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동성 위험은 자산을 적절한 시기에 손실 없이 현금화하지 못해 발생하는 위험으로, 시장 유동성 위험과 자금 유동성 위험으로 구분된다. 시장 유동성 위험은 시장의 거래 부진으로 자산 매각이 어려운 경우를, 자금 유동성 위험은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의미한다. 유동성 위험은 시장, 기업, 외부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른 위험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유동성 갭, 유동성 탄력성, 매수-매도 스프레드, 시장 깊이, 즉시성, 회복탄력성 등을 통해 유동성 위험을 측정하고, 유동성 조정 VaR, 유동성 위험, 시나리오 분석, 유동성 공급원 다변화, 파생상품 활용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아마란스 어드바이저스, 노던록,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 등은 유동성 위험 관리 실패로 큰 손실을 본 사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 용어 -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발행 주식 수에 주당 시장 가격을 곱하여 계산하며 기업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실적과 성장 기대치를 반영하고 소형주, 중형주, 대형주 등으로 분류된다. - 경제학 용어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 금융 - 불로소득
불로소득은 경제학에서 노동이나 투자가 없이 얻는 소득을 의미하며, 고전 경제학에서는 토지 소유권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잉여가치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뜻한다. - 금융 - 동전주
동전주는 낮은 주가로 개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관심을 끌지만, 높은 변동성, 주가 조작 위험, 낮은 시가총액, 유동성 부족 등으로 투자 손실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유동성 위험 | |
|---|---|
| 유동성 위험 | |
| 개요 | |
| 정의 |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현금으로 전환하지 못하거나, 부채를 제때 상환하지 못할 위험 |
| 관련 위험 | 시장 유동성 위험 자금 조달 유동성 위험 |
| 시장 유동성 위험 | |
| 정의 | 시장 상황으로 인해 자산을 공정한 시장 가격에 신속하게 판매하기 어려운 위험 |
| 발생 요인 | 거래 상대방 부족 시장 심리 악화 규제 변화 정보 부족 |
| 영향 | 자산 가치 하락 손실 발생 가능성 증가 투자 전략 실행의 어려움 |
| 자금 조달 유동성 위험 | |
| 정의 | 예상치 못한 현금 유출 또는 부채 상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위험 |
| 발생 요인 | 신용 등급 하락 담보 가치 하락 차환 실패 예금 인출 급증 |
| 영향 | 자금 부족으로 인한 채무 불이행 자산 매각으로 인한 손실 기업 신뢰도 하락 |
| 유동성 위험 관리 | |
| 측정 지표 | 유동성 비율 현금 흐름 분석 스트레스 테스트 |
| 관리 방법 | 충분한 현금 보유 다양한 자금 조달원 확보 자산-부채 만기 구조 관리 위기 상황 대비 계획 수립 |
| 규제 | |
| 바젤 III |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및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 도입 |
| 기타 규제 | 각국 금융 당국의 유동성 위험 관리 감독 강화 |
2. 유동성 위험의 유형
유동성 위험은 크게 시장 유동성 위험과 자금 유동성 위험으로 나뉜다. 시장 유동성 위험은 시장 유동성 부족으로 자산을 매각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하며, 시장 위험의 하위 집합으로 간주된다.[1] 자금 유동성 위험은 부채를 만기 시에 갚을 수 없거나, 비경제적인 가격으로만 갚을 수 있는 위험을 의미한다.[1]
2. 1. 시장 유동성 위험
시장 유동성은 시장 유동성 부족으로 자산을 매각할 수 없는 경우로, 본질적으로 시장 위험의 하위 집합이다.[1] 이는 다음과 같이 고려될 수 있다.- 매수-매도 스프레드 확대
- 명시적 유동성 준비금 마련
- 위험가치(VaR) 계산을 위한 보유 기간 연장
2. 2. 자금 유동성 위험
자금 유동성 위험은 다음의 위험을 의미한다.[1]3. 유동성 위험의 원인
유동성 위험은 자산을 거래하려는 사람이 시장에 없어 거래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한다.[2] 이는 자산 가격이 0으로 떨어져 자산이 무가치하다고 시장에서 평가되는 것과는 다르다. 유동성 위험은 시장 참가자들이 서로를 찾지 못하는 문제일 뿐이다.[3]
유동성 위험은 불확실한 유동성으로 인한 금융 위험이다. 시장 유동성 위험과 자금 유동성 위험은 서로 악화되는데, 다른 투자자가 자금 문제에 직면하면 매도하기 어렵고 담보물을 매도하기 어려울 때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 유동성 위험은 거래 조직이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단기간에 해당 자산을 처분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시장 위험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어떤 회사가 특정일에 두 개의 다른 거래 상대방과 상계되는 현금 흐름을 가지고 있을 때, 거래 상대방 중 하나가 지급 의무를 불이행하면 회사는 지급을 위해 다른 출처에서 현금을 조달해야 한다. 만약 그렇게 할 수 없다면 회사도 불이행하게 되는데, 이는 유동성 위험이 신용 위험을 악화시키는 예시이다. 1993년 메탈게젤샤프트(Metallgesellschaft) 사태는 시장 위험 관점에서 헤지가 효과적이었는지 논란이 있지만, 선물에 대한 엄청난 마진콜로 인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한 사례이다.
유동성 위험은 시장 위험, 신용 위험 및 다른 위험과 함께 관리되어야 하며, 다른 위험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격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자산 부채 관리 기법을 유동성 위험 평가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테스트는 매일 기준으로 미래 순현금 흐름을 살펴보는 것이다. 상당한 음의 순현금 흐름을 가진 날은 우려 대상이며,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파생상품이나 모기지 담보부증권과 같은 조건부 현금 흐름은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유동성 위험을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 특정 기간에 걸쳐 시장 변동과 불이행에 대한 여러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 각 시나리오에 따른 매일 현금 흐름을 평가한다.
대차대조표가 조직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화가 거의 없다. 규제 당국은 주로 유동성 위험의 시스템적 영향에 우려하고 있다.
3. 1. 시장 요인
거래량 부족, 시장 참여자 간의 정보 비대칭, 시장 변동성 확대 등은 시장 유동성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유동성 위험은 신흥 시장이나 거래량이 적은 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3]3. 2. 기업 요인
신용등급 하락, 예상치 못한 현금 유출, 또는 다른 사건으로 인해 거래 상대방이 특정 기업과의 거래를 꺼리게 되면, 해당 기업은 유동성을 잃을 수 있다. 또한, 기업이 크게 의존하는 시장 자체가 유동성을 상실하는 경우에도 기업은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1]3. 3. 외부 요인
예상치 못한 경제 충격, 금융 위기, 정부 정책 변화 등은 시장 및 기업의 유동성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이다.[1] 기관은 신용등급이 하락하거나 예상치 못한 갑작스러운 현금 유출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다른 사건으로 인해 거래 상대방이 기관과의 거래 또는 대출을 피하는 경우 유동성을 잃을 수 있다. 기업이 의존하는 시장이 유동성 상실에 직면하는 경우에도 유동성 위험에 노출된다.[1]4. 유동성 위험의 측정
클럽(Culp)은 유동성 위험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유동성 갭(liquidity gap)과 유동성 탄력성(Elasticity)을 제시했다.[1] 유동성 갭은 기업의 순 유동자산, 즉 유동자산 가치에서 변동성이 큰 부채 가치를 차감한 값으로, 이 값이 마이너스이면 현금 잔고와 예상치 못한 가치 변동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1] 그러나 유동성 갭은 정적인 지표로서, 기업의 한계 자금 조달 비용 증가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1]
유동성 탄력성은 은행의 한계 자금 조달 비용에 대한 유동성 프리미엄이 소폭 상승할 때 자산 순액이 자금 조달 부채를 초과하는 변화를 나타낸다.[1] 은행의 경우 리보(LIBOR)에 대한 스프레드로, 비금융회사의 경우 어음 할인율에 대한 스프레드로 측정된다.[1] 하지만 이 역시 모든 만기의 자금 조달 스프레드가 평행하게 변화한다고 가정하고, 작은 변화에 대해서만 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1]
하치마이스터는 시장 깊이를 다양한 매수-매도 스프레드에서 매수 및 매도할 수 있는 자산의 양으로 정의하며, 이는 슬리피지와 관련이 있다.[1] 나이트와 새첼은 대량 주문 실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조정해야 하며, 유동성 비용을 실행 가격과 초기 실행 가격의 차이로 계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
매도호가-매수호가 스프레드는 시장 참여자들이 자산 유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이다. 서로 다른 상품들을 비교하기 위해 스프레드와 상품의 매수호가의 비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비율이 작을수록 자산의 유동성이 높다.[1]
하치마이스터는 유동성의 네 번째 차원으로 회복탄력성을 제시했는데, 이는 대규모 거래 후 가격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속도를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만 결정될 수 있다.[1]
4. 1. 유동성 갭 (Liquidity Gap)
클럽(Culp)은 유동성 갭(liquidity gap)을 기업의 순 유동자산, 즉 기업의 유동자산 가치에서 변동성이 큰 부채 가치를 차감한 값으로 정의한다.[1] 유동성 갭이 마이너스인 기업은 현금 잔고와 예상치 못한 가치 변동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1]유동성 갭은 정적인 유동성 위험 측정 지표로서, 기업의 한계 자금 조달 비용 증가에 따라 갭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1]
4. 2. 유동성 탄력성 (Elasticity)
컬프(Culp)는 은행의 한계 자금 조달 비용에 대한 유동성 프리미엄이 소폭 상승할 때 자산 순액이 자금 조달 부채를 초과하는 변화를 유동성 위험 탄력성으로 나타낸다.[1] 은행의 경우 이는 리보(LIBOR)에 대한 스프레드로 측정되고, 비금융회사의 경우 유동성 위험 탄력성은 어음 할인율에 대한 스프레드로 측정된다.[1]유동성 위험 탄력성 사용의 문제점은 모든 만기의 자금 조달 스프레드가 평행하게 변화한다고 가정하고, 자금 조달 스프레드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만 정확하다는 것이다.[1] 하치마이스터는 시장 깊이를 다양한 매수-매도 스프레드에서 매수 및 매도할 수 있는 자산의 양으로 정의한다.[1] 슬리피지는 시장 깊이 개념과 관련이 있다.[1] 나이트와 새첼은 대량 주문 실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에 따라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조정해야 한다고 언급한다.[1] 그들은 유동성 비용을 실행 가격과 초기 실행 가격의 차이로 계산한다.[1]
4. 3. 매수-매도 스프레드 (Bid-Ask Spread)
매도호가-매수호가 스프레드는 시장 참여자들이 자산 유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 서로 다른 상품들을 비교하기 위해 스프레드와 상품의 매수호가의 비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비율이 작을수록 자산의 유동성이 높다.[1]이 스프레드는 운영, 관리 및 처리 비용뿐만 아니라 더 많은 정보를 가진 거래자와 거래할 가능성에 대한 보상으로 구성된다.[1] 하치마이스터는 시장 깊이를 다양한 매수-매도 스프레드에서 매수 및 매도할 수 있는 자산의 양으로 정의한다. 슬리피지는 시장 깊이 개념과 관련이 있다. 나이트와 새첼은 대량 주문 실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에 따라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조정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유동성 비용을 실행 가격과 초기 실행 가격의 차이로 계산한다.[1]
4. 4. 시장 깊이 (Market Depth)
하치마이스터는 시장 깊이를 다양한 매수-매도 스프레드에서 매수 및 매도할 수 있는 자산의 양으로 정의한다.[1] 슬리피지는 시장 깊이 개념과 관련이 있다.[1] 나이트와 새첼은 대량 주문 실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에 따라 매수-매도 스프레드를 조정해야 한다고 언급한다.[1] 그들은 유동성 비용을 실행 가격과 초기 실행 가격의 차이로 계산한다.[1]4. 5. 즉시성 (Immediacy)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즉시성(Immediacy)'에 대한 직접적인 정의나 설명이 없습니다. 따라서 요약에 제시된 "특정 자산을 정해진 가격으로 성공적으로 거래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라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섹션 내용을 작성하려면 '즉시성'을 명확히 다루는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현재로서는 섹션 작성이 불가능합니다.4. 6. 회복탄력성 (Resilience)
하치마이스터는 유동성의 네 번째 차원으로 대규모 거래 후 가격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속도를 정의한다. 회복탄력성은 다른 척도와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만 결정될 수 있다. 즉, 회복탄력성은 회복 능력이다.[1]5. 유동성 위험 관리
유동성 위험 관리는 금융기관 및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유동성 조정 VaR (Liquidity-Adjusted Value at Risk): VaR에 외생적 유동성 위험을 통합한 것이다.
- 유동성 위험 (Liquidity at Risk): 앨런 그린스펀이 1999년 제안한 척도로, 국가의 유동성 상황을 고려한다.
- 시나리오 분석 기반 비상 계획: FDIC는 유동성 위험 관리에 있어 비상 자금 조달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유동성 공급원 다변화: 여러 유동성 공급자를 확보하여 특정 공급자의 위험을 줄인다.
- 파생상품 활용: 유동성 위험 헤지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파생상품을 활용한다.
5. 1. 유동성 조정 VaR (Liquidity-Adjusted Value at Risk)
VaR에 외생적 유동성 위험을 통합한 것이다. 이는 VaR + ELC(외생적 유동성 비용)로 정의할 수 있다. ELC는 특정 신뢰 수준에서 예상되는 최악의 반 스프레드이다.[7]오늘날의 VaR 측정치의 규제적 선구자와 함께 1970년대에 도입된[8] 또 다른 조정은 포트폴리오를 청산하는 데 필요한 기간 동안 VaR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 기간 동안 VaR을 계산할 수 있다. BIS은 "... 여러 기관이 유동성 조정 VaR의 사용을 모색하고 있으며, 여기서 위험 평가의 보유 기간은 포지션을 청산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조정됩니다."라고 언급한다.[9]
5. 2. 유동성 위험 (Liquidity at Risk)
앨런 그린스펀은 1999년 외환보유고 관리에 대해 논하며 "유동성 위험(Liquidity at risk)"이라는 척도를 제안했다.[10] 이는 환율, 원자재 가격, 신용 스프레드 등 관련 금융 변수의 다양한 가능성에 따른 국가의 유동성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다.[10] 다양한 결과의 확률을 표현하는 표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10] 예를 들어, 허용 가능한 부채 구조는 관련 금융 변수의 추정 분포에 걸쳐 평균화된 평균 만기가 특정 한계를 초과해야 할 수 있다.[10] 또한, 국가는 95%와 같은 특정 사전 확률로 1년 동안 새로운 차입을 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동성 예비 자산을 보유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10]5. 3. 시나리오 분석 기반 비상 계획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유동성 위험 관리에 대해 "비상 자금 조달 계획에는 기관의 유동성에 급격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들을 포함해야 한다. 여기에는 자산 유동화의 갑작스러운 불가능, 담보 요건의 강화 또는 담보 대출과 관련된 기타 제한적인 조건, 대규모 예금주 또는 거래 상대방의 손실 등이 포함된다"라고 설명한다.[11] 그린스펀의 유동성 위험 개념은 시나리오 기반 유동성 위험 관리의 한 예이다.5. 4. 유동성 공급원 다변화
여러 유동성 공급자를 확보하면, 그 중 한 공급자가 유동성 공급 비용을 인상하더라도 그 영향은 줄어든다. 미국 보험계리사 협회(American Academy of Actuaries)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회사가 재정적으로 건전하다면, 지속적이고 상시 이용 가능한 유동성 신용한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용 제공자는 필요할 때 자원을 확보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히 높은 신용등급을 가져야 한다."[12]5. 5. 파생상품 활용
Bhaduri, Meissner, Youn은 유동성 위험 헤지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다섯 가지 파생상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1]- 인출 옵션(Withdrawal option): 시장 가격으로 비유동성 기초자산을 매도할 수 있는 풋 옵션이다.
- 버뮤다형 환매 풋 옵션(Bermudan-style return put option): 특정 행사가격으로 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다.
- 환매 스왑(Return swap): 기초자산의 수익률을 LIBOR(런던 은행 간 금리)로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스왑이다.
- 환매 스왑션(Return swaption): 환매 스왑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옵션이다.
- 유동성 옵션(Liquidity option): 유동성 지표를 장벽으로 하는 "녹인" 장벽옵션이다.
6. 유동성 위험 사례 연구
아마란스 어드바이저스(Amaranth Advisors), 노던록,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TCM) 등 여러 금융 회사의 사례를 통해 유동성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아마란스 어드바이저스(Amaranth Advisors) (2006): 천연가스 선물 시장에 대한 과도한 투자로 60억달러의 손실을 보았다. 이는 집중적이고 레버리지가 높은 포지션의 위험성을 보여준다.[13]
- 노던록 (2007):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단기 자금 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건전한 기업이라도 유동성 위험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TCM) (1998): 경제 충격으로 인한 시장가격 평가 손실과 마진콜로 현금 흐름 위기를 겪었다. 이는 자금 및 자산 유동성 문제의 복합적인 영향을 보여준다.[18]
6. 1. 아마란스 어드바이저스 (Amaranth Advisors LLC) – 2006
아마란스 어드바이저스(Amaranth Advisors)는 2006년 9월 천연가스 선물 시장에서 약 60억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아마란스는 천연가스 전략에서 집중적이고 레버리지가 높으며 분산되지 않은 포지션을 취했다. 아마란스의 포지션은 매우 컸으며, 천연가스 선물 세계 시장의 약 10%를 차지했다.[13] 친카리니(Chincarini)는 기업이 유동성 위험을 명시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근 호가 근처에서 선물 계약을 매도할 수 없는 것은 증권에 대한 집중도와 관련이 있다. 아마란스의 경우, 집중도가 너무 높았고 포지션을 청산해야 할 때 자연스러운 상대방이 없었다.[14] 친카리니(2006)는 아마란스가 입은 손실의 일부는 자산의 비유동성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2006년 8월 31일부터 9월 21일까지 3주 동안 천연가스 선물 계약의 수익률을 초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에 대해 회귀 분석한 결과, 2006년 8월 31일 미결제약정이 과거 정규화된 값보다 훨씬 높았던 계약은 더 큰 손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5]6. 2. 노던록 (Northern Rock) – 2007
노던록은 2007년 9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자금 유동성 위험에 직면했다. 당시 노던록은 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만기가 도래한 대출과 예금을 단기 자금 시장에서 갱신할 수 없어 유동성 문제를 겪었다.[16] 이에 따라 FSA는 특히 "고영향력 소매 금융회사"와 관련하여 유동성 위험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17]6. 3.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 (LTCM) – 1998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TCM)는 1998년 경제 충격으로 과도한 시장가격 평가 손실과 마진콜이 발생하여 현금 흐름 위기에 직면했고, 이후 14개 은행 컨소시엄에 의해 구제되었다.[18] LTCM은 자금 및 자산 유동성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자산 유동성 문제는 위기 이후 유동성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을 LTCM이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대차대조표의 상당 부분이 유동성 위험 프리미엄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LTCM의 공매도 포지션은 매수 포지션에 비해 가격이 상승했다. 이는 본질적으로 단일 위험 요인에 대한 대규모의 헤지되지 않은 노출이었다.[18] LTCM은 자금 유동성 위험을 인지하고 있었다. 실제로,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AAA 등급의 상업용 모기지의 삭감이 2%에서 10%로 증가하고, 다른 증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에 대응하여 LTCM은 담보 대출의 상당 부분에 대해 수주 동안 고정된 마진을 가진 장기 자금 조달을 협상했다. 그러나 악화되는 유동성 악순환으로 인해 LTCM은 자금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수많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자산 포지션에 대한 자금을 조달할 수 없었다.[1]참조
[1]
논문
Market Liquidity and Funding Liquidity
[2]
서적
The Principles of Banking
Wiley
[3]
논문
Over-the-Counter Markets
[4]
논문
Asset pricing with liquidity risk
http://archive.nyu.e[...]
[5]
논문
How Much Can Marketability Affect Security Values?
[6]
논문
How much can illiquidity affect corporate debt yield spread?
[7]
논문
Market Liquidity and its incorporation into Risk Management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Value-at-Risk: Theory and Practice, Second Edition
http://value-at-risk[...]
2013-07-02
[9]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Multidisciplinary Working Group on Enhanced Disclosure
http://www.bis.org/p[...]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2-08-08
[10]
웹사이트
Mr Greenspan discusses recent trends in the management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http://www.bis.org/r[...]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2-08-08
[11]
웹사이트
Liquidity Risk Management
http://www.fdic.gov/[...]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2012-08-08
[12]
웹사이트
Report of the Life Liquidity Work Group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tuaries to the NAIC's Life Liquidity Working Group
http://www.actuary.o[...]
American Academy of Actuaries
2012-08-08
[13]
웹사이트
The More Things Change... Amaranth
http://www.wilmott.c[...]
2012-08-08
[14]
논문
Natural Gas Futures and Spread Position Risk: Lessons from the Collapse of Amaranth Advisors L.L.C
[15]
논문
The Amaranth Debacle: Failure of Risk Measures or Failure of Risk Management?
[16]
웹사이트
Reflections on Modern Bank Runs: A Case Study of Northern Rock
https://web.archive.[...]
2012-08-09
[17]
웹사이트
FSA moves to enhance supervision in wake of Northern Rock
http://www.fsa.gov.u[...]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2012-08-09
[18]
웹사이트
Long-Term Capital Management Case Study
http://www.erisk.com[...]
ER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