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례 이사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례 이사금은 신라의 13대 이사금이다. 조분 이사금과 내해 이사금의 딸 박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재위 기간은 284년부터 298년까지이다. 재위 기간 동안 백제와 화친하려 했으나 실패했으며, 왜의 침략을 여러 차례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다. 297년에는 이서국의 공격을 받았으나 죽엽군의 도움으로 이를 물리쳤다. 298년 12월에 사망했으며,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98년 사망 - 책계왕
    책계왕은 백제 제8대 국왕으로 고이왕의 아들이며, 대방군 태수의 딸과 결혼하여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고구려의 공격에 대비해 방어 시설을 보강했으나, 한, 예맥 연합군의 침입으로 전사하여 백제의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 월성 석씨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월성 석씨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유례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이사금
재위 기간284년 - 298년
즉위284년
퇴위298년
이전 군주미추 이사금
다음 군주기림 이사금
아버지조분 이사금
어머니박씨 왕후
출생알 수 없음
사망298년
사망 장소신라
무덤 위치알 수 없음
석유례(昔儒禮)
로마자 표기Yurye Isageum
신라 역대 군주혁거세 57 BCE – 4 CE
남해 4–24
유리 24–57
탈해 57–80
파사 80–112
지마 112–134
일성 134–154
아달라 154–184
벌휴 184–196
내해 196–230
조분 230–247
첨해 247–261
미추 262–284
유례 284–298
기림 298–310
흘해 310–356
내물 356–402
실성 402–417
눌지 417–458
자비 458–479
소지 479–500
지증 500–514
법흥 514–540
진흥 540–576
진지 576–579
진평 579–632
선덕 632–647
진덕 647–654
무열 654–661

2. 가계

유례 이사금의 친부는 조분 이사금이며, 친모는 내음 갈문왕의 딸인 운소부인 박씨이다.

2. 1. 조상

관계이름비고
조부석골정(昔骨正)
조모옥모부인 김씨구도 갈문왕의 딸
외조부내음 갈문왕
부친조분 이사금
모친운소부인 박씨(雲召夫人 朴氏)내음 갈문왕의 딸


2. 2. 부모

3. 치세

286년 1월에 백제가 강화를 요청하며 사신을 보냈다. 295년 봄, 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화친할 것을 신하들과 의논했으나, 서불한(이벌찬의 별칭) 홍권의 반대로 보류되었다. 297년에는 이서국(경상북도 청도군)에게 공격을 받아 수도 금성(경주시)이 포위되었으나, 죽엽군의 도움으로 격퇴하였다.

재위 15년 만인 298년 12월에 사망했다.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3. 1. 백제와의 관계

286년 1월에 백제가 강화를 요청하며 사신을 보냈다.[2] 295년 봄, 에 대항할 필요가 있다며 백제와 화친할 것을 신하들에게 의논했으나, 서불한(이벌찬의 별칭) 홍권의 반대로 백제와의 화친은 보류되었다.

3. 2. 왜와의 관계

287년 4월, 왜인이 일례부[2]에 쳐들어와 마을에 불을 지르고 약탈하여 1천 명을 포로로 잡고 물러갔다. 292년 왜병이 사도성(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을 공격했으나, 일길찬 대곡(大谷)의 활약으로 격퇴하였다. 294년 왜병이 장봉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였다. 신라는 사도성을 개축하고 사벌주(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의 유력 가구를 이주시킴으로써 왜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3. 3. 이서국과의 전투

297년 이서국(伊西國, 지금의 경상북도 청도군)이 수도 금성(경주시)을 포위하였으나, 죽엽군의 도움으로 격퇴하였다.[2]

4. 사망

298년 12월, 재위 15년 만에 사망했다.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2]

참조

[1] 뉴스 https://www.su-wan.c[...] 2024-03-18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