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파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파 로켓은 1960년대 유럽 국가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우주 발사체이다. 영국, 프랑스, 독일이 참여하여, 영국이 1단, 프랑스가 2단, 독일이 3단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분업했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의사 결정 지연 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의 시험 발사 실패를 겪었고, 1973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유로파 로켓은 1단으로 영국 블루 스트릭 미사일을 사용했으며, 유로파 1, 유로파 2, 유로파 3의 세 가지 버전이 계획되었지만, 유로파 2의 마지막 발사마저 실패로 끝나면서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소된 우주발사체 - 아레스 V
아레스 V는 NASA의 컨스텔레이션 계획에서 달과 화성 유인 탐사에 필요한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개발될 예정이었던 대형 발사체였으나, 계획 취소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취소된 우주발사체 - 아레스 I
아레스 I은 NASA의 컨스텔레이션 계획에 따라 개발된 유인 발사체로, 오리온 우주선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예산 부족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개발이 중단되었다. - 1967년 우주 개발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1967년 우주 개발 - 우주 조약
우주 조약은 외계 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탐사를 위한 원칙을 담고 있으며, 핵무기 및 대량 살상 무기 배치를 금지하고 우주 비행사를 인류의 사절로 간주하며, 1967년에 발효되어 115개 국가가 당사국이다. - 1971년 우주 개발 - 데이비드 스콧
데이비드 스콧은 미국의 시험 비행사이자 전직 NASA 우주비행사로, 제미니 8호에서 인류 최초 우주 도킹에 성공하고 아폴로 15호에서 달 탐사 및 제네시스 암석 채취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후 NASA 드라이든 비행 연구 센터장을 역임했다. - 1971년 우주 개발 - 아폴로 15호
아폴로 15호는 1971년 발사된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9번째 유인 미션으로, 달 탐사차를 처음 사용하여 해들리 계곡과 아펜니노 산맥 일대를 탐사하고 월석을 채취하는 등 과학적 탐사에 중점을 둔 J-미션이었으나, 승무원들의 우표 소지 논란이 있었다.
유로파 (로켓) | |
---|---|
로켓 정보 | |
이름 | 유로파 |
![]() | |
기능 | 궤도 운반 로켓 |
제조사 | ELDO |
높이 | 33 m |
지름 | 3.05 m |
질량 | 105,000 kg |
단수 | 3-4단 |
탑재 능력 | 정지 천이 궤도: 200 kg (유로파 I), 360 kg (유로파 II) |
상태 | 퇴역 |
발사 장소 | 우메라 시험장, LA-6 기아나 우주 센터, BEC |
발사 횟수 | 11회 |
성공 횟수 | 4회 (모두 블루 스트리크) |
실패 횟수 | 7회 |
최초 발사 | 블루 스트리크: 1964년 6월 4일 코랄리: 1967년 8월 4일 유로파 I: 1968년 11월 29일 유로파 II: 1971년 11월 5일 |
마지막 발사 | 블루 스트리크: 1966년 11월 14일 코랄리: 1967년 12월 4일 유로파 I: 1970년 11월 12일 유로파 II: 1971년 11월 5일 |
1단 정보 | |
이름 | 블루 스트리크 |
엔진 | 2 × 롤스로이스 RZ.2 |
추력 | 1673 kN |
비추력 | 282초 |
연소 시간 | 156초 |
연료 | RP-1 / LOX |
2단 정보 | |
이름 | 코랄리 |
엔진 | 4 × LRBA 벡생-A |
추력 | 270 kN |
비추력 | 277초 |
연소 시간 | 96초 |
연료 | UDMH / N2O4 |
3단 정보 | |
이름 | 아스트리스 |
엔진 | 1 × 아스트리스 |
추력 | 23.3 kN |
비추력 | 310초 |
연소 시간 | 330초 |
연료 | 에어로진 50 / N2O4 |
4단 정보 (유로파 II) | |
이름 | P068 |
종류 | 고체 로켓 |
2. 역사
1955년 영국은 블루 스트릭 (미사일) 개발을 시작해 1957년 설계를 완료했다. 원래는 영국에서 발사해 러시아 모스크바를 핵공격하기 위한 용도였지만, 중도에 취소되었다.[13]
이후 블루 스트릭 (미사일)은 우주 발사체로 개발되었는데, 영국 혼자가 아니라 프랑스, 독일 등이 참여해 유럽 차원에서 공동 개발하는 방식을 취했다. 1단은 영국의 블루 스트릭 (미사일) IRBM을 사용했고, 2단은 프랑스 Coralie, 3단은 독일 Astris가 제작했다.[23]
그러나 독일이 만든 3단 로켓의 불량으로 5회 발사가 모두 실패했다. 결국 영국이 개발에서 탈퇴하면서 계획이 취소되었고, 이후 영국, 프랑스, 독일은 아리안 (로켓) 개발을 시작했다.[23]
각국의 이해관계로 인해 의사 결정에 시간이 오래 걸렸고, 영국과 프랑스 간의 주도권 다툼도 있었다. 또한, 영국이 담당한 1단은 야드파운드법을, 그 외 국가가 담당하는 2단 이후는 미터법을 사용하는 등 각국의 협력이 원활하지 못했던 점 등이 실패의 원인으로 꼽힌다.[25]
2. 1. 개발 배경
1955년 영국은 미국의 협력을 받아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인 블루 스트릭을 개발했다.[2] 그러나 즉응성 문제로 1960년에 이 탄도 미사일 계획은 중단되었다.[7][8]이에 영국은 블루 스트릭에 투입된 막대한 비용을 회수하고자 블랙 프린스라는 이름으로 블루 스트릭을 인공위성 발사 로켓(발사체)의 1단으로 사용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에서는 2단에 블랙 나이트 로켓의 파생형을, 궤도 투입단에는 소형 과산화수소/케로신 로켓을 사용할 예정이었다.[9][10]
하지만 이 계획은 영국 단독으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1964년 유럽 발사체 개발 기구(ELDO)가 설립되었다. ELDO는 미국과 소의 치열한 우주 개발 경쟁에 대항하고, 블루 스트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개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영국 주도로 설립되었다.[14] ELDO의 새로운 유럽 로켓 계획은 블루 스트릭을 1단으로 사용하고, 프랑스와 독일의 로켓을 2단과 3단으로 사용하며, 각 국가가 개발비를 분담하는 방식이었다.[19][21]
2. 2. 개발 과정
1955년 영국은 블루 스트릭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1957년 설계를 완료했다. 영국에서 발사해 러시아 모스크바를 핵공격하기 위해 개발했지만, 중도에 취소되었다.[13]그 후 블루 스트릭 (미사일)은 우주 발사체로 개발되었는데, 영국 혼자가 아니라 프랑스, 독일이 참여해 유럽 차원에서 공동 개발의 방식을 취했다. 1단은 영국 블루 스트릭 (미사일) IRBM의 1단을 사용했다. 75톤 추력의 등유/액체산소 엔진 2개를 묶어 150톤 추력을 내었다. 2단은 프랑스 Coralie, 3단은 독일 Astris가 제작했다.
1961년 초, 항공부 장관 피터 손이크로프트 경은 유럽의 공동 프로젝트에 대한 생각을 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블루 스트릭의 고도화된 개발을 낭비하지 않고, 우주 탐험을 미국과 러시아에만 맡겨두지 않기 위함이었다.[13] 영국은 여러 유럽 국가에 외교적 접근을 시도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국가는 프랑스였다.[13] 1957년 초부터 미사일 연구에 대한 잠재적인 협력, 특히 블루 스트릭의 잠재적 사용에 대해 영국 정부와 프랑스 정부 간의 교섭이 있었다.[14] 영국과 프랑스는 구상된 프로그램에 대한 공동 주도 국가로 합의했으며, 다른 파트너 국가가 필요하다는 점도 인식했다.[15]
프랑스와 영국은 협력 프로그램에 참여할 여러 다른 국가에 접근했지만, 관심 있는 국가와의 협상은 종종 지연되었는데, 부분적으로는 회의적인 태도가 팽배했기 때문이었다.[16] 많은 국가의 참여는 결국 설득에 성공하여 참여하기로 결정한 독일의 지지를 얻는 데 달려 있었다.[17] 이러한 외교적 노력의 결과, 유럽 발사체 개발 기구(ELDO) 그룹을 결성하기로 결정되었다.[18]
파리에 본부를 둔 ELDO의 창립 멤버는 벨기에,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서독이었으며, 호주, 스페인, 스위스, 노르웨이, 스웨덴은 참여를 거부했다.[19] ELDO는 블루 스트릭을 활용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당시 개발 및 배치되고 있던 미국과 소련의 발사체에 대한 유럽의 경쟁자를 생산하려는 야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14]
다양한 설계 및 개념 연구를 거쳐 ELDO는 3단계 접근 방식을 도출했으며, 이 방식을 ''Eldo A''로 지정했고, 나중에 공식적으로 ''유로파''로 명명되었다.[21]
1965년 1월, 프랑스는 초기 3단계 로켓 설계가 필요한 탑재량을 실어 나르기에 충분히 진보되지 않았다고 생각했으며, 액체 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2단계 및 3단계가 특징인 또 다른 로켓인 ''Eldo B''가 더 우수한 설계로 간주되었다. 이 로켓은 여전히 1단계로 블루 스트릭을 사용할 것이다. ELDO는 나중에 반대했지만, Eldo B가 1979년에 처음 발사될 아리안 발사체의 기초가 되면서 프랑스의 뜻대로 되었다.
1966년 4월까지 이 프로젝트의 추정 비용은 초기 추정치인 7000만파운드에서 1.5억파운드로 증가했다. 이 시점에서, 몇몇 참가자들은 유로파가 구상된 임무에 적합할 것이라는 희망이 높지 않았다. 1968년 11월, 본에서 열린 유럽 우주 회의에서 ELDO를 ESRO와 통합하여 1970년 초까지 범유럽 우주 당국을 설립하자는 제안을 결정했다. 이 기구는 유럽 우주국(ESA)으로 알려졌으며, 1975년까지 설립되지 않았다.
1970년까지 이 프로젝트는 미국이 외국에 위성을 상환 가능한 방식으로 발사하겠다는 제안으로 인해 경제적 위협을 받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1972년, NASA는 재사용 가능한 우주 왕복선 개발을 승인했는데, 당시에는 일회용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성을 발사하는 것보다 더 큰 비용 절감을 제공할 것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1971년까지 유로파 프로그램에 2.5억파운드 이상이 지출되었고, 유로파 2 자체는 400만파운드 이상이 들었다.
1973년 4월 27일, 유로파는 포기되었다.[23] 1973년 9월 21일, 나중에 아리안 1으로 알려진 L3S에 대한 법적 협정이 체결되었다.
프로그램의 분업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였다. 업무는 국가 간에 분담될 예정이었는데, 영국은 1단계(블루 스트릭 미사일에서 파생됨)를, 프랑스는 2단계를, 독일은 3단계를 제작하기로 했다.[25][21] 이 로켓은 이탈리아에서 설계 및 제작된 약 1톤의 위성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원격 측정은 네덜란드가 개발하고, 벨기에는 하강 지상 유도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21]
1969년까지 유럽우주개발기구(ELDO)는 국가별 분업이 전반적인 협력 부족으로 이어졌고, 계획의 단절된 틀을 초래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러한 단절된 구조가 발사 실패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2. 3. 실패와 프로젝트 중단
영국은 1955년 블루 스트릭 (미사일) 개발을 시작하여 1957년에 설계를 완료했으나, 모스크바 핵공격용으로 개발되다가 중도에 취소되었다.[23] 이후 블루 스트릭 (미사일)은 우주 발사체로 개발되었는데, 영국, 프랑스, 독일이 참여하는 유럽 차원의 공동 개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3]1단은 영국의 블루 스트릭 (미사일) IRBM을 사용했고, 2단은 프랑스 Coralie, 3단은 독일 Astris가 제작했다.[23] 그러나 독일이 만든 3단 로켓의 불량으로 5회 발사가 모두 실패했다.[23]
1966년 4월까지 프로젝트 추정 비용은 초기 7천만 파운드에서 1억 5천만 파운드로 증가했다.[23] 이탈리아는 ELDO를 포기하고 단일 유럽 우주 기구 참여를 원했다.[23] 1966년 6월, 영국 정부는 유로파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ELDO를 떠나려 했고, 영국의 기여는 27%로 감소했다.[23]
1968년 11월, 유럽 우주 회의에서 ELDO와 ESRO를 통합하여 범유럽 우주 당국을 설립하자는 제안이 결정되었으나, 영국은 미온적이었다.[23] 1970년까지 프랑스령 기아나의 프랑스 발사 기지는 4,500만 파운드의 비용이 들었고, 프랑스가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다.[23]
1970년까지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위성 발사 제안으로 경제적 위협을 받았다.[23] 1972년, NASA는 우주 왕복선 개발을 승인했고, 1971년까지 유로파 프로그램에 2억 5천만 파운드 이상이 지출되었다.[23]
1973년 4월 27일, 유로파는 포기되었다.[23] 1973년 9월 21일, 아리안 1으로 알려진 L3S에 대한 법적 협정이 체결되었다.[24] 유로파 III는 공식적으로 취소되었고, L3S는 다국적 프로젝트로 개발될 예정이었다.[24]
프로그램 분업은 정치적으로 민감했다.[25] 영국은 1단계, 프랑스는 2단계, 독일은 3단계를 제작했다.[25][21] 이탈리아는 위성, 네덜란드는 원격 측정, 벨기에는 하강 지상 유도 시스템을 개발했다.[21]
1969년까지 유럽우주개발기구(ELDO)는 국가별 분업이 협력 부족과 계획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것을 깨달았다.[25] 이러한 단절된 구조가 발사 실패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25] 1971년 11월 서독은 유로파 2호의 실패 책임을 ELDO 내부의 분열로 돌렸다.[25]
영국은 미국의 협력을 받아 1955년부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인 블루 스트리크를 개발했지만, 즉응성 문제로 1960년에 탄도 미사일 계획은 중단되었다. 그동안 블루 스트리크에 쏟아부은 막대한 비용을 아까워하는 목소리가 있었고, 블루 스트리크를 "블랙 프린스"라는 이름으로 영국의 인공위성 발사 로켓 (발사체)의 1단으로 전용하는 계획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영국 단독의 이 로켓 계획도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하면서 블루 스트리크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또한 미국과 소련의 치열한 우주 개발 경쟁에 대항하기 위해, 영국이 중심이 되어 1964년에 유럽 로켓 개발 기구(ELDO)가 설립되었다. ELDO의 새로운 유럽 로켓 계획에서는, 블루 스트리크를 1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변함이 없었지만, 2단과 3단에는 프랑스와 독일의 로켓이 사용되었고, 각각 분담금을 지불했다.
유럽 계획은 1962년부터 ELDO-A로 영국 주도로 시작되었다. 영국은 블루 스트리크를 전용한 제1단, 프랑스는 제2단 코랄리(Coralie)와 디아망 B의 제3단에서 유용한 유럽 2용 제4단 PAS(페리지·아포지 시스템), 독일은 제3단 아스트리스(Astris), 이탈리아와 벨기에는 페어링과 탑재할 인공위성, 네덜란드는 텔레메트리 및 유도 제어 장치 등의 전장계를 각각 담당했다. 영국이 개발한 제1단의 설계는 야드파운드법, 그 외 부분의 설계는 미터법을 채택했다.
유럽 계획은 3단계 계획으로, 시험 모델의 실증 비행을 한 후 유럽 1, 유럽 2, 유럽 3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었다. 영국의 블루 스트리크 단독 또는 더미 상단과 조합한 비행 시험은 모두 성공했지만, 프랑스와 독일의 상단 로켓, 이탈리아의 페어링, 네덜란드의 제어 장치를 조합한 결과, 각각의 원인으로 모든 발사에 실패했다. 이로 인해 최종형인 유럽 3의 발사 이전에 계획은 중단되었고, ELDO는 유럽 우주 기구(ESA)로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다.
각국의 이해관계로 의사 결정에 시간이 걸리고, 영국과 프랑스의 주도권 다툼, 영국 담당의 1단은 야드파운드법, 그 외 국가가 담당하는 2단 이후는 미터법을 사용하는 등 각국의 발을 맞추지 못했고, 자국 기업이 자국 출자 금액을 대폭 초과하여 수주를 획득한 사례가 있었다는 점 등이 실패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3. 기술적 특징
유로파 로켓은 3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러시아의 로콧이나 북한의 화성 15호와 기술적으로 유사하다. 1단 추력은 160톤으로, 화성 15호와 마찬가지로 추력 80톤 액체연료 엔진 2개를 사용한다.
유로파 로켓 개발은 여러 국가가 분담하여 진행했는데, 이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었다. 영국은 1단계(블루 스트릭 미사일 기반), 프랑스는 2단계, 독일은 3단계를 제작했다.[25][21] 이탈리아는 위성, 네덜란드는 원격 측정 장비, 벨기에는 지상 유도 시스템을 개발했다.[21]
그러나 이러한 분업은 전반적인 협력 부족과 계획의 단절을 야기했다. 1969년 유럽우주개발기구(ELDO)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했고, 1971년 유로파 2호 발사 실패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유로파 로켓 개발은 단일 책임 기관 없이 여러 나라가 참여하여 의사 결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이었다.
3. 1. 유로파 1
유로파 계획은 여러 국가 간의 협력으로 탄생했으며, 첫 번째 버전은 ELDO-A로 명명되었고, 이후 '''유로파 1'''으로 불렸다. 유로파 1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구성되었다.[26]- 1단계: 영국에서 제작한 "블루 스트릭 미사일"
- 2단계: 프랑스에서 제작한 "코랄리"
- 3단계: 독일에서 제작한 "아스트리스"

두 번째 버전인 '''유로파 2'''는 프랑스와 독일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27] 이 구성은 디아망 BP4 3단계에서 파생된 4단계를 추가했다.
1970년대에는 세 번째 버전인 '''유로파 3'''가 연구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지만, 계획된 1단계는 아리안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 계획은 1962년 ELDO 발족 준비 단계부터 ELDO-A라는 이름으로 영국 주도로 시작되었다. 각 국가별 담당 분야는 다음과 같았다.
- 영국: 1단계 (블루 스트리크 전용)
- 프랑스: 2단계 코랄리(Coralie), 유로파 2용 4단계 PAS (페리지·아포지 시스템, 고체 연료 P068 + 위성 아포지 모터) - 디아망 B 제3단에서 유용
- 독일: 3단계 아스트리스(Astris)
- 이탈리아, 벨기에: 페어링, 탑재 인공위성
- 네덜란드: 텔레메트리, 유도 제어 장치 등 전장계
영국이 개발한 제1단은 야드파운드법으로 설계되었고, 나머지 부분은 미터법으로 설계되었다. 제2단 코랄리와 제3단 아스트리스만 사용한 탄도 비행 로켓 코라도 개발에 사용되었다.
유럽 계획은 3단계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시험 모델의 실증 비행 후 유로파 1, 유로파 2, 유로파 3로 발전시킬 계획이었다. 영국의 블루 스트리크 단독 또는 더미 상단과 조합한 비행 시험은 모두 성공했지만, 프랑스와 독일의 상단 로켓, 이탈리아의 페어링, 네덜란드의 제어 장치를 조합한 결과는 모두 실패했다. 결국 최종 형태인 유로파 3는 발사되지 못하고 계획은 중단되었으며, ELDO는 유럽 우주 기구(ESA)로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다.
실패 원인으로는 각국의 이해관계로 인한 의사 결정 지연, 영국과 프랑스의 주도권 다툼, 영국 담당 1단은 야드파운드법을 사용하고 그 외 국가 담당 2단 이후는 미터법을 사용하는 등 각국의 협력 부족, 자국 기업이 자국 출자 금액을 초과하여 수주를 획득한 사례 등이 꼽힌다.
3단 로켓인 유로파 1은 전체 길이 31.7m, 무게 110톤 이상으로, 1966년 기준으로 고도 500km 원궤도에 1000~1200kg의 궤도 투입 능력을 갖출 예정이었다.[39] 1단은 영국의 호커 시들리 다이내믹스가 담당했으며, 전체 길이 18.4m, 직경 3.05m, 무게 95톤 (추진제 케로신과 액체 산소 89톤 포함)이었다.[39] 해면 고도에서 각각 667kN의 추력을 내는 롤스로이스제 RZ-2 엔진 2기를 탑재했다. 2단 코랄리는 프랑스의 노르 아비아시옹(Nord Aviation)과 LRBA가 담당했으며, 전체 길이 5.50m, 직경 2m, 무게 12톤 (상온 저장 가능 추진제 사산화이질소와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 9.85톤 포함)으로, 268kN의 추력을 내는 4개의 연소실 엔진을 갖추었다. 3단은 서독의 메서슈미트-볼코-블롬과 ERNO가 담당했으며, 전체 길이 3.81m, 직경 2m, 무게 4톤 (상온 저장 가능 추진제 사산화이질소와 에어로진-50 2.94톤 포함)으로, 23kN의 추력을 내는 엔진을 갖추었다.[39]
유로파 로켓은 북한 화성 15호 ICBM과 1단이 비슷하다. 유로파와 화성 15호 모두 추력 80톤 액체연료 엔진 2개를 사용하여 총 추력 160톤을 낸다.
1966년 4월까지 이 프로젝트의 추정 비용은 초기 7000만파운드에서 1.5억파운드로 증가했다.
프로그램 분업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였다. 영국은 1단계(블루 스트릭 미사일에서 파생), 프랑스는 2단계, 독일은 3단계를 제작하기로 했다.[25][21] 이 로켓은 이탈리아에서 설계 및 제작된 약 1톤의 위성을 탑재할 예정이었다. 원격 측정은 네덜란드가 개발하고, 벨기에는 하강 지상 유도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21]
3. 2. 유로파 2
유로파 2는 유로파 1에 4단계를 추가한 로켓이다. 4단계는 디아망 BP4 3단계에서 파생되었다.[27] 유로파 2의 예산은 90%를 프랑스와 서독이 부담했으며, 1969년에 영국과 이탈리아는 계획에서 이탈했다.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에서 1971년 11월 5일에 단 한 번 발사되었다.[39]
유로파 2는 정지 궤도에 위성을 투입하기 위해 PAS(Perigee-Apogee System)라고 불리는 4단을 추가했다. 이 4단은 길이 1.83m, 직경 0.8m, 무게 807kg이며,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엔진을 갖추고 있었다. 이 엔진의 추력은 41.2kN이었다.[39]
유로파 1은 3단 로켓으로 전체 길이 31.7m, 무게 110톤 이상이었다. 1966년 기준으로 고도 500km의 원궤도에 1000~1200kg의 궤도 투입 능력을 갖출 예정이었다.[39] 각 부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1단: 영국의 호커 시들리 다이내믹스가 제작. 길이 18.4m, 직경 3.05m, 무게 95톤.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롤스로이스제 RZ-2 엔진 2기를 탑재하여 각각 667kN의 추력을 냄.[39]
- 2단 (코랄리): 프랑스의 노르 아비아시옹(Nord Aviation)과 LRBA가 제작. 길이 5.50m, 직경 2m, 무게 12톤. 사산화이질소와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을 추진제로 사용하며, 4개의 연소실 엔진을 갖추어 268kN의 추력을 냄.[39]
- 3단: 서독의 메서슈미트-볼코-블롬(Messerschmitt-Bölkow-Blohm)과 ERNO가 제작. 길이 3.81m, 직경 2m, 무게 4톤. 사산화이질소와 에어로진-50을 추진제로 사용하며, 23kN의 추력을 내는 엔진을 갖춤.[39]
4. 발사 기록
비행 번호 | 날짜 | 모델 | 탑재체 | 발사 기지 | 결과 | 비고 |
---|---|---|---|---|---|---|
F1 | 1964년 6월 5일 | 블루 스트릭 | - | 우메라 | 성공 | 블루 스트릭 IRBM 시험. 연료 탱크 내 연료 슬로싱으로 인해 연소 마지막 단계에서 제어할 수 없는 진동으로 로켓이 불안정해짐. 계획된 엔진 차단 몇 초 전에 비행이 종료됨. 차량은 비행 정점 부근에서 분해됨. 그러나 비행은 테스트로 간주되므로 "성공"으로 분류됨.[36] |
F2 | 1964년 10월 20일 | 블루 스트릭 | - | 우메라 | 성공 | 블루 스트릭 IRBM 시험. |
F3 | 1965년 3월 22일 | 블루 스트릭 | - | 우메라 | 성공 | 블루 스트릭 IRBM 시험. |
F4 | 1966년 5월 24일 | 유로파-1 (1단) | - | 우메라 | 성공 | 유로파 1단계 시험 (2, 3단계 모형). |
F5 | 1966년 11월 15일 | 유로파-1 (1단) | - | 우메라 | 성공 | 유로파 1단계 시험 (2, 3단계 모형). |
F6.1 | 1967년 8월 4일 | 유로파-1 (2단) | - | 우메라 | 2단계 점화 실패 | 유로파 1, 2단계 시험 (3단계 모형). |
F6.2 | 1967년 12월 5일 | 유로파-1 (2단) | - | 우메라 | 2단계 분리 실패 | 유로파 1, 2단계 시험 (3단계 모형). |
F7 | 1968년 11월 30일 | 유로파 1 | STV 1 | 우메라 | 분리 후 3단계 실패 | 3단계 모두를 갖춘 유로파 로켓의 첫 발사이며, 유로파의 첫 궤도 발사.[36] |
F8 | 1969년 7월 2일 | 유로파 1 | STV 2 | 우메라 | 분리 후 3단계 실패 | 유로파 3단계 시험.[37] |
F9 | 1970년 6월 6일 | 유로파 1 | STV 3 | 우메라 | 페어링 분리 실패 | 유로파 3단계 시험. |
F11 | 1971년 11월 5일 | 유로파 2 | STV 4 | 쿠루 | 유도 시스템 고장 | 유로파 2 구성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발사. |
F12 | - | -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인도됨 |
F13 | - | - | - | 에든버러 근처의 국립 비행 박물관 | - | 인도됨. ![]() |
F14 | - | - | - | 독일 박물관, 뮌헨 | - | 인도됨. ![]() |
F15 | - | - | - | 유로 스페이스 센터, 레뒤, 벨기에 | - | 인도됨. -- |
F16 | - | - | - | 리버풀 박물관 | - | 대여하여 레스터 NSC에 전시. |
F17 | - | - | - | - | - | 부품만 완성 |
F18 | - | - | - | - | - | 부품만 완성 |
우메라 시험장에서 F1부터 F5까지의 제1단 블루스트리크 단독 발사 시험에서는 성공이 이어졌지만, 처음으로 실기 제2단 코랄리를 조합하여 발사 시험을 실시한 F6-1에서는 코랄리 엔진이 점화되지 않아 발사에 실패했고, 이어진 F6-2에서도 코랄리의 점화에 실패했다. 실기 제3단 아스트리스와 더미 페이로드를 조합한 최초의 실기 유로파 1 발사인 F7과 F8에서는 아스트리스의 안전 장치가 작동하여 엔진 연소가 중단되었으며, 텔레메트리 데이터 분석 결과, 2단 연소실의 압력과 추력 변동이 엔진 정지 중에 3단 탱크 사이의 격벽을 파괴하여 이로 인해 자가 점화 추진제(N2O4/N2H4)가 섞여 3단 시동 전에 폭발에 이른 것이 밝혀졌다[40]。F9에서는 페어링 분리에 실패했다. 실기 제4단 PAS를 조합한 최초의 유로파 2 발사인 F10에서는 자세 제어 신호 전송이 중단되어 제1단 엔진 연소가 정지되었고, 그 후에 제1단과 제2단이 폭발하여 발사가 실패했다.
5. 유로파 로켓과 대한민국
유로파 로켓 개발에는 영국의 역할이 컸다. 1964년부터 1965년까지 3차례 시험 발사가 진행되었고, 1965년에는 더미 상단 로켓을 장착한 시험이 영국 국립 우주 연구 위원회의 지원 하에 이루어졌다.[1] 제프리 파도 박사가 호커 시들리 다이내믹스 우주 프로젝트 부서에서 로켓 조립을 담당하는 수석 프로젝트 엔지니어였다.[1] 1965년 8월, 블루 스트리크는 RAF 스페이더댐에서 더미 상단 로켓과 함께 정지 발사 시험을 거쳤고, 9월 23일에는 135초 동안 첫 발사에 성공했다.[1]
1966년 1월, 블루 스트리크는 호주 애들레이드로 운송되어 발사될 예정이었다.[2] 1967년 영국은 3단 블랙 애로우 로켓 개발을 승인했다.[2] 영국은 유로파 대신 블랙 애로우에 집중하기 위해 ELDO에서 탈퇴했지만, 1976년까지 ELDO에 연간 2기의 블루 스트리크 로켓 단을 공급하기로 약속했다.[2] 1969년 당시 영국은 연간 3000만파운드를 우주 개발에 사용했으며, 이 자금은 기술부 우주 부서에서 관리했다.[2]
1970년까지 블루 스트리크 발사기 개발에는 1억파운드가 소요되었다.[3] 블루 스트리크는 1971년 11월 5일 유로파 2의 유일한 발사에 사용되었다.[3]
6. 비교
러시아의 로콧과 유사하다.
구분 | 유로파 | 스트렐라 (로켓) | 로콧 |
---|---|---|---|
무게 | 104톤 | 105톤 | 107톤 |
연료 | 3단 액체연료 | 3단 액체연료 | 3단 액체연료 |
1단 추력 | 160톤 | 200톤 | 200톤 |
2단 추력 | 27톤 | 25톤 | 25톤 |
3단 추력 | 2톤 | 0.5톤 | 2톤 |
화물 | 200 kg | 2000 kg | 2000 kg |
유로파 로켓은 북한 화성 15호 ICBM의 1단과 유사하다.
구분 | 유로파 | 화성 15호 |
---|---|---|
1단 엔진 | 추력 80톤 액체연료 엔진 2개 | 추력 80톤 액체연료 엔진 2개 |
1단 추력 | 160톤 | 160톤 |
참조
[1]
간행물
Europa
https://web.archive.[...]
[2]
문서
Hill 2001, p. 249
[3]
문서
Laycock and Laycock 2005, pp. 51-52
[4]
문서
Hill 2001, p. 22
[5]
문서
Massie and Robins 1986, p. 226
[6]
문서
Hill 2001, p. 188
[7]
간행물
Long-Range Ballistic Missile (Blue Streak)
https://api.parliame[...]
1960-04
[8]
문서
Hill 2001, p. 13
[9]
문서
Harvey 2003, p. 38
[10]
웹사이트
Black Prince Project
https://web.archive.[...]
2012-04-27
[11]
문서
Hill 2001, pp. 125-126
[12]
문서
Hill 2001, pp. 13-14
[13]
문서
Hill 2001, p. 14
[14]
문서
Hill 2001, p. 135
[15]
문서
Hill 2001, p. 136
[16]
문서
Hill 2001, pp. 136-137
[17]
문서
Hill 2001, pp. 137-139
[18]
문서
Hill 2001, pp. 130, 139-140
[19]
문서
Hill 2001, pp. 139-140
[20]
문서
Hill 2001, p. 130
[21]
문서
Hill 2001, p. 141
[22]
문서
Hill 2001, pp. 141-143
[23]
문서
Hill 2001, pp. 13-14
[24]
문서
Harvey 2003, pp. 161, 166
[25]
간행물
Anyone Else for Space?
https://archive.org/[...]
1964-06
[26]
웹사이트
Europa 1969 à 1971
http://www.capcomesp[...]
2023-08-28
[27]
문서
Ce lanceur est actuellement en exposition à l'[[Euro Space Center]], Transinne (Belgique)
[28]
웹사이트
Phase 3 tir F-7 premier véhicule complet avec les trois étages actifs + satellite d'essais
https://aventure-des[...]
2021-07-26
[29]
웹사이트
Europa launchers
http://www.sat-net.c[...]
2023-08-01
[30]
웹사이트
Europa I
http://www.astronaut[...]
2023-08-01
[31]
웹사이트
Europa II
http://www.astronaut[...]
2023-08-01
[32]
웹사이트
Europa-1 (1 stage)
https://space.skyroc[...]
2023-08-01
[33]
웹사이트
Europa-1 (2 stage)
https://space.skyroc[...]
2023-08-01
[34]
웹사이트
Europa-1
https://space.skyroc[...]
2023-08-01
[35]
웹사이트
Europa-2
https://space.skyroc[...]
2023-08-01
[36]
웹사이트
Fifty years since first ELDO launch
https://www.esa.int/[...]
2023-08-28
[37]
웹사이트
Orbital Launches of 1969
https://space.skyroc[...]
[38]
웹사이트
欧州の宇宙輸送の発展(4)ELDOの苦難と次への兆し
http://www.soranokai[...]
[39]
웹사이트
Europa launchers
http://fuseurop.univ[...]
[40]
웹사이트
Lutz Kayser
http://rexresearch.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