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분 이사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분 이사금은 신라의 제12대 왕이다. 230년에 즉위하여 247년까지 재위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군사를 정비하고 감문국을 병합했다. 왜의 침입을 격퇴하고 골벌국을 복속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백제와 고구려의 침공을 받기도 했다. 이찬 석우로를 등용하여 국방을 담당하게 했으며, 247년 5월에 사망했다. 조분 이사금의 가계는 아버지 석골정, 어머니 옥모부인, 왕후 아이혜부인이며, 기림 이사금은 그의 손자 또는 둘째 아들로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47년 사망 - 상랑
    상랑은 후한 말부터 촉한 시대까지 유표, 유비, 유선을 섬긴 관료이자 학자로, 촉한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제갈량 사후 좌장군까지 올랐고, 은퇴 후 고전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으나 가정 전투 이후 마속을 비호한 일로 비판받기도 했다.
  • 247년 사망 - 보즐
    보즐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장수로, 손권 휘하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손권의 보좌 역할을 했고, 육손 사후 승상에 올랐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 월성 석씨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월성 석씨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조분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신라 군주 (9-16)
칭호이사금
재위 기간230년 - 247년
즉위230년
이전내해 이사금
이후첨해 이사금
아버지석골정
어머니옥모부인
사망247년
사망 장소신라
추증 시호조분 이사금 (조분 이사금)
개인 정보
석 (昔)
이름조분 (助賁)
한국어 정보
한글조분 이사금
한자助賁尼師今
로마자 표기Jobun Isageum

2. 치세

230년 조분 이사금은 즉위와 함께 연충(連忠)을 이찬에 임명하고 군사를 정비했다. 이찬 석우로를 등용하여 국방을 담당하게 했다. 245년 고구려 동천왕의 침입을 받았으나, 석우로가 출전하여 방어했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마두책(경기도 포천시)까지 퇴각했다. 재위 18년 만인 247년 5월에 사망했으며,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2. 1. 왜와의 전쟁

232년 음력 4월에 왜가 금성을 포위하자, 조분 이사금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나가 적을 격퇴하고 1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233년 음력 5월 왜가 다시 동쪽을 노략하니 음력 7월에 이찬 석우로가 사도(沙道)에서 왜인과 싸워, 화공으로 왜인들의 배를 불태우고 적병을 수장시켰다. 232년 4월 왜인이 수도 금성으로 쳐들어왔을 때 조분 이사금은 직접 출진하여 왜인을 궤멸시켰으며, 기마대를 파견하여 수급 1천 개를 얻었다. 이후에도 233년 5월, 7월에 걸쳐 왜인과의 항쟁이 이어졌고, 석우로가 왜인의 병선을 불태워 격퇴했다.

2. 2. 주변국과의 관계

231년 음력 7월 이찬 석우로를 대장군으로 하여 감문국을 병합했다. 232년 음력 4월에는 왜가 금성을 포위하자, 이사금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적을 격퇴하고 1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233년 음력 5월 왜가 다시 동쪽을 노략하자, 음력 7월에 이찬 석우로가 사도(沙道)에서 왜인과 싸웠는데, 화공으로 왜인들의 배를 불태우고 적병을 물에 빠뜨려 죽였다.

236년 음력 2월에는 골벌국(骨伐國)의 아음부(阿音夫) 왕이 무리를 이끌고 신라에 항복했다. 조분 이사금은 항복한 이들에게 저택과 경작지를 하사하여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하였고, 골벌국 땅은 군(郡)으로 삼았다.

240년백제가 침공하였다. 244년 이찬 우로를 서불한(舒弗邯)으로 삼고, 지병마사(知兵馬事)를 겸하게 하였다. 245년 음력 10월에 고구려가 침공하였다. 석우로가 군사를 이끌고 나갔으나 고구려군에 패하고 마두책(馬頭柵)을 지켰다. 이는 신라본기에 기록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첫 번째 침공이다.

3. 가계

기림 이사금은 보통 그의 손자로 보나 다른 주장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기림 이사금이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고 하며, 삼국유사의 왕력편에는 그의 손자라는 설과, 왕력편의 다른 대목에는 기림 이사금이 조분의 둘째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3]

관계이름 및 설명
할아버지벌휴 이사금
할머니미상
아버지석골정 (昔骨正)
어머니옥모부인 김씨 (玉帽夫人 金氏) - 구도 갈문왕의 딸.
동생첨해 이사금
왕후아이혜부인 석씨 (阿爾兮夫人 昔氏) - 내해 이사금의 딸.
명원부인 (命元夫人) - 내해 이사금의 장남 석우로에게 출가.
석우로는 명원부인의 삼촌으로 아이혜부인의 오빠 혹은 남동생.
광명부인 (光明夫人) - 미추 이사금의 왕후
아들(차남)이찬 석걸숙
손자15대 왕 기림 이사금 - 삼국사기에는 그의 손자 또는 증손자라 하나, 삼국유사에는 그의 손자라는 설과, 그의 둘째 아들이라는 설이 같이 수록되어 있음.
아들(삼남)석지 (昔祉)
후궁운소부인 박씨 (운召夫人 朴氏) - 내음 갈문왕의 딸
서자(장남)유례 이사금


4. 기타

기림 이사금은 통상 조분 이사금의 손자로 여겨지나, 다른 설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기림 이사금이 조분 이사금의 손자라고 기록되어 있고,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손자라는 설과 함께, 다른 부분에는 기림 이사금이 조분 이사금의 둘째 아들이라는 설도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Silla Kingdom of Korea http://www.humanhist[...] 2021-03-11
[2] 뉴스 신라 : 11대 조분 이사금 https://www.su-wan.c[...] 2020-01-22
[3] 문서 sister of Michu of Sil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