26] 일반 바빌로니아, 천문학, 황도십이궁, 동물, 농사력, 농민
[27] 일반 호북성운몽현, 1975년, 진대, 죽간, 喜 (秦)
[28] 일반 사슴, 개
[29] 일반 중국, 한국
[30] 일반 亥, 일본, 이노시시, 베트남, 수염소, 돼지
[31] 일반 염소
[32] 일반 유인원을 제외한 원숭이
[33] 일반 猪, 중국어, 돼지
[34] 일반 일본서기, 欽明天皇, 暦博士, 勅, 固徳王保尊, 推古天皇, 602년, 百済, 관륵, 신무천황, 고사기
[35] 일반 스마, 백제, 무령왕, 443년
[36] 서적 窮通宝鑑
[37] 서적 日本書紀
[38] 웹사이트 # 위키피디아 항목으로 간주 艮(鬼門)에 대한 설명
[39] 웹사이트 # 위키피디아 항목으로 간주 喜撰法師의 시구 설명
[40] 서적 # 저자만 명시된 경우 서적으로 처리 2003
[41] 위키소스 後漢書/卷71
[42] 일반
[43] 일반
[44] 서적 燕石雑志 1810
[45] 웹사이트 # 위키피디아 항목으로 간주 잡절과 24절기에 대한 설명
[46] 웹사이트 # 위키피디아 항목으로 간주 丑(소)와 관련된 음식에 대한 설명
[47] 일반
[48] 웹사이트 # 위키피디아 항목으로 간주 荻原井泉水의 俳号에 대한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