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그 1세 (키프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그 1세는 1205년부터 1218년까지 키프로스를 통치한 국왕이다. 그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섭정 통치를 겪었으며, 친정 이후에는 룸 술탄국과의 조약을 통해 상업 활동을 장려했다. 또한 제5차 십자군에 참여했으나, 귀환 중 병으로 사망했다. 위그 1세는 앨리스 드 샹파뉴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며, 특히 구호기사단을 우대하여 관세 면제 등의 특혜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블랭가 - 발리앙 디블랭
    발리앙 디블랭은 12세기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으로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아모리 1세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나블루스 영지를 받았으며, 보두앵 4세와 5세의 섭정을 지지하고 예루살렘 방어에 힘쓰다 1193년에 사망했다.
  • 1190년대 출생 - 산차 (12세기)
    산차는 12세기 레온의 알폰소 9세의 딸로, 왕위 계승 분쟁에 연루되었으며, 결국 동복 형제인 페르난도 3세에게 왕위를 양도하고 시토회 수도원에서 은퇴했다.
  • 1190년대 출생 -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츠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츠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중반 폴란드 공작으로, 숙부와의 갈등, 헨리크 1세의 도움, 영토 확장, 피아스트 가문과의 관계, 교회와의 협력을 통해 입지를 강화했다.
  • 키프로스 국왕 - 기 드 뤼지냥
    기 드 뤼지냥은 12세기 프랑스 귀족으로 예루살렘 왕국의 왕이 되었지만, 하틴 전투 패배 후 왕위를 잃고 키프로스 영주가 되어 뤼지냥 가문에 의한 키프로스 왕국 성립의 계기를 마련했다.
  • 키프로스 국왕 - 앙리 1세 (키프로스)
    앙리 1세는 키프로스의 왕으로 8세에 즉위하여 롬바르드 전쟁을 겪었으며 예루살렘 왕국의 섭정을 지냈고 위그 2세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위그 1세 (키프로스)
기본 정보
휴 I세의 베자트 주화
휴 I세의 베자트 주화
칭호키프로스 왕
재위 기간1205년 4월 1일 – 1218년 1월 10일
이전 통치자에메리 드 뤼지냥
다음 통치자앙리 1세
배우자알리사 드 샹파뉴
자녀마리, 브리엔 백작 부인
이자벨 드 키프로스
앙리 1세, 키프로스 왕
가문뤼지냥 가문
부친에메리 드 뤼지냥
모친에시브 디블랭
출생일1194년/1195년
사망일1218년 1월 10일
사망 장소트리폴리
매장지니코시아 호스피탈 기사단 교회
섭정고티에 드 몽벨리아르
이름
프랑스어Hugues I
그리스어Ούγος Α΄(Oúgos A΄)

2. 초기 생애

위그는 뤼지냥의 아메리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이벨린의 에스치바의 세 아들 중 막내였다. 그는 1194/1195년에서 1199년 사이에 태어났으며,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어머니를 여의었다. 위그와 그의 두 형제 가이와 존은 예루살렘 왕국과의 화해를 위해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1세의 세 딸 (몬페라토의 마리아, 샹파뉴의 앨리스, 샹파뉴의 필리파)과 각각 약혼했다. 위그는 아버지의 아들들 중 유일하게 어린 시절을 무사히 넘긴 아들이었다.

3. 통치

위그 1세는 1205년 아버지 아모리 드 뤼지냥이 사망하면서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했다. 키프로스 고등 법원은 그의 매제인 몽벨리아르의 발터를 섭정으로 임명했다. 발터는 룸 술탄국과 알도브란디노 사이의 안탈리아 소유권 분쟁에 개입했지만, 셀주크 왕조가 승리하면서 실패했다.[1]

1210년 성년이 된 위그 1세는 직접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섭정이었던 발터에게 책임을 물어 240,000 비잔트를 요구했다. 발터는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4세의 도움을 받아 키프로스를 떠났고, 브리엔의 요한의 보호를 받았다. 그는 인노첸시오 3세에게 서한을 보내 위그가 자신을 부당하게 추방하고 재산을 몰수했다고 주장했다.

위그 1세는 룸 술탄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상인들의 안전을 보장했다. 그는 여동생 헬비스를 레이몽 루벤과 결혼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교황의 개입 요청이 있었다. 인노첸시오 3세의 1213년 서한에 따르면 위그 1세는 브리엔의 요한의 반대자들을 지지했다. 교황은 위그 1세를 질책하기도 했다.

위그 1세는 구호기사단을 우대하여 관세를 면제하고 시리아에 증원군을 보내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217년 위그 1세는 제5차 십자군에 참가하여 언드라시 2세와 함께 갈릴리에 대한 군사 원정을 감행했다. 원정 후 귀환 도중 트리폴리에서 이복 여동생 Melisende of Lusignan|멜리상드|멜리상드 드 뤼지냥영어의 결혼식에 참석했으나, 1218년 1월 10일 식전 중 몸이 나빠져 그곳에서 사망했다. 유해는 트리폴리의 성 요한 기사단 소유 교회에 매장되었다가 니코시아로 이장되었다.

3. 1. 섭정 정치

위그는 1205년 4월 1일 아버지 아메리가 사망하면서 미성년자 상태로 키프로스 왕위를 계승했다. 키프로스 고등 법원은 그의 매제인 몽벨리아르의 발터를 섭정으로 임명했다. 발터는 위그의 후견인으로도 임명되어 왕국과 어린 군주에 대한 후견권을 모두 장악했다. 발터는 룸 술탄국과 모험가 알도브란디노 사이의 사탈리아 소유권 분쟁에 알도브란디노를 지지하며 개입했지만, 셀주크 왕조가 현지 그리스인들의 도움을 받아 마을을 점령하면서 실패로 끝났다.[1]

3. 2. 친정 시작과 대외 정책

1210년 9월, 위그 1세는 성년이 되어 직접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섭정이었던 발터 폰 몽벨리아르에게 섭정 기간 동안 자신을 "궁핍한 상태"로 두었다고 주장하며 책임을 물었다. 그는 발터에게 240,000 비잔트를 요구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가 사망했을 당시 왕실 금고에 있던 200,000 비잔트에 발터가 자신의 생계를 위해 사용한 40,000 비잔트를 더한 금액이었다. 발터는 변명 대신 안티오키아의 보에몽 4세의 도움을 받아 키프로스를 떠났고, 브리엔의 존의 보호를 받았다. 발터는 인노첸시오 3세에게 서한을 보내 위그가 고등 법원의 판결 없이 자신을 추방하고 재산을 몰수했다고 주장했다.

위그 1세는 룸 술탄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 상인들의 안전한 상업 활동을 보장했다. 그는 여동생 헬비스를 보에몽 4세의 경쟁자인 레이몽 루벤과 결혼시켰는데, 헬비스는 이미 발터 폰 몽벨리아르의 친족인 오도 드 댕피에르와 결혼한 상태였다. 오도 드 댕피에르는 교황에게 개입을 요청하여 새로운 결혼을 막아달라고 간청했다. 인노첸시오 3세의 1213년 서한에 따르면 위그 1세는 브리엔의 존의 반대자들을 지지했다. 교황은 또한 무슬림 배가 키프로스에 강제로 상륙시킨 브리엔의 존의 봉신들을 붙잡은 것에 대해 위그 1세를 꾸짖었다.

위그 1세는 특히 구호기사단을 우대했다. 그는 통치 시작과 함께 키프로스에서 사고 팔리는 상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했으며, 1214년에는 시리아에 증원군을 보내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3. 3. 제5차 십자군 참여와 사망

1217년 9월, 위그 1세는 제5차 십자군에 참가하여 언드라시 2세와 함께 무슬림 지배지 갈릴리에 대한 군사 원정을 감행했다. 원정 후, 키프로스 섬으로 귀환하는 도중 위그는 트리폴리에 들러 1218년 1월 10일에 개최된 이복 여동생 Melisende of Lusignan|멜리상드|멜리상드 드 뤼지냥영어의 결혼식에 참석했다. 그러나 식전 중 몸 상태가 나빠져 위그는 그곳에서 사망했다. 위그의 유해는 트리폴리의 성 요한 기사단 소유의 교회에 매장되었으며, 그 후 니코시아의 성 요한 기사단 교회로 이장되었다.

4. 가족

위그 1세는 예루살렘 여왕 이사벨 1세와 샹파뉴 백작 앙리 2세의 장녀인 앨리스 드 샹파뉴와 결혼했다. 앨리스는 결혼 당시 이사벨 1세의 후계자인 마리아의 상속녀였다.[1] ''에스투아르 드 에라클레스''에 따르면, 이 결혼은 위그가 1210년에 성년이 되기 전에 거행되었다. 다른 두 연대기(''안날레스 드 테르 생트''와 ''레 제스트 데 시프로아'')는 결혼 연도를 1211년으로 잘못 기록했다.

이 부부에게는 세 자녀가 있었다.

이름출생사망기타
마리1215년 3월 이전1251년 7월 5일 또는 1253년1233년 브리엔의 발터 4세 백작과 결혼. 브리엔의 위그의 어머니.
이사벨라1216년1264년안티오키아의 앙리와 결혼, 키프로스의 위그 3세의 어머니.
앙리 1세1217년1253년1218년 아버지의 죽음으로 키프로스 국왕이 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