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웨브 엘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웨브 엘리스는 1806년 태어나 1872년 사망한 인물로, 럭비 풋볼 기원과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다. 그는 럭비 스쿨 재학 중이던 1823년, 풋볼 경기에서 공을 들고 달려 럭비의 기원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1895년 럭비 스쿨 동문회의 조사에서 이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결정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럭비 풋볼의 기원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는 럭비 풋볼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럭비 월드컵 우승 트로피는 그의 이름을 따서 웨브 엘리스 컵으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럭비 유니언 - 럭비 스쿨
1567년 설립된 영국의 명문 사립 럭비 스쿨은 럭비 풋볼의 발상지로, 토마스 아놀드 교장의 교육 방식이 빅토리아 시대 공립학교의 모델이 되었으며, 1992년 완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어 현재 약 800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고 해외에 분교를 설립했다. - 1806년 출생 -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는 리도 홀 개조와 유니온 현수교 설계, 몬트리올 법원, 퀘벡 시티 세관 등 다수의 주요 건축 및 토목 프로젝트를 수행한 캐나다의 건축가이자 토목 기술자이다. - 1806년 출생 - 막스 슈티르너
막스 슈티르너는 18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이며,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개인의 절대적 자유와 이기심을 강조하며 모든 외부 권위에 대한 비판을 펼쳐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옥스퍼드 대학교 브라스노즈 칼리지 동문 - 데이비드 캐머런
데이비드 캐머런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보수당 정치인으로, 당 대표 시절 중도화를 이끌어 2010년 연립정부, 2015년 단독 과반을 통해 총리가 되었으나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 후, 2023년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어 상원 의원이 되었다가 2024년 총선 이후 다시 정계를 떠났다. - 옥스퍼드 대학교 브라스노즈 칼리지 동문 - 마이클 페일린
영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 작가, 여행 다큐멘터리 진행자인 마이클 페일린 경은 몬티 파이썬의 멤버로 유명하며, 여행 다큐멘터리 진행과 영화 `피플 위드 돈`으로 영국 아카데미상 조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윌리엄 웨브 엘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성직자 |
이름 | 윌리엄 웨브 엘리스 |
출생일 | 1806년 11월 24일 |
출생지 | 잉글랜드랭커셔주샐퍼드 |
사망일 | 1872년 2월 24일 |
사망지 | 프랑스알프마리팀주망통 |
교육 | 럭비 스쿨 |
모교 | 브레이즈노즈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
직업 | 성직자 |
소속 | 잉글랜드 교회 |
이미지 | |
![]() | |
기타 | |
별명 | 럭비 발명가 |
2. 윌리엄 웨브 엘리스의 생애
윌리엄 웨브 엘리스는 1806년 잉글랜드 랭커셔주 솔퍼드에서 태어났다.[2]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후년에 이주한 맨체스터 출생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그의 아버지는 제7드래군 가드 소속 코넷(기병 소위)이었던 제임스 엘리스였고, 어머니는 엑서터 출신 앤 웹이었다. 윌리엄은 세 아들 중 막내였으며, 형 토마스는 워릭셔주 던처치 출신으로 외과의가 되었다.[2] 아버지 제임스 엘리스는 1809년 제3드래군 가드의 중위로 임관하여 포르투갈에서 복무했으며,[2] 1812년 7월 1일, 반도 전쟁 중 스페인 알부에라 근처에서 벌어진 기병 전투에서 전사했다.[3] 남편의 공로를 인정받아 영국 왕실로부터 연금 30GBP를 받게 된[4] 엘리스 부인은, 아들 윌리엄과 토마스가 럭비 스쿨에서 무료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러그비로 이주했다. 당시 럭비 스쿨은 학교 시계탑 반경 약 16.09km 이내에 거주하는 학생(현지 재단 학생)에게 무료 교육을 제공했다.
윌리엄은 1816년부터 1825년까지 럭비 스쿨에 다녔다. 그는 우수한 학생이자 뛰어난 크리켓 선수로 기록되었으나, 때로는 "크리켓에서 불공정한 이점을 취하려는 경향"이 있었다는 평가도 받았다. 1823년 후반, 풋볼 경기 도중 규칙(공을 잡는 것은 허용되지만, 들고 뛰는 것은 금지)을 어기고 공을 안은 채 상대 골문을 향해 달렸다는 일화가 전해지는데, 이는 오늘날 럭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럭비 월드컵의 우승컵 이름이 그의 이름을 딴 웨브 엘리스 컵인 것도 이 때문이다.
1826년, 럭비 스쿨을 졸업한 엘리스는 20세의 나이로 옥스퍼드 대학교 브레이즈노즈 칼리지에 입학했다. 그는 대학에서 크리켓 선수로 활동했으며, 1827년에는 캠브리지 대학교를 상대로 한 일류 크리켓 경기에 옥스퍼드 대학교 대표로 출전하기도 했다.[5][6] 1829년에 학사 학위를, 1831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엘리스는 잉글랜드 교회의 성직자가 되었다. 런던 앨버말 가(Albemarle Street)의 세인트 조지 예배당(약 1909년 폐쇄)에서 사제로 봉직했고,[7] 이후 스트랜드에 있는 성 클레멘트 데인스 교회의 교구 목사(rector)를 지냈다. 그는 저교회 복음주의 성향의 성직자로 알려졌다. 1855년에는 에식스주 매그달렌 레이버의 교구 목사로 임명되었다.[8] 그의 유일하게 알려진 초상화는 1854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에 실렸는데, 이는 크림 전쟁에 참전한 영국군을 위한 그의 설교가 깊은 인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엘리스는 평생 결혼하지 않았고, 요양을 위해 머물던 프랑스 남부 알프마리팀주 멘통에서 1872년 1월 24일,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약 9천파운드 상당의 재산을 대부분 여러 자선 단체에 남겼다. 그의 무덤은 멘통의 '르 시메티에르 뒤 뷔 샤토'(fr, 옛 성 묘지)에 있었으나 오랫동안 잊혀졌다가, 1958년 언론인 로스 맥워터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무덤은 2003년에 보수되었으며, 현재는 프랑스 럭비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다.[9]
3. 럭비 풋볼 기원 논란
럭비 풋볼의 기원은 1823년 영국의 럭비 스쿨에서 열린 풋볼 경기 중, 윌리엄 웨브 엘리스가 공을 안고 상대 골문을 향해 달렸다는 일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럭비의 시작으로 여겨지며, 럭비 월드컵 우승컵 역시 그의 이름을 딴 웨브 엘리스 컵이다.
이 이야기의 유일한 출처는 럭비 스쿨 출신의 매슈 블록섬(Matthew Bloxam)이다. 그는 1876년과 1880년에 잡지 ''더 미티어''에 보낸 편지를 통해, 엘리스가 1823년 경기 중 당시 규칙을 어기고 공을 잡은 채 앞으로 달렸다고 주장했다. 당시 규칙상 공을 잡으면 뒤로 물러나 킥을 준비해야 했으나, 엘리스가 이를 어겼다는 것이다. 그러나 블록섬은 1823년 당시 학교를 졸업한 상태여서 사건을 직접 목격하지 못했고, 처음에는 사건 발생 연도를 1824년으로 잘못 언급했다가 나중에 1823년으로 수정하는 등 그의 증언에는 불확실한 점이 있다.
엘리스가 럭비 창시자라는 주장은 그의 사후에 제기되었으며, 1895년 옛 럭비 동문회(Old Rugbeian Society)의 조사에서도 블록섬의 주장을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오히려 당시 학생들의 증언은 엇갈렸고, 엘리스가 규칙을 잘 어겼다는 증언도 있었다. 일부에서는 엘리스가 아닌 젬 매키(Jem Mackie)라는 학생이 처음으로 공을 들고 달렸다는 대안적인 주장도 제기되었다.[12]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당시 럭비 스쿨의 풋볼은 손 사용 자체는 허용되었으나, 공을 들고 앞으로 달리는 행위(러닝 인)는 금지되어 있었다. 엘리스가 규칙을 어겼다고 여겨지는 지점은 바로 이 '러닝 인'이다. 따라서 "축구 경기 중"이라는 표현[18]은 당시 여러 학교에서 각기 다른 규칙으로 행해지던 '풋볼'을 현대의 '축구'로 오해한 것이며, '럭비 스쿨 규칙의 풋볼 경기 중'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축구(협회식 축구)와 럭비 풋볼이 명확히 분리된 것은 이보다 후인 1863년 축구 협회 창립 과정에서 규칙에 대한 이견 때문이었다.
결정적인 증거 부족에도 불구하고, 옛 럭비 동문회는 엘리스를 럭비 풋볼 창시자로 인정하고 기념 명판을 설치했으며, 월드럭비(World Rugby, WR) 역시 1823년을 럭비 탄생의 해로 보고 있다.[19][20] 이처럼 엘리스 이야기는 증거 논란에도 불구하고 럭비 역사에서 "엘리스 신화", "엘리스 전설" 등으로 불리며 상징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21]
3. 1. 1895년 조사와 그 한계
1895년 옛 럭비 동문회(Old Rugbeian Society)는 럭비 풋볼의 기원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엘리스가 사망한 지 4년 후에 시작된 이 조사는, 생존 졸업생들과 연락하여 매슈 폭스샘의 주장처럼 엘리스가 공을 가지고 처음 달렸다는 증언을 확보하려 했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는 못했다. 조사를 진행한 소위원회는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확보할 수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
증언은 엇갈렸다. 1828년과 1832년에 각각 럭비 스쿨을 떠난 토마스 해리스와 존 해리스 형제는 공을 잡는 행위가 엄격히 금지되었다고 회상했다. 특히 토마스 해리스는 자신의 이름이 인용되지 않기를 바라며 엘리스가 "축구에서 부당한 이점을 취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존 해리스는 자신이 목격자가 아니었으며 엘리스가 경기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 없다고 진술했다. 다른 졸업생의 편지에서도 엘리스가 "크리켓 실력은 뛰어났지만, 풋볼에서는 부정한 플레이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반면, 《톰 브라운의 학교 시절》의 저자인 토마스 휴즈는 자신이 재학하던 시절(1834년~1842년)에는 공을 들고 달리는 것이 완전히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만약 그런 행동을 하다가 사고라도 나면 '정당방위'로 처리될 만큼 부정적으로 여겨졌다고 증언했다.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문회는 엘리스를 럭비 풋볼의 기원이 된 인물로 인정하고 이를 기념하는 명판을 럭비 스쿨에 설치했다.
이 조사와 결론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지적된다. 우선, 사건 발생 후 수십 년이 지난 시점에서 생존자들의 기억에 의존했다는 점이다. 또한, 더닝과 시어드(2005)는 조사가 이루어진 1895년이 스포츠 내 분열, 즉 럭비 리그와 럭비 유니온으로의 분열 시기와 일치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들은 동문회가 엘리스라는 기원 신화를 공식화한 것이, 당시 분열로 인해 통제력을 잃어가던 스포츠에 대한 럭비 스쿨의 입지와 권위를 다시 주장하려는 시도였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3. 2. 대안 가설: 케이드와 제임스 매키
윌리엄 웨브 엘리스가 럭비 풋볼의 기원이 된 행동을 했다는 일반적인 이야기 외에 다른 가설들도 존재한다.
한 가지 설은 웹 엘리스가 케이드(Caid)라는 아일랜드의 고대 게임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게임은 럭비와 유사한 점이 있는데, 그의 아버지가 드래곤 기병대 군인으로 아일랜드에 주둔한 경험이 있어 엘리스가 이 게임에 익숙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0][11]
한편, 럭비 풋볼의 기원에 대한 1895년 토마스 휴즈의 조사에서는 제임스 매키(젬 매키)라는 학생이 1838년에서 1839년 사이에 "최초의 위대한 러너인(runner-in)"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12] 하지만 매키는 1842년 이전 또는 그 해에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럭비 스쿨에서 퇴학당했다. 럭비 스쿨에서 플레이되던 풋볼 규칙이 학생들에 의해 처음 글로 기록된 것은 1845년이며, 이것이 현재 럭비 풋볼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선데이 텔레그래프의 고든 레이너는 매키의 퇴학 사실이 그의 평판에 영향을 미쳐, 매튜 블록샘(Matthew Bloxam)이 럭비 풋볼 창시자로서의 역할을 매키 대신 웹 엘리스에게 돌렸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블록샘이 럭비 스쿨 도서관에 상당한 금액을 기부한 사실이 학교 측에서 웹 엘리스를 기원으로 인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보았다.[12]
다른 이론으로는, 당시 조사를 진행한 위원회가 럭비 스쿨이 게임을 발명했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기 때문에, 가능한 가장 이른 시점의 인물인 웹 엘리스를 내세우고 매키의 역할은 의도적으로 무시했을 가능성도 있다.[13] 잉글랜드 럭비 측은 웹 엘리스의 행동(실제로 있었다면)이 즉각적인 규칙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았지만, 나중에 다른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면서도 매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토마스 휴즈 역시 웹 엘리스에 대한 이야기가 자신의 학창 시절(1834년)에는 없었으며, 이는 매키가 '러너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1838-1839년보다 이전 시점임을 지적했다.[14]
4. 럭비 풋볼의 발전과 분화
19세기 초 영국의 퍼블릭 스쿨들은 각자 고유한 규칙으로 풋볼 경기를 진행했으며, 럭비 스쿨의 풋볼 규칙도 그중 하나였다. 1823년 럭비 스쿨에서 윌리엄 웨브 엘리스가 경기 중 공을 안고 달렸다는 이야기가 럭비의 기원으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18], 당시 럭비 스쿨 규칙상 손 사용 자체는 허용되었어도 공을 들고 달리는 것은 규칙 위반이었다. 그러나 이 일화가 축구와 럭비 풋볼의 직접적인 분화 원인이 된 것은 아니다.
럭비 풋볼과 축구가 명확히 다른 길을 걷게 된 계기는 1863년 축구 협회(FA)의 설립과 규칙 통일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여러 학교에서 제각각 시행되던 풋볼 규칙을 하나로 만들려는 시도 중에, 공을 안고 달리는 '러닝 인(running-in)'과 고의로 상대방의 정강이를 차는 '핵킹(hacking)'의 허용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 럭비 스쿨의 규칙을 지지하던 이들은 이 두 가지 플레이를 금지하는 안에 강하게 반발하며 축구 협회를 탈퇴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럭비 풋볼은 축구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스포츠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축구는 점차 필드 플레이어의 손 사용을 금지하고 골키퍼라는 전문 포지션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규칙이 발전했다. 반면, 럭비 풋볼에서는 러닝 인이 핵심적인 플레이 방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핵킹은 초기에는 제한적으로 허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축구와 마찬가지로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5. 현대 럭비와 한국 럭비
1823년 영국 럭비 스쿨의 풋볼 경기 중 윌리엄 웨브 엘리스가 공을 안고 달렸다는 증언에 따라, 이 사건이 럭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이를 기리기 위해 럭비 월드컵의 우승 트로피는 그의 이름을 따 웨브 엘리스 컵(Webb Ellis Cup)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단 한 명의 증언만으로는 엘리스가 공을 들고 달린 최초의 인물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어, 그가 진정한 럭비 창시자인지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윌리엄 웨브 엘리스는 럭비 창시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이야기는 "엘리스 신화" 또는 "엘리스 전설"로 불리며 럭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21]
'럭비'라는 스포츠 명칭 자체도 그가 다녔던 워릭셔주 럭비의 럭비 스쿨(Rugby School)에서 유래했으며, 해당 지역에는 그의 이름을 딴 "더 윌리엄 웨브 엘리스(The William Webb Ellis)"라는 펍도 존재한다.
6. 윌리엄 웨브 엘리스 기념물
러그비 스쿨에는 1895년에 윌리엄 웨브 엘리스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 돌은
윌리엄 웹 엘리스의
위업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그는 당시의 풋볼 규칙을 무시하고
처음으로 공을 팔에 안고 달렸으며,
이로써 러그비 경기의
독특한 특징을 만들었다.
서기 1823년
또한, 럭비 스쿨 외부에는 조각가 그레이엄 이베슨이 제작한 청동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이 동상은 공을 들고 달리는 젊은 시절의 웨브 엘리스를 묘사하며, 1997년에 공개되었다.[15][16]
참조
[1]
웹사이트
Rugby World Cup Facts
https://sportycious.[...]
2023-04-04
[2]
서적
Notices of the Ellises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from the Conquest to the present time
1866
[3]
서적
Notices of the Ellises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from the Conquest to the present time
1866
[4]
간행물
Journals of the House of Commons
The House of Commons
1813-1814
[5]
웹사이트
CricketArchive – William Webb Ellis
https://cricketarchi[...]
2013-04-10
[6]
웹사이트
Patience is a virtue
http://www.espncrici[...]
2019-01-28
[7]
기타
[8]
서적
A Field Guide to the English Clergy
Oneworld Publications
2018
[9]
뉴스
The legend of the man who invented rugby
http://www.riviera-p[...]
2015-10-01
[10]
웹사이트
William Webb Ellis - the innovator of rugby or fraud?
https://www.abc.net.[...]
ABC
2007-08-23
[11]
뉴스
William Webb Ellis - fact or fiction?
http://news.bbc.co.u[...]
BBC Sport
2007-08-10
[12]
뉴스
Rugby World Cup: William Webb Ellis is 'King Arthur' figure whose reputation as game's inventor may be a myth
https://www.telegrap[...]
2015-09-05
[13]
서적
Players: 250 Men, Women and Animals Who Created Modern Spor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09
[14]
웹사이트
Who Was William Webb Ellis?
https://www.englandr[...]
England Rugby
2019-02-22
[15]
웹사이트
Rugby World Cup Celebrated Locally Making the Webb Ellis statue
https://www.ourwarwi[...]
Our Warwickshire
2024-03-08
[16]
웹사이트
William Webb Ellis (1806–1872)
https://batch.artuk.[...]
Art UK
2024-03-08
[17]
웹사이트
ラグビーの生みの親、ウィリアム・ウェブ・エリス氏とは?
https://news.1242.co[...]
[18]
웹사이트
SportsClick: ラグビー
http://www.sportscli[...]
2015-11-20
[19]
웹사이트
ラグビー生誕200年を祝して {{!}} ワールドラグビー
https://www.world.ru[...]
2023-02-01
[20]
웹사이트
World Rugby - Hall of Fame
https://www.world.ru[...]
2023-02-04
[21]
웹사이트
豊田自動織機ラグビー部ホームページ参照
http://www.toyota-s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