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 코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도 코일은 자기 코어에 감긴 두 개의 코일로 구성되어 전자기 유도를 통해 고전압 펄스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1836년 찰스 그래프턴 페이지와 니콜라스 캘런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초기에는 기체 방전, X선 연구, 무선 통신 등에 사용되었다. 이후 내연 기관의 점화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플래시 튜브 트리거 등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도 코일 | |
---|---|
개요 | |
유형 | 변압기 |
용도 | 고전압 펄스 생성 |
역사 | |
최초 개발 | 최초의 변압기 유형 중 하나 |
초기 응용 | X선 발생 전신 전송 무선 전신 |
개발자 | 니콜라스 칼란 하인리히 룸코르프 |
작동 원리 | |
기본 작동 원리 | 자기 유도를 통해 저전압 직류를 고전압 펄스로 변환 |
핵심 부품 | 1차 코일 2차 코일 철심 인터럽터(진동기) 축전기(콘덴서) |
구성 요소 및 작동 방식 | |
1차 회로 | 직류 전원 인터럽터 1차 코일 축전기 |
인터럽터 | 코일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자동 스위치 접점 개폐 시 1차 회로의 전류 차단 및 코일 자기장 붕괴 |
2차 회로 | 고전압 유도 2차 코일의 많은 권선 수 코일 감기 방향 및 권선 수 비례 단방향 고전압 펄스 생성 |
응용 분야 | |
현대 응용 | 점화 코일 X선 발생 가스 방전 램프 점화 고전압 과학 실험 |
역사적 응용 | 전신 시스템 초기 무선 전신 |
추가 정보 | |
기타 명칭 | 룸코르프 코일 유도 코일 |
관련 기술 | 변압기 인덕터 |
2. 구조 및 원리
유도 코일은 변압기의 일종으로, 1차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2차 코일에 고전압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1차 코일은 비교적 굵은 도선으로 수백 회 정도, 2차 코일은 가는 도선으로 수만에서 수십만 회 감겨 있다. 1차 코일에 직류 전원(전지)을 연결하고 단속기로 전류를 빠르게 켜고 끄면, 2차 코일에 높은 전압이 발생한다.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은 철심을 통해 2차 코일과 연결된다. 1차 코일의 전류가 갑자기 끊어지면 자기장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2차 코일에 매우 높은 전압이 유도된다. 이때 발생하는 전압은 수천 볼트에 달하며, 2차 코일 출력 단자 사이에 전기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도 코일은 '스파크 코일'이라고도 불렸다.
유도 코일의 성능은 발생시킬 수 있는 스파크의 길이로 나타냈으며, 음극선 오실로스코프 개발 전에는 스파크 길이가 전압을 측정하는 주요 방법이었다. 스파크 길이와 전압은 대체로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9]
내연 기관의 점화 장치에 사용되는 고전압 발생용 유도 코일은 '''점화 코일'''이라고 불린다.
2. 1. 구성 요소
유도 코일은 공통 철심(M)에 감긴 두 개의 절연된 와이어 코일로 구성된다.[4][7] 1차 권선(P)은 비교적 적은 수(수십 또는 수백)의 굵은 와이어로 만들어진다.[7] 2차 권선(S)은 일반적으로 최대 백만 회전의 가는 와이어(최대 40 게이지)로 구성된다.[8][4][7]전류가 1차 권선을 통과하면 자기장이 생성된다.[4][7] 공통 코어 때문에 1차 권선의 자기장 대부분이 2차 권선과 결합된다. 1차 권선은 인덕터 역할을 하며, 자기장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1차 전류가 차단되면 자기장이 붕괴되며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단자에 고전압 펄스가 발생한다. 2차 코일의 회전 수가 많아 2차 전압 펄스는 수천 볼트에 이른다.
유도 코일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려면 직류 전원 전류를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분리해야 한다.[4] 이를 위해 유도 코일은 '차단기' 또는 '브레이크'(A)라고 하는 자기 활성 진동 암을 사용하여 1차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빠르게 연결하고 차단한다.[4] 차단기는 철심 옆 코일 끝에 장착된다.
차단기가 회로를 '차단'하고 '닫을' 때 2차 권선에 반대 전위가 유도된다. 차단기가 '차단'될 때 1차 권선의 전류 변화가 더 급격하므로, '차단' 시 2차 권선에 유도되는 전압 펄스가 '닫힘' 시보다 훨씬 크다. 이것이 코일의 고전압 출력을 생성한다.
차단기 접점 단락 시 아크가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0.5~15 μF 축전기(C)를 1차 코일에 병렬 연결하여 전압 상승 속도를 늦춘다. 축전기와 1차 권선은 동조 회로를 형성, 차단 시 1차 코일에 감쇠 정현파 전류가 흐르고, 2차 코일에도 감쇠파가 유도된다.
고전압은 얇은 절연체를 파괴하고 2차 코일 사이에 아크 방전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차 코일은 큰 전압 차이를 갖는 도선들이 인접하지 않도록 특수 구조를 사용한다. 2차 코일을 얇고 평평한 팬케이크 모양 섹션("파이")으로 감고 직렬 연결한다.[12][4]
먼저 1차 코일을 철심에 감고, 두꺼운 종이나 고무 코팅으로 2차 코일과 절연시킨다.[4] 각 2차 부 코일을 옆 코일과 연결하고 철심에 밀어 넣으며, 밀랍 코팅 마분지 디스크로 인접 코일과 절연시킨다. 각 부 코일 전압은 부 코일 내 도선 사이를 뛰어넘을 만큼 크지 않다.[4]
와전류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철심은 셸락으로 코팅되어 전기적 절연된 평행 철선 다발로 만들어진다.[4] 절연된 1차 코일 끝은 2차 코일 양쪽 끝에서 수 인치 돌출되어 2차 코일에서 1차 코일 또는 코어로 아크 방전되는 것을 막는다.
1차측(자기장 변동을 주는 쪽)도 코일이므로, 전체적으로 변압기의 일종이다. 기계적 전류 단속으로 고전압을 만드는 것은 절연 철심에 수백 회 1차 코일을 감고, 가는 도선을 수만~수십만 회 감아 2차 코일을 형성, 절연 철심에 단속기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고 1차 코일 전기 회로를 단속한다.
2. 2. 작동 원리
유도 코일은 공통 철심(M)에 감긴 두 개의 절연된 와이어 코일로 구성된다.[4][7] 1차 권선(P)은 비교적 적은 수(수십 또는 수백)의 굵은 와이어로 만들어지며,[7] 2차 권선(S)은 일반적으로 최대 백만 회전의 가는 와이어(최대 40 게이지)로 구성된다.[8][4][7]전류가 1차 권선을 통과하면 자기장이 생성되고,[4][7] 이 자기장의 대부분은 공통 코어 때문에 2차 권선과 결합된다. 1차 권선은 인덕터 역할을 하며, 자기장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1차 전류가 갑자기 차단되면 자기장이 빠르게 붕괴되면서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단자에 고전압 펄스가 발생한다. 2차 코일의 회전 수가 많기 때문에 2차 전압 펄스는 일반적으로 수천 볼트이며, 이는 2차 출력 단자를 분리하는 공기 간극(G)을 가로질러 전기 스파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유도 코일은 스파크 코일이라고도 불렸다.
유도 코일은 생성할 수 있는 스파크의 길이로 특징지어졌으며, 음극선 오실로스코프가 개발되기 전까지 스파크 길이는 비대칭 파형의 최고 전압을 측정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스파크 길이와 전압 간의 관계는 넓은 범위 내에서 선형적이다.[9]
유도 코일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려면 직류 전원 전류를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분리해야 한다.[4] 이를 위해 유도 코일은 차단기 또는 브레이크(A)라고 하는 자기적으로 활성화된 진동 암을 사용하여 1차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빠르게 연결하고 차단한다.[4] 전원을 켜면 1차 코일의 증가하는 전류가 자기장을 생성하고, 이 자기장이 차단기의 철 아마추어(A)를 끌어당긴다. 자기적 인력이 아마추어의 스프링 힘을 극복하면 아마추어가 움직여 1차 회로의 접점(K) 쌍이 열리고 1차 전류가 차단된다. 전류가 차단되면 자기장이 붕괴되어 스파크가 발생하고, 스프링 힘이 아마추어를 초기 위치로 가속시킨다. 잠시 후 접점이 다시 연결되고 전류가 자기장을 다시 생성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은 초당 여러 번 반복된다.
차단기가 회로를 '차단'하고 '닫을' 때 2차 권선에 반대 전위가 유도된다. '차단' 시 1차 권선의 전류 변화가 훨씬 더 급격하기 때문에 '차단' 시 2차 권선에 유도되는 전압 펄스가 훨씬 크며, 이것이 코일의 고전압 출력을 생성한다.
차단기 접점이 끊어질 때 발생하는 아크는 자기장에 저장된 에너지를 소모하고, 출력 전압을 낮추며, 접점을 손상시킨다.[11] 이를 방지하기 위해 0.5~15 μF의 축전기(C)를 1차 코일에 병렬로 연결하여 차단 후 전압 상승 속도를 늦춘다. 축전기와 1차 권선은 동조 회로를 형성하여 1차 코일에 감쇠 정현파 전류가 흐르고, 2차 코일에도 감쇠파가 유도된다. 결과적으로 고전압 출력은 일련의 감쇠파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변압기의 일종으로, 기계적으로 전류를 단속하여 고전압을 만드는 것을 특히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절연 철심에 수백 회의 1차 코일을 감고, 그 위에 가는 도선을 수만 회에서 수십만 회 감아 2차 코일을 형성시켜 절연 철심에 단속기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고, 1차 코일의 전기 회로를 단속한다. 1차 코일측에 수 볼트의 직류 전원(전지)을 접속하고, 1차 코일의 전류를 단속기로 단속함으로써, 2차 코일에는 높은 교류 전압이 유기된다. 단속기의 접점이 닫혀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와 단속기의 접점이 열려 전류가 끊길 때 기전력 방향은 반대가 되지만, 접점이 열려 전류가 끊길 때의 전류의 시간적 변화가 더 크기 때문에, 2차 코일에서는 한 방향의 고전압을 얻을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점화 장치에 사용되는 고압 발생용 유도 코일은 '''점화 코일'''이라고 불린다.
3. 역사
유도 코일은 최초의 전기 변압기였다. 1836년부터 1860년대까지 시행착오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모든 변압기에 적용되는 많은 원리를 발견했다. 예를 들어 권선 수와 출력 전압의 비례 관계, 와전류 손실을 줄이기 위한 "분할" 철심 사용 등이 있다.
마이클 패러데이는 1831년 패러데이 유도 법칙을 발견하고 와이어 코일 사이의 유도에 대한 최초의 실험을 수행했다.[15] 1836년 미국의 의사 찰스 그래프턴 페이지[25][16]와 아일랜드의 과학자이자 가톨릭 사제인 니콜라스 캘런이 세인트 패트릭 대학교, 메이누스에서 유도 코일을 독자적으로 발명했으며,[4][17][18][19][20] 윌리엄 스터전에 의해 개량되었다.[4]
조지 헨리 바흐호프너[4]와 스터전(1837)은 독자적으로 철선으로 된 "분할" 철심이 전력 손실을 줄인다는 것을 발견했다.[21] 초기 코일에는 캘런과 앙투안 필리베르 마송(1837)이 발명한 손으로 돌리는 차단기가 있었다.[22][23][24] 자동 '해머' 차단기는 제임스 윌리엄 맥골리 교수(1838)[25][26], 요한 필립 바그너(1839),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니프(1847)가 발명했다.[4][27][28] 이폴리트 피조(1853)는 켄칭 커패시터의 사용을 도입했다.[4][29][30] 하인리히 루름코르프는 2차 코일의 길이를 크게 늘려 더 높은 전압을 생성했으며,[4] 일부 코일에서는 10km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최대 40cm의 스파크를 발생시켰다. 1850년대 초, 미국 발명가 에드워드 새뮤얼 리치는 절연을 개선하기 위해 분할 2차 구조를 도입했다.[31][32] 조나단 내시 히어더는 유도 코일에 대해 연구했다.[33][34][35][36][37] 캘런의 유도 코일은 2006년 IEEE 업적으로 지정되었다.[38]
유도 코일은 초기 기체 방전과 크룩스 관 및 기타 고전압 연구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오락용(예: 게슬러 관 점등), 소형 "전기 충격 코일", 테슬라 코일, 엉터리 의학에 사용되는 자외선 장치 구동에도 사용되었다. 하인리히 헤르츠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예측한 전자기파의 존재를 증명하는 데 사용했고, 올리버 로지와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최초의 무선 전파 연구에 사용했다. 가장 큰 산업적 용도는 초기 무선 통신 스파크 갭 무선 송신기와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초기 냉음극 X선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었다. 이후 이러한 용도는 모두 교류 변압기와 진공관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내연 기관의 점화 시스템에서 점화 코일 또는 스파크 코일로 사용되고 있으며, 차단기 접점은 반도체 스위치로 대체되었다. 더 작은 버전은 카메라와 스트로보 조명에 사용되는 플래시 튜브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3. 1. 초기 발전
유도 코일은 최초의 전기 변압기였다. 1836년부터 1860년대까지의 개발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모든 변압기에 적용되는 많은 원리를 발견했다. 예를 들어 회전수와 출력 전압의 비례 관계, 와전류 손실을 줄이기 위한 "분할" 철심의 사용 등이 있다.
마이클 패러데이는 1831년 패러데이 유도 법칙을 발견하고 와이어 코일 사이의 유도에 대한 최초의 실험을 수행했다.[15] 1836년 미국 의사 찰스 그래프턴 페이지[25][16]와 아일랜드 과학자이자 가톨릭 사제인 니콜라스 캘런이 세인트 패트릭 대학교, 메이누스에서 유도 코일을 독자적으로 발명했으며,[4][17][18][19][20] 윌리엄 스터전에 의해 개량되었다.[4]
조지 헨리 바흐호프너[4]와 스터전(1837)은 독자적으로 철선으로 된 "분할" 철심이 전력 손실을 줄인다는 것을 발견했다.[21] 초기 코일에는 캘런과 앙투안 필리베르 마송(1837)이 발명한 손으로 돌리는 차단기가 있었다.[22][23][24] 자동 '해머' 차단기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제임스 윌리엄 맥골리 교수(1838)[25][26], 요한 필립 바그너(1839), 크리스티안 에른스트 니프(1847)가 발명했다.[4][27][28] 이폴리트 피조(1853)는 켄칭 커패시터의 사용을 도입했다.[4][29][30]
하인리히 루름코르프는 2차 코일의 길이를 크게 늘려 더 높은 전압을 생성했으며,[4] 일부 코일에서는 10km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최대 40cm의 스파크를 발생시켰다. 1850년대 초, 미국 발명가 에드워드 새뮤얼 리치는 절연을 개선하기 위해 분할 2차 구조를 도입했다.[31][32] 조나단 내시 히어더는 유도 코일에 대해 연구했다.[33][34][35][36][37] 캘런의 유도 코일은 2006년 IEEE 업적으로 지정되었다.[38]
3. 2. 성능 향상
20세기 초 스파크 간극 무선 송신기와 X선 기기에 사용되는 대형 유도 코일을 구동하기에는 진동식 '해머' 타입 인터럽터가 부족했다. 강력한 코일에서는 높은 1차 전류로 인해 인터럽터 접점에 아크가 발생하여 접점이 빠르게 손상되었다.[4] 또한 각 "차단"마다 코일에서 전압 펄스가 생성되므로, 초당 차단 횟수가 많을수록 출력이 커졌다. 해머 인터럽터는 초당 200회 이상의 차단 속도를 낼 수 없었고, 강력한 코일에 사용되는 것은 초당 20~40회로 제한되었다.따라서 인터럽터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8인치 미만의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소형 코일에는 해머 인터럽터만 사용되었지만,[13] 고출력 코일에는 개선된 설계가 사용되었다.[13] 레옹 푸코 등은 수은 용기에 담그고 빼내는 진동식 바늘로 구성된 인터럽터를 개발했다.[4] 수은은 알코올 층으로 덮여 아크를 빠르게 소멸시켜 더 빠른 스위칭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인터럽터는 별도의 전자석이나 모터로 구동되는 경우가 많았으며,[4] 1차 전류와는 별도로 차단 속도와 "유지" 시간을 조정할 수 있었다.
가장 큰 코일에는 전해질 또는 수은 터빈 인터럽터가 사용되었다.[4] 1899년 아서 베넬트가 발명한 전해질 또는 Wehnelt 인터럽터는 묽은 황산 전해질에 담긴 짧은 백금 바늘 양극으로 구성되었으며, 회로의 다른 쪽은 납판 음극에 연결되었다.[4][14] 1차 전류가 통과하면 바늘에 수소 기포가 생성되어 회로가 반복적으로 차단되었다. 이로 인해 초당 최대 2000회의 속도로 1차 전류가 무작위로 차단되었다. 이들은 X선관 구동에 선호되었다. 많은 열을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수소가 폭발할 수도 있었다. 수은 터빈 인터럽터는 회전하는 금속 접점에 액체 수은을 분사하는 원심력 펌프를 가지고 있었다.[4] 초당 최대 10,000회의 차단 속도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상업용 무선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터럽터 유형이었다.[4][14]
4. 응용
내연 기관의 점화 장치에 사용되는 고압 발생용 유도 코일은 '''점화 코일'''이라고 불린다.[1]
4. 1. 현대적 응용
1차측(자기장의 변동을 주는 쪽)도 코일인 것은, 전체적으로는 변압기의 일종이다.기계적으로 전류를 단속하여 고전압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것은, 절연 철심에 수백 회의 1차 코일을 감고, 이 위에 가는 도선을 수만 회에서 수십만 회 감아 2차 코일을 형성시켜 절연 철심에 단속기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고, 1차 코일의 전기 회로를 단속하도록 한 것이다. 1차 코일측에 수 볼트의 직류 전원(전지)을 접속하고, 1차 코일의 전류를 단속기로 단속함으로써, 2차 코일에는 높은 교류 전압이 유기된다. 단속기의 접점이 닫혀 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와, 단속기의 접점이 열려 전류가 끊길 때 기전력 방향은 반대가 되지만, 접점이 열려 전류가 끊길 때의 전류의 시간적 변화가 더 크기 때문에, 2차 코일에서는 한 방향의 고전압을 얻을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점화 장치에 사용되는 고압 발생용 유도 코일은, '''점화 코일'''이라고 불린다.
참조
[1]
논문
Annus Mirabilis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8-11-20
[2]
서적
Weird Scientists: the Creators of Quantum Physics
https://books.google[...]
Lulu
2011-01-01
[3]
서적
Electrical Science for Technicia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01
[4]
백과사전
[5]
서적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duction Coils
https://archive.org/[...]
Munn & Co.
1908-01-01
[6]
문서
https://archive.org/[...]
[7]
문서
https://archive.org/[...]
[8]
서적
Cyclopedia of Applied Electricity
American School of Correspondence
1908-01-01
[9]
서적
Electro-medical Instruments and their Management
Schall & Son London
[10]
서적
High Voltage Engineering
Pergamon Press
[11]
서적
Electro-medical Instruments and their Management
https://archive.org/[...]
Bemrose & Sons Ltd. Printers
[12]
서적
Ruhmkorff induction coils, their construction, operation and application
https://archive.org/[...]
Spon & Chamberlain
[13]
문서
https://archive.org/[...]
[14]
서적
How to make a wireless set
https://archive.org/[...]
The Popular Mechanics Co.
1911-01-01
[15]
논문
Experimental Researches in Electricity. Seventh Series
[16]
논문
The Classic Induction Coil
http://www.americanr[...]
2015-09-03
[17]
논문
On a new galvanic battery
https://books.google[...]
2013-02-14
[18]
서적
The Annals of Electricity, Magnetism, and Chemistry, Vol. 1
https://books.google[...]
Sherwood, Gilbert, and Piper
1837-01-01
[19]
서적
The Alternate Current Transformer in Theory and Practice, Vol. 2
https://books.google[...]
The Electrician Publishing Co.
1896-01-01
[20]
웹사이트
Reverend Professor Nicholas Callan
http://www.nuim.ie/m[...]
St. Patrick's College, Maynooth
2013-02-14
[21]
문서
https://books.google[...]
[22]
논문
Rapport sur plusieurs mémoires, relatifs à un mode particulier d'action des courants électriques (Report on several memoirs regarding a particular mode of action of electric currents)
http://gallica.bnf.f[...]
2013-02-14
[23]
논문
De l'induction d'un courant sur lui-même (On the induction of a current in itself)
https://books.google[...]
2013-02-14
[24]
논문
Mémoire sur l'induction
https://books.google[...]
2013-02-14
[25]
서적
History of Induction: The American Claim to the Induction Coil and Its Electrostatic Developments
https://archive.org/[...]
Intelligencer Printing House
1867-01-01
[26]
논문
Electro-magnetic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of high intensity
1838-01-01
[27]
논문
Ueber einen neuen Magnetelektromotor (On a new electromagnetic motor)
https://books.google[...]
2013-02-14
[28]
논문
Das Blitzrad, ein Apparat zu rasch abwechselnden galvanischen Schliessungen und Trennungen (The spark wheel, an apparatus for rapidly alternating closings and openings of galvanic circuits)
http://gallica.bnf.f[...]
2013-02-14
[29]
논문
Note sur les machines électriques inductives et sur un moyen facile d'accroître leurs effets
http://gallica.bnf.f[...]
2013-02-14
[30]
웹사이트
History of soft switching, Part 2
http://www.switching[...]
Switching Power Magazine
2008-05-16
[3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Press, John Wilson and Son
1896-01-01
[32]
서적
History of Induction: The American Claim to the Induction Coil and Its Electrostatic Developments
https://archive.org/[...]
Intelligencer Printing House
1867-01-01
[33]
논문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Induction Coil and Transformer
https://books.google[...]
1891-01-01
[34]
논문
Hearder's induction coil
[35]
논문
The improved induction coil
[36]
논문
The improved induction coil
[37]
웹사이트
Hearder, Jonathan Nash (1809–1876)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00
[38]
웹사이트
Milestones:Callan's Pioneering Contributions to Electrical Science and Technology, 1836
http://www.ieeeghn.o[...]
IEEE
2011-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