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수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수여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인물로, 강화 위씨 출신이며 국왕의 측근 세력으로 관료가 되었다. 광종 때 사선을 시작으로 경종 원년에 원보, 지어주사를 거쳐 목종 이후 승진하여 1009년 문하시랑평장사가 되었다. 1012년 문하시중으로 봉해졌으나 같은 해 사망했으며, 내사령에 추증되고 시호는 안공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 위씨 - 위혜덕
  • 고려의 자작 - 최항 (972년)
    최항은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최언위의 손자이며 991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목종 때 김치양의 음모를 막고 현종을 옹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종의 명으로 태조 이하 7대조의 실록을 편찬하고 팔관회를 부활시켰다.
  • 고려의 자작 - 채충순
    채충순은 고려 목종 때 중추원부사를 거쳐 현종 옹립에 기여하고 거란 침입 시 왕을 호종했으며, 이부상서와 참지정사를 지내고 정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012년 사망 - 긴타로
    긴타로는 일본 민간 설화에 등장하는 강인함과 용기의 상징이며, 곰과 씨름하며 성장하여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부하로 활약했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소재로 활용되어 현대 일본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012년 사망 - 교황 세르지오 4세
    교황 세르지오 4세는 11세기 초에 재임한 교황으로, 로마 귀족의 영향력 아래에서 기근 구제와 수도원 보호에 힘썼으며, 예루살렘 성묘 교회 파괴 후 무슬림 축출을 촉구하는 칙서가 유포되었으나 진위 논란이 있다.
위수여
기본 정보
한자韋寿餘
한국어 (음독)위수여
문화관광부 2000년식 표기Wisuyeo
매큔-라이샤워 표기Wisuyŏ

2. 생애

위수여는 광종 때부터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목종, 현종 대에 이르기까지 고위 관직을 역임한 인물이다. 광종(재위 949~975년) 때 사선(司膳)으로 오래 있었고,[3] 976년(경종 원년) 원보(元甫)를 거쳐 지어주사(知御廚事)로 임명되었다.[4] 1012년(현종 3년) 2월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강화현개국자(江華縣開國子)에 봉해지고 식읍 5백 호를 받았다.[7] 같은 해 4월 26일(양력 5월 19일) 사망했으며, 사후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안공(安恭)이다.[1][3]

2. 1. 가문 및 성장 배경

위수여는 신라고려 초 혈구진(穴口鎭 : 오늘날 인천광역시 강화군) 지역의 해상 세력을 기반으로 성장한 강화 위씨(江華韋氏)로, 국왕의 측근 세력으로 출세한 관료이다.[2] 성품이 단아하고 성실해 법도를 잘 지켰다.[3]

2. 2. 관직 생활

신라고려인천광역시 강화군 혈구진(穴口鎭) 지역의 해상 세력을 기반으로 성장한 강화 위씨(江華韋氏) 출신으로, 국왕의 측근 세력으로 출세한 관료이다.[2] 성품이 단아하고 성실하여 법도를 잘 지켰다.[3]

광종(재위 949~975년) 때부터 사선(司膳)으로 오랫동안 근무하였고,[3] 976년(경종 원년)에는 원보(元甫)를 거쳐 지어주사(知御廚事)에 임명되었다.[4]

목종 이후 계속 승진하여 1009년(현종 즉위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되었다.[5] 1011년(현종 2년) 고령으로 은퇴하려 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6]

조정 신하들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아 1012년(현종 3년) 2월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강화현개국자(江華縣開國子)에 봉해지고 식읍 5백 호를 받았다.[7]

2. 3. 최고위 관직 임명 및 사망

광종(재위 949~975년) 때부터 사선(司膳)으로 오래 있다가[3] 976년(경종 원년)에는 원보(元甫)로 있었고, 지어주사(知御廚事)로 임명되었다.[4] 목종 이후 계속 승진해 1009년(현종 즉위년)에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되었다.[5]

1011년(현종 2년)에 나이가 많아 물러나고자 했으나 허락하지 않고 궤장(几杖)이 하사되었다.[6] 조정의 신하들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았으므로 크게 등용하고자 해 1012년(현종 3년) 2월에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강화현개국자(江華縣開國子)로 봉하고 식읍 5백 호를 주었다.[7] 같은 해 4월 26일(양력 5월 19일)에 사망했다.[1]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안공(安恭)이다.[3]

참조

[1] 서적 고려사 1012-04-26
[2] 서적 한국 중세 사회사 연구 일조각
[3] 서적 고려사
[4] 서적 고려사 976-11
[5] 서적 고려사 1009-10-01
[6] 서적 고려사절요 1011-05
[7] 서적 고려사 1012-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