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웹 데스크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데스크톱은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1994년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SCO)이 처음 선보인 "Webtop"이라는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Tarantella Webtop, Sun Secure Global Desktop, Chrome OS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편의성, 이동성, 보안, 고가용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속도, 애플리케이션 기능, 네트워크 접근성, 중앙 집중식 제어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웹 데스크톱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개인화된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관리 및 보안 측면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여러 웹 데스크톱 솔루션들이 존재하며, 브라우저 지원, 개발사, 엔진, 라이선스, 기능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스크톱 환경 - 자바 데스크톱 시스템
  • 데스크톱 환경 - 유니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니티는 캐노니컬에서 개발한 데스크톱 환경 셸로, 우분투에서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었으며, 런처, 퀵리스트, 대시 등의 구성 요소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 기능에 접근하도록 설계되었으나 개발 중단 후 커뮤니티에 의해 Lomiri로 개발되고 우분투 유니티 배포판으로 사용된다.
웹 데스크톱
개요
종류데스크톱 환경
개발사다양한 개발자
운영체제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웹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 언어HTML
자바스크립트
CSS
라이선스다양한 라이선스 (오픈 소스, 상업적 이용 가능)
특징
주요 특징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관리
데스크톱 환경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점플랫폼 독립성
중앙 집중식 관리
낮은 클라이언트 요구 사항
단점네트워크 연결 필수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
보안 문제
활용
주요 활용 분야클라우드 컴퓨팅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VDI)
웹 기반 교육 플랫폼
기술적 측면
기술 기반Ajax
JavaScript
HTML5
서버 측 기술PHP
Java
.NET
통신 프로토콜HTTP 또는 WebSocket
예시
예시 시스템eyeOS (현 Zentimo)
iCloud
myGoya
Netvibes
Desktoptwo
Glide OS
start.me
YouOS
SilveOS
관련 개념
관련 개념클라우드 컴퓨팅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추가 정보
참고 자료The WebOS Roundup
Web-Based OS – The Next Killer App?
Web Desktop OS Market Heating Up

2. 역사

웹 데스크톱과 유사한 개념인 '웹톱(Webtop)'이라는 용어는 1994년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SCO)이 자사의 유닉스 운영 체제용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12][18][1] 앤디 보빙던(Andy Bovingdon)[2]과 로널드 조 레코드(Ronald Joe Record)[3] 등 초기 개발자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개념을 발전시켰다.[13]

초기 SCO Webtop은 TightVNC와 같은 기술을 활용했으며, 이후 Tarantella Webtop은 3단계 아키텍처와 자바 등을 통해 유닉스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 내에서 구동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SCO는 웹 서버(NCSA HTTPd)와 웹 브라우저(NCSA 모자이크)를 운영 체제에 통합하고, IXI Limited 인수 후 X.desktop 제품군을 통해 웹 기술을 데스크톱 환경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이어갔다.

SCO Webtop은 SCO Skunkware[6][15]를 통해 처음 공개되었고, 이후 SCO OpenServer 버전 5와 UnixWare 7[7][16]에 통합되었다. Tarantella는 이후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인수되어 해당 기술은 Sun Secure Global Desktop으로 이어졌다.[8][17]

컴퓨터 잡지 바이트(Byte)는 이러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NUI(Network User Interface, 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칭하기도 했다.[9] 웹 데스크톱의 개념은 이후에도 계속 발전하여, 구글이 웹 환경에 최적화된 크롬OS를 출시하고 이를 탑재한 넷북이 등장하는 등 현대 컴퓨팅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웹 데스크톱과 유사한 개념인 '웹톱(Webtop)'이라는 용어는 1994년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SCO)에서 자사의 유닉스 운영 체제용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며 처음 사용되었다.[12][1] 이는 이후 Tarantella Webtop에 사용된 기술의 기반이 되었으며, 관련 기술은 "적응형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The Adaptive Internet Protocol System)"이라는 이름으로 1997년 11월 13일 미국에 특허(일련 번호 60/065,521)가 출원되었다.[18][1]

앤디 보빙던(Andy Bovingdon)[2]과 로널드 조 레코드(Ronald Joe Record)[3]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웹톱 개념을 발전시켜 발명가로 평가받기도 한다.[13] 레코드가 개발한 초기 SCO Webtop은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TightVNC를 통해 브라우저 창 안에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방식이었다.[14] SCO는 1996년 11월 8일 "SCO Webtop" 상표를 미국 특허청에 출원했으나, 이후 Tarantella Webtop에 통합된 더 복잡한 기술과의 혼동을 피하고자 1997년 12월 24일 출원을 포기했다.[4]

보빙던의 3단계 아키텍처(Three-Tier Architecture, TTA) 개념은 Tarantella Webtop으로 구현되었다. 이 기술의 배경에는 SCO의 선도적인 웹 기술 도입 노력이 있었다. SCO는 상용 웹 서버인 NCSA HTTPd와 상용 웹 브라우저인 NCSA 모자이크를 운영 체제에 포함하여 제공한 최초의 기업 중 하나였다. SCO는 영국의 IXI Limited를 인수하여 X.desktop 제품군을 확보했는데, 이는 URL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HTML 기반 도움말 시스템(DeskHelp)을 갖춘 초기 사례였다. 특히 DeskHelp는 NCSA 모자이크 브라우저를 확장하여 X.desktop 제품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했다. 아이콘 제어에는 Deskshell[5] 스크립트 언어가 사용되었다. IXI Limited의 스크립트 언어는 초기에 파이썬을 기반으로 했으나 나중에 자바스크립트로 대체되었다. Tarantella는 자바를 활용하여 유닉스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을 웹 브라우저 내에 표시함으로써 웹톱 환경을 구현했다.

최초의 SCO Webtop은 SCO Skunkware[6]의 일부로 출시되었고, 이후 SCO OpenServer 버전 5와 UnixWare 7[7]에 통합되었다. 이후 Tarantella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인수되었고, 해당 기술은 선 시큐어 글로벌 데스크톱(Sun Secure Global Desktop)으로 통합되었다.[8]

2. 2. 발전 과정

데스크톱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웹톱(Webtop)'이라는 용어는 1994년 산타 크루즈 오퍼레이션(SCO)이 자사의 유닉스 운영 체제용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했다.[12][18] 이 기술은 1997년 11월 13일에 출원된 "적응형 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The Adaptive Internet Protocol System)"이라는 임시 특허 출원(일련 번호 60/065,521)에 기반하며, 이는 Tarantella Webtop에 사용된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이다.[1][18] 앤디 보빙던(Andy Bovingdon)[2]과 로널드 조 레코드(Ronald Joe Record)[3]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개념을 발전시켜 종종 발명가로 여겨진다.[13] 레코드가 개발한 초기 SCO Webtop은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TightVNC를 통해 브라우저 창 안에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식이었다.[14] SCO는 "SCO Webtop" 상표를 1996년 11월 8일 미국 특허청에 출원했으나, 이후 Tarantella Webtop에 통합된 더 복잡한 기술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1997년 12월 24일 출원을 포기했다.[4]

보빙던이 구상한 3단계 아키텍처(Three-Tier Architecture, TTA) 개념은 Tarantella Webtop으로 출시되었다. 이 기술의 뿌리는 SCO가 웹 서버 기술을 상업적으로 일찍 도입한 데 있다. SCO는 상용 웹 서버인 NCSA HTTPd와 상용 웹 브라우저인 NCSA 모자이크를 운영 체제와 함께 제공한 최초의 공급업체 중 하나였다. SCO는 영국의 IXI Limited를 인수하여 X.desktop 제품군을 확보했는데, 이는 URL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Deskshell[5] 스크립트 언어로 제어) DeskHelp라는 HTML 기반 도움말 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제품이었다. DeskHelp는 NCSA 모자이크 브라우저를 확장하여 X.desktop 제품과 연결된 API 및 스크립트를 포함함으로써 상호작용 제어를 가능하게 했다. 초기 IXI Limited 스크립트 언어는 파이썬 기반이었으나 나중에 자바스크립트로 대체되었다. Tarantella는 자바를 사용하여 실제 유닉스 및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 내에 표시함으로써 웹 기반 데스크톱, 즉 웹톱을 구현했다.

초기 SCO Webtop은 SCO Skunkware[6][15]의 일부로 출시되었으며, 이후 SCO OpenServer 버전 5와 UnixWare 7[7][16]에 통합되었다. 이후 Tarantella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인수되었고, 해당 기술은 Sun Secure Global Desktop에 통합되었다.[8][17]

컴퓨터 잡지 바이트(Byte)는 웹톱을 NUI(Network User Interface, 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칭하기도 했다.[9]

최근에는 구글이 웹 연결에 중점을 둔 운영 체제인 크롬OS를 출시했으며, 에이서삼성 등에서 이 시스템을 탑재한 11-12인치 넷북을 출시했다. 2012년 기준으로 이는 넷북 판매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장점

웹 데스크톱은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 편의성 및 이동성: 어떤 클라이언트 기기든 관계없이 개인화된 데스크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하여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 세션 관리: 서버 측에서 세션을 관리하므로, 이전에 중단했던 작업을 다른 기기나 장소에서 그대로 이어서 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관리: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보장하며, 업데이트 및 패치는 중앙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관리되어 편리하다.
  • 보안: 중요한 데이터는 서버에 안전하게 저장되고 클라이언트 대상 공격에 대한 노출이 적으며, 암호화 통신(HTTPS) 및 신속한 취약점 대응이 가능하다. 관리자는 사용자별 접근 권한을 통제할 수 있다.
  • 고가용성: 단일 기기에서 다양한 운영체제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 가능하며, 클라이언트 기기의 요구 사양이 낮다. 서버 시스템의 안정성을 통해 다운타임을 줄이고, 클라이언트 기기 고장 시에도 데이터 손실 없이 작업을 지속할 수 있는 내결함성을 제공한다.

3. 1. 편의성 및 이동성

웹 데스크톱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이동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클라이언트 기기를 사용하든 상관없이 자신에게 맞춤화된 개인 데스크톱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기기만 있다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데스크톱에 접근하여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2. 세션 관리

세션 관리는 서버 측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이전에 중단된 상태 그대로 임의의 장소나 기기에서 세션을 복원하여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3. 3. 소프트웨어 관리

웹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소프트웨어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든 사용자가 항상 동일한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업데이트나 패치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중앙 서버에만 이를 적용하면 된다. 따라서 개별 클라이언트 기기마다 업데이트를 배포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일일이 배포할 필요도 줄어든다.

3. 4. 보안

웹 데스크톱은 보안 측면에서 여러 장점을 가진다. 클라이언트를 직접 겨냥하는 일반적인 바이러스, 웜과 같은 악성 코드 공격이나 패치되지 않은 클라이언트의 취약점 문제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중요한 데이터는 개별 사용자 기기(예: 스마트폰, 노트북)에 분산되어 저장되지 않고, 중앙의 안전한 서버에 집중적으로 관리되므로 데이터 유출 및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모든 데이터 통신은 HTTPS와 같은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어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는 스누핑 등의 위험을 방지한다.

소프트웨어 관리 측면의 이점도 보안 강화에 기여한다.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거나 보안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 관리자는 개별 클라이언트가 아닌 중앙 서버에만 패치를 적용하면 되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일관된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웹 데스크톱 관리자는 각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 권한 없는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3. 5. 고가용성


  • 하나의 기기로 윈도우, 유닉스, 리눅스, 메인프레임 등 다양한 운영체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 기기에 요구되는 하드웨어 사양은 비교적 낮다. (단, Flash, Flex, SilverLight와 같은 특정 렌더링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될 수 있다.)
  • 서버 시스템은 여러 클라이언트 데스크톱보다 보호하기 쉽고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용이하여, 시스템 전체의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다.
  • 클라이언트 기기가 어떤 이유로든 고장 나더라도, 데이터나 설정, 애플리케이션 접근 권한 손실 없이 지원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기기로 간단히 교체하여 작업을 이어갈 수 있다. 이는 내결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4. 단점

웹 데스크톱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 '''보안''': 모든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므로, 전송 과정에서 해커에 의해 정보가 가로채질 위험이 있다. 물론 HTTPS 암호화나 접근 제어 목록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 '''속도''': 웹 데스크톱을 표시하기 위한 코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지연이나 혼잡 발생 시 사용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오프라인 애플리케이션 저장을 통해 일부 완화될 수 있다.[10][11]
  • '''애플리케이션 기능''': 웹 데스크톱 환경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이 가진 모든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 '''네트워크 접속''': 웹 데스크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네트워크 접속이 필요하며,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클라이언트 기기 설정 오류 시 사용할 수 없다.
  • '''통제된 접근 및 중앙 집중식 제어''': 관리자가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접근을 제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이 어렵다. 이는 관리 측면에서는 장점일 수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이나 제약으로 느껴질 수 있다.

4. 1. 보안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므로 누군가가 이를 가로채서 읽을 가능성이 있다. HTTPS의 256비트 암호화와 접근 제어 목록을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안전하다.

4. 2. 속도

웹 데스크톱은 가상화를 위한 코드(.js/.css 파일, Flash 등)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해야 작동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지연이나 혼잡으로 인해 웹 데스크톱의 작동이 간헐적으로 느려질 수 있다. 오프라인 응용 프로그램 저장은 이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10][11]

4. 3. 애플리케이션 기능

웹 데스크톱을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존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던 모든 기능을 웹 데스크톱에서 동일하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4. 4. 네트워크 접속

웹 데스크톱은 네트워크 접속이 필수적이다. 클라이언트 기기의 설정에 오류가 있거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웹 데스크톱을 사용할 수 없다.

4. 5. 통제된 접근 및 중앙 집중식 제어

웹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가 관리자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보안 관리 측면에서는 장점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는 웹 데스크톱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없다. 모든 업데이트와 관리는 서버 측에서 관리자가 중앙 집중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관리자에게 의존하게 된다. 반면, 이러한 중앙 집중식 관리는 개별 사용자가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관리 비용 증가를 막는 효과가 있어 웹 데스크톱의 장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기존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거나 보안 문제가 생길 위험도 따른다.

5. 웹 데스크톱 비교

다음 표는 여러 웹 데스크톱의 일반적인 정보와 기술 정보를 비교한 것입니다.

이름브라우저 지원개발자엔진무료라이선스타사 응용 프로그램생산성 스위트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서버에 다운로드 가능현재 사용 여부
G.ho.stIE6+, Firefox2+, Safari. 부분 지원: Chrome & OperaGhost Inc ("G.ho.st")Flash + AJAX (모바일 버전은 WAP)아니요독점Yahoo! Zimbra, Zoho, Google Docs, ILoveIMWindows와 유사아니요아니요
Glide OSIE7, Firefox 3, Safari, ChromeTransMediaHTML5예 (30 GB 제한)독점Glide Community에서 제공Glide Write, Glide Presenter, Glide Crunch, Photo Editor, 이메일Mac+Windows와 유사아니요아니요
NivioIE7, IE8, Google Chrome, FF 4Sachin Dev Duggal, Saurabh Dhoot개발 중아니요독점Windows아니요아니요
Online OSFF 1.5 이상, IE7iCUBE Network SolutionsJava, Ajax독점Windows와 유사아니요아니요
OX App SuiteFF, IE 9/10, Chrome, SafariOpen-XchangeJavaScript, HTML5백엔드: GPLv2 프론트엔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사용자 정의 가능
Oracle Secure Global DesktopJRE가 있는 모든 브라우저오라클AIP아니요독점사용자 정의 가능아니요
VMware ViewIE, Firefox, Safari, Opera, ChromeVMwarePCoIP, RDP, HTML5아니요독점사용자 정의 가능아니요
ZeroPCIE 8/9, Firefox v12.0+, Chrome, SafariZeroDesktop, Inc.HTML / HTML5, JavaScript, Java Applet, AJAX독점Thinkfree Office, Cloud Storage Mashup, IMWindows와 유사아니요아니요



이름지원하는 브라우저개발원엔진무료라이선스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GUI웹 서버로의 다운로드
eyeOSIE6/7/8, Firefox2/3, Safari, Opera, ChromeeyeOS 팀PHP + Ajax아니요독점사용자 정의 가능


참조

[1] 특허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on a variety of client devices in a client/server network 2000-08-15
[2] 기타 Andrew J Bovingdon presented a Human Computer Interaction poster on the subject of Webtops at WWW2 in Chicago, 1994 entitled "Adding a new dimension to the desktop" https://web.archive.[...]
[3] 간행물 The Santa Cruz Operation Technical White Paper, Tarantella --The Universal Application Server 1997-07
[4] 기타 See uspto.gov, click on "Trademarks -> Search TM Database", and perform a Basic search for "Webtop". The only earlier occurrences in both the Patent and Trademark databases are for systems unrelated to a web desktop context. http://uspto.gov
[5] 문서 DeskShell http://osr600doc.sco[...]
[6] 문서 SCO Skunkware Release Notes http://www.sco.com/s[...]
[7] 문서 UnixWare http://docsrv.sco.co[...]
[8] 뉴스 Sun Microsystems Completes Tarantella Acquisition http://www.sun.com/s[...] 2008-04-04
[9] 웹사이트 BYTE Magazine - July 1997 / Cover Story / Good-Bye, GUI....Hello, NUI http://www.byte.com/[...] 2022-01-17
[10] 문서 Web Application
[11] 기타 How offline application cache works http://diveintohtml5[...]
[12] 특허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on a variety of client devices in a client/server network 2000-08-15
[13] 간행물 The Santa Cruz Operation Technical White Paper, Tarantella --The Universal Application Server 1997-07
[14] 기타 "SCO Webtop" は1996年11月8日に米国で商標として登録されている。しかし、その後も Tarantella Webtop は技術的進化を遂げていったため、SCOが混乱を避けるために1997年12月24日に登録を取り消した。そのため、uspto.gov で "Webtop" を検索してみても最初の登録は見つからず、二次的なものしか出てこない。 http://uspto.gov
[15] 문서 SCO Skunkware Release Notes http://www.sco.com/s[...]
[16] 문서 UnixWare 7 Webtop http://docsrv.sco.co[...]
[17] 웹사이트 Sun Microsystems Completes Tarantella Acquisition http://www.sun.com/s[...] Associated Press 2008-04-04
[18] 특허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on a variety of client devices in a client/server network 2000-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