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진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진후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유중과 은진 송씨의 아들이다. 인현왕후와 민진원의 형제이며,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숙종 때 벼슬길에 올라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기사환국과 갑술환국 등 정치적 격변 속에서 부침을 겪었다. 숭록대부, 예조판서 등을 지냈고, 경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문집으로 《지재집》이 전해지며, 김창집, 이이명 등과 친분이 있었다.

2. 생애

민진후는 민유중과 은진 송씨 (송준길의 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인현왕후민진원은 그의 동생들이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81년(숙종 7) 생원이 된 뒤, 1686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기사환국으로 삭탈관직되어 귀양을 갔다.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복직되었다. 이후 여러 요직을 거쳤고, 1705년에는 김종서의 복권을 청했으나 무산되었다. 1706년에는 세자모해설 관련 옥사 때의 일로 탄핵받아 파직되었다가 복직되기도 했다.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1717년 다시 기용되었으며, 1718년 숭록대부에 올랐다. 1720년 개성부 유수로 재직 중 사망했다.

인품이 뛰어나 문집으로 《지재집》(趾齋集)이 전하며,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경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와도 친분이 깊었다.

2. 1. 초기 생애

민유중송준길의 딸인 은진 송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인현왕후민진원은 그의 동생들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 민유중과 백부 민정중의 스승이기도 한 송시열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681년(숙종 7) 생원이 되었고, 168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관직에서 삭탈되어 귀양을 갔다. 이후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세자시강원 설서(說書)로 복직되었다.

2. 2. 관직 생활

1681년(숙종 7) 생원시에 합격하고, 168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正字)가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삭탈관직되어 귀양 갔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세자시강원 설서(說書)로 복직되었다. 이후 사간원 정언, 부응교, 헌납, 시독관, 수찬, 검토관, 북평사를 거쳐 승지가 되었다. 홍문관부제학을 지낸 뒤 1697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대사간, 강화부유수, 장례원판결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호조참판을 거쳐 한성부판윤으로 승진, 형조판서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예조판서, 좌참찬, 한성부판윤, 지경연사를 역임했다. 예조판서, 지의금부사, 수어사를 거쳐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우참찬, 지의금부사를 다시 역임했다.

1705년 조선 초기 좌정승 김종서의 죄를 회복하고 관작을 복구할 것을 청했으나 무산되었다. 1706년 의금부 지사(知事)로서, 유생 임부(林溥)가 세자모해설(世子謀害說)을 발설하여 일어난 옥사 때 왕 앞에서 함부로 논죄하다가 탄핵받아 파직되었다. 그러나 복직되어 판의금부사, 좌참찬, 수어사, 판중추부사, 한성부판윤, 형조판서,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했다. 형조판서, 수어사, 판돈녕부사, 제조, 병조판서, 한성부판윤, 예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 수어사, 좌참찬, 한성부판윤을 역임하고 예조판서, 지경연사,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판의금부사, 좌참찬 등을 역임했다.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1717년 다시 기용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돈령부판사,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거쳐 1718년 숭록대부에 올랐다. 내국제조(內局提調)로서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719년 의정부 우참찬, 의정부 좌참찬을 거쳐 1720년에 개성부 유수로 재직 중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민광훈(閔光勳)
조모연안 이씨(延安李氏)이광정(李光庭)의 딸
아버지민유중(閔維重)
어머니은진 송씨(恩津 宋氏)송준길(宋浚吉)의 딸
누나여흥 민씨(驪興 閔氏)이만창(李晩昌)에게 출가[1]
남동생민진원(閔鎭遠)
제수파평 윤씨(坡平 尹氏)윤지선(尹趾善)의 딸
여동생인현왕후
매제숙종조선 19대 국왕
여동생민정성 혹은 민정제[2]
매제신석화(申錫華)신정(申晸)의 아들, 장렬왕후 조씨의 언니의 손자이자 숭선군의 처남의 아들
계모풍양 조씨(豊壤 趙氏)
이복 남동생민진영(閔鎭永)1682년 ~ 1724년
이복 여동생여흥 민씨(驪興 閔氏)이선의 아들 이장휘(李長輝)에게 출가
이복 여동생여흥 민씨(驪興 閔氏)홍우조(洪禹肇)에게 출가
초실연안 이씨판서 이단상(李端相)의 딸[3]
장녀여흥 민씨(驪興 閔氏)조규빈(趙奎彬)에게 출가[4][5]
외손자조영진(趙榮進)[6]
계실연안 이씨현감 이덕로(李德老)의 딸
아들민익수(閔翼洙)1690년 ~ 1742년[7]
손자민백분(閔百奮)[8]
손녀여흥 민씨(驪興 閔氏)홍지해(洪趾海)에게 출가, 홍상간(洪相簡)의 어머니
손녀여흥 민씨(驪興 閔氏)윤일복(尹一復)에게 출가, 윤지술(尹志述)의 아들이자 둘째 며느리 윤씨의 친정 조카
아들민우수(閔遇洙)1694년 ~ 1756년
자부칠원 윤씨(漆原 尹氏)윤지술(尹志述)의 누나이자 구성필(具成必)의 생질녀[9][10]
손자민백첨(閔百瞻)
손자민백겸(閔百兼)
차녀여흥 민씨(驪興 閔氏)김광택(金光澤)에게 출가[11]


4. 미디어

참조

[1] 문서 이숙의 가계 및 친족 관계
[2] 문서 제망실송부인문 발췌
[3] 문서 김수항 가문 및 친족 관계
[4] 문서 인현왕후의 질녀
[5] 문서 조태휘의 가계
[6] 문서 조규빈과 영조의 관계
[7] 문서 명성황후의 고조부
[8] 문서 명성황후의 증조부
[9] 문서 윤지술의 정치적 행보
[10] 문서 윤지술 남매의 어머니의 양동생
[11] 문서 김만중의 손자 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