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도군은 경상북도 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297년 이전에 이서국이 존재했으며, 이후 신라에 병합되어 대성군으로 개편되었다. 940년 밀성군 청도현으로 통합된 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청도군이 되었다. 현재 2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도 소싸움 축제, 화랑 정신 발상지, 새마을 운동 발상지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경부선 철도와 중앙고속도로가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대구 중구, 서울 강남구 등 여러 자매 도시와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도군 - 매전면
    매전면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하며 20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고 동산초등학교와 매전중학교가 있다.
  • 청도군 - 금천면 (청도군)
    금천면은 경상북도 청도군에 속한 면으로, 10개의 리와 금천초등학교, 금천중학교, 금천고등학교 등의 교육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청도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청도군
한자 표기淸道郡
로마자 표기Cheongdo-gun
McCune-Reischauer 표기Ch'ŏngdo-gun
지역영남
방언경상 방언
면적696.53 km²
총인구41,891명 (2021년)
총세대수23,251세대 (2021년)
인구 밀도72.8명/km² (2005년)
행정 구역2읍 7면
군청 소재지화양읍 청화로 70 (범곡리 133)
홈페이지청도군청 홈페이지
상징
군목감나무
군화철쭉
군조까치
청도군 엠블럼
청도군 엠블럼
청도군 기
청도군 기
정치
군수김하수(국민의힘)
국회의원이만희(국민의힘, 영천시·청도군)
기타
행정 구역 분류 코드37360

2. 역사

297년 이전까지 청도 지역에는 부족국가인 이서국이 있었다. 297년 이서국은 사로국(후의 통일신라)에 멸망하였고, 이서군 3성은 통합되어 대성군이 되었다.[1]

757년 3성(솔이산성, 가산성, 오도산성)을 3현(오악현(烏岳縣), 형산현(荊山縣), 소산현(蘇山縣))으로 개명하고, 양산·밀양에 분할 편입하였다.[1] 940년 3현을 통합하여 밀성군 청도현(淸道縣)으로 개편하였다. 1010년 영동도(嶺東道) 도주(道州)가 되었다가, 1012년 경주부 도주로 바뀌었다. 1018년 영동도 밀양군 청도현, 풍각현이 되었다. 1343년 청도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366년 밀양부 청도군으로 개편되었다. 1405년 경상도 청도군이 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청도군,[12][2]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청도군으로 개편되었다.[13][3] 1906년 9월 24일 대구군 각북면(현.청도군 각북면)·각현내면·각이동면(현.풍각면)·각초동면(현.각남면) 이상 4개 면을 청도군으로 편입하였다.[14][4] 1911년 외서면(현 밀양시 청도면)을 밀양군에 편입하였다.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 때, 현내면, 이동면을 병합하여 풍각면이라 하였다. 내서면, 초동면을 병합하여 각남면으로, 상북면, 차북면을 병합하여 이서면으로, 상읍면, 차읍면을 병합하여 화양면으로, 용산면, 하남면을 병합하여 대성면으로, 중남면, 상남면을 병합하여 매전면으로, 동상면, 일위면을 병합하여 종도면으로, 이위면, 고미면을 병합하여 운문면으로, 중동면은 금천면으로 유지하였다.[15][16][5][6]

1919년 대성면이 청도면으로 개칭되었다. 1934년 4월 1일 종도면을 폐지하고, 매전면·금천면에 분할 편입하였다.[17][7] 1940년 11월 1일 대성면을 청도면으로 개칭하였고,[18] 1949년 8월 13일 청도면을 청도읍으로 승격하였다.[19][8] 1961년 군청을 청도읍에서 화양면으로 이전하였다. 1979년 5월 1일 화양면을 화양읍으로 승격하였다.[20][9] 1989년 5월 1일 이서면 고면리가 흥선리로, 청도읍 구미리(九尾里)가 구미리(龜尾里)로 개칭되었다. 1992년 1월 1일 금천면의 일부가 운문면에 편입되었다.

3. 지리

3. 1. 위치

경상북도 최남단에 있는 군으로 동쪽으로는 경주시, 서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경상남도 창녕군,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밀양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북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까지 2개의 광역시와 2개의 도 그리고 7개의 시군을 접하고 있다.[21]

청도군은 동서로 가늘고 길게 뻗었고, 남북으로는 짧게 뻗어 가운데 남북을 관통하는 용각산맥을 경계로 산동과 산서로 나뉜다.[21]

3. 2. 군청

청도군에는 청도읍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군청은 화양읍 범곡리에 있다. 그러나 범곡리는 오히려 청도읍 시가지에 포함된다.

범곡리 청도군청 북쪽에는 서울특별시청 관할의 문서고가 있었는데, 2019년 5월 15일 은평구 녹번동 서울혁신파크에 개원한 서울기록원으로 문서들을 모두 이전하여 현재는 빈 건물로 남아 있다.

4. 행정 구역

청도군의 행정 구역은 2읍 7면 2출장소 (212개리, 398자연부락, 1,006반)로 구성되어 있다.[22] 면적은 696.53km2이며, 인구는 2021년말 기준 23,251세대, 42,822명이다. 1965년 124,174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22]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행정 지도
청도읍淸道邑6,12311,85096.91
450px
화양읍華陽邑4,0998,40843.17
각남면角南面1,2882,19946.84
각북면角北面1,3662,26250.95
금천면錦川面2,0043,33471.91
매전면梅田面2,2863,745137.6
운문면雲門面1,2932,072147.29
이서면伊西面2,5184,71736.72
풍각면豊角面2,2744,23571.91



읍·면법정리
청도읍 (清道邑)고수리, 송읍리, 무등리, 덕암리, 내리, 안인리, 운산리, 부야리, 원정리, 구미리, 월곡리, 원리, 거연리, 신도리, 상리, 평양리, 음지리, 초현리, 유호리, 내호리, 사촌리
화양읍 (華陽邑)고평리, 교촌리, 눌미리, 다로리, 동상리, 동천리, 범곡리, 삼신리, 서상리, 소라리, 송금리, 송북리, 신봉리, 유등리, 진라리, 토평리, 합천리
풍각면 (豊角面)송서리, 봉기리, 현리리, 성곡리, 수월리, 화산리, 금곡리, 안산리, 흑석리, 월봉리, 차산리, 덕양리
각남면 (角南面)칠성리, 화리, 일곡리, 구곡리, 예리리, 신당리, 녹명리, 사리, 함박리, 옥산리
이서면 (伊西面)칠엽리, 대전리, 가금리, 구라리, 서원리, 각계리, 학산리, 수야리, 금촌리, 문항리, 고절리, 양원리, 신촌리, 칠곡리, 대곡리, 팔조리, 흥선리
매전면 (梅田面)남양리, 당호리, 금곡리, 동산리, 북지리, 용산리, 온막리, 호화리, 장연리, 예천리, 내리, 지전리, 송원리, 구촌리, 하평리, 상평리, 관하리, 금천리, 덕산리, 두곡리
운문면 (雲門面)서지리, 대천리, 순지리, 방음리, 오진리, 신원리, 공암리, 지촌리, 봉하리, 정상리, 마일리, 방지리
금천면 (錦川面)동곡리, 사전리, 금전리, 갈지리, 오가리, 방지리, 임당리, 신지리, 박곡리, 오봉리
각북면 (角北面)명대리, 우산리, 삼평리, 남산리, 덕촌리, 지서리, 금천리, 오산리


5. 인구

대구경산 도시권 발달로 인해 1970년대 후반 10만명, 1996년에 5만명으로 인구가 감소하였다.[23]

연도총인구
1960년114,525명
1966년121,985명
1970년108,914명
1975년103,964명
1980년85,533명
1985년72,791명
1990년60,515명
1995년50,311명
2000년48,229명
2005년39,558명
2010년38,228명
2013년43,788명
2017년43,391명


6. 정치

청도군의 제20대 국회의원은 자유한국당 이만희 의원이다. 청도군의 제47대 군수는 민선 6기로 새누리당 이승율 군수이다. 국회의원은 제15대 자민련의 김종학 의원을 제외하고는 1992년 이후 새누리당과 그 전신인 민주자유당에서 배출되고 있다.

7. 문화


청도군에서 매년 3월 경에 열리는 축제이다.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소싸움 축제들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99년, 대한민국 문화관광부에서 선정한 대한민국의 10대 지역문화관광축제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 내 황소 끼리의 경기 외에도 외국 소와의 친선 경기, 로데오 경기, 초대 가수 콘서트, 디카 사진 콘테스트, 루미나리에 등 다양한 볼거리와 재미로 매년 4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청도군 이서면 서원천변에 개최되었으나, 2009년부터 화양읍 삼신리의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 개최되고 있다.

  • 청도군 화랑의 날

청도군은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신문화 유산인 화랑정신의 발상지로써의 역사적인 의의를 재조명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매년 9월 1일을 청도 화랑의 날로 지정 운영하고 있다.

  • 화랑정신발상지 청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었던 가슬갑사(嘉瑟岬寺)에서 원광법사(圓光法師)가 화랑정신으로 대표되는 세속오계(世俗五戒)를 화랑 귀산과 추항에게 전수함으로써 청도군에서 화랑정신이 발상하였다.

  • 새마을운동발상지 청도

새마을 운동은 1969년 8월 초 청도읍 신도리에서 수해 복구 현장을 목격한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1970년부터 시작됨으로써 경상북도 청도군은 새마을 운동의 발상지가 되었다. 경부선 신거역에 새마을운동 기념 간이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투우 축제
  • 감(반시) 축제
  • 등불 축제
  • 청도박물관
  • 새마을운동 청도기념공원
  • 무량산국립관광림
  • 선암서원
  • 청도 화랑테마문화공원 자동차 야영장
  • 청도 자전거공원 야영장
  • 청도 레일바이크
  • 청도 화랑테마문화공원
  • 코미디 철가방극장
  • 한국 코미디 타운
  • 청도 황소싸움 경기장
  • 청도 와인터널
  • 청도 프로방스
  • 송암정사
  • 운문사
  • 청도 투우 축제
  • 도슈 문화제
  • 차야마 농악
  • 달맞이 쌓기나무 태우기
  • *음력 1월 15일에 달의 집(대나무로 만든 기둥에 짚 등을 덮어 만든 것)을 태워 농작물의 풍흉을 점친다.

7. 1. 관광지

운문사는 청도군에 있는 사찰이다. 청도 와인터널은 와인을 숙성시키고 판매하는 곳이다. 청도레일바이크는 레일바이크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청도박물관은 청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청도소싸움경기장에서는 소싸움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청도군에서는 투우 축제, 감(반시) 축제, 등불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새마을운동 청도기념공원과 무량산국립관광림도 있다. 선암서원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이다.

청도 화랑테마문화공원 자동차 야영장과 청도 자전거공원 야영장에서는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청도 화랑테마문화공원에서는 화랑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코미디 철가방극장과 한국 코미디 타운에서는 코미디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청도 프로방스는 사진 촬영 명소로 인기가 많다.

8. 교통

청도공용버스터미널


=== 철도 ===

청도군은 이웃한 경산시, 밀양시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철도교통 강세 지역이다. 청도역에는 경부선 무궁화호가 대부분 정차하고, ITX-새마을도 정차한다.

=== 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의 대구-부산 고속도로 구간에 청도 나들목과 청도휴게소가 있다.

8. 1. 철도

청도군은 이웃한 경산시, 밀양시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철도교통 강세 지역이다. 청도역에는 경부선 무궁화호가 대부분 정차하고, ITX-새마을도 정차한다.

8. 2. 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의 대구-부산 고속도로 구간에 청도 나들목과 청도휴게소가 있다.

9. 교육 기관

경북드론고등학교, 금천고등학교, 모계고등학교, 이서고등학교, 청도고등학교가 있다. 풍각중학교, 풍각중학교 각북분교, 금천중학교, 매전중학교, 모계중학교, 이서중학교, 청도중학교가 있다. 유천초등학교, 청도중앙초등학교, 청도초등학교, 화양초등학교, 남성현초등학교, 각남초등학교, 풍각초등학교, 덕산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이서초등학교, 금천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방지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가 있다.

9. 1. 고등학교

경북드론고등학교, 금천고등학교, 모계고등학교, 이서고등학교, 청도고등학교가 있다.

9. 2. 중학교

풍각중학교, 풍각중학교 각북분교, 금천중학교, 매전중학교, 모계중학교, 이서중학교, 청도중학교가 있다.

9. 3. 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청도중앙초등학교, 청도초등학교, 화양초등학교, 남성현초등학교, 각남초등학교, 풍각초등학교, 덕산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이서초등학교, 금천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방지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가 있다.

10. 자매 도시

청도군은 5개의 대한민국 공공기관(대구 중구, 서울 강남구, 울산 남구, 대구 수성구, 경기 안산시)과[24][26][28][25][27] 1개의 대한민국 외 공공기관(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넌장현)과[29], 그리고 1개의 기업체(NICE그룹)와[30]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교류일자도시 이름비고
2007. 7. 3.대구광역시 중구[24]
2009. 5. 28.서울특별시 강남구[26]
2011. 2. 24.울산광역시 남구[28]
2012. 3. 9.대구광역시 수성구[25]
2020. 11. 11.경기도 안산시[27]
colspan="3" |
교류일자도시 이름비고
1999. 12. 24.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넌장현넌장현/嫩江县중국어[29]
colspan="3" |
교류일자이름비고
2008. 9. 5.NICE그룹[30]


11. 본관 성씨

세종실록지리지 150권, 경상도 경주부 청도군 조에는 청도 토성으로 申(신)·金(김)·白(백)·李(이)·曺(조)가 기록되어 있다.

청도 김씨(淸道 金氏) 시조 김지대(金之岱)는 경순왕의 후예로 1260년(원종 1) 정당문학 이부상서(政堂文學 吏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오르고, 수태부 중서시랑평장사(守太傅中書侍郎平章事)로 치사(致仕)되고 오산군(鰲山君, 鰲山은 지금의 淸道)에 봉해졌다. 시호는 영헌(英憲)이다. 후손들이 청도를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으며, 2015년 인구는 91,293명이다.

청도 백씨(淸道 白氏) 시조는 백계영(白桂英)이다. 백계영은 고려 때 청도 호장으로 1271년(원종 12) 박경순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 영직되어 청도를 관향으로 삼았다. 조선 조에 백구(白球)가 경주로 이거하였다. 증손 백이소(白以昭)가 임란 때 경주에서 창의하였다. 2000년 인구는 213가구 702명이다.

청도 조씨(淸道 曺氏) 시조 조중도(曺仲道)가 사직(司直)을 지냈다고 전한다. 후손들이 창녕(昌寧)에서 분적하여 청도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12. 출신 인물

청도군 출신 인물에 대한 내용은 분류:청도군 출신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후

경상북도 청도군은 한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다. 청도는 기차로 대구광역시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여름에는 매우 더울 수 있다. 대구광역시는 주변 산들이 열기를 가두기 때문에 한국에서 가장 더운 도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겨울은 상당히 추워서 때때로 영하 15도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게다가 겨울철에는 공기가 매우 건조하다.

가을과 봄은 비교적 온화하며, 극심한 날씨는 없다. 그러나 봄에는, 보통 4월에, 대기질이 매우 나쁘다. 현지인들이 "황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법령 勅令第98号地方制度の改正に関する案件 1895-05-26
[3] 법령 勅令第36号地方制度と官制改正に関する案件 1896-08-04
[4] 법령 勅令第49号 1906-09-24
[5]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6] 법령 道令第2号 1914-03-16
[7] 법령 道令第83号 1933-10-06
[8] 법령 大統領令第156号邑設置に関する件 1949-08-13
[9] 법령 大統領令第9409号渼金邑等53ヶ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9-04-07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법령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895-05-26
[13]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08-04
[14] 법령 칙령 제49호 1906-09-24
[1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법령 도령 제2호 1914-03-16
[17] 법령 도령 제83호 1933-10-06
[18] 웹사이트 면의 명칭에 관한 건 https://theme.archiv[...] 1940-10
[19] 법령 대통령령 제156호 읍설치에관한건 1949-08-13
[20] 법령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1] 간행물 청도군 통계연보 청도군 2010
[22] 웹사이트 청도군의 기본 현황 http://www.cheongdo.[...]
[23]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24]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공공기관>대구광역시 중구 https://www.cheongdo[...] 2022-07-02
[25]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공공기관>대구광역시 수성구 https://www.cheongdo[...] 2022-07-02
[26]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공공기관>서울특별시 강남구 https://www.cheongdo[...] 2022-07-02
[27]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공공기관>경기도 안산시 https://www.cheongdo[...] 2022-07-02
[28]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공공기관>울산광역시 남구 https://www.cheongdo[...] 2022-07-02
[29]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외공공기관 https://www.cheongdo[...] 2022-07-02
[30] 웹인용 군소개>자매결연>국내외기업체 https://www.cheongdo[...] 2022-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