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 권설 내파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권설 내파음은 혀끝을 윗잇몸 뒤쪽이나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진동시키면서 안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내는 파열음의 한 종류이다. 구강음이며 중심 자음이자 내파음이며,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닌 성대에서 만들어진 기류를 사용한다. 오로모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마르와르어, 응가다어, 파르카리 콜리어, 사라이키어 등에서 단어의 발음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파음 - 유성 치경 내파음
유성 치경 내파음은 혀의 끝과 잇몸으로 조음되는 유성음이며, 후두를 하강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내파음이자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 통하는 통로를 막는 구강음이다. - 내파음 - 유성 경구개 내파음
유성 경구개 내파음은 국제 음성 기호 ʄ로 표기되며, 경구개와 혀 앞부분을 사용하여 조음하고 후두를 하강시켜 소리를 내는 유성 내파음의 일종이다. - 권설음 - 유성 권설 마찰음
유성 권설 마찰음은 혀를 말아 올려 치경 후부에서 조음하는 유성 권설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ʒ˞]로 표기하며 러시아어, 중국어, 폴란드어 등에서 나타난다. - 권설음 - 무성 권설 마찰음
무성 권설 마찰음은 혀끝을 말아 올려 입천장 앞부분에서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무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 [ʂ]로 표기되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발음 방식과 빈도는 언어 및 방언에 따라 다르다.
유성 권설 내파음 | |
---|---|
음성학적 정보 | |
IPA 기호 | ᶑ |
십진수 | 7569 |
![]() | |
IPA 링크 | ɗ |
해당 IPA 음성 |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cite book|和書 |author=제프리・K・플럼, 윌리엄・A・라두서 |others=쓰치다 시게루, 후쿠이 레이, 나카가와 유타카 역 |title=세계 음성학 기호 사전 |year=2003 |publisher=산세이도 |page=40 |isbn=4385107564 }} |
2. 특징
- 성대를 진동시켜 내는 유성음이다.
- 혀를 둥글게 말아 입천장 쪽에 대고 내는 권설음이다.
- 입으로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 혀의 가운데로 공기가 지나가는 중심 자음이다.
-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닌, 성대에서 만들어진 기류를 사용하는 내파음이다.[1]
2. 1. 조음 방법
혀끝을 윗잇몸 뒤쪽이나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진동시키면서 안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내는 파열음이다.2. 2. 조음 위치
혀끝을 윗잇몸 뒤쪽이나 경구개에 대고 조음하는 권설음이다.2. 3. 성대 진동
성대가 진동하면서 나는 유성음이다.2. 4. 구강음/비강음
공기가 입으로만 나오는 구강음이다.2. 5. 기류 메커니즘
이 자음은 혀를 둥글게 말아서 내는 소리이며, 성대의 울림을 수반한다. 입으로만 공기가 나가며, 혀의 가운데 부분으로 공기가 지나가는 중심 자음이다. 또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아닌, 성대에서 만들어진 기류를 사용하는 내파음이다.[1]3. 사용 예시
다음은 유성 권설 내파음이 사용되는 언어의 예시이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마르와르어 | / | — | — | |
응가다어 | modhe|modhenxg | — | '좋은' | |
오로모어 | dhuma|dhumaom | [ᶑʊmɐ] | '끝' | |
파르카리 콜리어 | مڏيو|maᶑiuːkvx | — | '그가 말했다' | |
사라이키어 | ݙاک|ݙاک|사라이키 문자skr | [ᶑak] | '메일' | 설단음 또는 설단 아래 소리, 조음 위치가 후음 파열음에 비해 앞쪽에 있으며 치경 내파음과 대조되지 않음[4] |
와디야라 콜리어 | — | /ɓ ɗ ᶑ ʄ ɠ/와 대조. |
3. 1. 마르와르어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마르와르어 | / |
3. 2. 응가다어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응가다어 | modhe|modhenxg | '좋은' |
3. 3. 오로모어
오로모어에서 'dh'는 이 소리가 난다.단어 | IPA | 의미 |
---|---|---|
dhuma | 끝 |
3. 4. 파르카리 콜리어
مڏيو|maᶑiuːkvx '그가 말했다'3. 5. 사라이키어
'''ݙ'''اک|사라이키 문자skr (IPA: ) : '메일' (설단음 또는 설단 아래 소리, 조음 위치가 후음 파열음에 비해 앞쪽에 있으며 치경 내파음과 대조되지 않음)[4]3. 6. 와디야라 콜리어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와디야라 콜리어 | colspan=3 align=center | | /ɓ ɗ ᶑ ʄ ɠ/와 대조. |
참조
[1]
문서
In Mangbai language
[2]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1999
[3]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4]
서적
The Siraiki language of central Pakistan : a reference grammar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976
[5]
서적
世界音声学記号辞典
三省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