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프랑스 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프랑스 정부는 국가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행정부로, 총리의 자문 하에 대통령이 임명하는 각료들로 구성된다. 현재 총리는 가브리엘 아탈이며, 정부는 총리, 국무장관, 장관, 담당 장관, 차관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처는 장관이 이끈다. 프랑스 정부는 국가 정책을 지휘하고, 법률안을 작성하며, 각료회의를 통해 주요 정책을 결정한다. 정부는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며, 의회는 불신임안을 통해 정부를 해임할 수 있다. 프랑스 정부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사무총국이 운영되며, 역대 내각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표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정부 - 프랑스 상원
    프랑스 상원은 348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6년 임기 동안 법률안 심의, 정부 견제, 지방 자치 단체 보호 역할을 하며, 3년마다 절반씩 선거로 갱신된다.
  • 프랑스 정부 - 프랑스 하원
    프랑스 하원은 1958년 헌법에 따라 법률 제정, 국정 감사, 공공 정책 평가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57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고 5년 임기의 의원들이 결선 투표제를 통해 선출된다.
  • 유럽 국가와 지역 주제 - 이탈리아 의회
    이탈리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1948년 헌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입법, 행정부 감시, 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20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의원 수와 하원 의원 수가 감축되었다.
  • 유럽 국가와 지역 주제 -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지중해에 위치한 남유럽 국가로, 로마 제국과 르네상스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운영되고 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유산, 아름다운 자연환경, 패션, 요리, 스포츠로 유명하지만, 남북 간 경제 불균형, 고령화, 높은 공공 부채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58년 설립 - 오사카 방송
    오사카 방송은 1958년 개국한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라디오 오사카라는 애칭을 가지며 AM 스테레오와 FM 보완중계국으로 방송을 송출하고, 산케이 신문 계열사이자 NRN 계열 방송국으로서 재해 발생 시 상호 원조 협정을 통해 재해 방송에도 힘쓴다.
  • 1958년 설립 - 육군특수전사령부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는 1969년 창설되어 육해공 다양한 경로로 적진에 침투해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사령부이며, 전시에는 연합특수전사령부를 구성하고 국내외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2016년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
프랑스 정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부 명칭프랑스 공화국 정부
로마자 표기Gouvernement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설립일1958년 10월 4일 (프랑스 제5공화국)
국가프랑스
소재지파리, 오텔 마티뇽
임명권자프랑스 대통령
정부 수반 직책프랑스 총리
주요 기관각료회의
책임 기관국민의회
예산2997억 유로
웹사이트프랑스 공화국 정부 공식 웹사이트
정치 체제
정치 체제공화제, 반대통령제
행정부내각
가브리엘 아탈 내각(프랑스 부처 참고)
현행 헌법프랑스 공화국 헌법
입법부
입법 기관프랑스 의회
입법부 소재지베르사유 궁전
행정부
정부 수반프랑스 대통령 (국가원수)
프랑스 총리 (정부수반)
행정부 소재지엘리제 궁전
주요 기구프랑스 국무회의
행정 각부15
사법부
최고 사법 기관프랑스 파기원
최고 사법 기관 소재지팔레 드 쥐스티스
최고 사법 기관 2프랑스 국사원
최고 사법 기관 2 소재지팔레 루아얄
최고 사법 기관 3프랑스 헌법위원회
최고 사법 기관 3 소재지팔레 루아얄

2. 구성

프랑스 정부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지며, 총리가 정부 수반으로서 권한을 행사한다. 프랑스는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21] 현재 프랑스 내각은 가브리엘 아탈 총리가 이끌고 있다.[23]

프랑스 정부의 주요 행정 기관인 장관회의는 1958년 헌법에 설립되었다. 회의는 매주 파리의 엘리제 궁전에서 열리며, 정부 구성원은 아니지만 프랑스 대통령(국가 수반)이 주재한다.

정부의 고위 장관은 국가 장관(''ministres d'État'')이라는 직함을 사용하며, 의전 순서상 장관(''ministres''), 장관 대리(''ministres délégués'')가 그 뒤를 잇는다. 저위 장관은 국무장관(''secrétaires d'État'')이라는 직함을 사용한다. 대통령이 총리의 추천을 받아 임명하는 모든 정부 구성원은 국민의회(하원)인 프랑스 의회에 책임을 진다. 장관의 비위 사건은 공화국 사법재판소에서 재판을 받는다.[2]

2. 1. 총리

대통령이 프랑스 정부의 정부수반총리를 임명한다.[21] 총리는 대통령에게 임명할 각료를 제안한다.[16] 프랑스 정부의 모든 구성원은 총리의 자문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2] 대통령은 헌법적으로 누구든 임명할 자유가 있지만, 실제로는 정부가 프랑스 의회의 신임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민의회 다수의 의지를 반영하는 후보를 지명해야 한다.[3] 총리 후보는 정부를 이끌도록 지명된 후 대통령에게 장관 명단을 제안해야 하며, 대통령은 이 제안된 장관들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정부 구성원은 정부 구성 시점에 정해지는 정확한 서열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총리는 정부 수반이다.[3]

  • 총리 (Premier ministre|프르미에 미니스트르프랑스어)

: 정부 수장. 대통령이 임명하며, 대통령에게 임명할 각료를 제안한다.

  • 국무장관 (ministre d’État|미니스트르 데타프랑스어)

: 정부의 차석. 오늘날에는 주로 의례적인 직책이며, 실력자에게 부총리급의 대우를 주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총리가 주재하는 관계 각료 회의(réunion interministérielle|레위니옹 앵테르미니스테리엘프랑스어)를 주재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각료 회의(Conseil des ministres[17])에서 자신의 관할과 무관한 사항에 대해 의견을 말할 수 있는 것이 전통적으로 허용되어 왔다.

  • 장관 (ministre|미니스트르프랑스어)

: 부처를 관할한다. 장관의 수는 당시 정부와 설치되는 부처에 따라 변동한다. 제4공화국 이전에는 각 부처 장관(ministre à portefeuille|미니스트르 아 포르트푀유프랑스어)과 무임소 장관(ministre sans portefeuille|미니스트르 상 포르트푀유프랑스어) 또는 국무장관이 구별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러한 관행이 없으며 모든 정부 구성원이 특정 관할을 가지고 있다.

  • 담당 장관 (ministre délégué|미니스트르 델레게프랑스어)

: 장관 또는 드물게 총리 밑에 배치되어 일정한 권한을 위임받는다.

  • 차관 (secrétaire d’État|세크레테르 데타프랑스어)[18]

: 장관 또는 때로는 총리 밑에 배치된다.

  • 고등판무관 (haut-commissaire|오코미세르프랑스어)

: 제5공화국에서는 제1차 및 제2차 피용 내각에서만 임명되었다.

담당 장관은 의제와 관계없이 항상 각료 회의에 참석하는 반면, 차관 및 고등판무관은 의제가 자신의 관할과 관련된 경우에만 각료 회의에 참석한다.

2. 2. 각료

프랑스의 장관은 휘하에 보좌관들로 이뤄진 중앙 부처 내각을 운영하며, 10~20명으로 이뤄진 이들은 장관의 수행을 보좌한다.[8] 각 장관실은 장관이 부처를 운영하는 것을 돕는다. 장관실 구성원은 정부 내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며 정치적, 행정적 영역 모두에서 활동한다.

프랑스 정부의 모든 구성원은 총리의 자문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2] 정부 구성원은 정부 구성 시점에 정해지는 정확한 서열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이러한 서열에서 총리는 정부 수반이다. 대통령은 헌법적으로 누구든 임명할 자유가 있지만, 실제로는 정부가 프랑스 의회의 신임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민의회 다수의 의지를 반영하는 후보를 지명해야 한다.[3] 총리 후보는 정부를 이끌도록 지명된 후 대통령에게 장관 명단을 제안해야 한다. 대통령은 이 제안된 장관들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장관들은 중요도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16]

  • '''총리 (Premier ministre|프르미에 미니스트르프랑스어)'''

: 정부 수장. 대통령이 임명한다. 총리대통령에게 임명할 각료를 제안한다.

  • '''국무장관 (ministre d’État|미니스트르 데타프랑스어)'''

: 정부의 차석에 위치한다. 오늘날에는 주로 의례적인 직책이며, 실력자에게 부총리급의 대우를 주기 위해 사용된다. 국무장관은 일반적으로 총리가 주재하는 관계 각료 회의(réunion interministérielle|레위니옹 앵테르미니스테리엘프랑스어)를 주재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각료 회의(Conseil des ministres[17])에서 자신의 관할과 무관한 사항에 대해 의견을 말할 수 있는 것이 전통적으로 허용되어 왔다.

  • '''장관 (ministre|미니스트르프랑스어)'''

: 부처를 관할한다. 장관의 수는 당시 정부와 설치되는 부처에 따라 변동한다. 제4공화국 이전에는 각 부처 장관(ministre à portefeuille|미니스트르 아 포르트푀유프랑스어)과 무임소 장관(ministre sans portefeuille|미니스트르 상 포르트푀유프랑스어) 또는 국무장관이 구별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러한 관행이 없으며 모든 정부 구성원이 특정 관할을 가지고 있다.

  • '''담당 장관 (ministre délégué|미니스트르 델레게프랑스어)'''

: 장관 또는 드물게 총리 밑에 배치되어 일정한 권한을 위임받는다.

  • '''차관 (secrétaire d’État|세크레테르 데타프랑스어)'''[18]

: 장관 또는 때로는 총리 밑에 배치된다.

  • '''고등판무관 (haut-commissaire|오코미세르프랑스어)'''

: 제5공화국에서는 제1차 및 제2차 피용 내각에서만 임명되었다.

담당 장관은 의제와 관계없이 항상 각료 회의에 참석하는 반면, 차관 및 고등판무관은 의제가 자신의 관할과 관련된 경우에만 각료 회의에 참석한다.

현재 프랑스 내각은 가브리엘 아탈 국무총리가 이끌고 있다.[23]

2. 3. 부처

가브리엘 아탈 국무총리가 이끄는 현 프랑스 내각에는 다음과 같은 부처들이 있다.[23]

부처
고등교육부
교육부
교통부
국방부
국토통일부
경제재무부
내무부
노동부
농림식품부
문화부
보건연대부
법무부
유럽외교부
유럽통상부
체육부
환경부
해외영토부



프랑스의 부처 명칭은 자주 바뀌는 경향이 있다. 현재 프랑스 정부의 부처는 다음과 같다.[15]

부처
내무부
사법부
유럽 및 외교부
국방부 및 재향군인부
지역 협력 및 분권화부
보건 및 의료 접근부
연대·자치·여성남성평등부
경제·재정·산업부
생태전환·에너지·기후·위험예방부
문화부
노동·고용부
주택 및 도시재생부
국립교육부
체육·청소년·지역생활부
농업·식량주권·산림부
공무원·단순화·공공행정 혁신부
고등교육·연구부



프랑스 정부의 각 부처(省)는 행정부로서 정부에 직속되며, 각 부처의 장은 정부 구성원인 장관이 맡는다.

3. 기능

프랑스 제5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정부는 국가 정책을 지휘하고 결정한다.[4] 실제로 정부는 의회에 제출할 법률안을 작성하고, 법령을 작성하여 발표한다. 정부가 하는 모든 정치적 결정은 프랑스 공화국 관보(Journal officiel de la République française)에 등록되어야 한다.

정부 활동은 군사력과 행정 기구라는 두 가지 실행력에 의해 뒷받침되며, 그에 따라 정부는 정책에 따른 활동 방향을 결정한다. 정부는 공공 서비스의 적정한 운영 및 지속성을 확보하고, 국회(국회, Congrès)의 심의 절차를 지휘할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 개혁 법률안에 대해서는 경제사회환경평의회(Conseil économique, social et environnemental)에 자문을 요청할 수 있다.

정부는 의회에 책임을 진다. 특히 국민의회 앞에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며, 국민의회는 불신임안으로 정부를 해임할 수 있다.[12] 권한대행(임시) 대통령의 임기 중에는 정부가 기능할 수 없다. 이 직책은 상원 의장 또는 총리에게 부여되며, 권력 분립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4개월 이상 지속되는 무력 작전을 개시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먼저 의회와 협의하여 승인을 요청해야 한다.[13] 총리는 임시회를 소집하거나 입법 일정에 회의 일수를 추가할 수 있다.[14]

정부 구성원은 국가 차원의 의회직, 직업, 노동조합 지도직, 공무원 직책, 어떤 직업 활동도 겸할 수 없다.[10][11] 이러한 제한은 장관들에게 외부 압력과 영향을 줄이고 정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따라서 국민의회 또는 상원 의원이 정부에 임명될 경우 장관 또는 총리직을 수행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다만, 정부 구성원은 시장이나 지역 의회 의원과 같은 지방 선출직은 유지할 수 있다. 프랑스 공화국 헌법은 장관이 정당 대표를 맡는 것을 금지하지만, 관례적으로 장관은 그러한 직책을 맡지 않는다.

대부분의 정부 업무는 각 부처에서 수행한다. 각 장관은 "장관실"(Cabinet ministériel)이라고 불리는 자체 직원을 두고 있다.[8] 각 장관실은 약 10명에서 20명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정치적으로 임명된다. 장관실 구성원은 장관이 부처를 운영하는 것을 돕는다. 장관실 구성원은 정부 내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며 정치적, 행정적 영역 모두에서 활동한다. 각 장관실의 계층 구조는 장관에 의해 결정된다. 여러 부처의 대표들로 구성된 실무 그룹도 흔하다. 총리는 이러한 부처 간 회의를 감독하고 정부 업무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의무이다. 모든 장관실 결정은 총리가 공동 서명해야 한다.[9] 모든 법령 또한 총리의 자문을 구해야 한다.[9]

3. 1. 각료회의

프랑스 대통령과 총리, 장관들이 참석하며, 총리가 국무회의 의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22] 국무회의에서 예산안과 칙령 발표가 처음으로 이뤄진다. 이들은 매주 수요일마다 오전에 엘리제궁에서 회의를 갖는다.

국무회의는 헌법에 의해 설립되었다.[5] 국무장관이 회의에 참석할 수도 있지만, 국무회의는 고위 장관들로만 구성된다. 프랑스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주재하지만, 총리가 여전히 국무회의를 이끈다.[5]

모든 법안과 일부 법령은 국무회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5] 게다가 정부의 집단적 정치 및 정책 방향을 정의하고 그 방향을 실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도 국무회의의 역할이다. 정책 입안 및 집행 외에도 정부는 국가 방위를 책임지고 프랑스군(French Armed Forces)의 활동을 지휘한다.[4] 프랑스 정부의 운영은 합의제(collegiality) 원칙에 기반한다.

국무회의는 매주 수요일 아침 엘리제궁에서 열린다.[6]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하며, 정부 장관들 간의 연대와 합의제를 증진시킨다.[6] 회의는 정해진 형식에 따라 진행된다.[7]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국무회의가 공익 법안, 법령 및 칙령에 대해 심의한다.[7] 두 번째 부분에서는 각 장관이 고위 공무원 임명에 관한 개별적인 결정을 논의한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장관이 자신이 담당하는 개혁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발표하거나 대통령이 장관들에게 어떤 주제에 대한 자문을 구한다.[7] 또한 외무장관은 중요한 국제 문제에 대한 주간 업데이트를 국무회의에 제공한다.[7]

정례 각의(프랑스 각료회의(Conseil des ministres))[17]는 매주 수요일 오전 엘리제궁에서 대통령이 주재한다. 각의를 통해 정부 업무에는 연대감이 생기고, 정부 업무는 집단적으로 지도된다.[19]

3. 2. 예산

프랑스 공화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은 정부의 책임이며, 각 부처의 모든 지출을 승인하고 모든 수입을 관리해야 한다.[4] 지출은 "예산법"(Loi des Finances프랑스어)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예산안과 동일하다. 각 장관은 매년 자금 요청 목록을 작성하여 예산부에 제출해야 한다. 예산부는 장관들의 자금 요청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다음 해의 국가 예산을 산정한다. 의회는 모든 예산 법안에 대해 투표해야 한다.[4]

정부는 국가의 경제재정 정책에 대해 책임을 진다. 각 장관은 예산법(loi de finances)에 따라 세입세출예산을 집행한다. 각 장관은 예산 요구액을 작성하여 예산 담당 부처(ministère chargé du budget)에 제출한다. 해당 부처는 그 요구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해당 부처는 차년도 국가 예산을 편성하고, 국가의 연간 세입 총액 및 세출 총액을 재편성한 추경예산을 작성한다.[4]

예산법이 집행되려면 의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의회는 예산법에 대해 수정을 가할 수 있다.[4]

4. 권력 분립

프랑스 정부의 구성원은 국가적 차원에서 의회의 어떤 직책, 직업적 또는 통상적 지도자의 지위, 공공 고용, 어떤 직업 활동도 할 수 없다.[24][25] 이는 장관에 대한 외부 압력과 영향력을 완화하고 정부 업무에 집중하기 위함이다. 프랑스 공화국 헌법은 장관이 정당의 지도자가 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관례적으로 장관은 그러한 직책을 맡지 않는다.

정부는 권력 분립을 절충하여 상원 의장이나 총리에게 부여되는 직책이기 때문에 (임시)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임 기간 동안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

4. 1. 의회와의 관계

프랑스 정부는 프랑스 의회에 책임을 진다.[12] 특히, 국민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며, 국민의회는 불신임안으로 정부를 해임할 수 있다.[26]

정부 구성원은 국회의원직을 겸할 수 없다.[24][25] 정부에 임명된 국회의원이나 상원의원은 장관직을 수행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이는 장관에 대한 외부 압력과 영향력을 완화하고 장관이 정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정부 구성원은 시장이나 지역 의원과 같은 지방 선출직은 유지할 수 있다.

정부가 4개월 이상 지속되는 무력 작전을 개시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먼저 의회와 협의하여 승인을 요청해야 한다.[13] 총리는 임시회를 소집하거나 입법 일정에 회의 일수를 추가할 수 있다.[14]

5. 정부사무총국

정부사무총국(secrétariat général du gouvernement)은 제5공화국 하에서 정부가 교체될 때 국가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기관이다. 정부사무총국은 총리에 소속되며 정부사무총장(secrétaire général du gouvernement프랑스어)의 권한 아래에 있다.[1]

6. 역대 내각

→ 공화국 방위 연합3제2차 조르주 퐁피두 내각1962년 11월 28일1966년 1월 8일4제3차 조르주 퐁피두 내각1966년 1월 8일1967년 4월 1일5제4차 조르주 퐁피두 내각1967년 4월 5일1968년 7월 10일6모리스 쿠브 드 뮈르빌 내각1968년 7월 10일1969년 6월 20일모리스 쿠브 드 뮈르빌공화국 방위 연합7자크 샤방-델마스 내각1969년 6월 20일1972년 7월 5일자크 샤방-델마스공화국 방위 연합
→ 공화국 민주 연합조르주 퐁피두8제1차 피에르 메스메르 내각1972년 7월 5일1973년 3월 28일피에르 메스메르공화국 민주 연합9제2차 피에르 메스메르 내각1973년 4월 2일1974년 2월 27일10제3차 피에르 메스메르 내각1974년 2월 27일1974년 5월 27일11제1차 자크 시라크 내각1974년 5월 27일1976년 8월 25일자크 시라크공화국 민주 연합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12제1차 레몽 바르 내각1976년 8월 25일1977년 3월 29일레몽 바르무소속
프랑스 민주 연합과 협력 관계13제2차 레몽 바르 내각1977년 3월 29일1978년 3월 31일14제3차 레몽 바르 내각1978년 4월 3일1981년 5월 13일15제1차 피에르 모루아 내각1981년 5월 21일1981년 6월 22일피에르 모루아프랑스 사회당프랑수아 미테랑16제2차 피에르 모루아 내각1981년 6월 22일1983년 3월 22일17제3차 피에르 모루아 내각1983년 3월 22일1984년 7월 17일18로랑 파비우스 내각1984년 7월 17일1986년 3월 20일로랑 파비우스19제2차 자크 시라크 내각1986년 3월 20일1988년 5월 10일자크 시라크공화국 연합20제1차 미셸 로카르 내각1988년 5월 10일1988년 6월 22일미셸 로카르프랑스 사회당21제2차 미셸 로카르 내각1988년 6월 23일1991년 5월 15일22에디트 크레송 내각1991년 5월 15일1992년 4월 2일에디트 크레송23피에르 베레고보아 내각1992년 4월 2일1993년 3월 29일피에르 베레고보아24에두아르 발라뒤르 내각1993년 3월 29일1995년 5월 11일에두아르 발라뒤르공화국 연합25제1차 알랭 쥐페 내각1995년 5월 17일1995년 11월 7일알랭 쥐페공화국 연합자크 시라크26제2차 알랭 쥐페 내각1995년 11월 7일1997년 6월 2일27리오넬 조스팽 내각1997년 6월 2일2002년 5월 6일리오넬 조스팽프랑스 사회당28제1차 장-피에르 라파랭 내각2002년 5월 6일2002년 6월 17일장-피에르 라파랭국민운동연합29제2차 장-피에르 라파랭 내각2002년 6월 17일2004년 3월 30일30제3차 장-피에르 라파랭 내각2004년 3월 30일2005년 5월 31일31도미니크 드 빌팽 내각2005년 5월 31일2007년 5월 15일도미니크 드 빌팽32제1차 프랑수아 피용 내각2007년 5월 17일2007년 6월 18일프랑수아 피용국민운동연합니콜라 사르코지33제2차 프랑수아 피용 내각2007년 6월 18일2010년 11월 13일34제3차 프랑수아 피용 내각2010년 11월 14일2012년 5월 10일35제1차 장-마르크 에로 내각2012년 5월 15일2012년 6월 18일장-마르크 에로프랑스 사회당프랑수아 올랑드36제2차 장-마르크 에로 내각2012년 6월 18일2014년 3월 31일37제1차 마뉘엘 발스 내각2014년 3월 31일2014년 8월 26일마뉘엘 발스38제2차 마뉘엘 발스 내각2014년 8월 26일2016년 12월 6일39베르나르 카즈뇌브 내각2016년 12월 6일2017년 5월 10일베르나르 카즈뇌브40제1차 에두아르 필립 내각2017년 5월 15일2017년 6월 19일에두아르 필립프랑스 공화당 (야당)에서 정권 참여에마뉘엘 마크롱41제2차 에두아르 필립 내각2017년 6월 19일2020년 7월 3일42장 카스텍스 내각2020년 7월 3일2022년 5월 16일장 카스텍스무소속


참조

[1] 웹사이트 The State budget | Agence France Trésor https://www.aft.gouv[...]
[2]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I, Article 8) https://fr.wikisourc[...]
[3] 백과사전 France: The role of the presiden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4-12-06
[4]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II, Article 20) https://fr.wikisourc[...]
[5] 웹사이트 A short guide to the French political system http://www.rogerdarl[...] 2014-12-05
[6]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I, Article 9) https://fr.wikisourc[...]
[7] 웹사이트 How Government works http://www.gouvernem[...] Government of France 2014-12-06
[8] 학술지 Ministerial Cabinets in France 1965-12
[9] 서적 Cabinet ministers and parliamentary government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0]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II, Article 23) https://fr.wikisourc[...]
[11] PDF legislative_elections https://franceintheu[...] 2024-08
[12]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V, Article 49) https://fr.wikisourc[...]
[13]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V, Article 35) https://fr.wikisourc[...]
[14]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V, Articles 28 and 29) https://fr.wikisourc[...]
[15] 웹사이트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https://www.gouverne[...] 2021-09-17
[16] 웹사이트 Décret du 18 mai 2007 relatif à la composition du Gouvernement http://legifrance.go[...] Legifrance 2013-04-21
[17] 일반
[18] 일반
[19] 웹사이트 La fonction de Premier ministre http://www.gouvernem[...] Portail du Gouvernement 2013-04-21
[20] 일반
[21] 웹인용 프랑스 < 국가별 < 법령 검색 {{!}} 세계법제정보센터 https://world.moleg.[...] 세계법제정보센터 2024-07-14
[22] 웹인용 A short guide to the French political system http://www.rogerdarl[...] 2014-12-05
[23] 웹인용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34세 최연소 총리' 탄생 https://www.bbc.com/[...] 2024-07-14
[24]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II, Article 23) https://fr.wikisourc[...]
[25] 웹사이트 legislative_elections https://franceintheu[...]
[26]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V, Article 49) https://fr.wikisourc[...]
[27] 위키소스 Constitution of the French Republic (Title IV, Articles 28 and 29) https://fr.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