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로소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로소득은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헨리 조지가 지대와 경제적 지대를 대중화하기 위해 만들었다. 경제학적 관점에 따라 불로소득의 의미는 다르며, 고전 경제학에서는 토지 소유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잉여가치에서 비롯된 소득을 의미한다. 불로소득은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 없는 경우와 필요한 경우로 나뉘며, 과세 방식에 따라 근로소득과 다르게 취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입 - 보편적 기본소득
보편적 기본소득은 모든 국민에게 조건 없이 일정 소득을 지급하는 정책으로, 빈곤 해결, 소비 촉진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재원 조달, 노동 의욕 저하 등의 단점과 비판에 직면하여 사회적 합의를 통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대상이다. - 수입 - 수입 (회계)
수입은 경제, 회계, 법률 분야에서 개인이나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얻는 경제적 이익의 총액을 의미하며, 소비 능력, 자본 증가, 과세 대상 등의 다양한 측면을 가진다. - 지공주의 - 자유 시장
자유 시장은 정부 개입 없이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과 생산량이 결정되는 경제 체제로, 개인의 경제적 자유를 통해 효율성을 추구하지만, 시장 실패, 불균형, 사회적 불안정 등의 문제점과 다양한 경제 이론과의 연관성, 자본주의와의 관계, 정부 개입 정도에 따른 모델 다양성, 민주주의 유사성과 공정성 문제에 대한 비판이 존재한다. - 지공주의 - 좌파 자유지상주의
좌파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를 중시하며 국가 축소 또는 폐지를 주장하는 이념으로, 자유지상주의 가치에 천연자원의 평등한 분배 또는 공유를 더하고, 자기 소유권과 사회주의적 가치의 양립, 사유 재산권 범위, 자연 자원 소유 문제 등을 핵심 논쟁으로 하며, 기본소득과 소득 재분배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 정치경제학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정치경제학 - 국부론
애덤 스미스가 1776년에 출판한 국부론은 고전 경제학의 시초로 여겨지며 분업,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 자본 축적, 중상주의 비판, 보이지 않는 손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경제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불로소득 | |
---|---|
불로소득 (Unearned Income) | |
정의 | 노동이나 사업 활동 없이 얻는 소득 |
특징 | 재산 소유나 권리로부터 발생하는 소득, 생산적 활동에 대한 대가가 아님 |
예시 | 임대료 이자 배당금 로열티 지대 |
경제학적 관점 | |
경제적 지대 | 생산 요소의 소유에서 발생하는 초과 이윤 |
자본 소득 | 자본 장비나 주식 소유에서 발생하는 소득 |
소득 불평등 | 불로소득은 소득 불평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됨 |
사회적 의미 | |
비판적 시각 | 불로소득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노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왜곡한다는 비판이 있음 |
긍정적 시각 | 자본 축적 및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함 |
관련 개념 | |
재산 소득 | 재산 소유를 통해 얻는 소득 (임대료, 이자, 배당금 등) |
소극적 소득 (Passive Income) | 노동력을 직접 투입하지 않고 얻는 소득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됨 |
법적 및 세무적 관점 | |
과세 대상 |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로소득은 소득세 과세 대상임 |
세법상의 분류 | 임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다양한 항목으로 분류되어 과세됨 |
추가 정보 | |
한국어 용어 | 불로소득 |
영어 용어 | Unearned income 또는 passive income |
참고 자료 | 이정우 경북대 명예교수 칼럼 영어 위키백과 Unearned income 문서 |
2. 경제학적 관점
'불로소득'이라는 용어는 헨리 조지가 경제 개념인 지대와 일반적인 지대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만든 것이다.[2] 조지는 존 스튜어트 밀이 사용한 '토지의 불로이득'이라는 용어를 수정하여, 토지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모든 지대를 포함하도록 개념을 넓혔다.
특정 노동가치설에 따르면, 노동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닌 모든 소득을 불로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2. 1. 고전 경제학
경제학에서 '불로소득'은 사용되는 이론적 틀에 따라 의미와 함축이 다르다. 역동적인 경쟁을 강조하는 고전 경제학자들에게는 경쟁의 대상이 아닌 소득, 주로 토지 소유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이 '지대' 또는 불로소득이었다.애덤 스미스와 존 로크 같은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은 인간에 의해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토지를 다른 형태의 재산과 다르게 보았다. 정치 경제학적 의미에서 토지 소유권은 항공권, 수자원 권리, 시추 권리, 주파수 권리를 포함한 모든 자연 현상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할 수 있다. 존 스튜어트 밀 같은 고전 경제학자들은 자연 독점과 인위적 독점 모두에 대해 우려했으며, 그들의 소득이 전적으로 획득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2. 2. 마르크스 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 및 관련 학파에서 불로소득은 경제가 생산하는 잉여가치에서 비롯된다. 여기서 "잉여가치"는 생계에 필요한 것 이상의 가치를 의미한다.[3] 불로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개인과 집단은 착취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 이유는 그들이 받는 불로소득이 그들의 노력이나 기여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따라서 그들의 소득은 "불로소득"이다). 재산 소유권을 기반으로 받는 불로소득의 존재는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계급 분석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기서 불로소득과 착취는 자본주의적 생산에 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2. 3. 신고전파 경제학
신고전파 경제학 틀에서는 생산 요소에 대한 정상적이거나 예상되는 수익에 기인하지 않는 소득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구 증가로 인해 토지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와 같이 뜻밖의 이익을 가리킬 수 있다.[2]3. 종류
경제학에서 '불로소득'은 사용되는 이론적 틀에 따라 의미와 함축이 다르다. 고전 경제학자들은 경쟁의 대상이 아닌 소득, 주로 토지 소유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지대' 또는 불로소득으로 보았다.[2] 신고전파 경제학에서는 생산 요소에 대한 정상적이거나 예상되는 수익에 기인하지 않는 소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인구 증가로 인한 토지 가격 상승과 같은 뜻밖의 이익을 가리킨다. 마르크스 경제학 및 관련 학파에서 불로소득은 경제가 생산하는 잉여가치에서 비롯되며, 여기서 "잉여가치"는 생계에 필요한 것 이상의 가치를 의미한다.[3]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은 직업이나 사업 소득이 아닌 모든 소득을 비근로소득(unearned income)으로 정의한다.[4] 불로소득은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한 경우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 없는 경우 |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한 경우 |
---|---|
3. 1.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 없는 경우
헨리 조지는 지대라는 경제 개념을 널리 알리기 위해 '불로소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 그는 존 스튜어트 밀이 사용한 '토지의 불로이득'이라는 용어를 수정하여, 토지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지대를 포함하도록 개념을 확장했다.경제학에서 '불로소득'은 사용되는 이론적 틀에 따라 그 의미와 함축하는 바가 달라진다. 고전 경제학자들은 경쟁의 대상이 아닌 소득, 주로 토지 소유권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지대' 또는 불로소득으로 보았다. 특정 노동가치설에 따르면, 노동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닌 모든 소득을 불로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신고전파에서는 생산 요소에 대한 정상적이거나 예상되는 수익에 기인하지 않는 소득, 즉 뜻밖의 이익을 가리킨다.
애덤 스미스와 존 로크와 같은 고전 정치 경제학자들은 토지를 인간에 의해 생산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다른 형태의 재산과 다르게 취급했다. 정치 경제학적 의미에서 토지 소유권은 항공권, 수자원 권리, 시추 권리, 주파수 권리 등 모든 자연 현상에 대한 소유권을 포함한다. 존 스튜어트 밀과 같은 고전 경제학자들은 자연 독점과 인위적 독점 모두에 대해 우려했으며, 그 소득이 온전히 획득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마르크스 경제학 및 관련 학파에서 불로소득은 경제가 생산하는 잉여가치에서 비롯된다.[3] 잉여가치는 생계에 필요한 것 이상의 가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불로소득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개인과 집단은 착취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들이 받는 불로소득은 노력이나 기여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재산 소유권을 기반으로 받는 불로소득의 존재는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계급 분석의 기초를 형성하며, 여기서 불로소득과 착취는 자본주의적 생산에 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미국 사회보장국의 정의에 따르면, 비근로소득(unearned income)은 직업이나 사업으로부터 얻는 소득이 아닌 모든 소득을 의미한다.[4] 비근로소득의 일반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 타인으로부터 받은 식량이나 주거의 가치 또는 이를 위한 비용 보조로 받은 금액
- 국가보훈처(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VA) 수당
- 철도 퇴직 및 실업 수당
- 연금(정부 또는 민간 기관으로부터 받는 연금), 퇴직 연금, 산업재해 보상, 실업급여, 탄광병 수당 및 사회보장 수당
- 상금, 복권 당첨금, 합의금 및 수상금(법원 명령에 따른 수상금 포함)
- 생명보험금
- 증여 및 기부금
- 부양금 및 위자료
- 상속(현금 또는 재산)
- 임대소득
- 배당금 및 이자
- 파업 수당 및 노조로부터 받는 기타 수당
노력 없이 소득을 얻는 상태, 즉,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 없는 불로소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 2.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한 경우
다음은 노동이나 투자가 필요한 불로소득의 예시이다.- 예금 및 저축의 이자: 은행에 돈을 예금하거나 저축하면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주식의 배당금: 주식을 보유하면 회사의 이익을 배당금 형태로 받을 수 있다.
- 채권(국채, 사채 등)의 이자: 채권을 보유하면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선물, 외환의 매매이익: 선물이나 외환 거래를 통해 차익을 얻을 수 있다.
- 부동산 경영(임대료 수입): 부동산을 소유하고 임대하여 임대료를 받을 수 있다.
- 생명보험의 지급금: 보험 계약에 따라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 복권 당첨금: 복권에 당첨되면 상금을 받을 수 있다.
- 공영경마(경마, 경륜, 경정, 모터보트경주) 당첨금: 경마, 경륜, 경정 등에서 승리하면 상금을 받을 수 있다.
- 저작권 사용료(인세): 저작물을 창작하면 저작권 사용료를 받을 수 있다.
4. 과세
경제학에서 '불로소득'은 사용되는 이론적 틀에 따라 의미와 함축이 다르다. 비과세 소득은 종종 소득 재분배 또는 생산적인 노동으로부터 얻은 소득과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기 위해 과세 목적으로 근로소득과 다르게 취급되어 왔다. 이러한 조세 구조는 종종 누진세 구조와 관련이 있다. 옹호자들은 극도로 높은 소득이 비과세 소득이며, 1979년 최고 소득 구간의 소득세가 98%에 달했던 영국의 사례를 예로 든다.[5]
최근에는 움직임이 반대로 바뀌었고,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생산적인 노동으로부터 얻은 소득보다 비과세 소득에 대해 더 유리하게 과세하고 있다. 여기에는 지출이나 재투자와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소득의 상당 부분이 결국 경제에 재순환될 것이라는 기대가 포함된다.
자본 이득은 일부 사람들이 비과세 소득이라고 주장하는 수동적 소득의 한 형태이지만, 이는 모든 다양한 경제학 학교들의 사상 사이에서 큰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장기 자본 이득(일반적으로 12개월 이상 보유한 자산)에 대해 15%의 세율이 적용된다.[6]
고전적인 자유 시장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비과세 소득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로널드 코즈와 같은 최근 경제학자들은 자본 시장이 최상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기업에 자원 배분을 용이하게 하고, 비과세 소득에 대한 추가 세금이 이러한 메커니즘을 방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진보주의자들은 세금 자체의 목적은 자원이 가장 필요한 곳에 자원을 할당하고, 자본이 하위 과세 구간을 희생하여 상향 이동되는 시스템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5. 한국의 사회보장제도와 불로소득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의 정의에 따르면, 비근로소득(unearned income)은 직업이나 사업으로부터 얻는 소득이 아닌 모든 소득을 의미한다.[4] 비근로소득의 일반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 타인으로부터 받은 식량이나 주거의 가치 또는 이를 위한 비용 보조로 받은 금액
- 국가보훈처 수당
- 철도 퇴직 및 실업 수당
- 연금(정부 또는 민간 기관으로부터 받는 연금), 퇴직 연금, 산업재해 보상, 실업급여, 탄광병 수당 및 사회보장 수당
- 상금, 복권 당첨금, 합의금 및 수상금(법원 명령에 따른 수상금 포함)
- 생명보험금
- 증여 및 기부금
- 부양금 및 위자료
- 상속(현금 또는 재산)
- 임대소득
- 배당금 및 이자
- 파업 수당 및 노조로부터 받는 기타 수당
6. 기타
"일하지 않고도 돈을 번다"와 같은 말은 악덕 상법이나 사기 행위의 유혹 설명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다.[7]
블라디미르 레닌은 당 기관지 「프라우다」 제17호(1919년 1월 12일 발행)에 기고한 논문 “경쟁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에서 “‘일하지 않는 자 먹지도 말라’는 사회주의의 실천적 계율이다”라고 말했다. 여기서 ‘일하지 않는 자’는 (일하는 것은 노동자인) 부동산 소득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는 자산가를 의미한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Economy, Volume 2
Routledge
2003-09-00
[2]
서적
A patriot'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 from Columbus's Great Discovery to the war on terror
Sentinel
2007-00-00
[3]
서적
Karl Marx's Economics: Critical Assessments I and II
Routledge
1996-00-00
[4]
웹사이트
What is “unearned income”?
http://www.ssa.gov/O[...]
U.S. Social Security Handbook
2012-12-27
[5]
웹사이트
Income Tax and Top Incomes over the Twentieth Century
http://economics.oul[...]
2003-12-00
[6]
웹사이트
2016 Federal Tax Rate
http://rsmus.com/pdf[...]
RSM US LLP.
2016-09-04
[7]
간행물
「絶対儲かる」「返金保証で安心」とうたう情報商材に注意!-情報商材モール業者を介して購入した事例から見る問題点-
独立行政法人国民生活センター
[8]
서적
2006-00-00
[9]
웹인용
[정동칼럼]독재정권이 땅값 올렸다
https://m.khan.co.kr[...]
2024-01-05
[10]
서적
177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