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룡은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한국과학기술원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1986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나노다공성 탄소 및 계층적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 재료 과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2007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선정되었으며, 2022년부터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권욱현
    권욱현은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제어공학자이자 교육자로, 벤처 창업 장려, 국산 과학기술 계산 패키지 개발 주도 등의 공헌으로 대한민국학술원상과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유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룡 교수
로마자 표기Yu Ryong
한글 표기유룡
한자 표기劉 龍
출생1955년
출생지경기도 화성시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석사한국과학기술원
박사스탠퍼드 대학교
경력
소속한국과학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지도교수미셸 부다르
박사 학위 논문 제목백금 클러스터 in Y-제올라이트 - 물리화학적 프로브 연구
주요 연구 분야다공성 매질, 제올라이트, 탄소, 촉매
수상
수상 내역클래리베이트 분석 Citation Laureate (2014)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05)
대한민국 과학기술훈장 (2007)
호암상 과학 부문 (2010)
Breck Award by International Zeolite Association (2010)
웹사이트
웹사이트유룡 교수 연구실 웹사이트

2. 학력

3. 경력

1986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같은 해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U. C. 버클리)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1986년 1월부터 11월까지 알렉스 파인스 교수의 지도 아래 고체 핵자기 공명(NMR) 분야를 연구했다.

1986년 12월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2022년까지 재직했다. KAIST 재직 중 나노다공성 탄소 및 계층적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 재료 과학 분야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나노다공성 탄소 재료에 대한 하드 템플릿 합성 전략을 개발하여 연료 전지 연구 등에 적용했으며,[5][6] 이는 제올라이트, 고분자, 금속 산화물 등 다양한 나노다공성 재료 합성에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계층적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 재료의 합성과 촉매 응용 연구에 집중하여,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에 대한 유기실란-지향 합성 경로를 보고하고,[7] 단일 단위 세포 두께의 나노시트 제올라이트 합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3] 이 연구는 제올라이트 구조 지향성 헤드 그룹을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미세공과 메조다공성 구조를 동시에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다. 2011년에는 이러한 계면 활성제 지향 합성 전략을 확장하여 다양한 나노다공성 구조를 만드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2007년에는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선정되어 연구 지원을 받았다. 2008년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석좌교수로 임명되었으며, 2010년에는 국제 제올라이트 협회로부터 브렉 상을 수상했다. 또한 영국 왕립 화학회의 펠로우이며, ''Chemical Communications'' 및 ''ChemCatChem''과 같은 국제 학술지의 편집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4. 연구 업적

한국과학기술원에서의 연구 기간 동안, 유룡은 나노다공성 탄소 및 계층적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 재료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나노다공성 탄소 재료 합성을 위한 하드 템플릿(hard-template) 합성 전략을 개발했으며, 이를 연료 전지 연구에 적용했다.[5][6] 이 합성법은 나노다공성 탄소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고분자, 금속 산화물 등 다양한 나노다공성 재료 합성에 있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유룡은 계층적 나노다공성 제올라이트 재료의 합성과 촉매 응용 연구에 집중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여러 혁신적인 합성 전략을 제시했는데, 대표적으로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 합성을 위한 유기실란-지향 합성 경로를 보고했다.[7] 더 나아가, 단일 단위 세포 두께를 가진 나노시트 제올라이트의 합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3] 이 접근법은 제올라이트 구조를 유도하는 헤드 그룹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한 번의 합성 단계만으로 제올라이트의 미세 기공과 메조 기공 구조를 동시에 만들어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2011년에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합성 전략을 더욱 발전시켜, 기존의 라멜라형 나노시트 구조 외에도 육각형 벌집 구조나 무질서한 나노스펀지 형태와 같은 다양한 나노다공성 구조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되었다.

이러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유룡은 2010년 국제 제올라이트 협회(IZA)로부터 브렉 상(Breck Award)을 수상했다. 또한 2007년에는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선정되어 연구 기금을 지원받았으며, 2008년에는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석좌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영국 왕립 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의 펠로우(Fellow)이며, 국제 학술지 ''Chemical Communications''와 ''ChemCatChem''의 편집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


  • Ryoo, R.; Kim, J. M.; Ko, C. H.; Shin, C. H. "Direct imaging of the pores and cages of three-dimensional mesoporous materials", ''네이처'', 2000.
  • Ryoo, R.; Joo, S. H.; Jun, S. "Ordered nanoporous arrays of carbon supporting high dispersions of platinum nanoparticles", ''네이처'', 2001.
  • Choi, M.; Na, K.; Kim, J.; Sakamoto, Y.; Terasaki, O.; Ryoo, R. "Stable single-unit-cell nanosheets of zeolite MFI as active and long-lived catalysts", ''네이처'', 2009.
  • Na, K.; Jo, C.; Kim, J.; Cho, K.; Jung, J.; Seo, Y.; Messinger, R. J.; Chmelka, B. F.; Ryoo, R. "Directing Zeolite Structures into Hierarchically Nanoporous Architectures", ''사이언스'', 2011.

5. 수상 및 영예

주요 수상 및 영예 내역
연도수상 내역수여 기관/비고
2000년4월최우수 논문상대한화학회
2001년4월최우수 논문상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4월촉매 작용에서의 나노 기술 미래 연구상ACS 심포지엄
5월최우수 논문상일본 전자현미경 학회 (오 테라사키 교수와 공동 수상)
8월이달의 과학자과학기술부
12월올해의 교수KAIST
2002년4월학술상대한화학회
12월학술 대상KAIST
2005년4월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자상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06년8월청소년을 위한 과학기술 멘토한국과학재단
2007년5월연구 프런트 리더톰슨 사이언티픽, 한국연구재단
11월대한민국 국가과학자교육과학기술부
2008년-석좌교수 임명KAIST
2009년12월창의적 지식 대상KISTI
2010년-호암상 과학상호암재단
7월브렉상 (Breck Award)국제 제올라이트 협회 (IZA)
2014년-클래리베이트 인용상 (구 톰슨 로이터 인용 영예상)클래리베이트


6. 주요 논문


  • 류유룡 외, "촉매 작용을 위한 중간 기공 제올라이트에 희토류-백금 합금 나노 입자", Nature, 2020.[20]
  • 김경표 외, "제올라이트 템플릿에서 란탄-촉매 미세 기공 3D 그래핀 유사 탄소 합성", Nature, 2016.[21]
  • 나규환 외, "제올라이트 구조를 계층적 나노 기공 구조로 유도", Science, 2011.[22]
  • 최원철 외, "활성이 높고 수명이 긴 제올라이트 MFI의 안정적인 단일 단위 세포 나노 시트", Nature, 2009.[23]
  • 최원철 외, "조절 가능한 중간 기공도를 갖는 결정성 제올라이트의 양친매성 유기실란 유도 합성", Nature Materials, 2006.[24]
  • 최원철 외, "정렬된 나노 기공 고분자-탄소 복합체", Nature Materials, 2003.[25]
  • 주상훈 외, "백금 나노 입자의 높은 분산을 지지하는 정렬된 나노 기공 탄소 배열", Nature, 2001.[26]
  • 사카모토 요시노리 외, "3차원 중간 기공 물질의 기공과 케이지의 직접적인 이미지", Nature, 2000.[27]

참조

[1] 웹사이트 http://kosef.nextdat[...]
[2] 웹사이트 KAIST: Professor Ryong Ryoo http://rryoo.kaist.a[...]
[3] 웹사이트 Korean Scientists Create Magical Substance http://times.hankook[...] 2013-05-14
[4] 웹사이트 Faculty https://chem.kaist.a[...] KAIST 2018-10-05
[5] 논문 Synthesis of highly ordered carbon molecular sieves via template-mediated structural transformation https://www.research[...] 2018-10-05
[6] 논문 Ordered nanoporous arrays of carbon supporting high dispersions of platinum nanoparticles https://www.research[...] 2018-10-05
[7] 논문 Amphiphilic organosilane-directed synthesis of crystalline zeolite with tunable mesoporosity http://www.canli.dic[...] 2018-10-05
[8] 웹사이트 Thomson Reuters Nominates Distinguished Professor Ryong Ryoo for Its 2014 Nobel Citation Laureates in Chemistry https://www.kaist.ac[...] 2018-10-05
[9] 웹사이트 유룡 교수 국제 제올라이트학회 브렉상 수상 https://www.kaist.ac[...] 2018-10-05
[10] 웹사이트 호암재단, 2010년 호암상 6개 부문별 수상자 발표 http://www.newsis.co[...] 2018-10-05
[11] 웹사이트 2010 New Year Message https://www.kaist.ac[...] 2018-10-05
[12] 웹사이트 강주환 교수 등 6명, '지식창조대상' 수상 http://www.asiae.co.[...] 2018-10-05
[13] 웹사이트 KAIST유룡-황규영 교수 특훈교수 임명 http://news.donga.co[...] 2018-10-05
[14] 웹사이트 KAIST 특훈교수 2명 임명 http://www.etnews.co[...] 2018-10-05
[15] 웹사이트 국가과학자 유룡 KAIST 교수 http://www.dt.co.kr/[...] 2018-10-05
[16] 웹사이트 세계 수준급 연구영역 개척자 7명 시상 http://news.donga.co[...] 2018-10-05
[17] 웹사이트 '세계 수준급 연구영역 개척자상' 한국인 7명 수상 http://www.hani.co.k[...] 2018-10-05
[18] 웹사이트 유룡·신희섭·이재영씨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http://www.hani.co.k[...] 2018-10-05
[19] 웹사이트 유룡씨등 3명 최고 과학인상 http://news.mk.co.kr[...] 2018-10-05
[20] 논문 Rare-earth–platinum alloy nanoparticles in mesoporous zeolite for catalysis https://www.nature.c[...] 2020-09
[21] 논문 Lanthanum-catalysed synthesis of microporous 3D graphene-like carbons in a zeolite template 2016-06-29
[22] 논문 Directing zeolite structures into hierarchically nanoporous architectures 2011-07-15
[23] 논문 Stable single-unit-cell nanosheets of zeolite MFI as active and long-lived catalysts 2009-09-10
[24] 논문 Amphiphilic organosilane-directed synthesis of crystalline zeolite with tunable mesoporosity 2006-08-06
[25] 논문 Ordered nanoporous polymer–carbon composites 2003-06-22
[26] 논문 Ordered nanoporous arrays of carbon supporting high dispersions of platinum nanoparticles 2001-07-12
[27] 논문 Direct imaging of the pores and cages of three-dimensional mesoporous materials 2000-11-23
[28] 웹사이트 Ryoo, Ryong Professor (1986 ~ 2021.2) https://chem.kaist.a[...]
[29] 뉴스 "논문 피인용수 노벨상 수상 수준 도달 한국 과학자 6명"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