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웹 표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표준은 웹 사이트 및 웹 페이지를 제작할 때 지켜야 하는 기술적 규칙과 권고 사항을 의미하며, 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웹 표준은 웹 접근성, 상호 운용성, 사용성, 검색 엔진 최적화, 유지 보수 용이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WHATWG, Ecma 인터내셔널, IETF 등 여러 기구에서 표준을 제정한다. 웹 표준 운동은 1998년 웹 표준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웹 표준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비표준 기술 사용을 지양한다. 웹 표준 준수 여부는 W3C의 검증 서비스와 Acid 테스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HTML5와 같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웹 표준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 표준 - 웹 컴포넌트
    웹 컴포넌트는 재사용 가능한 웹 UI 요소를 만들기 위한 웹 표준 기술로, 커스텀 요소, 섀도 DOM, HTML 템플릿을 핵심 요소로 하며, 스타일과 동작을 캡슐화하고 다양한 프레임워크와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웹 접근성 향상에 기여한다.
  • 웹 표준 - HTML5 오디오
    HTML5 오디오는 웹 페이지에서 소리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audio 요소 기술로, 다양한 속성, 오디오 코딩 형식 지원, Web Audio API를 통한 오디오 처리, Web Speech API를 통한 음성 입력 기능 등을 제공하며 브라우저별 지원 코덱 현황에 차이가 있다.
웹 표준

2. 웹 표준의 구성 요소

웹 표준은 상호 의존적인 여러 표준과 명세들을 포함하며, 월드 와이드 웹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여러 측면을 규정한다.[10] 웹에 초점을 맞추지 않더라도 이러한 표준은 웹 사이트와 웹 서비스의 개발 및 관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웹 표준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들로 구성된다.

기구표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HTML, XHTML, CSS, PNG, SVG, WAI-ARIA 등의 권고안[2][3][20][21]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작업 그룹(WHATWG)HTML 생동적 표준, DOM 표준, 인코딩 표준, URL 표준 등의 "생동적 표준"[4][22]
Ecma 인터내셔널(과거 ECMA)JavaScript (ECMAScript) 및 JSON[3][5][21][23]
국제 표준화 기구(ISO)JPEG 등의 표준[3][21][24]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Request for Comments(RFC) 문서[7][25]
유니코드 컨소시엄유니코드 표준 및 다양한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8][26]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이름 및 번호 레지스트리[9][27]



이러한 표준들은 웹 페이지와 웹 사이트의 상호 운용성, 접근성, 사용성 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 표준은 단일 개인이나 회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된다.[28]

2. 1. W3C 권고안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발행한 권고안은 광범위한 합의를 거쳐 W3C 회원 및 이사의 승인을 받은 사양 또는 지침 모음이다.[2] W3C는 웹 기술 표준화를 주도하는 핵심 기구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웹 기술 표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표준들은 웹 페이지의 구조, 표현, 이미지 형식뿐만 아니라, 장애인, 고령층 등 정보 취약 계층의 웹 이용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웹 접근성 기술도 포함한다.

2. 2. WHATWG 표준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기술 작업 그룹(WHATWG)에서 발행한 표준은 "생동적 표준"으로, HTML 생동적 표준, DOM 표준, 인코딩 표준, URL 표준 등이 있다.[4] 이 표준들은 동적인 웹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다루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반이 된다.

2. 3. Ecma 인터내셔널 표준

Ecma 인터내셔널(구 ECMA)[5]은 정보 통신 기술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는 기구이다. JavaScript (일명 ''ECMAScript'') 및 JavaScript Object Notation(JSON) 등 웹 상호작용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을 제공한다.[3]

2. 4. IETF 표준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에서 발행한 Request for Comments(RFC) 문서[7]는 웹 표준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IETF 인터넷 표준은 높은 수준의 기술적 성숙도를 가지며, 지정된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가 인터넷 커뮤니티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일반적인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25] 표준 상태에 도달한 사양에는 IETF RFC 번호를 유지하면서 IETF STD 시리즈에서 번호가 할당된다.

2. 5. 기타 표준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JPEG 표준[3] 등 이미지 형식 표준도 웹 표준의 일부로 간주된다. 유니코드 표준 및 유니코드 컨소시엄에서 발행한 다양한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8]도 웹 표준에 포함된다.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에서 관리하는 이름 및 번호 레지스트리[9]도 웹 표준의 구성 요소이다.

3. 웹 표준 운동

웹 표준 운동은 웹의 발전과 함께 시작된 중요한 움직임이다.

웹 표준 운동의 가장 초기 형태는 1998년 8월에 시작된 웹 표준 프로젝트(Web Standards Project)였다. 이 프로젝트는 브라우저들이 웹 표준을 더 잘 지원하도록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풀뿌리 연합이었다.[11]

웹 표준 운동은 표준 기반 웹 디자인 개념을 지지한다. 여기에는 문서 구조를 웹 페이지나 응용 프로그램의 모양과 동작에서 분리하는 것,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에서 관리하는 유효성 검사 소프트웨어로 테스트했을 때 오류가 없는 의미론적으로 구조화된 콘텐츠를 강조하는 것, 그리고 점진적 향상을 통해 모든 사람과 장치가 개인의 신체적 능력, 연결 속도, 브라우저 기능에 관계없이 페이지의 콘텐츠와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웹 표준 운동 이전에는 많은 웹 페이지 개발자들이 "테이블 레이아웃"이나 "스페이서" GIF 이미지와 같이 유효하지 않은 HTML 구문을 사용했다. 이러한 방식은 "태그 수프"라고 불렸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4,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4와 같은 특정 브라우저에서는 동일하게 보였지만, 장애인들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졌다. 또한 구형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작동하지 않았고, 개발 비용과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코드 분기가 필요했다. 텍스트로 이미지를 자주 사용하면서 웹 사이트의 대역폭을 "무겁게" 만들었으며, 이는 개발 도상국, 농촌 지역 및 빠른 인터넷 연결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었다.[12]

글렌 데이비스 (웹 디자인), 조지 올슨, 제프리 젤드먼, 스티븐 챔피언, 토드 파르너, 에릭 A. 마이어, 탄테크 첼릭, 도리 스미스, 팀 브레이, 제프리 빈 등 웹 표준 프로젝트의 구성원들은 대역폭 소모가 많은 태그 수프를 가볍고 의미론적인 마크업과 점진적 향상으로 대체하여 웹 콘텐츠를 "모두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12]

이들은 HTML, CSS, 자바스크립트가 단순한 기술 이상이며, "정교하고 적절한 프레젠테이션과 광범위한 접근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용이하게 하는 웹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이라고 선언했다.[12] 이들은 넷스케이프, 마이크로소프트 등 브라우저 제작사가 자사 브라우저에서 이러한 표준을 지원하도록 설득했다. 그리고 태그 수프, 어도비 플래시 등 독점 기술을 사용하던 디자이너에게 이러한 표준을 홍보하기 시작했다.

2007년, 더글러스 보스는 제프리 젤드먼에게 영감을 받아 블루 비니 데이를 시작했다. 젤드먼은 2003년 저서 《웹 표준으로 디자인하기》의 표지에 파란색 모자를 쓰고 등장한다.[13] 그 이후, 11월 30일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의 연례 국제 기념일이 되었다.[14]

3. 1. 웹 표준 프로젝트 (The Web Standards Project)

웹 표준 프로젝트(Web Standards Project)는 1998년 8월에 시작된 풀뿌리 연합으로, 웹 브라우저의 웹 표준 지원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11]

웹 표준 운동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표현을 분리하고, 의미론적으로 구조화된 콘텐츠를 강조하며, 점진적 향상 기법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웹 표준 운동 이전에는 많은 웹 페이지 개발자가 "테이블 레이아웃" 및 "스페이서" GIF 이미지와 같은 유효하지 않고 잘못된 HTML 구문을 사용했다. 이러한 방식은 "태그 수프"라고 불렸으며, 특정 브라우저(예: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4 및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4)에서는 동일하게 보였지만,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졌다. 또한 구형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작동하지 않았으며, 개발 비용과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코드 분기가 필요했다.

글렌 데이비스 (웹 디자인), 조지 올슨, 제프리 젤드먼, 스티븐 챔피언, 토드 파르너, 에릭 A. 마이어, 탄테크 첼릭, 도리 스미스, 팀 브레이, 제프리 빈 등 웹 표준 프로젝트의 구성원들은 대역폭 소모가 많은 태그 수프를 가볍고 의미론적인 마크업과 점진적 향상으로 대체하여 웹 콘텐츠를 "모두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12]

이들은 HTML, CSS, 자바스크립트가 단순한 기술 이상이며, "정교하고 적절한 프레젠테이션과 광범위한 접근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용이하게 하는 웹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이라고 선언했다.[12] 이 그룹은 넷스케이프,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브라우저 제작사들이 웹 표준을 준수하도록 설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3. 2. 블루 비니 데이 (Blue Beanie Day)

더글러스 보스는 제프리 젤드먼에게 영감을 받아 2007년에 블루 비니 데이를 시작했다. 젤드먼은 2003년 저서 《웹 표준으로 디자인하기》 표지에 파란색 모자를 쓰고 등장한다.[13] 11월 30일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을 기념하는 연례 국제 기념일이다.[14]

3. 3. 대한민국에서의 웹 표준 운동

대한민국은 웹 표준 확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특히, 공공 부문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웹 표준 준수 및 웹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과거에는 ActiveX 등 특정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웹 표준 준수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웹 표준 운동 이전에는 많은 웹 페이지 개발자가 "테이블 레이아웃" 및 "스페이서 GIF" 이미지와 같은 유효하지 않고 잘못된 HTML 구문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태그 수프"라고 불렸다. 이러한 페이지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4 및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4와 같은 특정 시대의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보이려고 시도했지만, 종종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없었다. 태그 수프 페이지는 또한 구형 브라우저에서 잘못 표시되거나 작동했으며,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자바스크립트인터넷 익스플로러용 JScript와 같은 코드 분기를 필요로 했다. 필요한 추가 코드와 캐싱 페이지 레이아웃 언어의 부재는 텍스트로 이미지를 자주 사용하면서 웹 사이트의 대역폭을 "무겁게" 만들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든 국민이 차별 없이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웹 표준 준수 및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4. 웹 표준 준수의 중요성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HTML은 접근성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해야 한다.[39]

웹 표준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웹 표준은 월드 와이드 웹뿐만 아니라 인터넷과도 관련 있는 상호 의존적인 여러 표준과 사양을 포함한다. 따라서 웹에 초점을 맞추지 않은 것이라도 웹사이트 및 웹 서비스 개발과 관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웹 표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기관표준
W3CHTML, XHTML, CSS, PNG, SVG 등의 이미지 형식, WAI-ARIA와 같은 기술[20]
WHATWGHTML5, DOM, 인코딩 표준, URL[22]
Ecma 인터내셔널JavaScript (ECMAScript) 및 JSON[21]
국제 표준화 기구JPEG[21]
IETFRFC[25]
유니코드 컨소시엄유니코드 표준 및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26]
IANA식별자[27]



웹 표준은 진화하는 웹 기술의 사양 모음이며,[28] 여러 표준화 단체에 의해 개발된다.

4. 1. 상호 운용성 (Interoperability)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HTML은 접근성시맨틱 HTML의 지침을 충족해야 한다.[39]

웹 표준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HTML, XHTML, SVG, XForms와 같은 마크업 언어의 W3C 권고
  • 스타일시트, 특히 CSS의 W3C 권고
  • 자바스크립트 또는 ECMA스크립트로 불리는 Ecma 인터내셔널 표준
  • 문서 객체 모델의 W3C 권고
  • IETF에서 발행한 RFC 2396을 기반으로 하는 페이지 및 페이지에서 참조된 모든 기타 리소스에 대한 올바르게 구성된 이름과 주소(URI).[15]
  • IETF에서 발행한 RFC 2616을 기반으로 하여 페이지를 제공하고,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반환하며, 페이지에서 참조된 다른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한 HTTPMIME의 적절한 사용.[16]


웹 접근성은 일반적으로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가 출판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다.[17]

4. 2. 접근성 (Accessibility)

웹 접근성은 일반적으로 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에서 발행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39]을 따른다.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해당 사이트나 페이지가 유효한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TML은 웹 접근성 및 시맨틱 HTML 지침도 충족해야 한다.

4. 3. 사용성 (Usability)

웹 표준을 준수하는 웹 사이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킨다. 명확하고 직관적인 구조, 일관성 있는 디자인, 효율적인 탐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이트나 페이지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HTML은 접근성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해야 한다.[39]

4. 4. 검색 엔진 최적화 (SEO)

웹 표준을 준수하면 검색 엔진이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더 쉽게 이해하고 색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웹 사이트의 검색 엔진 노출 순위를 높여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데 도움이 된다.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9]

4. 5. 유지 보수 용이성

웹 표준을 준수하면 웹 사이트의 코드가 더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이는 웹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웹 사이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른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사이트나 페이지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39] 이때 HTML은 접근성시맨틱 HTML의 가이드라인을 충족해야 한다.

5. 웹 표준 준수 테스트

웹 사이트에서 생성된 HTML 코드와 웹 브라우저의 HTML 코드 해석 모두에 대한 적합성 테스트가 있다.

5. 1. 웹사이트 코드 검사

W3C는 웹 사이트 개발자와 웹 사이트 사용자 모두를 위해 웹 사이트를 직접 테스트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39]

  • [https://validator.w3.org/ 마크업 검증 서비스]: 웹 문서의 마크업(HTML, XHTML 등)을 검사한다.
  • [http://jigsaw.w3.org/css-validator/ CSS 검증 서비스]: 스타일시트가 있는 CSS 및 (X)HTML 문서를 검사한다.

5. 2. 웹 브라우저 검사

웹 표준 프로젝트(WaSP)는 웹 브라우저의 웹 표준 준수 여부를 시험하는 Acid 테스트를 제공한다.[1]

6. 비표준 및 벤더 종속적 압력

HTML5는 기존 플랫폼의 제약 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다른 명세에 대한 수많은 "의도적인 위반"을 포함하고 있다.[18]

참조

[1] 웹사이트 Mission - Web Standards Project http://www.webstanda[...] WaSP 2009-01-19
[2] 웹사이트 W3C Technical Reports and Publications http://www.w3.org/TR[...] W3C 2009-01-19
[3] 서적 Developing with Web Standards New Riders 2009-12-09
[4] 웹사이트 WHATWG Standards https://spec.whatwg.[...] 2020-11-22
[5] 웹사이트 Ecma formal publications http://www.ecma-inte[...] Ecma 2009-01-19
[6] 웹사이트 Search for World Wide Web in ISO standards http://www.iso.org/i[...] ISO 2009-01-19
[7] 웹사이트 IETF RFC page http://www.ietf.org/[...] IETF 2009-01-19
[8] 웹사이트 Unicode Technical Report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09-01-19
[9] 웹사이트 IANA home page https://www.iana.org[...] IANA 2009-01-19
[10] 서적 Web standards - Mastering HTML5, CSS3, and XML http://www.mastering[...] Apress
[11] 뉴스 Browser standards targeted 1998-08-17
[12] 웹사이트 Web Standards Mission http://archive.webst[...] Archive.webstandards.org 2014-02-26
[13] 웹사이트 Blue Beanie Day II http://www.zeldman.c[...] 2008-11-20
[14] 웹사이트 Why Is Your Web Designer Wearing a Blue Hat Today? https://www.fastcomp[...] 2009-11-30
[15] IETF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 Generic Syntax IETF 2009-10-27
[16] IETF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IETF 2009-10-27
[17] 웹사이트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3C Recommendation 5-May-1999 http://www.w3.org/TR[...] W3C 2009-02-18
[18] 웹사이트 HTML 5 - A vocabulary and associated APIs for HTML and XHTML - Compliance with other specifications https://www.w3.org/T[...] 2017-06-29
[19] 웹사이트 Mission - Web Standards Project http://www.webstanda[...] WaSP 2009-01-19
[20] 웹사이트 W3C Technical Reports and Publications https://www.w3.org/T[...] W3C 2009-01-19
[21] 서적 Developing with Web Standards New Riders 2009-12-09
[22] 웹사이트 WHATWG Standards https://spec.whatwg.[...] 2020-11-22
[23] 웹사이트 Ecma formal publications http://www.ecma-inte[...] Ecma 2009-01-19
[24] 웹사이트 Search for World Wide Web in ISO standards http://www.iso.org/i[...] ISO 2009-01-19
[25] 웹사이트 IETF RFC page http://www.ietf.org/[...] IETF 2009-01-19
[26] 웹사이트 Unicode Technical Report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09-01-19
[27] 웹사이트 IANA home page https://www.iana.org[...] IANA 2009-01-19
[28] 서적 Web standards - Mastering HTML5, CSS3, and XML http://www.mastering[...] Apress
[29] 뉴스 Browser standards targeted 1998-08-17
[30] 웹사이트 Web Standards Mission http://archive.webst[...] Archive.webstandards.org 2014-02-26
[31] IETF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URI): Generic Syntax
[32] 웹사이트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3C Recommendation 5-May-1999 https://www.w3.org/T[...] W3C 2009-02-18
[33] 웹인용 W3C Technical Reports and Publications http://www.w3.org/TR[...] W3C 2009-01-19
[34] 웹인용 IETF RFC page http://www.ietf.org/[...] IETF 2009-01-19
[35] 웹인용 Search for World Wide Web in ISO standards http://www.iso.org/i[...] ISO 2009-01-19
[36] 웹인용 Ecma formal publications http://www.ecma-inte[...] Ecma 2009-01-19
[37] 웹인용 Unicode Technical Reports http://www.unicode.o[...] Unicode Consortium 2009-01-19
[38] 웹인용 IANA home page http://www.iana.org/ IANA 2009-01-19
[39] 웹사이트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http://www.w3.org/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