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교회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교회파는 18세기 초 성공회 내에서 융통성 있는 입장을 취하는 경향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고교회파와 대조를 이루었다. 19세기 트랙터리언 운동 이후에는 개인적인 회심을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자와 동의어가 되었으며, 현대에는 성공회의 프로테스탄트적 성격을 강조하고 복음주의적이며 보수적인 신앙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예배 의식, 성경의 권위, 다른 프로테스탄트 교단과의 협력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입장을 보이며, 아시아와 영국 및 아일랜드에서 다양한 에큐메니컬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는 1787년 첫 함대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어 식민지 사회에 기여하며 발전, 1962년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1년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여성 사제 및 주교 서임 허용과 LGBT 관련 문제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의 성공회 교회이다.
  • 성공회 - 고교회파
    고교회파는 17세기 영국 성공회 내에서 전례와 교회 전통을 중시하는 신학적 입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통 옹호, 앵글로 가톨릭 유사성, 토리당 연관성, 현대적 이슈에 대한 내부 다양성 및 갈등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기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기독교에 관한 -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4년 매클레이 선교사의 내한으로 시작된 한국 개신교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탄압을 거쳐 1949년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존 웨슬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공교회주의를 지향하고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대한제국
    대한제국은 고종이 황제 즉위와 함께 선포한 황제 국가로,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자주적인 국가를 지향했으나, 일본의 영향력 강화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했으며,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저교회파
개요
신학적 입장개신교
교회 정치성공회
강조점복음주의, 성경 중심
역사적 배경16세기 영국 종교 개혁
특징
예배 스타일비교적 단순하고 형식 없는 예배
전례고교회파에 비해 성공회 기도서 사용을 덜 강조
성례성찬과 세례를 중요하게 여기지만, 의식의 강조는 적음
성경관성경의 권위와 중요성을 강조
사회 참여사회 복지, 선교 활동에 적극적 참여
교리적 강조점개인적인 신앙 경험과 회심을 강조
신앙관개인의 신앙적 체험과 성경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를 중시
다른 표현
영어Low church
관련 용어복음주의 성공회, 저교회파 성공회, 넓은 교회파
역사적 발전
기원영국 교회 내에서 복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발전
18세기감리교와 유사한 신앙 강조
19세기옥스퍼드 운동에 대한 반발로 발전
현대다양한 교회 내 복음주의적 신앙 강조 경향 유지
교회 정치 및 구조
교회 지도일반적으로 교구, 교회의 목사 또는 성직자 중심
교회 운영각 교회 자율성을 존중하며, 운영 방식 다양함
대의 체제총회, 노회 등에서 대의 정치 참여
같이 보기
관련 문서고교회파, 광교회파, 성공회

2. 역사적 용례

"저교회(Low church)"라는 용어는 18세기 초 신앙과 규율 문제에 있어 관용적인 입장을 가진 성직자들을 지칭하며 등장했다. 이들은 국교회의 권위, 주교직, 성례전 제도를 중시하는 "고교회(high church)" 또는 고교회파와 대조적인 입장을 보였다.[4]

19세기에 트랙터리언 운동으로 "고교회" 용어가 다시 유행하면서 "저교회" 용어도 수정된 의미로 부활했다. 이때부터 저교회파는 찰스 시몬과 관련된, 개인의 회심을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자와 동의어가 되었다.[4]

2. 1. 18세기 초의 등장

저교회라는 용어는 18세기 초, 규율과 신앙 문제에 있어 광범위한 허용을 의미하는 "관용주의자"와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국교회의 배타적인 권위, 주교직, 성례전 제도를 중시하는 "고교회" 또는 고교회파와 대조적인 의미였다.[4]

청교도의 교리에 대해 관용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청교도의 예배 의식에는 동의하지 않았을 수 있다. 분리주의자, 특히 장로교도들을 영국 국교회로 끌어들이려는 운동은 대부분 1689년 관용법으로 종결되었다. "저교회"라는 용어는 더 자유로운 시각을 가진 성직자들을 지칭하는 데 계속 사용되었지만, 결국에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2. 19세기의 부활

19세기에 트랙터리언 운동으로 인해 "고교회" 용어가 다시 유행하면서, "저교회" 용어도 수정된 의미로 부활했다. 저교회파는 찰스 시몬과 관련된 개인적인 회심을 강조하는 운동인 복음주의적 성공회 신자와 동의어가 되었다.[4]

관용주의자는 교회의 윤리적 가르침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정통성의 가치를 최소화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광범위한 교회"로 바뀌었다. 많은 고교회 성직자들은 종교개혁 이전의 의식을 부활시킨 것 때문에 "의식주의자"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고교회파와 의식주의자라는 용어는 종종 잘못해서 상호 교환 가능한 것으로 취급되어 왔다. 가톨릭적인 유형의 고교회파는 옥스퍼드 운동 이전 시대의 때때로 "고결하고 건조한 유형"으로 묘사되는 초기 용례와 구분된다.[4]

3. 현대적 용례

현대적 용례에서 "저교회"는 고교회보다 성공회의 프로테스탄트적 성격을 더 강조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복음주의적 신앙과 보수적 실천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4]

3. 1. 복음주의적 신앙 강조

현대 저교회는 고교회보다 성공회의 프로테스탄트적 성격을 강조하며, 일반적으로 신앙은 복음주의적이고 실천은 보수적이다.[4] (하지만 반드시 '전통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은 ''공동 예배(Common Worship)''보다 ''공동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를 덜 선호하며, 성찬식보다 조례와 저녁기도를 더 중요시하고, 교회법이 허용하는 최소한의 공식적인 예배 의식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시드니 교구는 공동기도서를 대체로 버리고 자유 형식의 복음주의 예배를 사용한다.

일부 현대 저교회는 카리스마 기독교 요소를 통합하기도 한다.

칼뱅주의(Calvinist) 또는 개혁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전통적인 저교회 성공회 신자들은 성례전이 ''ex opere operato''(예: 세례 재생)로 은혜를 부여한다는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에 필요한 신앙 문제에 있어서 성경을 최고의 권위 원천으로 강조한다.[4] 이들은 다른 프로테스탄트 신자들과 거의 동등한 조건으로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 개혁파 저교회 성공회 신자들 중 일부는 자신들이 역사적인 성공회의 유일한 충실한 신봉자라고 생각하며, 성공회 전통의 공식적인 교리적 진술서로서 영국 성공회 삼십구개조(Thirty-Nine Articles)를 강조한다.

3. 2. 칼뱅주의 및 개혁주의 신학의 영향

칼뱅주의 또는 개혁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전통적인 저교회 성공회 신자들은 성례전이 ''ex opere operato''(예: 세례성사)로 은혜를 부여한다는 교리를 거부하고, 구원에 필요한 신앙 문제에 있어서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강조한다.[4] 이들은 다른 개신교 신자들과 거의 동등한 조건으로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 개혁파에 속한 저교회 성공회 신자들 중 일부는 자신들이 역사적인 성공회의 유일한 충실한 신봉자라고 생각하며, 성공회 전통의 공식적인 교리적 진술서로서 영국 성공회 삼십구개조를 강조한다.

3. 3. 카리스마 운동과의 관계

일부 현대 저교회는 카리스마 기독교의 요소를 통합하기도 한다.[4]

4. 에큐메니컬 관계

저교회는 다른 개신교 교단과의 연합 및 일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아시아에서는 1947년 남인도교회가 성공회, 감리교, 회중교회 등의 연합으로 만들어졌고, 1990년대에는 침례교와 오순절교회 일부도 참여했다. 1970년에는 북인도교회가 성공회, 감리교, 침례교, 형제교회, 그리스도의 제자들 교단 등의 합병으로 형성되었다. 같은 해 파키스탄교회는 성공회, 장로교회, 연합감리교회, 루터교회가 합병하여 만들어졌고,[6] 방글라데시 교회는 성공회와 장로교회의 합병 결과이다.[7]

영국아일랜드에서도 성공회, 감리교, 영국합동개혁교회, 모라비안교회 등이 연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1960년대 영국감리교회의 에큐메니칼 제안은 1972년 영국성공회 총회에서 거부되었다.[8] 1981년 영국성공회, 영국감리교회, 영국합동개혁교회, 모라비안교회 사이에 성약 프로젝트가 제안되었으나,[9] 1982년 영국성공회는 성약을 거부했다. 2003년에는 영국성공회와 영국감리교회 사이에 성약이 체결되었다.[10]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스코틀랜드 성공회(성공회), 스코틀랜드 교회(장로교), 영국감리교회, 영국합동개혁교회는 "스코틀랜드 교회 연합 이니셔티브"(SCIFU)에 참여했으나,[12] 2003년 스코틀랜드 교회가 철회하면서 중단되었다.[13][14] 2002년 아일랜드 교회는 아일랜드 감리교회와 더 큰 협력과 궁극적인 일치를 위한 성약에 서명했다.[15]

그러나 영국 성공회 내 앵글로-캐톨릭은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일치를 희망하며 프로테스탄트와의 일치에 반대했고, 여성 프로테스탄트 목사 수용으로 로마 교황청과의 일치는 더욱 어려워졌다.[11]

4. 1. 아시아에서의 연합

남인도교회는 1947년 성공회, 감리교, 회중교회 등이 연합하여 만들어졌으며,[5] 1990년대에는 소수의 침례교와 오순절교회도 참여했다. 1970년에는 북인도교회가 성공회, 감리교, 침례교, 형제교회, 그리스도의 제자들 교단 등의 합병으로 형성되었다. 같은 해 파키스탄교회는 성공회, 장로교회, 연합감리교회, 루터교회가 합병하여 만들어졌고,[6] 방글라데시 교회는 성공회와 장로교회의 합병 결과이다.[7]

4. 1. 1. 남인도교회

남인도교회는 1947년 인도, 파키스탄, 버마, 실론 교회(성공회) 남부 교구, 남인도 감리교회, 그리고 남인도 연합교회(회중교회주의, 개혁주의, 장로교 연합교회)의 합병으로 생겨났다.[5] 1990년대에는 소수의 침례교와 오순절교회도 이 연합에 합류했다.

4. 1. 2. 북인도교회, 파키스탄교회, 방글라데시교회

1970년 성공회, 장로교, 감리교, 루터교 등이 합병하여 북인도교회가 형성되었다.[6] 같은 해 파키스탄에서도 성공회, 장로교회(스코틀랜드 교회), 연합감리교회, 루터교회가 합병하여 파키스탄교회가 되었다.[6] 방글라데시 교회는 성공회와 장로교회의 합병으로 만들어졌다.[7]

4. 2. 영국과 아일랜드에서의 연합 노력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도 성공회, 감리교, 영국합동개혁교회, 모라비안교회 등이 연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그러나 영국 성공회 내 앵글로-캐톨릭은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일치를 희망하며 프로테스탄트와의 일치에 반대했고, 여성 프로테스탄트 목사 수용으로 로마 교황청과의 일치는 더욱 어려워졌다.[11]

4. 2. 1. 영국 성공회와 감리교회의 관계

1960년대에 영국감리교회는 에큐메니칼 제안을 영국성공회에 했다. 하지만 이 제안은 1972년 영국성공회 총회에서 거부되면서 공식적으로 실패했다.[8] 1981년에는 영국성공회, 영국감리교회, 영국합동개혁교회, 모라비안교회 사이에 성약 프로젝트가 제안되었으나,[9] 1982년 영국합동개혁교회는 성약에 찬성했지만, 영국성공회는 성약을 거부했다.

대화와 협력은 계속되었고, 2003년에는 영국성공회와 영국감리교회 사이에 성약이 체결되었다.[10] 1970년대 이후 감리교회는 이웃 교단들, 주로 영국성공회, 침례교, 또는 영국합동개혁교회와 여러 "지역 에큐메니칼 프로젝트"(LEPs)에 참여하여 교회, 학교,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목사까지 공유했다.

4. 2. 2. 스코틀랜드 교회 연합 이니셔티브(SCIFU)

스코틀랜드 성공회(성공회), 스코틀랜드 교회(장로교), 영국감리교회, 영국합동개혁교회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더 큰 일치를 추구하기 위한 "스코틀랜드 교회 연합 이니셔티브"(SCIFU)에 참여했다.[12] 그러나 2003년 스코틀랜드 교회가 철회하면서 이 시도는 중단되었다.[13][14]

4. 2. 3. 아일랜드 교회와 감리교회의 관계

2002년 세계 성공회의 저교회적 경향을 보이는 아일랜드 교회는 아일랜드 감리교회와 더 큰 협력과 궁극적인 일치를 위한 성약에 서명했다.[15]

4. 3. 앵글로-가톨릭과의 관계

앵글로-가톨릭은 프로테스탄트와의 일치에 반대하며,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일치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 프로테스탄트 목사를 받아들이는 것은 로마 교황청과의 일치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Low Church https://www.episcopa[...]
[2] 웹사이트 What are 'High Church' and 'Low Church'? https://www.compelli[...]
[3] 웹사이트 “High” and “Low” Church https://www.anglican[...]
[4] 백과사전 Low Churchman
[5] 웹사이트 Church of South India https://www.britanni[...]
[6] 웹사이트 Church of Pakistan https://www.britanni[...]
[7]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churchofbang[...]
[8] 웹사이트 Ministry, ecclesiology and theological tidiness: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Anglican-Methodist unity https://www.fulcrum-[...] 2018-02-07
[9] 웹사이트 Church of England/Methodist Church Covenant http://www.anglican-[...]
[10] 웹사이트 Church of England/Methodist Church Covenant http://www.anglican-[...]
[11]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Catholic-Anglican relations - and the last roadblocks to unity https://www.americam[...] 2024-02-02
[12] 웹사이트 Scottish Churches' First Steps to Union https://www.christia[...]
[13] 웹사이트 Kirk Rejects Move to form Super-Church https://www.scotsman[...] 2003-05-20
[14] 웹사이트 The Notion of Covenant as ecumenical instrument https://oxford-insti[...] 2013
[15] 웹사이트 Church of Ireland/Methodist Church Covenant http://www.irelan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