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신론은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계시나 기적과 같은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개입을 부정하는 종교관이다. 16세기부터 유럽에서 시작되어, 이성과 자연법칙을 중시하며, 종교적 의식과 교리를 비판하는 특징을 보인다. 고대 그리스 철학, 무타질라 학파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17세기 영국에서 허버트 오브 처버리의 저술을 통해 체계화되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토머스 페인 등도 이신론의 영향을 받았으며, 20세기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현대 유신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신론은 데이비드 흄 등의 비판과 자연주의, 계몽주의, 이성주의의 발달로 쇠퇴하기도 했지만, 무신론, 범신론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개인적인 신념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신론 - 고트글로이비히
고트글로이비히는 나치 독일에서 기독교 교파에 속하지 않으면서 게르만 민족의 도덕 감각에 반하지 않는 신을 믿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나치당의 탈종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장려되었으며 기독교에서 이탈한 다양한 종교적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1939년 독일인 3.5%를 차지했다. - 이신론 - 이성 숭배
프랑스 혁명 시기 급진 혁명가들이 주창한 이성 숭배는 이성, 자유, 자연과 같은 추상적 개념을 숭배 대상으로 삼은 반성직주의적 시민 종교였으나, 로베스피에르의 반대와 나폴레옹에 의해 금지되며 쇠퇴했다. - 일신교 - 시크교
시크교는 15세기 후반 인도 펀자브에서 구루 나낙이 창시한 유일신교로, 와헤구루를 믿으며 『구루 그란트 사히브』를 경전으로 삼고, 10명의 구루의 가르침, 신의 이름 염송, 이타적 봉사, 영적·세속적 권위의 조화를 강조하고 카스트 제도와 우상 숭배를 거부하며 인간 평등을 중시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2,500만~3,000만 명의 신자를 가지고 있다. - 일신교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유신론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신론 - 다신교
다신교는 여러 신을 숭배하는 신앙 체계로, 신들의 본질과 역할,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포함하며 고대 종교와 현대 종교에서 나타나고, 일신교 내에서도 다신교적 해석이 가능하다.
이신론 | |
---|---|
개요 | |
종류 | 유신론의 한 형태 |
핵심 믿음 | 이성으로 이해 가능한 신의 존재와 자연 질서 |
주요 특징 | 신의 계시나 기적을 거부 자연법칙을 통한 신의 존재 증명 종교적 교리나 의식의 필요성 부정 |
관련 용어 | 자연신학, 이성 종교 |
신관 | |
신의 속성 | 창조주이자 우주 설계자 전지전능하지만 우주에 개입하지 않음 도덕적 가치의 근원 |
신과의 관계 | 자연과 이성을 통해 이해 가능 |
역사 | |
기원 | 17세기 영국에서 시작 |
발전 | 계몽주의 시대에 번성 |
주요 인물 | 에드워드 허버트 존 톨랜드 매튜 틴들 볼테르 토마스 제퍼슨 |
영향 | 자유주의 및 합리주의 사상에 영향 |
철학적 배경 | |
인식론 | 이성과 경험을 중시 |
형이상학 | 자연주의적 세계관 |
윤리학 | 이성에 근거한 도덕 |
논리적 근거 | 존 로크의 경험주의와 아이작 뉴턴의 기계론적 우주관 |
비판 | |
주요 비판 |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어렵다는 비판 도덕적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비판 종교적 경험을 무시한다는 비판 |
반론 | 이성과 자연 질서를 통해 신의 존재를 추론 가능 이성적인 도덕 체계 제시 |
현대적 관점 | |
현대의 이신론 | 현대 과학과 조화 추구 종교적 다원주의와 공존 비종교적 영성의 한 형태로 인식 |
추가 정보 | |
같이 보기 | 자유사상 무신론 불가지론 자연주의 |
참고 문헌 | |
참고 서적 | James A. Herrick, The Radical Rhetoric of the English Deists: The Discourse of Skepticism, 1680–1750 William Bristow, "Religion and the Enlightenment: Deism" Frank Edward Manuel, David A. Pailin, K. Mapson, Matt Stefon, Deism Kaufmann Kohler, Emil G. Hirsch, Deism Alan W. Gomes, Deism |
2. 이신론의 역사와 발전
이신론은 성경을 비판적으로 연구하고 계시(啓示)를 부정하거나 그 역할을 현저히 후퇴시켜 기독교의 신앙 내용을 오로지 이성적인 진리에 한정시킨 합리주의 신학의 종교관이다. 신이 세계를 창조한 뒤에는 직접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은 영국 이신론에 해당되지 않으며, 반기독교적이라는 특징도 프랑스 이신론에만 해당되는데, 루소는 예외이다.[106]
우주의 창조자로서의 신은 인정하지만, 성경 등에 전해지는 것과 같은 인격적 존재는 인정하지 않는다. 신이 행한 것은 우주와 그 자연법칙의 창조뿐이며, 그 이후 우주는 자기 발전한다고 본다.[106] 인간 이성의 존재를 그 논의의 전제로 삼고, 기적·계시·예언 등에 의한 신의 개입은 있을 수 없다고 배척한다. 신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유신론(theism)의 하나라고 할 수 있지만, 계시를 긍정하는 다른 견해와는 구별된다. 일본에서는 이타가키 타이스케가 신도의 입장에서 이를 주장하며 『성경』의 내용을 "황당무계한 망상"이라고 비판했다.[107]
이신론은 계몽시대에 유행했다.[106] 17세기 스피노자 등을 기원으로 하여 영국에서 논쟁이 일어났고, 18세기 프랑스와 독일의 계몽사상가들에게 계승되어 프랑스 혁명기 "최고 존재의 축제"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1624년 처버리의 허버트 경은 『진리에 관하여』를 출간하여 자연종교의 다섯 가지 기본 명제를 제시했다.
# 신의 존재
# 신을 예배할 의무
# 경험과 덕행의 중요성
# 회개하는 것의 정당성
# 내세에서의 은총과 타락의 존재
50년 후 스피노자는 『신학정치론』에서 신의 존재, 단일성, 편재성, 지고성 등의 조항을 열거하며 “신은 박애심과 정의심으로 예배되어야 하며, 신을 따르는 자는 구원받고 따르지 않는 자는 멸망하지만, 회개하는 자의 죄는 반드시 용서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1695년 존 로크는 『그리스도교의 합리성』에서 이성과 성경의 권위가 공존함을 증명하려 했으나, "구원의 조건을 부당하게 낮춰 이단자들이 구원받도록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1696년 존 톨랜드는 『그리스도교는 신비주의적이 아니다』를 저술하여 그리스도교의 본질은 도덕 규범에 불과하며, 후대 교회가 설정한 교리는 그리스도교 신조를 독단적으로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국의 자연신론을 프랑스에서 계승한 사람은 볼테르이다. 그는 기독교와 관련된 여러 전설과 성물을 조롱하며, 무신론 직전까지 나아갔다. 콩디야크, 엘베시우스, 돌바크, 라 메트리 등은 르네 데카르트의 기계론을 계승하여 자연신론자와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장 자크 루소는 『에밀』 제4권에서 이성이 아닌 감정에 기초한 유신론을 제시했다. 그의 자연종교에서는 특정 인간에게 나타나는 계시는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루소의 “유신론”은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에게 계승되어, 프랑스 혁명이 격렬해졌던 시기에 “이성 숭배”에 반대하여 거행된 “최고 존재의 축제”에 나타나 있다.
독일에서 자연신론의 대표자는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이다. 하지만 레싱은 기독교에 대해 고정된 입장을 취하지 않았고, “증명을 통해 신앙을 강요하려는” 자연신론자에게도 반대했다. 희곡 『현명한 나탄』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중 어떤 종교를 선택하는 것보다 “인간인 것만으로 충분하다”라는 주제가 다루어졌다.
이마누엘 칸트는 『순수 이성 비판』에서 자연신론자들의 신 존재 증명을 모두 무효임을 증명했지만, 『실천 이성 비판』에서는 신은 이성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의지에 의해 요구되는 존재라고 보았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칸트의 신 논증을 “모순 덩어리”라고 불렀다.
2. 1. 고대 및 이슬람
자연신론적 사고는 고대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자연신론의 뿌리는 철학적 전통인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14] 3세기 기독교 신학자이자 철학자인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인간의 일에 개입하지 않는 하느님을 믿었고, 따라서 그가 생각하기에 방탕한 삶을 살았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했습니다.[14]이슬람교의 역사에서 가장 초기의 체계적인 이슬람 신학 학파 중 하나는 8세기 중반에 등장한 무타질라(Muʿtazila)입니다.[15][16] 무타질라 신학자들은 이성과 합리적 사고의 사용을 강조하여, 신의 계율은 합리적 사고와 탐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꾸란(Quran)은 신과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된(makhlūq)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이슬람 신학 역사상 가장 논쟁적인 질문 중 하나로 발전했습니다.[15][16]
9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는, 10세기 무슬림 학자이자 신학자인 아부 알 하산 알 아슈아리(Abū al-Ḥasan al-Ashʿarī)가 창시한 아슈아리 학파(Ashʿarī school)가 무타질라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했습니다.[17] 아슈아리 학파는 여전히 꾸란을 이해하는 데 이성의 사용을 가르쳤지만, 이성으로 도덕적 진리를 추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인했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마투리디 학파(Māturīdī school)에 의해 반대되었습니다.[18] 10세기 무슬림 학자이자 신학자인 아부 만수르 알 마투리디(Abū Manṣūr al-Māturīdī)에 따르면, 인간의 이성은 신의 계시와는 독립적으로 오로지 합리적 사고에 근거하여 창조주(bāriʾ)의 존재를 인식해야 합니다.[18] 그는 그의 스승이자 전임자인 아부 하니파 안 누만(Abū Ḥanīfa al-Nuʿmān)(8세기)과 이러한 확신을 공유했지만, 알 아슈아리는 그러한 견해를 결코 가지지 않았습니다.[18]
아프가니스탄계 미국 철학자인 사예드 하산 아흘락(Sayed Hassan Hussaini)에 따르면, 초기 이슬람 신학 학파와 고전 무슬림 철학자들 사이의 신학적 신념은 "신론에 약간의 경향을 보이는 풍부한 색깔의 범신론"으로 특징지어집니다.[19]
2. 2. 유럽의 이신론
허버트 오브 처버리는 17세기 영국에서 이신론을 처음으로 중요하게 제시한 인물로, 그의 저서 ''De Veritate(진리에 관하여)''(1624)에서 자연신론의 기초를 닦았다.[23] 그는 데카르트처럼 지식의 기초를 탐구하며, 경험에서 얻은 진리와 타고난 진리, 계시된 진리를 구분했다. 타고난 진리는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우리 정신에 각인되어 있다고 보았다. 허버트는 모든 종교를 통합하는 다섯 가지 공통 개념을 제시했다.# 최고의 신이 존재한다.
# 신은 숭배받아야 한다.
# 덕과 경건은 신 숭배의 주요 부분이다.
# 죄를 후회하고 회개해야 한다.
# 신은 이 세상과 그 이후에 보상과 처벌을 내린다.
허버트는 추종자가 적었으나, 1680년대 찰스 블런트가 그의 사상을 이었다.[24]
존 로크의 『인간 정신에 관한 에세이』(1690)는 영국 이신론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허버트의 인식론이 '타고난 관념'에 기반한 반면, 로크는 이를 비판했다. 이후 이신론자들은 타고난 관념 대신 경험과 자연에 근거한 주장을 펼쳤고, 뉴턴의 영향으로 설계 인자론을 신 존재의 주요 논거로 삼았다.[25]
피터 게이는 존 톨런드의 『신비주의가 아닌 기독교』(1696)와 그 반응을 로크 이후 이신론의 시작으로 본다. 톨런드와 매슈 틴달은 대중 선동가로 평가받았지만, 코니어스 미들턴과 앤서니 콜린스는 논쟁에 더 기여했다.[26] 윌리엄 윌러스턴, 찰스 블런트, 헨리 세인트 존, 1대 볼링브룩 자작, 피터 애넷, 토마스 처브, 토마스 모건 등도 영국 이신론자였다. 앤서니 애슐리쿠퍼, 3대 샤프츠베리 백작은 스스로 이신론자라 하지 않았지만, 이신론적 태도를 공유하여 이신론자로 여겨진다.[27]
매슈 틴달의 『창세기만큼 오래된 기독교』(1730)는 "이신론자들의 성경"으로 불리며, 이신론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28] 틴달은 이성에 기반한 지식으로 이신론 인식론의 기초를 재정의했고, 계시된 진리가 인간 이성으로 검증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전통적 기독교와 큰 차이를 보였다.

프랑스는 미셸 드 몽테뉴, 피에르 바이유, 몽테스키외 등 종교적 회의론과 자연신학의 전통이 있었다. 볼테르는 잉글랜드 망명(1726~1728) 중 뉴턴 과학과 영국 이신론을 접하고 프랑스에 소개했다.
프랑스 이신론자에는 막시밀리앵 로베스피에르와 장 자크 루소도 포함된다. 프랑스 혁명 시기 로베스피에르의 최고 존재 숭배는 잠시 프랑스의 국교였으며, 무신론적 이성 숭배와 경쟁했다.
500명이 넘는 프랑스 혁명가들이 이신론자였지만, 이들은 기적을 믿고 신에게 기도하는 등 전형적인 이신론자와는 달랐다. 70명 이상은 신이 프랑스 혁명의 승리를 도왔다고 믿었고, 100명 이상은 신에게 기도와 찬송가를 지었다.[64]
독일의 이신론은 잘 기록되지 않았지만, 볼테르와의 서신을 통해 프리드리히 2세가 이신론자였음을 알 수 있다. 임마누엘 칸트의 이신론 관련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65]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 독일 이신론의 대표자였으나, 기독교에 대한 고정된 입장을 취하지 않았고, 신앙 강요를 반대했다. 그의 희곡 『현명한 나탄』은 종교 선택보다 "인간인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주제를 다뤘다.
이마누엘 칸트는 『순수 이성 비판』에서 이신론자들의 신 존재 증명을 반박했지만, 『실천 이성 비판』에서 신은 의지에 의해 요구되는 존재라고 보았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칸트의 신 논증을 "모순 덩어리"라 불렀다.
2. 3. 미국에서의 이신론
영국의 존 톨런드와 매슈 틴들, 프랑스의 볼테르, 디드로, 장 자크 루소의 영향을 받아,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제퍼슨, 토머스 페인 등 다수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이신론적 사상을 가지게 되었다.[110] 이들은 대부분 세속적이며 정교분리를 지지하는 인물들이었다. 미국 독립선언서에 나오는 창조주는 기독교의 신이 아닌, 이신론에서 말하는 이성, 우주, 또는 자연법칙(자연신)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110]
13개 식민지는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미국인들은 영국의 지적 흐름에 영향을 받았다. 영국의 자연신론은 토머스 제퍼슨의 사상과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의 종교 자유 원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선 앨런,[48] 벤저민 프랭클린, 제임스 매디슨 등도 이신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기독교인이었는지, 이신론자였는지, 아니면 그 중간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49][50] 특히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제퍼슨, 조지 워싱턴의 종교관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다.[51][52][53]
프랭클린은 ''자서전''에서 젊은 시절 이신론에 심취했음을 밝혔다.[54][55] 그는 신의 섭리를 믿었고, "신이 인간사에 다스린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56][57]
토머스 제퍼슨은 스스로를 유니테리언이라고 칭했지만, 이신론적 경향을 강하게 보였다. 예수의 삶에서 초자연적인 내용을 제거한 ''제퍼슨 성경''을 편찬하기도 했다. 프랭클린과 마찬가지로 제퍼슨도 신의 지속적인 활동을 믿었다.[58]
토머스 페인은 미국 독립 혁명에 기여하고 이신론을 옹호한 인물로, ''이성의 시대'' 등의 저술을 통해 이성과 자유사상을 강조하고, 제도화된 종교와 기독교 교리를 비판했다.[13][59][60][61]
엘리후 팔머는 1801년에 "미국 이신론의 성경"으로 불리는 ''자연의 원리''를 저술하고, "뉴욕 이신론 학회"를 설립하여 이신론을 조직화하려 했다.[63]
토마스 에디슨은 토머스 페인의 ''이성의 시대''에 영향을 받아 "과학적 드이즘"을 옹호했다.[97] 그는 "최고 지성"의 존재는 믿지만, "종교의 신들"은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100] 그는 자신의 종교관 때문에 무신론자로 비판받기도 했지만, 사적인 편지에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97]
2001년 미국 종교 신분 조사(ARIS)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1년 사이에 자신을 이신론자라고 밝힌 사람의 수는 6,000명에서 49,000명으로 증가했다.[102] 2008년 ARIS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12%가 "이신론적 또는 이교도적인 개념의 신"을 믿는다고 나타났다.[104]
"의례적 드이즘"이라는 용어는 1962년에 만들어졌으며, 1984년부터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수정 제1조의 설립 조항에 대한 면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3. 이신론의 주요 특징과 사상
이신론은 기독교의 신앙 내용을 이성적인 진리에 한정시킨 합리주의 신학의 종교관으로, 성경에 대한 비판적 연구와 계시의 부정 또는 역할 축소를 특징으로 한다. 이신론자들은 신이 세계를 창조한 후에는 직접적으로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특히 유신론에서 신의 본질적 요소이자 종교의 존립 근거로 여겨지는 기적을 부정하기 때문에, 현실적 또는 잠재적으로 교회를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반기독교적으로 받아들여졌다.[108]
이신론은 종교 의식을 불필요하다고 여기며, 초자연적인 계시를 믿음의 기본으로 보는 것을 비웃었다. 이신론자들은 하느님의 창조물만이 유일한 경전이라고 주장했다.[108]
이신론은 주장하는 사람이나 유행한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기적을 부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영국의 존 톨런드와 매튜 틴달, 프랑스의 볼테르, 디드로, 장 자크 루소, 미국의 존 애덤스, 존 퀸시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벤저민 프랭클린 등이 대표적인 이신론자들이다. 특히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들은 세속적이고 정교분리주의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미국 독립선언서에 나오는 '창조주'는 기독교의 신이 아닌 이신론에서 말하는 신, 즉 이성, 우주 또는 자연법칙(자연신)을 의미한다는 주장이 있다.[110]
17세기의 스피노자를 기원으로 하는 이신론은 영국에서 논쟁을 일으켰고, 18세기 프랑스와 독일의 계몽사상가들에게 계승되어 프랑스 혁명기의 "최고 존재의 축제"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3. 1. 이성과 자연법칙
이신론은 성경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통해 계시의 역할을 부정하거나 축소하고, 기독교 신앙을 이성적 진리에 한정시킨 합리주의 신학의 종교관이다. 신이 세계를 창조한 후 직접 간섭하지 않는다는 이신론적 이해는 영국 이신론에는 해당되지 않으며, 반기독교적 특징은 프랑스 이신론에만 해당된다. 루소는 예외이다. 영국 이신론의 시조로 17세기 철학자 허버트를 강조하기도 하지만, 직접 영향을 끼친 존 로크가 더 타당하다.17세기 청교도들이 인간을 초월한 신의 계시를 주장한 것에 대해, 로크는 《인간오성론》과 《그리스도교의 합리성》에서 이신론적 입장에서 계시와 이성의 일치를 통해 자연 종교를 인정했다. 허버트의 이론은 반이성적인 것을 부정하고 초이성적인 것을 인정한 로크보다 진보한 것이다. 매튜 틴달의 저서 《기독교는 창조처럼 오래되었고, 복음은 자연종교를 재출간한 것》(1730)은 이신론의 성경으로 불리며, 이성이 성경보다 먼저 창조되었음을 강조하며 이성을 절대시했다.[109]
계몽주의 덕이즘은 이성과 자연 세계의 특징이 종교적 지식의 타당한 근거이며, 계시는 그렇지 않다는 두 가지 철학적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29][30] 이들은 신의 존재와 창조, 인간에게 이성을 사용할 능력을 부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31][32]
이신론은 우주의 창조자로서 신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성경 등에 나타난 인격적 존재는 부정한다. 신은 우주와 자연법칙을 창조했을 뿐이며, 이후 우주는 스스로 발전한다고 본다.[106] 인간 이성을 전제로 기적, 계시, 예언 등을 통한 신의 개입은 배척한다. 신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유신론(theism)의 일종이지만, 계시를 긍정하는 다른 견해와는 구별된다. 일본의 이타가키 타이스케는 신도의 입장에서 이신론을 주장하며 『성경』을 "황당무계한 망상"이라고 비판했다.[107]
1624년 처버리의 허버트 경은 『진리에 관하여』에서 자연종교의 다섯 가지 기본 명제를 제시했다. 50년 후 스피노자는 『신학정치론』에서 신의 존재, 단일성, 편재성, 지고성 등의 조항을 열거하고 신을 예배해야 함을 주장했다.
1695년 존 로크는 『그리스도교의 합리성』에서 이성과 성경의 권위 공존을 주장했으나 비난받았다. 1696년 존 톨랜드는 『그리스도교는 신비주의적이 아니다』에서 그리스도교의 본질은 도덕 규범이며, 교회가 설정한 교리는 왜곡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인간 인식이 신에 대한 지식에 이를 수 있는지, 아니면 신의 존재가 이성을 초월하는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를 통해 일시적으로 해결된다.
이신론 논쟁에서 논쟁자들은 이성이 자연법칙을 재구성하는 능력을 인정한다는 점에 동의했다. 많은 이신론자들은 성경이 신에게서 유래했음을 인정했고, 훌륭한 그리스도교인이면서 동시에 이신론자일 수 있었다.
3. 2. 계시와 기적의 부정
이신론은 기독교의 계시, 기적, 예언 등 초자연적인 요소를 부정한다. 이는 신이 세계를 창조한 후에는 직접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보는 이신론의 관점에 따른 것이다.[108] 이신론은 종교 의식이나 초자연적 계시를 믿음의 기본으로 삼는 것을 비판하며, 오직 신의 창조물만을 신성한 경전으로 여긴다.[108]매튜 틴달의 저서 《기독교는 창조처럼 오래되었고, 복음은 자연종교를 재출간한 것》(1730)은 이성을 통해 신의 뜻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성이 성경보다 먼저 창조되었음을 강조한다.[109] 이는 이성을 절대시하는 이신론의 성향을 보여준다.
계몽주의 이신론은 두 가지 철학적 주장을 바탕으로 한다. 첫째, 이성과 자연 세계는 종교적 지식의 타당한 근거이다. 둘째, 계시는 종교적 지식의 타당한 근거가 아니다.[29][30]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비판적" 주장들이 도출된다.
- 신성한 계시를 담고 있다고 주장하는 모든 책(꾸란과 성경 포함)을 거부한다.[33]
- 삼위일체와 같은 종교적 "신비"에 대한 이해할 수 없는 개념을 거부한다.
- 기적, 예언 등에 대한 보고를 거부한다.
대부분의 이신론자들은 성경의 기적 이야기를 포함한 모든 초자연적인 현상을 거부했다.[41] 이들은 신이 자연법칙을 확립하고 우주를 움직이게 한 후에는 개입하지 않는다고 믿었다.[42]
이신론은 우주의 창조자로서 신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성경 등에 나타나는 인격적 존재는 부정한다. 신의 역할은 우주와 자연법칙을 창조하는 것에 그치며, 이후 우주는 스스로 발전한다고 본다.[106] 인간 이성의 존재를 전제로, 기적·계시·예언 등을 통한 신의 개입은 있을 수 없다고 배척한다.[106]
일본에서는 이타가키 타이스케가 신도의 입장에서 이신론을 주장하며, 『성경』의 내용을 "황당무계한 망상"이라고 비판했다.[107]
3. 3. 삼위일체 부정
이신론은 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한다. 이신론은 성경을 비판적으로 연구하고 계시(啓示)를 부정하거나 그 역할을 현저히 후퇴시켜 기독교의 신앙 내용을 오로지 이성적인 진리에 한정시킨 합리주의 신학의 종교관이기 때문이다. 신이 세계를 창조한 뒤에는 직접 세계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은 영국 이신론에 해당되지 않으며, 반기독교적이라는 특징은 프랑스 이신론에만 해당되는데, 루소는 예외이다. 영국 이신론의 시조로서 17세기의 철학자 허버트를 강조하기도 하나, 직접 영향을 끼친 존 로크가 더욱 타당하다. 17세기에 청교도들이 인간을 초월한 신의 계시(啓示)를 제창한 것에 대해서, 로크는 《인간오성론》이나 《그리스도교의 합리성》에서 이신론 입장에서 계시와 이성과의 일치로서 자연 종교를 인정하였다. 허버트의 이론은 반이성적인 것을 부정하고 초(超)이성적인 것을 인정한 로크보다 진보한 것이다.3. 4. 종교의 기원과 '사제술(priestcraft)' 비판
데이즘(이신론)의 중심 전제는 당시의 종교들이 순수하고, 자연스럽고, 단순하며, 합리적인 원초 종교가 타락한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이신론자들은 사제들이 개인적인 이득과 사제 계급의 이익을 위해 종교를 조작하고, 미신과 "신비"—비합리적인 신학적 교리—로 뒤덮으면서 인간이 이 원초 종교를 잃었다고 보았다. 이신론자들은 종교 교리의 이러한 조작을 경멸적인 용어인 "사제술(priestcraft)"이라고 불렀다.이신론자들에게 자연 종교의 이러한 타락은 평신도들을 "신비"에 혼란스럽게 하고 구원을 위한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제 계급에 의존하게 하도록 설계된 것이었다. 이것은 사제 계급에게 많은 권력을 주었고, 이신론자들은 사제 계급이 이 권력을 유지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믿었다. 이신론자들은 "사제술"과 "신비"를 제거하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여겼다. 아마도 가장 저명한 이신론 작가인 틴달은 이것이 기독교 교회의 적절하고 원초적인 역할이었다고 주장했다.[36]
이러한 전제는 현대의 원시 사회 또는 먼 과거에 존재했던 사회는 미신이 덜 스며들고 자연 신학에 더 가까운 종교적 신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데이비드 흄과 같은 사상가들이 종교의 자연사를 연구하기 시작하고 종교의 기원이 이성이 아니라 미지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감정에 있다고 제안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점점 더 타당성을 잃어갔다.
3. 5. 영혼 불멸과 내세관
이신론자들은 영혼 불멸, 악인을 처벌하기 위한 지옥과 형벌, 선인을 보상하기 위한 천국의 존재에 대해 서로 다른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콜린스, 볼링브룩, 처브, 애넷은 유물론자였으며, 영혼 불멸을 부정하거나 의심했다.[38] 프랭클린은 윤회 또는 부활을 믿었다. 허버트 백작과 워러스트[39]는 영혼이 존재하고 죽음 이후에도 생존하며, 사후 세계에서 그들의 삶의 행위에 대해 신에 의해 보상받거나 처벌받는다고 믿었다. 페인은 영혼 불멸의 "가능성"을 믿었다.[40]3. 6. 자유의지와 결정론
뉴턴 과학의 영향을 받은 계몽주의 철학자들은 우주를 창조주에 의해 만들어지고 움직이기 시작하여 신의 개입 없이 자연법칙에 따라 계속 작동하는 거대한 기계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견해는 당시 "필연론"(현대 용어는 "결정론")[43]이라고 불린 것으로 이어졌다. 즉, 우주에 있는 모든 것, 인간 행동을 포함하여, 모든 것이 선행 환경과 자연 법칙에 의해 완전히 인과적으로 결정된다는 견해이다. (예를 들어, 라 메트리의 [http://www.cscs.umich.edu/~crshalizi/LaMettrie/Machine/ ''L'Homme machine''] 참조). 결과적으로 자유 의지 대 "필연성"에 대한 논쟁은 계몽주의 시대의 종교 및 철학적 논의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당시의 지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자유와 결정론에 대한 견해에서도 신에 대한 믿음을 갖는 사람들(이신론자)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앤서니 콜린스와 같은 일부 사람들은 실제로 필연론자였다.[44]4. 이신론의 비판과 현대적 의의
이신론은 계몽시대에 유행했던 사상으로, 17세기 스피노자 등을 기원으로 하여 영국에서 논쟁이 일어났고, 18세기 프랑스와 독일의 계몽사상(피로조프)들에게 계승되었다.[106] 이는 프랑스 혁명기의 "최고 존재의 축제"의 사상적 배경이 되기도 했다.
이신론은 우주의 창조자로서 신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성경 등에 나오는 인격적인 신은 부정한다. 이들은 신이 우주와 자연법칙을 창조한 후에는 우주가 스스로 발전한다고 보며, 기적, 계시, 예언 등을 통한 신의 개입을 부정한다.[106] 신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점에서는 유신론의 일종이지만, 계시를 긍정하는 다른 견해와는 구별된다. 일본에서는 이타가키 다이스케가 신도의 입장에서 이신론을 주장하며 『성경』을 비판하기도 했다.[107]
자연주의, 계몽주의, 이성주의에 입각한 이신론은 현대 무신론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이신론이 유니테리언 등 일부 기독교 종파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는 이신론의 영향이라기보다는 초기 기독교 교회의 재발견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또한, 이신론의 일반 교의는 종교 자체를 부정한다. 한편, 이신론은 범신론과 연결되어 범이신론, 범재이신론 등을 낳기도 했다.
4. 1. 데이비드 흄의 비판

데이비드 흄은 자연신론자였는지, 무신론자였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45] 흄은 계시를 거부하고, "기적에 관하여"라는 에세이에서 기적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반박했다. 그러나 그는 이성이 종교를 정당화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종교의 자연사"(1757)에서 흄은 다신교가 일신교보다 먼저 나타난 "인류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종교"였으며, 종교의 심리적 기반은 이성이 아니라 미지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주장했다.[46] 워링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당시 이신론의 중심 전제는 기존 종교들이 순수하고 자연스러우며 합리적인 원초 종교에서 타락했다는 것이었다. 인간은 사제들이 개인과 사제 계급의 이익을 위해 종교를 조작하고, 미신과 비합리적인 신학적 교리인 "신비"로 뒤덮으면서 이 원초 종교를 잃었다고 보았다. 이신론자들은 종교 교리의 이러한 조작을 "사제술(priestcraft)"이라고 경멸했다. 이신론자들은 이러한 "사제술"과 "신비"를 제거하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여겼다.[36]
> 이러한 전제는 현대 원시 사회나 먼 과거의 사회가 미신이 덜하고 자연 신학에 더 가까운 종교적 신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흄과 같은 사상가들이 종교의 자연사를 연구하면서 종교의 기원이 이성이 아니라 미지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감정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설득력을 잃어갔다.
4. 2. 이신론의 쇠퇴 원인
자연주의, 계몽주의, 이성주의에 입각한 이신론은 현대 무신론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범신론과 연결되어 범이신론, 범재이신론 등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피터 게이(Peter Gay)는 계몽주의 급진적 유신론(Enlightenment Deism)이 1730년대에 눈에 띄는 운동으로서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기술한다.[66] 이러한 쇠퇴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었다.[67]- 자연주의와 유물론의 증가하는 영향력.
- 데이비드 흄과 이마누엘 칸트의 저술이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한 이성의 능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 프랑스 혁명의 폭력성.
- 경건주의와 감리교와 같은 기독교 부흥 운동(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강조함)과 요한 게오르크 하만과 같은 반이성주의적이고 계몽 반대 철학의 부상.[67]
급진적 유신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기가 감소했지만, 학자들은 이러한 사상들이 여전히 현대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믿는다.[68] 급진적 유신론자들의 주요 활동 중 하나였던 성서 비평은 독자적인 고도의 기술적 학문으로 발전했다. 계시된 종교에 대한 급진적 유신론자들의 거부는 19세기 자유주의 영국 신학과 유니테리언교의 부상으로 이어지고 기여했다.[67]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에 의해 "신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인간에게는 인식할 수 없다"는 형태로 일시적으로 해결되었다.
일본에서는 이타가키 다이스케가 "자신은 신도 신자이다"라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이신론을 주창했다(『신과 인도』).
4. 3. 현대 이신론
자연주의, 계몽주의, 이성주의에 입각한 이신론은 현대 무신론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이신론이 기독교 종파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옳지 않다. 유니테리언 등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견해는 기적을 부정하는 이신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초기 기독교 교회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신론의 일반 교의에서는 종교 자체가 부정된다.범신론과 연결되어 범이신론, 범재이신론 등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현대적 유신론(Contemporary Deism)은 고전적 유신론을 현대 철학과 현재 과학 지식의 상태와 통합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는 "유신론"이라는 광범위한 분류 아래 다양한 개인적 신앙을 낳았다.
현대 유신론에는 여러 하위 범주가 있는데, 여기에는 '''일신론적 유신론'''(monodeism)(기본적이고 표준적인 유신론 개념), 범신론(Pandeism), 범신일원론(Panendeism), 영적 유신론, 과정 유신론(Process Deism), 기독교적 유신론, 다신론적 유신론(Polydeism), 과학적 유신론, 그리고 인본주의적 유신론 등이 포함된다.[69][70][71] 어떤 유신론자들은 자연 속의 설계와 우주와 삶의 목적을 본다. 다른 이들은 신과 우주를 공동 창조 과정으로 본다. 어떤 유신론자들은 신을 인류를 관찰하지만 우리 삶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 고전적인 의미로 보는 반면, 다른 이들은 신을 세상을 창조한 다음 관찰하기 위해 물러난 미묘하고 설득력 있는 영으로 본다.
1960년대, 신학자 찰스 하츠혼(Charles Hartshorne)은 엄격하게 유신론과 범신론(그리고 범신론)을 검토하고 기각하여, "어떤 면에서는 절대적 완전성, 다른 모든 면에서는 상대적 완전성" 또는 "AR"이라는 특징을 가진 신 개념을 지지했다. 그는 이 이론이 "유신론이나 범신론의 모든 긍정적인 면을 일관되게 포괄할 수 있다"라고 쓰면서, "범신론적 교리는 그들의 임의적인 부정을 제외한 유신론과 범신론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라고 결론지었다.[72]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는 2007년 저서 『세속 시대』(A Secular Age)에서 유신론의 역사적 역할을 보여주며, 그가 "배타적 인본주의"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이 인본주의는 초월성에 대한 언급 없이 전적으로 인간 내부에 존재론적(ontic) 헌신을 하는 도덕 질서를 불러일으킨다.[73] 이러한 유신론 기반 인본주의의 특별한 업적 중 하나는 인간이 상호 이익을 위한 행위를 수행하도록 동기 부여하고 능력을 부여하는 새로운 인간중심주의적 도덕적 근원을 드러낸다는 것이다.[74] 이것은 완충되고 분리된 자아의 영역으로, 존엄성, 자유, 규율의 근거이며 인간의 능력에 대한 감각을 부여받는다.[75] 테일러에 따르면, 19세기 초 이 유신론을 매개로 한 배타적 인본주의는 개인적 신과 기적과 신비의 질서에 대한 기독교 신앙의 대안으로 발전했다. 유신론의 비평가들 중 일부는 지지자들이 허무주의의 부상을 용이하게 했다고 비난했다.[76]
4. 4.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이신론은 자연주의, 계몽주의, 이성주의에 입각하여 현대 무신론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이신론이 기독교 종파에 영향을 주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유니테리언 등의 견해는 기적을 부정하는 이신론의 영향이 아니라 초기 기독교 교회의 재발견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는 옳지 않다. 이신론의 일반 교의에서는 종교 자체가 부정된다.범신론과 연결되어 범이신론, 범재이신론 등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Deist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2-10-10
[3]
서적
Multiverse Deism: Shifting Perspectives of God and the World
Rowman & Littlefield
[4]
서적
Models of God and Alternative Ultimate Realities
Springer Verlag
[5]
서적
The World of the American Revolution: A Daily Life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imprint of ABC-Clio
[6]
백과사전
Religion and the Enlightenment: Deism
https://plato.stanfo[...]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
2021-08-03
[7]
백과사전
De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03-13
[8]
백과사전
Deism
Wiley-Blackwell
[9]
백과사전
Deism
https://jewishencycl[...]
Kopelman Foundation
[10]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2023-03-15
[11]
백과사전
Deism
Routledge
[12]
서적
The Radical Rhetoric of the English Deists: The Discourse of Skepticism, 1680–1750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3]
서적
Thomas Paine: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Routledge
[14]
서적
Ante-Nicene Christian Library: Translations of the Writings of the Fathers down to AD 325
[1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La théologie musulmane et l'étude du langage
https://www.persee.f[...]
Société d'histoire et d'Épistémologie des Sciences du Langage
1980-00-00
[1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Islamic Philosophy between Theism and Deism
Aletheia - Associação Científica e Cultural
2016-00-00
[20]
백과사전
Déisme
https://hls-dhs-dss.[...]
Swiss Academ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05-08-22
[21]
서적
Dictionnaire historique et critique
https://books.google[...]
Desoer
[22]
서적
English Deism: Its Roots and Its Fruits
Eerdmans
[23]
서적
The Seventeenth Century Background: Studies in the Thought of the Age in Relation to Poetry and Religion
[24]
서적
(see above)
[25]
참고자료
[26]
서적
(see above)
[27]
서적
(see above)
[28]
서적
(see above)
[29]
서적
History of English Thought in the Eighteenth Century 3rd Edition 2 vols (reprinted 1949)
http://catalog.hathi[...]
Smith, Elder & Co
1881-00-00
[30]
서적
Deism: An Anthology
Van Nostrand
[31]
서적
Christianity as Old as the Creation
[32]
서적
Christianity Not Mysterious: or, a Treatise Shewing That There Is Nothing in the Gospel Contrary to Reason, Nor above It
[33]
서적
An Account of the Growth of Deism in England
http://www.gutenberg[...]
[36]
서적
Christianity as Old as the Creation
Waring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The Age of Reason
[41]
웹사이트
Deism in the United States
[42]
서적
The Age of Reason
[43]
논문
Two Early Works of David Hartley
1981-04-01
[44]
서적
Liberty and Necessity
1729-01-01
[45]
백과사전
Hume on Religion
http://plato.stanfor[...]
2005-01-01
[46]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Religion
1779-01-01
[47]
서적
[48]
웹사이트
Excerpts from Allen's ''Reason The Only Oracle Of Man''
http://www.ethanalle[...]
Ethan Allen Homestead Museum
2008-05-01
[49]
웹사이트
The Deist Minimum
http://www.firstthin[...]
2005-01-01
[50]
서적
The Faiths of the Founding Father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6-01-01
[51]
뉴스
The Founding Fathers Solving modern problems, building wealth and finding God
https://www.washingt[...]
2006-06-11
[52]
웹사이트
Was Thomas Jefferson a Deist?
http://www.sullivan-[...]
Sullivan-County.com
2001-01-01
[53]
간행물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
http://www.findartic[...]
Skeptical Inquirer
2004-03-01
[54]
서적
Benjamin Franklin: Autobiography, Poor Richard, and Later Writings
Library of America
2005-01-01
[55]
웹사이트
Benjamin Franklin, Autobiography
http://faculty.umf.m[...]
University of Maine, Farmington
[56]
웹사이트
On the Providence of God in the Government of the World
https://web.archive.[...]
1730-01-01
[57]
웹사이트
The Records of the Federal Convention of 1787
http://oll.libertyfu[...]
Yale University Press
1911-01-01
[58]
서적
The Religious Beliefs of America's Founders: Reason, Revelation, Revolu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2-01-01
[59]
서적
Varieties of Transcendental Experience: A Study in Constructive Postmodernism
Wipf and Stock
2007-01-01
[60]
논문
"Religion Governed by Terror": A Deist Critique of Fearful Christianity in the Early American Republic
Belin
2010-01-01
[61]
서적
Selected Writings of Thomas Paine
Yale University Press
2014-01-01
[62]
웹사이트
Culture Wars in the Early Republic
http://www.common-pl[...]
Common-place
[63]
서적
Rational Infidels: The American Deists
Longwood Academic
1992-01-01
[64]
서적
Archives parlementaires de la révolution français
Éditions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1987-01-01
[65]
웹사이트
Kant's Theistic Solution
http://www.hkbu.edu.[...]
[66]
서적
[67]
백과사전
Deism
Collier-MacMillan
1967-01-01
[68]
논문
The Development of Modern Deism
Brill Publishers
2019-10-01
[69]
백과사전
Deism
Springer
2013-01-01
[70]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Postsecularity
Routledge
2018-01-01
[71]
웹사이트
What Is Deism?
http://www.mnn.com/l[...]
2015-05-21
[72]
서적
Man's Vision of God and the Logic of Theism
Archon Books
[73]
서적
A Secular Age
Harva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A Secular Age
[75]
서적
A Secular Age
[76]
간행물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worldview of the Annang people: an advocacy for paradigm shift
[77]
서적
The Holy Reich: Nazi Conceptions of Christianity, 1919–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09
[78]
서적
Nazi Germany's New Aristocracy: The SS Leadership, 1925-1939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3-09
[79]
서적
The Third Reich: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80]
서적
Philosophisches Wörterbuch Kröners Taschenausgabe. Volume 12
[81]
서적
Adolf Hitler: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Alpha Editions
[82]
서적
Nazi terror: the Gestapo, Jews, and ordinary German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83]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us belief and sex by 1921, 1930, 1950, 1991, 2001 and 2011 censuses 1
https://www.czso.cz/[...]
Czech Statistical Office
2017-01-02
[84]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Penguin Press
[85]
서적
Himmler's Auxiliaries: The Volksdeutsche Mittelstelle and the German National Minorities of Europe, 1933–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3-05-17
[8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Facts On File
2021-01-23
[87]
백과사전
Atatürk, Kemal
https://archive.org/[...]
Philip's
2019-06-09
[88]
백과사전
Atatürk, Kemal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09
[89]
뉴스
Turkish students increasingly resisting religion, study suggests
https://www.theguard[...]
2022-01-17
[90]
잡지
State Monopolization of Religion and Declining Piety in Turkey
https://berkleycente[...]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Georgetown University)
2022-01-17
[91]
잡지
Turks May Be Rediscovering the Merits of the Secular Paradigm
https://besacenter.o[...]
Begin–Sadat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Bar-Ilan University)
2022-01-17
[92]
잡지
How Islamists are Ruining Islam
https://www.hudson.o[...]
Hudson Institute
2022-01-17
[93]
잡지
The Crisis of Religiosity in Turkish Islamism
https://merip.org/20[...]
MERIP
2022-01-17
[94]
뉴스
Losing their religion: The young Turks rejecting Islam
https://www.bbc.com/[...]
2022-01-17
[95]
뉴스
What is pushing half of Turkey towards Deism?
https://ahvalnews.co[...]
2022-01-17
[96]
뉴스
Why so many Turks are losing faith in Islam
https://www.al-monit[...]
2022-01-17
[97]
서적
Edison: A Life of Invention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98]
웹사이트
Theosophical Society Members 1875–1942 – Historical membership list of the Theosophical Society (Adyar) 1875–1942
http://tsmembers.org[...]
2018-10-08
[99]
서적
Collected Writings, Vol. XII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00]
뉴스
"No Immortality of the Soul" says Thomas A. Edison
1910-10-02
[101]
서적
The Freethinker
https://books.google[...]
G.W. Foote & Company
[102]
웹사이트
American Religious Identification Survey, 2001
https://commons.trin[...]
2019-09-18
[103]
웹사이트
ARIS Summary Report, March 2009
http://commons.trinc[...]
2017-03-18
[104]
웹사이트
Under God: The Pledge, Present and Future
http://www.law.uchic[...]
2017-08-07
[106]
웹사이트
理神論(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10-04
[107]
서적
神と人道
忠誠堂
1919
[108]
서적
100권의 금서
위즈덤하우스
2006
[109]
서적
The creation of the modern world : the untold story of the British Enlightenment
https://www.worldcat[...]
W.W. Norton
2000
[110]
서적
5시간만에 읽는 교회사
작은행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